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318A -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318A
KR20180103318A KR1020170030088A KR20170030088A KR20180103318A KR 20180103318 A KR20180103318 A KR 20180103318A KR 1020170030088 A KR1020170030088 A KR 1020170030088A KR 20170030088 A KR20170030088 A KR 20170030088A KR 20180103318 A KR20180103318 A KR 2018010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wallpaper
layer
foam
air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932B1 (ko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벽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벽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벽지
Priority to KR102017003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72Coated paper characterised by the paper substrate
    • D21H19/74Coated paper characterised by the paper substrate the substrate having an uneven surface, e.g. crêped or corrug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80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 D21H19/82Paper comprising more than one coating superpose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지공급부와, 제1,2코팅기와, 근적외선램프와 열풍기의 열풍으로 구성된 제1,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표면가공기와, 벽지권취부로 구성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PVC플라스티졸층을 2단 또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근적외선 및 열풍을 동시에 발생가열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입체적무늬를 선명하고 양호하게 형성하고,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한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METHOD OF PRODUCING WALLPAPER}
본 발명은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지공급부와, 제1,2코팅기와, 근적외선램프와 열풍기의 열풍으로 구성된 제1,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표면가공기와, 벽지권취부로 구성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PVC플라스티졸층을 2단 또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근적외선 및 열풍을 동시에 발생가열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입체적무늬를 선명하고 양호하게 형성하고,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한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래전부터 벽을 장식하기 위해, 그리고 공간을 안락하게 꾸미기 위해 벽지나 벽포에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더욱더 다양한 무늬와 기능을 갖는 벽지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입체적인 무늬를 갖는 발포 및 엠보벽지가 개발되어서 종래 벽지의 기본 특성외에 우수한 입체효과와 보온, 방음 및 쿠숀성 등이 부여되게 되어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발포 및 엠보벽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그라비아나 로터리스크린, 엠보싱등을 이용한 방법등으로서 기재위에 원하는 무늬가 표출되도록 롤이나 그밖의 형판을 높이를 달리하여 부식시키거나 또는 조각시킨 다음에 이를 이용하여 발포제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를 다단으로 코팅시킨 후 발포시키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벽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벽지위에 발포제가 함유된 수지를 층으로 이루고, 이 벽지를 원적외선(IR:Infrared) 또는 열풍이 설치된 오븐기에 이송되어 원적외선 또는 열풍으로 발포제수치층을 가열하여 발포를 유도하여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생산하였으나, 이러하게 벽지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는 벽지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원할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심지어 2단 발포벽지를 제조하지 못하며,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 및 엠보벽지를 대량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조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벽지공급부와, 제1,2코팅기와, 근적외선램프와 열풍기의 열풍으로 구성된 제1,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표면가공기와, 벽지권취부로 구성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PVC플라스티졸층을 2단 또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근적외선 및 열풍을 동시에 발생가열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입체적무늬를 선명하고 양호하게 형성하고,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한 새로운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벽지원지를 공급하는 벽지공급부와; 상기 벽지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을 형성하는 제1코팅기와; 상기 제1코팅기에서 공급받아 상기 벽지원지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의 가열과, 열풍기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을 형성하는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1차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을 형성하는 제2코팅기와; 상기 제2코팅기에서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의 가열과, 열풍기의 열풍을 가해서 2차발포층을 형성하는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상기 2차발포층을 형성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아 상기 2차발포층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가공기와: 상기 표면가공기로부터 상기 2차발포층의 표면이 가공된 최종완성된 2단 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는 벽지권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상기 표면가공기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발포처리된 상기 2차발포층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을 형성하는 제3코팅기와, 상기 제3코팅기에서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의 상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을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의 가열과, 열풍기의 열풍을 가해서 3차발포층을 형성하는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는 중앙에 반원구형으로 형성된 반원형홈부와, 상기 반원형홈부의 외측둘레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반원형홈부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램프와, 상기 본체의 양측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와 연결된 열풍기와, 상기 열풍기의 열풍이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양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램프는 상기 반사경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의 내측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임펠러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구는 상기 본체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가 상기 주입구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풍방향조절부는 상기 배출구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힌지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둘레에 양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풍향각도바와, 상기 풍향각도바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열풍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상기 1차발포층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상기 2차발포층을 갖는 벽지원지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벽지공급부와, 제1,2코팅기와, 근적외선램프와 열풍기의 열풍으로 구성된 제1,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와, 표면가공기와, 벽지권취부로 구성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PVC플라스티졸층을 2단 또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서 근적외선 및 열풍을 동시에 발생가열하여 벽지원지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입체적무늬를 선명하고 양호하게 형성하고,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는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의 배출구를 나타낸 다른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반원형홈부에 구비된 반사경의 하부에 근적외선램프가 다수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 다수개로 설치된 주입구와, 이 주입구에 열풍기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가 벽지원지의 상,하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에 열풍방향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의 배출구를 나타낸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반원형홈부에 구비된 반사경의 하부에 근적외선램프가 다수개로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에 다수개로 설치된 주입구와, 이 주입구에 열풍기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가 벽지원지의 상,하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에 열풍방향조절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 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는 도 1a 내지 6에 도시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 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 실크벽지제조장치는 벽지공급부(10)와, 제1코팅기(20)와,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와, 제2코팅기(40)와,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와, 표면가공기(60)와, 벽지권취부(70)로 구성된다.
상기 벽지공급부(10)는 벽지원지(A)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코팅기(20)는 상기 벽지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는 상기 제1코팅기(20)에서 공급받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C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C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C1)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상기 1차발포층(C1)을 안정적으로 빠르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는 중앙에 반원구형으로 형성된 반원형홈부(f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반원형홈부(f1)의 외측둘레에 공간부(f3)가 형성된 본체(f4)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형홈부(f1)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f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램프(f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양측하부에 배출구(f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f8)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구(f8)와 연결된 열풍기(f9)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기(f9)의 열풍이 상기 주입구(f8)를 통해 상기 공간부(f3)를 통해 양 상기 배출구(f7)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근적외선램프(f6)를 설치하여 상기 근적외선램프(f6)들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열들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PVC플라시티졸층(D1)에 효율적으로 가해서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상기 1차발포층(C1)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배출구(f7)에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서 상기 1차발포층(C1)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열풍기(f8)에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주입구(f8)들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본체(f4)에 구비된 상기 배출구(f7)로 열풍을 보다 많은양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구(f7)에서 발생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열풍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서 상기 1차발포층(C1)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열풍방향조절부(f12)는 상기 배출구(f7)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고정프레임(f12-1)과,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힌지(f12-2)로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양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풍향각도바(f12-3)로 구성된다.
상기 풍향각도바(f12-3)는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에서 열풍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출구(f7)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의 상부면에서 열풍의 방향으로 바꾸도록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열풍을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이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1차발포층(C1)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의 상,하부면에서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의 상,하부면에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균일하게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균일하게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이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1차발포층(C1)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코팅기(40)는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에서 1차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상기 제2코팅기(40)에서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2차발포층(C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여, 상기 1차발포층(C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C1)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P2)에서 2차발포층(C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D2)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상기 PVC플라스티졸(D2)에서 2차발포층(C2)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상기 2차발포층(C2)을 안정적으로 빠르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중앙에 반원구형으로 형성된 반원형홈부(f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반원형홈부(f1)의 외측둘레에 공간부(f3)가 형성된 본체(f4)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형홈부(f1)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f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램프(f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양측하부에 배출구(f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f8)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구(f8)와 연결된 열풍기(f9)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기(f9)의 열풍이 상기 주입구(f8)를 통해 상기 공간부(f3)를 통해 양 상기 배출구(f7)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근적외선램프(f6)를 설치하여 상기 근적외선램프(f6)들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열들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P2)에 효율적으로 가해서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상기 2차발포층(C2)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배출구(f7)에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에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서 상기 2차발포층(C2)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열풍기(f8)에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주입구(f8)들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본체(f4)에 구비된 상기 배출구(f7)로 열풍을 보다 많은양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구(f7)에서 발생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열풍을 가해서, 상기 1발포층(C1)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에서 상기 2차발포층(C2)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열풍방향조절부(f12)는 상기 배출구(f7)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고정프레임(f12-1)과,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힌지(f12-2)로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양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풍향각도바(f12-3)로 구성된다.
상기 풍향각도바(f12-3)는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에서 열풍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출구(f7)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의 상부면에서 열풍의 방향으로 바꾸도록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열풍을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이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2차발포층(C2)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의 상,하부면에서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의 상,하부면에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균일하게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균일하게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이 상기 2차발포층(C2)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면가공기(60)는 상기 제2오븐기(50)에서 상기 2차발포층(C2)을 형성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을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정에서는 입체적인 무늬 또는 여러가지의 색을 염색할 수 있는 공정을 더 가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벽지권취부(70)는 상기 표면가공기(60)로부터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이 가공된 최종완성된 2단 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아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다른실시예는 제3코팅기(20a) 및 제3오븐기(20b)를 상기 제2오븐기(50)와, 상기 표면가공기(60)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다른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벽지공급부(10)는 벽지원지(A)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코팅기(20)는 상기 벽지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1)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는 상기 제1코팅기(20)에서 공급받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가열기(D)로 1차발포층(C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코팅기(40)는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에서 1차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상기 제2코팅기(40)에서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에 가열기(D)로 2차발포층(C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코팅기(20a)는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에서 발포처리된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3)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는 상기 제3코팅기(20a)에서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을 가열기(D)로 가열하여 3차발포층(C3)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여, 상기 1차발포층(C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2차발포층(C2)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P3)에서 3차발포층(C3)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는 상기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와 열풍기(E)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D3)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상기 PVC플라스티졸(D3)에서 3차발포층(C3)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의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상기 3차발포층(C3)을 안정적으로 빠르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는 중앙에 반원구형으로 형성된 반원형홈부(f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반원형홈부(f1)의 외측둘레에 공간부(f3)가 형성된 본체(f4)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형홈부(f1)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f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램프(f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양측하부에 배출구(f7)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본체(f4)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f8)로 구성된다.
상기 주입구(f8)와 연결된 열풍기(f9)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기(f9)의 열풍이 상기 주입구(f8)를 통해 상기 공간부(f3)를 통해 양 상기 배출구(f7)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근적외선램프(f6)를 설치하여 상기 근적외선램프(f6)들에서 발생되는 근적외선열들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P3)에 효율적으로 가해서 상기 2차발포층(C2)상부면에 상기 3차발포층(C3)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배출구(f7)에 공급되는 열풍을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에 효율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의 상부면에서 상기 3차발포층(C3)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열풍기(f8)에서 발생된 열풍을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주입구(f8)들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본체(f4)에 구비된 상기 배출구(f7)로 열풍을 보다 많은양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배출구(f7)에서 발생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열풍을 가해서, 상기 2발포층(C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에서 상기 3차발포층(C3)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열풍방향조절부(f12)는 상기 배출구(f7)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고정프레임(f12-1)과,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힌지(f12-2)로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양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풍향각도바(f12-3)로 구성된다.
상기 풍향각도바(f12-3)는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에서 열풍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출구(f7)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부에서 이동되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의 상부면에서 열풍의 방향으로 바꾸도록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열풍을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이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3차발포층(C3)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의 상,하부면에서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의 상,하부면에 상기 근적외선가열기(D)로 균일하게 가열하고 상기 열풍기(E)에서 발생되는 열풍으로 균일하게 가하여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이 상기 3차발포층(C3)으로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면가공기(60)는 상기 제2오븐기(50)에서 상기 2차발포층(C2)을 형성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을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정에서는 입체적인 무늬 또는 여러가지의 색을 염색할 수 있는 공정을 더 가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벽지권취부(70)는 상기 표면가공기(60)로부터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이 가공된 최종완성된 2단 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아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벽지공급부(10)와, 상기 제1,2코팅기(20,40)와, 근적외선램프(D)와 열풍기(E)의 열풍으로 구성된 상기 제1,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50)와, 상기 표면가공기(60)와, 상기 벽지권취부(700로 구성하여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PVC플라스티졸층을 2단 또는 2단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50)에서 근적외선 및 열풍을 동시에 발생가열하여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그 표면에 입체적무늬를 선명하고 양호하게 형성하고, 2단 또는 2단이상의 발포층을 갖는 벽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벽지공급부 20 : 제1코팅기
20a : 제3코팅기 20b :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
30 :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 40 : 제2코팅기
50 :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 60 : 표면가공기
70 : 벽지권취부 f1: 반원형홈부
f3: 공간부 f4: 본체
f5: 반사경 f6: 근적외선램프
f7: 배출구 f8: 주입구
f9:열풍기 f9a:모터
f10: 임펠러 f11: 확산부
f12: 열풍방향조절부 f12-1: 고정프레임
f12-2: 힌지 f12-3: 풍향각도바
A : 벽지원지 C1 : 1차발포층
C2 : 2차발포층 C3 : 3차발포층
D: 가열기 D1,D2,D3: PVC플라스티졸층
E: 열풍기

Claims (9)

  1. 벽지원지(A)를 공급하는 벽지공급부(10)와; 상기 벽지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1)을 형성하는 제1코팅기(20)와; 상기 제1코팅기(20)에서 공급받아 상기 벽지원지(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1차발포층(C1)을 형성하는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와;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30)에서 1차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2)을 형성하는 제2코팅기(40)와; 상기 제2코팅기(40)에서 공급받아 상기 1차발포층(C1)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2)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2차발포층(C2)을 형성하는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와;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에서 상기 2차발포층(C2)을 형성한 상기 벽지원지(A)를 공급받아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가공기(60)와: 상기 표면가공기(60)로부터 상기 2차발포층(C2)의 표면이 가공된 최종완성된 2단 발포층이 형성된 상기 벽지원지를 공급받는 벽지권취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와 상기 표면가공기(60)의 사이에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에서 발포처리된 상기 2차발포층(C2)의 상부면에 PVC발포수지, 가소제, 안정제, 발포제, 점도조절제, 충진제로 배합된 PVC플라스티졸로 형성된 PVC플라스티졸층(D3)을 형성하는 제3코팅기(20a)와, 상기 제3코팅기(20a)에서 공급받은 상기 벽지원지(A)의 상에 형성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3)을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가열기(D)의 가열과, 열풍기(E)의 열풍을 가해서 3차발포층(C3)을 형성하는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50,20b)는 중앙에 반원구형으로 형성된 반원형홈부(f1)와, 상기 반원형홈부(f1)의 외측둘레에 공간부(f3)가 형성된 본체(f4)와, 상기 반원형홈부(f1)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f5)과,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설치된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램프(f6)와, 상기 본체(f4)의 양측하부에 배출구(f7)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f4)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구(f8)와, 상기 주입구(f8)와 연결된 열풍기(f9)와, 상기 열풍기(f9)의 열풍이 상기 주입구(f8)를 통해 상기 공간부(f3)를 통해 양 상기 배출구(f7)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램프(f6)는 상기 반사경(f5)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측에는 모터(f9a)로 구동되는 임펠러(f10)가 설치되고, 양 상기 배출구(f7)의 하단의 둘레는 외측으로 확산된 확산부(f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f8)는 상기 본체(f4)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f9)가 상기 주입구(f8)들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양 상기 배출구(f7)의 내부에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수있는 열풍방향조절부(f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방향조절부(f12)는 상기 배출구(f7)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고정프레임(f12-1)과,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힌지(f12-2)로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둘레에 양측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풍향각도바(f12-3)와, 상기 풍향각도바(f12-3)는 상기 고정프레임(f12-1)의 내측에서 열풍의 방향을 바꾸어 상기 배출구(f7)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VC플라스티졸층(D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와, 상기 1차발포층(C1)을 갖는 상기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50)와, 상기 2차발포층(C2)을 갖는 벽지원지(A)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3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2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KR1020170030088A 2017-03-09 2017-03-09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KR10238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88A KR102380932B1 (ko) 2017-03-09 2017-03-09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88A KR102380932B1 (ko) 2017-03-09 2017-03-09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18A true KR20180103318A (ko) 2018-09-19
KR102380932B1 KR102380932B1 (ko) 2022-04-01

Family

ID=6371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88A KR102380932B1 (ko) 2017-03-09 2017-03-09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9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06B1 (ko) 2019-05-22 2020-01-22 강종찬 다단식 오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KR102182389B1 (ko) 2020-07-20 2020-11-24 강종찬 다단식 오븐 장치
KR102358580B1 (ko) * 2021-10-08 2022-02-09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KR102382849B1 (ko) * 2021-10-08 2022-04-11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KR102403955B1 (ko) * 2021-02-04 2022-06-03 박한수 웹종이 코팅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72A (ja) * 1991-07-03 1993-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エブの乾燥装置
KR200309293Y1 (ko) * 2002-12-30 2003-03-29 정 순 곽 근적외선 히터
KR100626198B1 (ko) * 2005-03-04 2006-09-20 조삼동 천연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19908A (ko) * 2006-08-29 2008-03-05 소대섭 황토벽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80059358A (ko) * 2008-06-04 2008-06-27 공배성 열풍 및 열원을 이용한 건조장치
JP2009281112A (ja) * 2008-05-26 2009-12-03 Tobu Kagaku Kogyo Kk 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50169A (ko) * 2008-11-05 2010-05-13 김죽영 발포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1623A (ko) * 2012-02-15 2013-09-16 안성열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3431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제일벽지 다단발포체층을 갖는 발포 엠보처리된 실크벽지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72A (ja) * 1991-07-03 1993-0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エブの乾燥装置
KR200309293Y1 (ko) * 2002-12-30 2003-03-29 정 순 곽 근적외선 히터
KR100626198B1 (ko) * 2005-03-04 2006-09-20 조삼동 천연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19908A (ko) * 2006-08-29 2008-03-05 소대섭 황토벽지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9281112A (ja) * 2008-05-26 2009-12-03 Tobu Kagaku Kogyo Kk 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59358A (ko) * 2008-06-04 2008-06-27 공배성 열풍 및 열원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100050169A (ko) * 2008-11-05 2010-05-13 김죽영 발포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1623A (ko) * 2012-02-15 2013-09-16 안성열 벽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3431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제일벽지 다단발포체층을 갖는 발포 엠보처리된 실크벽지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06B1 (ko) 2019-05-22 2020-01-22 강종찬 다단식 오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방법
KR102182389B1 (ko) 2020-07-20 2020-11-24 강종찬 다단식 오븐 장치
KR102403955B1 (ko) * 2021-02-04 2022-06-03 박한수 웹종이 코팅장치
KR102358580B1 (ko) * 2021-10-08 2022-02-09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KR102382849B1 (ko) * 2021-10-08 2022-04-11 에이치비페이퍼 주식회사 웹종이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932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318A (ko) 근적외선가열열풍오븐기를 구비한 다단발포체를 갖는 발포 엠보실크벽지제조장치
US7081291B2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CN106969616A (zh) 一种壁纸烘干装置
CN104129181A (zh) 一种壁纸运刷工艺
WO2017126540A1 (ja) 造形材及びその製造方法、立体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223322A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with controlled platelet layer orientation
EP1463640B1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KR101725102B1 (ko) 엠보싱 무늬 단열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20060159891A1 (en) Selectively embossed surface coverings and processes of manufacture
CN206721564U (zh) 一种壁纸均匀烘干装置
KR102380917B1 (ko) 다단발포체층을 갖는 발포 엠보처리된 실크벽지제조장치
CN107586374A (zh) 一种手机壳的制备方法
JPH01110123A (ja) 発泡装飾材の製造方法
CN106702751A (zh) 一种人造皮革雕花上色工艺
ITMI940286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 decorazione di caschi mediante rivestimento con un foglio in materiale sintetico predecorato
CN105821713A (zh) 一种立体浮雕pvc壁纸的生产方法
KR20090002459A (ko) 진공유리구슬을 이용한 보온벽지
NO134284B (ko)
KR100967656B1 (ko) 폴리우레탄발포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6939519A (zh) 一种高性能玻纤自洁防火装饰膜生产工艺
JPH06190846A (ja) スラッシュ成形金型およびその加熱装置
KR100201338B1 (ko) 다단입체 장식무늬의 형성방법과 이를 적용한 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JP3233272U (ja) ワーク乾燥時間短縮装置
JPS6057382B2 (ja) 化粧壁紙製造の塗装方法
CN203969570U (zh) 一种新型旋风卷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