KR20180103659A -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659A
KR20180103659A KR1020170094995A KR20170094995A KR20180103659A KR 20180103659 A KR20180103659 A KR 20180103659A KR 1020170094995 A KR1020170094995 A KR 1020170094995A KR 20170094995 A KR20170094995 A KR 20170094995A KR 20180103659 A KR20180103659 A KR 2018010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anatomical
user
information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866B1 (ko
Inventor
김진수
최흥산
김희진
최종우
허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Priority to PCT/KR2017/0085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64329A1/ko
Publication of KR2018010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12Stereo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FACE BY USING ANATOMICAL LAYERS}
본 발명은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성형 수술, 치과 교정, 피부과 시술, 화장품, 액세서리 등을 통해 사용자의 외모를 가상으로 꾸밀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외모가 뛰어난 연예인과 사용자 간 외모 일치 정도를 분석해주는 서비스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의 외모를 실제 외모와 거의 흡사하게 가상으로 구현하는 기술 및 사용자 간 외모의 차이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분석하는 기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눈, 코, 입, 턱 등의 얼굴 구성요소에 대한 윤곽선을 추출하고, 그 구성요소 각각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의 얼굴을 추정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로서, 사용자가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비교하고자 하는 비교 원본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게 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비교 원본 이미지를 사용자의 지정에 따른 특정 비교 대상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 정보를 제공하는 유사도 비교 서버부로 구성되는 인물 이미지 유사도 비교 시스템이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또는 뼈를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얻어지는 국부적인 특징에만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추정하고, 그 추정되는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외모 비교 서비스 등을 제공할 뿐이므로, 실제 결과와 가상 결과 간에 괴리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layer)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레이어 추정부, 및 상기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layer)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과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정보 제공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후술할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layer)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고, 그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해당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후술할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에는,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지원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제공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 레이어 추정부(220), 비교 정보 제공부(230), 서비스 제공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 레이어 추정부(220), 비교 정보 제공부(230), 서비스 제공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정보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및 사용자의 얼굴 경조직(hard tissue)에 대한 3차원 촬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3차원 스캐닝 또는 촬영 데이터는, 엑스레이(x-ray), 초음파(ultrasonic wave),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r Tomography),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e), 양전자 방출 촬영 영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및 3차원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관한 2차원 측정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관한 2차원 측정 데이터(예를 들면, 사진, 그림 등)가 획득되면, 원근 투영 변환 알고리즘(perspective projection transformation) 등의 공지의 3차원 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위의 획득되는 2차원 측정 데이터를 그 2차원 측정 데이터의 사용자의 얼굴 특징점에 기초하여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부학적 얼굴 모델은, 죽은 인체(즉, 사체)의 얼굴의 연조직의 해부학적 레이어를 한꺼풀씩 벗겨내면서 벗겨진(또는 벗겨지지 않은) 레이어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레이어의 위치, 형상 등) 및 살아있는 인체 얼굴 연조직에 대하여 초음파, 방사선, 자기장 및 양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투과시켜 획득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레이어의 위치, 형상 등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구 통계학적 지표(demographic variable, 예를 들면, 인종, 성별, 나이 등)에 따라 얼굴의 해부학적 레이어를 정규화, 평균화 또는 표준화함으로써 획득되는 얼굴 모델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하여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획득되는 데이터를 서포트 벡터 머신(SVM) 알고리즘, 다변수 적응 회귀 스플라인(MARS) 알고리즘, 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 신경망(NN) 알고리즘 등의 공지의 딥러닝 또는 빅데이터에 관한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인구 통계학적 지표에 따라 얼굴의 해부학적 레이어를 패턴화한 해부학적 얼굴 모델이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해부학적 레이어에는 근육, 지방, 혈관, 신경 및 림프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레이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인종, 민족, 성별, 나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일 실시예 따른 이러한 해부학적 레이어의 종류 및 사용자 정보가 반드시 앞서 열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골막(periosteum), 근막(fascia), 인대(ligament) 등과 같은 해부학적 레이어나 국가, 거주 지역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해당 사용자의 얼굴에 관한 특징을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해당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에 부합하도록 정합 또는 변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비교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능동 표현 모델(AAM; active appearance model) 알고리즘, 능동 형상 모델(ASM; active shape model) 알고리즘, 복합 제약 능동 표현 모델(Composite Constraint AAM) 알고리즘, 반복 최근접점(ICP; iterative closest points) 알고리즘 및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non-rigid regist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사용자 얼굴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로부터 그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능동 표현 모델(AAM; active appearance model) 알고리즘, 능동 형상 모델(ASM; active shape model) 알고리즘 및 복합 제약 능동 표현 모델(Composite Constraint AAM)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복 최근접점(ICP; iterative closest points) 알고리즘 및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non-rigid regist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그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에 부합하도록 정합 또는 변환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비교하여 분석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반드시 앞서 열거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그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고, 위의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그 추정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해당 사용자의 얼굴에 관한 특징을 해당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그 사용자의 3차원 측정 데이터에 위의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가 부합되도록 정합 또는 변환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 추정부(220)는 위의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가 변화되는 양상 등)를 참조하여 위의 기추정된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레이어 추정부(220)의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a)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b)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기준에 부합되는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및 (c) 기설정된 수퍼 노멀(super normal)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수퍼 노멀은 평균적인 얼굴을 초월하여 외모가 뛰어남을 뜻하는 의미로서, 그 수퍼 노멀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미인 대회(예를 들면, 미스 유니버스, 미스 월드, 미스 인터내셔널, 미스 아시아 퍼시픽 월드 등) 수상자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각각의 해부학적 레이어 간 형상 및 위치를 종합하여 평균화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레이어 추정부(220)의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예를 들면, 사용자와 나이 또는 성별이 연관된(또는 동일한)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 포함되는 각각의 해부학적 레이어 간 형상 및 위치를 종합하여 평균화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레이어 추정부(220)의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기준(예를 들면, 피보나치 수열의 황금 비율)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얼굴 모델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모델에 포함되는 각각의 해부학적 레이어 간 형상 및 위치를 종합하여 평균화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레이어 추정부(220)의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예를 들면, 사용자와 나이 또는 성별이 연관(또는 동일한)된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 중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기준(예를 들면, 피보나치 수열의 황금 비율)에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얼굴 모델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모델에 포함되는 각각의 해부학적 레이어 간 형상 및 위치를 종합하여 평균화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레이어 추정부(220)의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추정 결과로부터 소정 나이대의 사용자의 얼굴을 특정하고, 그 특정되는 소정 나이대의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교 정보 제공부(230)는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사용자의 얼굴 및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간에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비교된 수치를 비교에 관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240)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추정 결과와 비교 정보 제공부(230)로부터 제공되는 비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성형 수술 및 피부 시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240)는 비교 정보 제공부(230)로부터 제공되는 비교에 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추정 결과에 반영될 가상의 변형, 주입 및 추출을 결정함으로써, 성형 수술 및 피부 시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어 추정부(220)는 성형 수술 또는 피부 시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시뮬레이션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가상의 변형, 주입 및 추출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면, 해당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재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50)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 레이어 추정부(220), 비교 정보 제공부(230) 및 서비스 제공부(24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 레이어 추정부(220), 비교 정보 제공부(230), 서비스 제공부(240) 및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60)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측정 데이터 획득부(210), 레이어 추정부(220), 비교 정보 제공부(230), 서비스 제공부(240) 및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과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 얼굴의 경조직에 대한 3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 데이터 또는 사용자 안면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301).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그 사용자의 인종,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A)을 선정하고(302), 그 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A)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데이터에 부합하도록 정합 또는 변환함으로써, 그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303).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위의 추정에 의하여 측정되는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B, 304)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얼굴 및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각각에 특징점(410)을 설정하고, 그 특징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및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의 얼굴 소정 지점 또는 소정 부위의 길이, 거리, 각도, 높낮이, 크기, 부피 및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510, 예를 들면, 코-이마 각도(비전두각, nasofrontal angle), 입술-턱 접힘 각도(하순부 주름각, labiomental fold angle) 등)하고, 그 측정된 수치를 각각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과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610).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용자 얼굴에 관한 진단 요소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얼굴과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1) 얼굴 폭(facial width)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폭에 관한 값은, 정면에서 바라본 사용자 얼굴의 상단(701), 중단(702) 및 하단(703) 얼굴 각각의 좌우 폭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상단(701)의 경우에는 이마 중간 위치, 얼굴 중단(702)의 경우에는 광대 주변의 좌우 폭이 가장 넓은 위치 및 얼굴 하단(703)의 경우에는 입술 양 끝점을 지나는 위치에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폭에 관한 정보는, 이상적인 얼굴 비율에 비해 얼굴 폭이 다소 큰 동양인 등에게 안면 윤곽술 시술(예를 들면, 광대 및 하악 축소술 등) 시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2) 얼굴 비대칭(asymmetry by volum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비대칭에 관한 값은, 사용자의 얼굴을 상단(801), 중단(802), 하단(803)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영역을 다시 얼굴 중심선(804)에 따라 좌우로 각각 구분함으로써 생성되는 여섯 영역의 볼륨(volume)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여섯 영역의 볼륨을 모두 합하여 사용자 얼굴 전체 볼륨이 산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비대칭에 관한 정보는, 연부 조직 비대칭 및 경부 조직 비대칭으로 구분되는 정보일 수 있고, 얼굴 비대칭 교정 등에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3) 눈 가로 폭(eye width balan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눈 가로 폭에 관한 값은, 사용자 우측 눈의 수평 거리(901), 양쪽 눈 사이의 거리(902) 및 좌측 눈의 수평 거리(903)의 비율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양쪽 눈 사이의 거리(902)에 해당하는 값이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눈 가로 폭에 관한 정보는, 몽고리안 내악각 주름을 가지는 아시아인 등에게 내안각 또는 외안각 성형술 등의 수술 시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4) 얼굴 높이(facial height balan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높이에 관한 값은 사용자 얼굴의 상단(1001), 중단(1002) 및 하단(1003)의 수직 거리의 비율을 측정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의 상단(1001)에 해당하는 값이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하단(1003)에서 입술 양 끝점(1004)에 의해 위아래로 구분되는 수직 거리 비율이 더 측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얼굴 높이에 관한 정보는, 안면 윤곽 수술, 양악 수술 등에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5) 윤곽 깊이(depth by contour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윤곽 깊이는, 사용자 얼굴의 앞뒤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윤곽선을 코 끝에서 0.25mm 간격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것(11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윤곽 깊이를 이용하여 얼굴 각 부위의 상대적인 높낮이가 등고선에 의해 쉽게 판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굴의 좌우 비대칭 및 얼굴 피부 곡면의 부드러운 정도까지 측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윤곽 깊이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이 앞뒤로 어떤 윤곽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서양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앞뒤 길이가 짧은 아시아인 등에게 좌우 얼굴 폭을 줄이는 안면 윤곽 수술이 효과적일지, 이마, 코, 턱 끝 등을 앞뒤로 융기시키는 이마 성형술, 코 성형술 또는 턱 끝 성형술이 효과적일지 등을 판단할 때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6) 깊이에 따른 색채 지도(depth by color map)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깊이에 따른 색채 지도는 위의 윤곽 깊이(depth by contour)와 같은 얼굴 높낮이 정보를 색채 지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1201)으로써, 사용자 얼굴 각 부위의 상대적인 높낮이가 색상 비교를 통해 쉽게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깊이에 따른 색채 지도에 관한 정보는 전반적인 안면의 돌출 정도를 색깔로 쉽게 보여주는 이미지로서, 이마, 코, 턱 끝 등을 앞뒤로 융기시키는 이마 성형술, 코 성형술, 턱 끝 성형술 등의 수술 중 어떤 수술이 가장 환자에게 효과적인지 판단할 때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7) 전-후 투영(anterior-posterior projec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후 투영에 관한 값은 사용자 얼굴의 주요 특징점(1301)에서 얼굴 뒤쪽 기준 평면(1302)까지의 전-후 방향 거리를 측정한 값(130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얼굴의 지정된 점에서 기준 평면(1302)까지의 전-후 방향 거리를 측정한 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기준 평면(1302)은 좌우 귀 구슬(tragus)의 평균 위치를 지나고 얼굴 앞뒤 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후 투영에 관한 정보는, 이마, 코, 턱 끝 등을 앞뒤로 융기시키는 이마 성형술, 코 성형술, 턱 끝 성형술 등의 수술 중 어떤 수술이 환자에게 효과적일지 판단할 때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련 수술 전 수술되어야 할 양을 결정하거나 수술 전후 결과를 분석할 때 활용되는 수치일 수 있다.
(8) 눈 거리(eye length)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눈 거리에 관한 값은, 좌우 눈의 수평 및 수직 거리(1401), 양쪽 눈 사이의 거리(1402), 좌우 눈꺼풀의 수직 거리(1403) 등 눈 거리와 관련된 다양한 측정치를 의미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눈 거리에 관한 정보는, 쌍꺼풀 수술, 눈매 교정술, 내안각 성형술, 외안각 성형술 등의 수술 시 수술양을 결정하는데 활용되는 수치일 수 있다.
(9) 코 및 입술 거리(nose and lips length)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 및 입술 거리에 관한 값은, 콧등 길이(nasal bridge length, 1501), 콧등 높이(nasal bridge height, 1502), 심미선(aesthetic line) 등 코 및 입술 거리와 관련된 다양한 측정치를 의미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 및 입술 거리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코 및 입술과 관련된 상대적 또는 절대적 길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코 성형 수술, 턱 교정 수술, 양악 수술 등의 수술 시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10) 코 및 입술 각도(nose and lips angl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 및 입술 각도에 관한 값은, 코이마각(nasofrontal angel, 1601), 코입술각(nasolabial angle, 1602), 입술턱각(labiomental angle, 1603) 등 코 및 입술 각도와 관련된 다양한 측정치를 의미하는 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 및 입술 각도에 관한 정보는, 코 성형 수술 및 양악 수술 시 활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11) 곡선 길이(curved length)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곡선 길이는, 사용자 얼굴의 좌우 각각에 대하여 귀의 귀구슬(tragus)(1701)점으로부터 눈(Ex, 1702), 코(Al, 1703), 입(Ch, 1704), 턱(Gn, 1705)에 이르는 곡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곡선 길이에 관한 정보는, 2차원 상에서는 파악할 수 없는 수치로서 3차원 상에서만 파악될 수 있는 수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곡선 길이에 관한 정보는, 눈 수술, 코 수술, 안면 윤곽술, 주름 성형술 등의 수술 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술 전후 결과가 효과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위의 열거된 사용자 얼굴에 관한 진단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진단 요소가 추가되거나 위의 진단 요소 내에서 다른 진단 요소로 변경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위의 획득된 비교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3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305).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정보 제공 시스템
210: 측정 데이터 획득부
220: 레이어 추정부
230: 비교 정보 제공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2)

  1.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복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 기준에 부합되는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및 기설정된 수퍼 노멀(super normal) 해부학적 얼굴 모델을 평균화, 표준화 또는 정규화함으로써 산출되는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에서,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에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 경조직(hard tissue)에 대한 3차원 촬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에서, 상기 해부학적 레이어에는, 근육, 지방, 혈관, 신경 및 림프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에서, 능동 표현 모델(AAM; active appearance model) 알고리즘, 능동 형상 모델(ASM; active shape model) 알고리즘, 복합 제약 능동 표현 모델(Composite Constraint AAM) 알고리즘, 반복 최근접점(ICP; iterative closest points) 알고리즘 및 비강체 정합 알고리즘(non-rigid regist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더 추정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추정 결과로부터 소정 나이대의 사용자의 얼굴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에서, 상기 비교에 관한 정보에는,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길이, 얼굴 소정 지점 사이의 거리, 얼굴의 복수의 소정 지점 사이의 각도, 얼굴 소정 지점 간 높낮이, 얼굴 소정 부위의 크기, 얼굴의 부피 및 얼굴 소정 지점 간 비율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비교된 수치가 포함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대한 추정 결과 및 상기 제공되는 비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성형 시술 또는 피부 시술에 관한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서비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 얼굴 형상에 대한 가상의 변형, 주입 및 추출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각각 재추정하는
    방법.
  11.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의 형상에 관한 3차원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측정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3차원 측정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부학적 얼굴 모델과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연조직(soft tissue)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를 추정하는 레이어 추정부, 및
    상기 추정에 의하여 특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적어도 하나의 기준 해부학적 얼굴 모델 사이의 비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교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해부학적 얼굴 모델에는, 얼굴의 연조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해부학적 레이어의 형상 및 위치에 관한 모델링된 데이터가 포함되는
    시스템.
KR1020170094995A 2017-03-10 2017-07-26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95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8508 WO2018164329A1 (ko) 2017-03-10 2017-08-07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45 2017-03-10
KR20170030745 2017-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659A true KR20180103659A (ko) 2018-09-19
KR101959866B1 KR101959866B1 (ko) 2019-03-19

Family

ID=6371899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034A KR101918119B1 (ko) 2017-03-10 2017-04-18 얼굴에 관한 해부학적 레이어를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94995A KR101959866B1 (ko) 2017-03-10 2017-07-26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94993A KR101959859B1 (ko) 2017-03-10 2017-07-26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을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155144A KR102006019B1 (ko) 2017-03-10 2017-11-20 시술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034A KR101918119B1 (ko) 2017-03-10 2017-04-18 얼굴에 관한 해부학적 레이어를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93A KR101959859B1 (ko) 2017-03-10 2017-07-26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을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155144A KR102006019B1 (ko) 2017-03-10 2017-11-20 시술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918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3219A (zh) * 2020-04-30 2020-08-25 赤峰学院附属医院 颅颌面软硬组织的分析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367904B1 (ko) * 2021-02-26 2022-03-03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코일 위치 안내용 네비게이션 장치, 이를 포함하는 뇌 자극 장치 및 바이오 네비게이션 로봇 시스템
KR20220049149A (ko) * 2020-10-14 2022-04-21 이세호 표정 트레이닝을 이용한 안면 비대칭 교정 서비스 방법
KR20220057008A (ko) * 2020-10-29 2022-05-09 이세호 교정거울을 이용한 표정 트레이닝 기반의 안면 비대칭 교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325A (ko) * 2019-08-23 2021-03-04 이태경 정량적 수술 일치율 분석을 통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비용 정산 및 추천 시스템
US11869213B2 (en) 2020-01-17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analyzing skin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22873B1 (ko) * 2020-06-18 2023-04-19 주식회사 디엠에프 3차원 안면 스캔데이터를 이용한 의료 시술 결과비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4093B1 (ko) * 2020-06-26 2023-10-25 주식회사 아이오티포헬스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피부과 시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498384B1 (ko) * 2020-10-08 2023-02-10 (주)가시 나이변화에 따른 얼굴예측 및 ai를 활용한 cctv 기반의 실종자 검색방법
KR102386828B1 (ko) 2020-10-28 2022-04-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을 이용한 보철 치료 후 안모 변화 예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6197B1 (ko) * 2022-09-26 2023-01-09 강석준 3차원 얼굴 스캐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17A (ko) * 2004-06-02 2005-12-07 김상훈 디지탈 영상 보안을 위한 사람 얼굴 객체 자동검출 방법
JP2007042101A (ja) * 2005-07-29 2007-02-15 Avid Technology Inc 表面メッシュと関連する制御を用いたキャラクタの軟組織の三次元アニメーション
JP2010534376A (ja) * 2007-07-23 2010-11-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しわのエイジング及びディエイジングの現実的シミュレーションの方法及び装置
KR20120096238A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안면보정 이미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3531A (ko) * 2011-03-31 2013-06-1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베다이가쿠 3 차원 조형 모델 제작 방법 및 의료·의학·연구·교육용 지원툴
KR20140020124A (ko) * 2012-08-08 2014-02-18 권순용 가상 의료시술방법/치과시술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70025162A (ko) * 2015-08-27 2017-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영상의 얼굴 나이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2171A (ko) * 2017-01-10 2018-07-18 트라이큐빅스 인크. 3차원 캐릭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7915A (ko) * 2017-02-24 2018-09-03 트라이큐빅스 인크. 개인 맞춤형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654B2 (ja) 2000-05-31 2003-01-0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仮想形態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KR20090115884A (ko) * 2001-10-31 2009-11-09 이마그노시스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시뮬레이션장치
US7321364B2 (en) 2003-05-19 2008-01-22 Raytheon Company Automated translation of high order complex geometry from a CAD model into a surface based combinatorial geometry format
KR20060067242A (ko) * 2004-12-14 2006-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부 데이터를 이용한 얼굴 애니메이션 생성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90000635A (ko) * 2007-03-12 2009-01-0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의 선호도를 만족시키는 3차원 얼굴 성형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309013B1 (ko) * 2011-10-04 2013-09-17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안면 영상과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한 형상진단기
KR20160084151A (ko) * 2015-01-05 2016-07-13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얼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817A (ko) * 2004-06-02 2005-12-07 김상훈 디지탈 영상 보안을 위한 사람 얼굴 객체 자동검출 방법
JP2007042101A (ja) * 2005-07-29 2007-02-15 Avid Technology Inc 表面メッシュと関連する制御を用いたキャラクタの軟組織の三次元アニメーション
JP2010534376A (ja) * 2007-07-23 2010-11-0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しわのエイジング及びディエイジングの現実的シミュレーションの方法及び装置
KR20120096238A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모르페우스 안면보정 이미지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3531A (ko) * 2011-03-31 2013-06-1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고베다이가쿠 3 차원 조형 모델 제작 방법 및 의료·의학·연구·교육용 지원툴
KR20140020124A (ko) * 2012-08-08 2014-02-18 권순용 가상 의료시술방법/치과시술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70025162A (ko) * 2015-08-27 2017-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영상의 얼굴 나이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2171A (ko) * 2017-01-10 2018-07-18 트라이큐빅스 인크. 3차원 캐릭터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7915A (ko) * 2017-02-24 2018-09-03 트라이큐빅스 인크. 개인 맞춤형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3219A (zh) * 2020-04-30 2020-08-25 赤峰学院附属医院 颅颌面软硬组织的分析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20220049149A (ko) * 2020-10-14 2022-04-21 이세호 표정 트레이닝을 이용한 안면 비대칭 교정 서비스 방법
KR20220057008A (ko) * 2020-10-29 2022-05-09 이세호 교정거울을 이용한 표정 트레이닝 기반의 안면 비대칭 교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367904B1 (ko) * 2021-02-26 2022-03-03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코일 위치 안내용 네비게이션 장치, 이를 포함하는 뇌 자극 장치 및 바이오 네비게이션 로봇 시스템
WO2022182060A1 (ko) * 2021-02-26 2022-09-01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코일 위치 안내용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뇌 자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119B1 (ko) 2019-02-08
KR20180103658A (ko) 2018-09-19
KR101959866B1 (ko) 2019-03-19
KR20180103645A (ko) 2018-09-19
KR102006019B1 (ko) 2019-10-01
KR101959859B1 (ko) 2019-07-04
KR20180103672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866B1 (ko)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97439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hair transplantation
US103573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hair transplantation
JP72787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92489A (ko) 딥러닝을 이용한 3차원 전신 골격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US933030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analyzing images
WO2018164329A1 (ko)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8164328A1 (ko) 해부학적 레이어를 이용하여 얼굴을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8164394A1 (ko) 시술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18164327A1 (ko) 얼굴에 관한 해부학적 레이어를 추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40021109A (ko) 초음파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장기 내부에 위치한 병변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는 방법 및 시스템
Yurievich et al. Dudenko Volodymyr Grygorovych
CN112037322A (zh) 基于大数据的医疗美容请求分析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