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55A - 세면대 하부장 - Google Patents

세면대 하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955A
KR20180102955A KR1020170029733A KR20170029733A KR20180102955A KR 20180102955 A KR20180102955 A KR 20180102955A KR 1020170029733 A KR1020170029733 A KR 1020170029733A KR 20170029733 A KR20170029733 A KR 20170029733A KR 20180102955 A KR20180102955 A KR 2018010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wiring
door
dispos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91B1 (ko
Inventor
양인형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06B3/38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드로워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Washst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세면대 아래의 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는 욕실용품을 정리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세면대 상측이나 하측의 공간을 활용하여 하부장 또는 상부장의 형태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욕실에서 상부장 하부장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더라도, 욕실의 다습한 환경에 배치되는 상부장 또는 하부장 내부의 관리가 필요하다.
하부장은 세면대 하측의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의 다습한 환경에 대응하여, 수납공간의 건조 또는 살균을 위한 전기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도어에 건조나 살균을 위한 전기장치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장치가 배치되는 것은 개폐여부에 따라 배치가 달라지는 도어의 특성상 배선연결이 배선의 연결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폐여부에 따라 배치가 달라지는 도어에 안정적으로 배선이 연결되는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납공간을 청결하게 관리되는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드로워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이 안정적으로 도어 내부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 내부의 배선이 힌지 어셈블리로 연결되는 일측에서 형성되는 배선관통홀이 형성되고, 힌지 어셈블리는 드로워의 일측에서 힌지축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힌지부재; 힌지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댐퍼; 및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되고, 드로워의 배선관통홀을 커버하는 배선커버를 포함하여, 도어의 회전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배선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모듈은 상기 드로워 내측을 살균하도록 상기 도어 내측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테두리부 내부에 배치된 배선에 연결되어 모듈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수납공간인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는 도어를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힌지 어셈블리로 연결하여, 도어가 모듈의 밀폐하는 기능 이외에도 별도의 전기장치를 배치하여 다양한 기능이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힌지 어셈블리는 힌지부재, 힌지브라켓 및 배선커버의 구성으로, 도어의 회전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배선을 커버하여, 도어에 배치된 전기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도어에 자외선 램프를 배치하여, 모듈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모듈의 상부 드로워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도어의 외측 테두리부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커버의 배치 및 힌지브라켓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선커버가 제거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드로워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모듈이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방의 반대방향을 후방, 세면보올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향, 하부장 다리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향으로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세면장치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장치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받는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2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캐비닛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보올(22)은 세면대 하부장(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급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24), 상기 급수밸브(24)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6)를 포함한다. 급수밸브(24)는 세면보올(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한다. 급수호스(26)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호스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호스(26)는 이하 설명할 이너캐비닛(40)의 상면(4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급수 어셈블리는 급수호스(26)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27)는 급수밸브(24)를 통해 세면보올(22)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한다.
배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 세면보올(22)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관(30)으로 보내는 팝업밸브(28)를 포함한다. 배수호스도 이너캐비닛(40)의 상면(4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세면장치 하부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배치된다. 캐비닛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측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측에 모듈을 수용하는 이너캐비닛(40)과 이너캐비닛(40)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하여, 이너캐비닛(40) 내측에 수용된 모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아우터캐비닛(62),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에 배치되는 후면-아우터캐비닛(64) 및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에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을 포함한다.
이너캐비닛(40)은 내측면에 모듈을 이너캐비닛(40)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일부재(52)(미도시)가 배치된다. 이너캐비닛(40)은 모듈의 흡입구(84) 또는 토출구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연통홀(48)을 형성한다. 이너캐비닛(40)은 하면(46)에 공조장치(80)의 토출구와 연결되는 연통홀(48)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48)로 공조장치(80)의 토출구 주위로 형성된 하우징(82) 일부가 관통된다.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과 후면-아우터캐비닛(64) 사이에는 모듈 내측과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외부연결통로(68)가 형성된다. 외부연결통로(68)는 하부가 개구되어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연결된다.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는 공조장치(8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장치의 하중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 사이에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캐비닛(40)은 내측에 모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캐비닛 내측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캐비닛은 내측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제1모듈(100)과 제2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모듈(300)은 이너캐비닛(4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되는 제3모듈(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모듈(310)은 급수어셈블리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포함하거나, 공조장치(80)나 복수의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이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의 내측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50)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50)은 이너캐비닛(40) 내측에서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한다. 또한, 파티션(50)은 캐비닛 내측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하부장의 세면보올(22)과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에서 낙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상측커버(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장치(80) 또는 복수의 모듈을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74)는 상측커버(72)의 일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을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하부장다리(76)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80),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제1모듈(100)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액체를 흡입하는 잔수흡입기의 분리된 구성품 각각을 수납하여 건조하는 제2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거나, 캐비닛 내측에 배치된 모듈 내측을 건조시키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장치(80)는 팬(94)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면을 향하는 제1토출구(86) 또는 캐비닛 내측으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88)(또는 ‘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 하측에서 이너캐비닛(40) 내측에 배치된 제1모듈(100)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흡입구(84), 바닥을 건조하는 제1토출구(86) 및 캐비닛 내측에 배치된 모듈 내측을 건조하는 제2토출구(88)를 형성하는 하우징(82), 상기 하우징(82)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84)로부터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94) 및 하우징(82)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토출시키는 베인(90)을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공조장치(8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2)를 더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하우징(82)의 흡입구(84)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조필터(96)를 더 포함한다.
베인(90)은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를 개폐한다. 베인(90)은 베인(90)구동모터로 작동한다. 베인(90)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가 개폐된다. 베인(90)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와 제2토출구(88)는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제1토출구(86)가 개방되면, 제2토출구(88)가 닫히고, 제1토출구(86)가 닫히면 제2토출구(88)가 개방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모듈의 드로워의 상부커버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도어의 상부가 제거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커버의 배치 및 힌지브라켓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또는 ‘모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를 건조한다.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열풍으로 내측에 수용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욕실에서 가능한 집기는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은 캐비닛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드로워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캐비닛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는 드로워(110)와, 드로워(110)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160)과,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바스켓(160) 내측에 배치되는 랙(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바스켓(160)은 드로워(110)의 개구된 일측으로 착탈된다.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6)를 내부에 형성하는 흡입부재(122)와 제1모듈(100) 내측의 공기가 제1모듈(10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28)가 형성된 토출부재(130)를 더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부(112)와, 전면부(112)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드로워손잡이(114)를 포함한다. 전면부(112)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면부(112)는 드로워(110)가 캐비닛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비닛의 개구된 전방을 커버한다. 드로워손잡이(114)는 사용자가 모듈을 캐비닛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를 캐비닛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하거나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는 이동레일(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120)은 드로워(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동레일(120)은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따라 이동한다. 드로워(110)의 이동레일(120)이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이동함으로써, 드로워(110)는 이너캐비닛(40)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이너캐배닛 외부로 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대략 박스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이 개구된다. 드로워(110)의 상측에는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140)가 배치된다. 드로워(110) 상측의 도어(140)가 개방되면, 바스켓(160)을 드로워(110)에 끼우거나, 드로워(110)에서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상측에서 도어(140)를 개폐시키는 힌지 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드로워(110) 상측을 개폐하도록 도어(140)를 회전이동시킨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내부에 배선이 관통한다.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은 힌지 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도어(140) 내부로 연결된다. 도어(140)와 힌지 어셈블리(200)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드로워(110)는 캐비닛 또는 파티션(50)으로부터 연결되는 배선을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132)를 포함한다. 배선연결부재(132)는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로워(110)의 일측에서 캐비닛 또는 파티션(50)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연결부재(132)는 드로워(110) 후방에서 돌출되며, 파티션(50) 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배선연결부재(132)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배선이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32)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되는 배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어(140)의 자외선 램프(150)에 연결된다.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은 힌지 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도어(140)의 자외선 램프(150)로 연결된다.
드로워(110)는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부재(1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재(122)는 드로워(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부재(122)는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따뜻한 공기를 제1모듈(100) 내측으로 유동시킨다. 흡입부재(122)는 단부에서 공조장치(80)의 토출구(128)와 연결된다. 흡입부재(122)는 내부에 흡입유로(126)를 형성한다.
드로워(110)가 캐비닛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부재(122)는 공조장치(8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와 같이, 토출구(128) 주위를 형성하는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이너캐비닛(40)의 연통홀(48)을 관통하여 흡입부재(122)의 흡입유로(126) 내부로 삽입된다.
드로워(110)는 모듈 내측의 공기가 모듈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128)가 형성된 토출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30)는 드로워(1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토출부재(130)가 드로워(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30)는 드로워(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30)는 드로워(110) 후방면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30)는 드로워(110)에 수용되는 바스켓(16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30)는 드로워(110)의 도어(140)가 배치되는 부분과 같은 높이에서 배치된다. 토출부재(130)가 배치된 부분에서 도어(140)는 모듈 내측의 공기가 토출구(128)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드로워(116)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드로워(118)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부 드로워(116)와 하부 드로워(118)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드로워(116)는 내부에 배선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드로워(116)는 힌지어셈블리, 토출부재(130) 및 배선연결부재(132)가 배치된다. 하부 드로워(118) 내측에는 바스켓(16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드로워(118)의 하측에는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부재(122)가 배치된다.
바스켓(160)은 드로워(110) 내측에 수용된다. 바스켓(160)은 드로워(110)가 개방된 상측으로 드로워(110)에 삽입되거나, 드로워(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바스켓(160)은 내측이 중공이고, 상측으로 개구된다. 바스켓(160)은 내측에 건조대상인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바스켓(160)은 하부면의 일측에 하부홀(162)이 형성된다. 하부홀(162)은 드로워(110)의 흡입부재(122) 내부의 흡입유로(126)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흡입유로(126) 및 하부홀(162)을 통해 바스켓(160) 내측으로 유입된다.
바스켓(160)은 측면에서 바스켓손잡이(16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바스켓(160) 손잡이를 이용하여 바스켓(160)을 드로워(110)에서 인출할 수 있다.
랙(170)은 집기를 거치하는 부재이다. 랙(170)은 바스켓(160) 내측에 배치되어, 집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바스켓(160) 하부면으로 보낸다. 랙(170)은 바스켓(160)의 하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랙(170)은 바스켓(16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랙(170)은 바스켓(160) 내측에 배치되는 집기에 포함된 물기를 바스켓(160) 바닥면으로 보내는 복수개의 중공홀(172)이 형성된다. 랙(170)은 바스켓(160)의 하부홀(16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공기유동홀(174)이 형성된다. 공기유동홀(174)은 드로워(110)의 흡입부재(122) 내부의 흡입유로(126)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랙(170)의 공기유동홀(174)을 통해 바스켓(160) 내측으로 유입된다. 바스켓(160) 내측으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랙(170)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한다.
랙(170)은 공기유동홀(174)의 일부를 커버하는 유동홀커버(176)를 포함한다. 유동홀커버(176)는 공기유동홀(174)이 형성된 상측에 배치된다. 유동홀커버(176)는 랙(170)에 거치된 집기가 공기유동홀(174)을 통해 흡입유로(126)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140)와, 도어(140)를 드로워(110)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40)는, 도어(140)가 드로워(110) 상측에서 닫혔을 때, 드로워(110)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드로워(110)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40)는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차폐부(148)와, 차폐부(148) 둘레로 배치되어 드로워(110) 상측을 밀폐하는 테두리부(142, 144)를 포함한다. 차폐부(148)는 드로워(110) 내측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8)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142, 144)는 내부에 배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테두리부(142, 144)는 일측에 모듈 내측의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가 배치된다. 테두리부(142, 144)는 도어(140)를 개폐하는 힌지 어셈블리(200)와 연결된다.
테두리부(142, 144)는 도어(14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테두리부(142)와 도어(140)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테두리부(144)로 구성된다. 차폐부(148)는 내측테두리부(142)와 외측테두리부(144) 사이에 고정된다. 외측테두리부(144)의 일측에 도어(14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손잡이(146)가 형성된다. 내측테두리부(142)와 외측테두리부(144)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선이 배치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내측에 배치된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150)를 더 포함한다. 자외선램프(150)는 도어(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자외선램프는 내측테두리부(142)의 일측에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자외선 램프(150)는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과 연결된다. 드로워(110)는 일측에 배치된 배선연결부재(132)로 배선이 내부로 연결된다.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은 힌지 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도어(140) 내부로 연결된다. 도어(14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은 자외선 램프(150)로 연결된다.
제1모듈(100)은 도어(140)를 회전이동시키고,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힌지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도어(140)의 일측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관통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드로워(110) 내부에서 도어(140) 내부로 이어지는 배선이 관통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드로워(110) 상측에 배치된 도어(140)를 개폐시킨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일측에서 드로워(110)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도어(140)의 테두리부(142, 144)와 결합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내측테두리부(142)와 외측테두리부(144) 사이에 배치 결합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드로워(110)의 일측에서 힌지축(X-X’)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힌지부재(210), 힌지부재(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댐퍼(220), 힌지부재(210)의 회전으로 도어(140)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힌지브라켓(230)을 포함한다. 힌지 어셈블리(200)는 상기 힌지브라켓(230)에 결합되고,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배선커버(250)를 더 포함한다.
드로워(110)는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전하는 힌지부재(210)가 관통하는 힌지부재(210) 관통홀이 형성된다. 드로워(110)는 내부에 배치된 배선이 힌지 어셈블리(200) 내부로 이어지도록 배선관통홀(134)이 형성된다. 배선관통홀(134)은 힌지 어셈블리(200)의 일측과 대향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배선관통홀(134)은 도어(140)가 회전하는 반경의 범위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힌지부재(210)는 드로워(110) 일측에 배치되어 힌지축을 따라 회전한다. 댐퍼(220)는 힌지부재(2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댐퍼(220)는 힌지부재(210)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도어(140)와 드로워(110) 간의 충격을 완화한다.
힌지브라켓(230)은 일측에서 힌지부재(210)와 연결된다. 힌지브라켓(230)은 힌지부재(210)와 함께 회전한다. 힌지브라켓(230)은 힌지부재(210)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힌지브라켓(230)은 타측에서 도어(140)와 결합한다. 힌지브라켓(230)은 힌지부재(210)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도어(140)를 회전시킨다.
힌지브라켓(230)은 힌지부재(210)와 결합하여 힌지부재(210)의 힌지축으로 회전하는 힌지부재 연결부(232)와 도어(140)의 테두리부(142, 144)와 결합하여 힌지축을 기준으로 도어(140)를 회전시키는 도어 체결부(234)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재 연결부(232)는 힌지부재(210)의 둘레를 감싸며, 힌지부재(210)와 결합한다. 도어 체결부(234)는 내측테두리부(142)와 외측테두리부(144) 사이에 배치된다.
힌지브라켓(230)은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제1배선통로(236)가 형성된다. 제1배선통로(236)는 힌지부재(2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배선통로(236)의 일측단부는 도어(140)의 테두리부(142, 144)를 향한다. 제1배선통로(236)의 일측단부(238)는 테두리부(142, 144)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제1배선통로(236)는 이하에서 설명할 배선커버(250)의 제2배선통로(252)와 연결된다. 제1배선통로(236)는 힌지부재(210) 체결부와 도어 체결부(234) 사이에 형성된다.
힌지브라켓(230)은 제1배선통로(236)에서 힌지브라켓(230)의 측면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보조홀(240)이 형성된다. 보조홀(240)은 제1배선통로(236)가 형성된 부분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홀(240)을 통해 제1배선통로(236) 내부로 배선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힌지브라켓(230)을 배선커버(250)와 체결할 수 있다.
배선커버(250)는 힌지브라켓(230)의 하측에서 배치된다. 배선커버(250)는 힌지브라켓(230)과 결합하여, 힌지브라켓(230)과 함께 회전한다. 배선커버(250)는 드로워(110)에 형성된 배선관통홀(134)을 커버한다. 배선커버(250)는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제2배선통로(252)가 형성된다.
제2배선통로(252)는 일측단부(254)가 드로워(110)의 배선관통홀(134)과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힌지브라켓(230)의 제1배선통로(236)와 연결된다. 배선커버(250)가 회전시, 제2배선통로(252)의 일측단부(254)는 드로워(110)의 배선관통홀(134)을 따라 이동한다.
배선커버(250)는 제2배선통로(252)의 일측단부와 대향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드로워(110)의 배선관통홀(134)을 커버하는 관통홀 커버(256)를 포함한다. 관통홀커버(256)는 도 13과 같이 도어(14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관통홀(134)을 커버한다. 관통홀커버(256)는 배선관통홀(134)과 유사한 원호형상을 가진다.
드로워(110) 내부에 삽입된 배선은 힌지브라켓(230)의 제1배선통로(236)와 배선커버(250)의 제2배선통로(252)를 통해 도어(140) 내부로 연결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세면대 하부장 22: 세면보올
24 : 급수밸브 28 : 팝업밸브
40 : 이너캐비닛 50 : 파티션
60 : 아우터캐비닛 68 : 외부연결통로
72: 상측커버 74 : 입력부
80 : 공조장치 82 : 하우징
84 : 흡입구 86 : 제1토출구
88 : 제2토출구 100 : 제1모듈
110 : 드로워 140 : 도어
142 : 내측 테두리부 144 : 외측 테두리부
148 : 차폐부 150 : 자외선 램프
200 : 힌지 어셈블리 210 : 회전부재
220 : 댐퍼 230 : 힌지브라켓
236 : 제1배선통로 250 : 배선커버
252 : 제2배선통로

Claims (9)

  1.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은,
    내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이 개구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드로워 일측에서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드로워의 일측에서 힌지축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힌지부재; 및
    힌지부재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고, 내부에 배선이 관통하는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이 힌지 어셈블리 내부로 연결되는 배선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브라켓에 결합되고, 드로워의 배선관통홀을 커버하는 배선커버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상기 도어 내부로 연결하는 제1배선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드로워의 배선관통홀과 상기 제1배선통로를 연결하는 제2배선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세면대 하부장.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통홀은 상기 도어가 회전하는 반경의 범위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배선관통홀을 커버하는 관통홀커버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 둘레로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 일측을 밀폐하고, 내부에 배선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드로워 내측을 살균하도록 상기 도어 내측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테두리부 내부에 배치된 배선에 연결되는 세면대 하부장.
KR1020170029733A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3A KR10224979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33A KR10224979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55A true KR20180102955A (ko) 2018-09-18
KR102249791B1 KR102249791B1 (ko) 2021-05-07

Family

ID=6371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33A KR102249791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31A (ja) * 2002-04-08 2003-10-21 Cleanup Corp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31A (ja) * 2002-04-08 2003-10-21 Cleanup Corp 除湿ユニットおよび厨房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91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8B1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23723B (zh) 浴室管理器
KR20180102962A (ko) 세면대 하부장
US10663225B2 (en) Washstand furniture
CN108567359B (zh) 洗脸台下柜
US10677526B2 (en) Washstand furniture
CN108571036B (zh) 洗脸台下柜
KR102344151B1 (ko) 세면대 하부장
KR20180102955A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2B1 (ko) 세면대 하부장
US10501918B2 (en) Washstand cabinet
KR10228464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9098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183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KR20180041380A (ko) 세면대
KR20180102959A (ko) 세면대 하부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