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909A -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 Google Patents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909A
KR20180102909A KR1020170029650A KR20170029650A KR20180102909A KR 20180102909 A KR20180102909 A KR 20180102909A KR 1020170029650 A KR1020170029650 A KR 1020170029650A KR 20170029650 A KR20170029650 A KR 20170029650A KR 20180102909 A KR20180102909 A KR 20180102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riage
elastic member
bogi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6879B1 (en
Inventor
권태준
박태덕
정도희
공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2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7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apparatus for a container, comprising: a bogie formed to have a container secur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gie so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tainer secured on one surface of the bogie,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is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and is formed to be received in the bogie. When the container is displaced from a right location and is lowered to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the container can be stably secured in the bogie.

Description

용기 이송 장치{Transfer Apparatus for Ladle}[0001]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

본 발명은 용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하강하더라도 이를 대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용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ounting the container on a carriage even if the container moves down from a proper position.

각종 산업 현장에는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크레인이 구비된다. 제철소에는 예컨대 용강이 담긴 래들을 수강 대차에 권하하거나 수강 대차로부터 권상하는 장치로서 용강 크레인이 구비된다.In various industrial sites, a crane is installed as a device f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to a desired position. Steel mills are equipped with molten steel cranes, for example, as a device for propelling ladles containing molten steel into a cadastral car or hoisting it from a cadastral cargo.

한편, 수강 대차는 래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턱을 구비하고, 래들은 한 쌍의 걸림턱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강 대차에 안착되는데, 용강 크레인에 의한 래들의 권하 시 설비 오류나 작업자의 오조작으로 래들이 수강 대차상의 기준점을 이탈하면, 래들이 걸림턱에 충돌하면서 기울어지거나 수강 대차에서 탈락하여 래들 내의 용강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olley has a pair of latching jaws for preventing the latches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adle is seated on the ladle carriag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atching jaws. When the ladle moves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on the ladle by the erroneous operation, the ladle collides with the latching jaw and tilts, or the ladle falls out of the ladle and flows out of the ladl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들에 게재되어 있다.Techniques that constitute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KRKR 10-2005-001531310-2005-0015313 AA KRKR 10-2011-011054010-2011-0110540 AA KRKR 10-2015-011122410-2015-0111224 AA

본 발명은 크레인에 결속된 용기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하강하더라도 대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는 용기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mounting the container on a truck even if the container bound to the crane moves down from the fixed position and descend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일면에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의 일면에 안착된 용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 설치되는 이탈 방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며 상기 대차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다.A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rt which is formed so that a container can be seated on one surface; And a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carriage so as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tainer placed on one side of the carriage,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tact with the container And is form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truck.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이격된 이탈 방지기들 간의 너비는 허용 오차 내에서 상기 용기의 외경에 일치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a reference point for placing the container in place, and the width betwee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may coincide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within a tolerance .

각각의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상기 대차의 일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대차의 내부로 출입하는 걸림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ngagemen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rriage so as to face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being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nd from the inside of the carriage.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re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comprises: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arriage; And an engag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engaging jaw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각각의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각각의 걸림턱은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in an up-and-down direction in an installation groove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carriage; And a retain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wherein each of the retaining jaws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에서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각각의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각각의 탄성부재 중 일 탄성부재와 타 탄성부재가 번갈아 신축하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 또는 복수의 걸림턱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 a mounting recess formed concavely on one surface of the carriage, An engag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or the plurality of engaging jaws and is mount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so that one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lastic member of each elastic member alternately expand and contract.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의 탄성부재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재; 장력이 가해지도록 각각의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 및 상기 탄성부재들 사이에서 외주면에 상기 로프를 걸어 하측으로 당기도록 상기 대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브;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부재 상면에 각각의 걸림턱이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A rope connecting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so that tension is applied; And a sheav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bogie so as to be pulled downward by hooking the ro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elastic members, and each engaging jaw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support member.

상기 시브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하였을 때의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sheave is provid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so that the latching jaw is received in the bogie, and the rope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Lt; RTI ID = 0.0 > shrinkage < / RTI >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에 가까운 어느 하나의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걸림턱의 무게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of each of the engaging jaws may be different so that any one of the engaging jaws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the correct position can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gie.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에 가까운 어느 하나의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탄성부재의 탄성계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odulus of each of the elastic members may be differently set so that any one of the engaging jaws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the correct position may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gi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크레인에 결속된 용기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하강하더라도 이를 대차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철소의 수강 대차에 적용되면, 래들이 용강 크레인에 의하여 권하되는 중에 설비 오류나 작업자의 오조작으로 수강 대차상의 기준점을 이탈하여 걸림턱에 일부 겹치도록 수강 대차에 안착되더라도 래들과 접촉하는 걸림턱이 수강 대차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래들과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래들과 접촉되어 수강 대차의 내부로 삽입된 걸림턱의 외측에서 수강 대차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다른 걸림턱이 상승하여 래들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수강 대차에 래들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tainer bound to the crane deviates from the fixed position and descends, i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bogie. For example, when the ladle is applied to a ladle of a steelworks, the ladle moves away from the reference point on the ladle by the mistake of the equipment or the erroneous operation of the operator while the ladle is being pulled by the molten steel crane, So that collision with the ladle can be preven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dle. Further, the other latching jaw housed in the inside of the ladle can be raised from the outside of the latching jaw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dle by contact with the ladle, thereby supporting the ladle side. Thus, the lugs can be stably stuck on the lading bus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기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작동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chematic views of a breakaway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operation diagrams of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al view of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purposes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 방지기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2는 이탈 방지기의 초기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이탈 방지기의 내측 걸림턱이 용기에 접촉할 때의 이탈 방지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tainer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of a breakaway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when the inner escape jaw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contacts the container.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 4는 용기가 대차상의 기준점에 정렬되도록 안착될 때의 작동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용기가 대차상의 기준점에서 각각 일측 및 타측으로 이탈하여 안착될 때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10)를 운반하는 장치로서, 대차(100) 및 이탈 방지기(200)를 포함한다.4 to 6 are operation diagrams of a container transpor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when the container is seat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reference point on the bogie, and Figs. 5 and 6 are operation diagrams when the container is seated and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int on the bogie. Referring to Figs. 1 to 6, a container transpor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100 and a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10.

용기(10)는 원통체나 육면체 또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부에 처리물 예컨대 용강이 수강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가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측에 내화물이 구축되어, 내부공간이 처리물의 고온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10)는 제철소에서 용강의 운반에 사용되는 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용기(10)는 래들 외에도 여러 산업 분야에서 각종 처리물의 운반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는 예컨대 천장 크레인(미도시)에 결속(또는, 장착)되어 대차(100)의 상측으로 운반된 후 하강하여 대차(100)에 안착될 수 있다.The container 1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hexahedron, or a polyhedron. The container 10 may have an inner space in which a processed material such as molten steel is received,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The refractory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vessel 10, so that the internal space can be protected from the high temperature of the processed material. For example, the vessel 10 may include ladders used to transport molten steel at a steelworks. Of course, the container 10 may include various containers used in the transport of various treatments in various industries besides the ladle. The container 10 may be bound (or attached) to a ceiling crane (not shown), for example, to be transpor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rriage 100, and then lowered to be seated on the carriage 100.

대차(100)는 용기(10)를 운반하는 대차로서, 예컨대 제철소에서 용강이 담긴 래들의 운반에 사용되는 수강 대차를 포함할 수 있다. 대차(100)는 일면(110)에 용기(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의 구성 및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대차(100)는 처리물이 담긴 용기(10)가 일면(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한 구성 및 방식일 수 있다. 대차(100)는 용기(10)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차체 및 차체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차체의 일측에 용기(10)가 안착 가능한 일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gie 100 may include bogies that are used to transport ladders containing molten steel, for example, at a steelworks, as bogies that carry the vessel 10. The carriage 100 can be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100 can be mounted on one surface 110,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method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bogie 100 may be a configuration and a system capable of travel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10 containing the treatment product is seated on the one surface 110. The bogie 100 may include a body formed to a size at which the container 10 is seated and a runn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vehicle body in a traveling manner. May be formed.

대차(100)는 일면(110)의 중심부에 안착된 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용기(10)의 안착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대차(100)의 일면(110)에 이탈 방지기(200)가 돌출 설치되는데, 대차(100)의 일면(110)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설치홈(111)에 이탈 방지기(200)가 설치되어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측면을 마주보며 용기(10)의 안착을 가이드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bogie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200 on one surface 110 of the bogie 100 to guide the seating of the container 10 while preventing the container 10 seated in the center of the surface 110 from being separated. A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200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111 reces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urrounding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It is possible to guide the seating of the container 10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mounted container 10 and to prevent the container 10 from coming off.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차(100)의 일면(110)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거나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고, 용기(10)와의 접촉 여부에 의해 상하 방향(h)으로 신축하며 대차(100)의 내부 예컨대 설치홈(111)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may be installed at least partly protruded or expos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tainer 10 seat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carriage 100, for example,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by being extended or re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 by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이탈 방지기(200)는 용기(10)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일면(110)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예컨대 두 개의 이탈 방지기(200)가 한 쌍을 이루어 대차(100)의 일면(1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점은 대차(100)의 일면(110)을 상하 방향(h)으로 지나는 중심축(C)에 의하여 일면(110)상에 형성되는 기준점일 수 있고, 예컨대 일면(110)의 중심점이 기준점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준점에 용기(10)의 중심(C10)이 상하 방향(h)으로 정렬되도록 용기(10)가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되면,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10)가 이탈 방지기(200)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면(110)의 중심부에 안착되는데, 이때, 용기(10)가 안착된 위치를 정위치라 한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may b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a reference point on one surface 110 for seating the container 1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in pairs. Here, the reference point may be a reference point formed on one surface 110 by a central axis C passing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h, for example, .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vessel 10 to the reference point (C 10) is when the vessel 10 so as to b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 mounted on one surface 110 of the track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container The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10 is seated is referred to as a straightener 10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side 11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한편,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이탈 방지기(200)들 간의 너비(w)는 용기(10)의 외경에 대응한다. 예컨대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이탈 방지기(200)들 간의 너비(w)는 허용 오차 내에서 용기(10)의 외경에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허용 오차의 의미는 이탈 방지기(200)가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되는 용기(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면서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허용된 간극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dth w betwee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reference point interposed therebetween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For example, the width w betwee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spaced from each other with the reference point interposed therebetween may coincide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within a tolerance. The tolerance means that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while satisfying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ontainer 10 which is seat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 Quot; means a gap that is allow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that has been removed.

즉,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측면으로부터 허용 오차 내에서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That is,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which is seated o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with a predetermined clearance within a tolerance.

각각의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대차(100)의 일면(110)에 돌출 설치되어 상하 방향(h)으로 탄성 지지되며 대차(100)의 내부로 출입하는 걸림턱(25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턱(250)은 블록 형상일 수 있고, 예컨대 대차(100)의 일면(110)에 안착된 용기(10)가 반경 방향(r)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is installed o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so as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plac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And a latching jaw 250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of the carriage 100. At this time, the latching jaw 250 may have a block shape, and may have a size enough to prevent the container 10, which is seated o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from separ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r .

걸림턱(250)은 용기(10)가 정위치에 안착되면 용기(10)의 측면을 마주하면서 용기(10)가 반경 방향(r)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250)은 용기(10)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여 안착되면 용기(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용기(10)의 하중(W10)에 의해 탄성부재(210)를 상하 방향(h)으로 압축시키면서 설치홈(11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용기(10)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걸림턱(250)에 겹치도록 안착되더라도 용기(10)에 겹치는 걸림턱(250)이 대차(100)의 내부로 수납되면서 용기(10)가 대차(100)의 일면(110)상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어, 용기(10)의 기울어짐이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The catching jaw 250 can prevent the container 10 from devi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r whil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when the container 10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When the container 10 is seated and detached from the proper position, the latching jaw 2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elastic member 21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load W 10 of the container 10 h), as shown in Fig. That is, even if the container 10 is seat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latching jaw 250, the latching jaw 250 which overlaps the container 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rriage 100, 100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container 10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or coming off.

각각의 이탈 방지기(200)는 걸림턱(250)을 상하 방향(h)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원통형이나 통형 및 테이퍼형 등 각종 형상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걸림턱(25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대차(100)의 설치홈(111)에 상하 방향(h)으로 설치될 수 있고, 걸림턱(250)은 대차(100)의 일면(1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부재(21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Each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2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atching jaw 250 in the vertical direction h. The elastic member 210 may include a coil spring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cylindrical shape, and a tapered shape. The elastic member 210 can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h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tching jaw 250, And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10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ne surface 110.

한편, 탄성부재(210)는 코일 스프링 외에도 걸림턱(250)을 탄성 지지하며 걸림턱(250)을 대차(100)의 일면(110)에서 상측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대차(100)의 설치홈(111) 내부로 수납시키는 것을 번갈아 수행하도록 상하 방향(h)으로 신축 가능한 각종 기계요소나 지지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10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ing jaw 250 in addition to the coil spring so that the stopping jaw 250 protrudes upward from the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and the mounting groove 250 of the carriage 100 111), various mechanical elements, supporting means, and the like, which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 may be included.

이탈 방지기(200)는 걸림턱(250)의 설치개수 및 탄성부재(210)의 작동방식이 다양할 수 있다. 우선, 하나의 걸림턱(250)을 가지는 이탈 방지기(200)를 아래에서 설명한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may have a variety of arrangements of the latching jaws 250 and a variety of ways of operating the elastic member 210. First,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having one latching jaw 250 will be described below.

하나의 걸림턱(250)을 가지는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설치홈(111) 내부에 상하 방향(h)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210), 탄성부재(210)의 상면에 지지되며, 대차(100)의 일면(1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having one stopping jaw 250 includes an elastic member 210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h, And may include an engagement protrusion 250 projecting upward from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탄성부재(210)는 걸림턱(250)이 용기(10)의 하중(W10)을 받는 상태에서는 걸림턱(250)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거나 대차(100)의 일면(1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변위(ΔX)만큼 수축될 수 있다.Elastic member 210 engaging shoulder 250, a container 10, a load (W 10), the receiving state, the pawls 250, the top surface is positioned on one side 110 and the same surface of the track 100 or the balance of the Can be con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X so as to be positioned at a lower level than one surface 110 of the substrate 100.

또한, 탄성부재(210)는 걸림턱(250)이 용기(1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걸림턱(250)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10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250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jaw 25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 It can be restored elastically.

상술한 구조의 이탈 방지기(200)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탈 방지기(200)에서 후술하는 외측 탄성부재(212), 지지부재(220), 로프(230), 시브(240), 및 외측 걸림턱(252)의 구성을 제외하고, 내측 탄성부재(211) 및 내측 걸림턱(251)으로 구성되는 구조의 이탈 방지기(200)로 예시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used 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shown in Figs. 2 and 3, for example, the outer elastic member 212, the support member 220, the rope 230, the sheave 240, And an inner side elastic member 211 and an inner side latching jaw 251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outer side latching jaw 252 and the outer side latching jaw 252. [

이하, 대차(100)의 일면(110)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용기(10)의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턱(250)을 가지면서, 각각의 걸림턱(250)이 각각의 탄성부재(210)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이탈 방지기(200)를 설명한다.Eac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250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2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ontainer 10 about the reference point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Is operated independently by the respective elastic members 210 will be described.

복수의 걸림턱(250) 및 이를 각각 지지하며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탄성부재(210)를 가지는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일면(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111)의 내부에 용기(10)의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h)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210), 각각의 탄성부재(210)의 상면에 지지되며 대차(100)의 일면(110)에서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걸림턱(2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각 걸림턱(250)과 각 탄성부재(210)는 설치홈(111)의 내부에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50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0 suppor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250 independently operates includes an installation groove 111 formed o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0 provided inside the elastic member 210 and spaced apart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ontainer 10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h; Each of the engaging protrusions 250 and the elastic members 21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The engaging protrusions 25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one surface 110, It is possible.

각각의 걸림턱(250)이 설치홈(111)의 내부에 일면(110)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용기의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때 기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걸림턱을 내측 걸림턱(251)이라 하고, 기준점에서 상대적으로 먼 걸림턱을 외측 걸림턱(252)이라 한다. 또한, 내측 걸림턱(251)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내측 탄성부재(211)라 하고, 외측 걸림턱(25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외측 탄성부재(212)라 한다.When each of the engaging jaws 25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groove 111 and spaced apart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ontainer about the reference point on one side 110, (251), and the engaging jaw relatively far from the reference point is referred to as an outer engaging jaw (252). The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engaging jaw 251 is referred to as an inner elastic member 211 and the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uter engaging jaw 252 is referred to as an outer elastic member 212. [

각각의 탄성부재(210)는 각각에 지지된 걸림턱(250)이 용기(10)에 접촉되면서 그 하중(W10)을 받는 상태에서는 걸림턱(250)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거나 대차(100)의 일면(1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각각이 독립적으로 소정의 변위(ΔX)만큼 수축될 수 있다.Each of the elastic members 210 has an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250 engaged with one surface of the carria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jaws 250 supported on the respective elastic members 210 receive the load W 10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110 or each of them can be independently con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X so as to be located at a lower level tha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또한, 각각의 탄성부재(210)는 각각에 지지된 걸림턱(250)이 용기(1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걸림턱(250)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도록 각각이 독립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Each of the elastic members 210 has an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jaw 250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jaws 250 supported on the respective elastic members 21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And each of them can be elastically restored independently so as to be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 구조에서는, 용기(10)가 정위치를 이탈하여 내측 걸림턱(251)에 겹치도록 안착되면 내측 걸림턱(251)이 대차(100)의 내부로 수납되어 용기(10)가 대차(100)의 일면(110)상에 수평하게 안착되면서 용기(10)의 기울어짐이나 탈락이 방지될 수 있고, 이때, 외측 걸림턱(252)이 용기(10)의 측면을 마주하면서 용기(10)가 반경 방향(r)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container 10 is displaced from the fixed position and is seated so as to overlap the inner engaging jaw 251, the inner engaging jaw 251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rriage 100, The container 10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or coming off while the outer jaw 252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viation in the direction r.

물론, 용기(10)가 내측 걸림턱(251)과 외측 걸림턱(252)에 모두 겹치도록 안착되면 내측 걸림턱(251)과 외측 걸림턱(252)이 함께 대차(100)의 내부로 수납되어 용기(10)가 대차(100)의 일면(110)상에 수평하게 안착되면서 용기(10)의 기울어짐이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container 10 is seated so as to overlap both the inner engaging jaw 251 and the outer engaging jaw 252, the inner engaging jaw 251 and the outer engaging jaw 252 are housed together inside the carriage 100 The container 10 is horizontally seated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to prevent the container 10 from tilting or coming off.

상술한 구조의 이탈 방지기(200)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탈 방지기(200)에서 후술하는 지지부재(220), 로프(230) 및 시브(240)의 구성을 제외하고, 내측 탄성부재(211), 외측 탄성부재(212), 내측 걸림턱(251), 및 외측 걸림턱(252)으로 구성되는 구조의 이탈 방지기(200)로 예시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have an inner elasticity (not shown),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20, the rope 230 and the sheave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shown in Figs. 2 and 3, And an escape preventing device 200 having a structure composed of a member 211, an outer elastic member 212, an inner engaging jaw 251, and an outer engaging jaw 252.

이하, 대차(100)의 일면(110)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용기(10)의 반경 방향(r)으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턱(250)을 가지면서, 각각의 걸림턱(250)을 지지하는 각각의 탄성부재(210)가 서로 종속되어 상호 연동하도록 작동하는 이탈 방지기(200)를 설명한다.Eac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250 has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2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ontainer 10 about the reference point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The elastic members 210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s 210 are mutually dependent and operate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복수의 걸림턱(250) 및 복수의 걸림턱(250)을 각각 지지하면서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탄성부재(210)를 가지는 이탈 방지기(200)는, 대차(100)의 일면(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111)의 내부에서 용기(10)의 반경 방향(r)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h)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210), 각각의 탄성부재(210)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250), 각각의 탄성부재(210) 중 일 탄성부재와 타 탄성부재가 번갈아 신축하도록, 복수의 탄성부재(210) 사이를 연결하거나 복수의 걸림턱(250)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홈(111)의 내부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0 supporting and supporting a plurality of the latching jaws 250 and the plurality of latching jaws 250 is mounted on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ontainer 10 in the concave formed installation groove 111;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ne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lastic member of the elastic members 210 alternately expand and contract, And a connection member that is mount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111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member.

여기서, 연결부재는, 각각의 탄성부재(210)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재(220), 장력이 가해지도록 각각의 지지부재(220)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230), 및 탄성부재(210)들 사이에서 외주면에 로프(230)를 걸어 하측으로 당기도록 대차(100)의 설치홈(111) 내부에 설치되는 시브(24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부재(220)의 상면에 각각의 걸림턱(250)이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22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10, a rope 230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s 220 so that tension is applied thereto, And a sheave 240 installed inside the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so as to be pulled down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20 by the rope 230. In addition, The engaging jaw 250 can be supported.

이때, 하나의 설치홈(111)을 기준으로 하여,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걸림턱 중 기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일 걸림턱을 내측 걸림턱(251)이라 하고, 기준점에서 상대적으로 먼 타 걸림턱을 외측 걸림턱(252)이라 하고, 내측 걸림턱(251)을 탄성 지지하는 일 탄성부재를 내측 탄성부재(211)라 하며, 외측 걸림턱(252)을 탄성 지지하는 타 탄성부재를 외측 탄성부재(212)라 한다. 또한, 내측 탄성부재(211)의 상면에 장착되어 내측 걸림턱(21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내측 지지부재(221)라 하고, 외측 탄성부재(212)의 상면에 장착되어 외측 걸림턱(21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외측 지지부재(222)라 한다.At this time, the one latching jaw 251,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of each of the latching jaws located inside the one installation groove 111, is referred to as an inner latching jaw 251, One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ner engaging jaw 251 is referred to as an inner elastic member 211 and the other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uter engaging jaw 252 is referred to as an outer elastic member 252. [ (212). A support member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lastic member 211 to support the inner engagement protrusions 211 is referred to as an inner support member 221 and an outer engagement member 21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elastic member 212 Is referred to as an outer support member 222. [

시브(240)는 걸림턱(250)이 대차(100)의 설치홈(111)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탄성부재(210)가 수축하였을 때의 탄성부재(210)의 상면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heave 240 is install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10 when the elastic member 210 contracts so that the latching jaw 250 is received in the mounting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

로프(230) 예컨대 와이어 로프는 로프(230)에 의하여 탄성부재(210)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로프(230)는 걸림턱(250)들 중 어느 하나가 대차(100)의 설치홈(111)의 내부로 수납되면서 다른 하나가 대차(100)의 일면(110)에서 상측으로 돌출하였을 때, 로프(230)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각각의 지지부재(2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로프(230)와 시브(240)에 의하여 탄성부재(210)들이 상호 연동되며, 또한,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ope 230, such as a wire rope, may have a length that allows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210 to be retracted by the rope 230. Alternatively, the rope 2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one of the latching jaws 250 is hous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and the other one protrudes upward from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And may have a length that allows conn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220 so that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230.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s 210 are interlocked by the rope 230 and the sheave 240, and at least one of them can remain contracted.

용기(10)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에 가까운 내측 걸림턱(251)이 대차(100)의 일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내측 걸림턱(251)의 무게(W1)와 외측 걸림턱(252)의 무게(W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거나, 또는, 내측 탄성부재(211)의 탄성계수와 외측 탄성부재(212)의 탄성계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걸림턱(252)의 무게(W2)가 내측 걸림턱(251)의 무게(W1)에 비해 무겁도록 각각의 무게가 다르게 형성되거나, 내측 탄성부재(211)의 탄성계수가 외측 탄성부재(212)의 탄성계수보다 크도록 각각의 탄성계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걸림턱(251)과 외측 걸림턱(252)은 내측 걸림턱(251)과 용기(1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서 서로 번갈아가며 대차(100)의 일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대차(100)의 설치홈(111)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The weight of the inner locking step (251) so that the inner locking step (251) closer to the reference point for mounting the container 10 in position to be protruded upwardly from the surface 110 of the balance (100) (W 1) and the weight (W 2) of the outer locking step (252)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or, a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inner elastic member 211, the elastic modulus and the outer elastic member 212 may be formed of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outer locking step 252, the weight (W 2), an inner locking step 251, the weight (W 1) to each be formed different from the weight, an inner elastic member (211) so that heavier than that of the outer The elastic modulus of elastic member 212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elastic member 212. [ Therefore, the inner engaging jaw 251 and the outer engaging jaw 252 can be alternately projected upward from the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depending on whether the inner engaging jaw 251 and the container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of the carriage 100.

이처럼 내측 탄성부재(210)의 탄성계수가 더 크거나, 외측 걸림턱(252)의 하중이 더 크기 때문에,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걸림턱(251)이 용기(1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내측 탄성부재(211)는 내측 걸림턱(251)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큼 탄성 복원된 상태이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212)는 로프(230)에 의해 하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외측 걸림턱(252)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거나 대차(100)의 일면(1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변위(ΔX)만큼 수축된 상태이다.2 and 4, since the elastic coefficient of the inner elastic member 210 is larger or the load of the outer latching jaw 252 is larger, The inner elastic member 211 is elastically restored by a length sufficient to allow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gaging jaw 251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by a predetermined height . The outer elastic member 212 is pulled downward by the rope 23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engagement jaw 252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And is contracted by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X so as to be position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one surface 110. [

반면,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탄성부재(211)는 이에 지지된 내측 걸림턱(251)이 용기(10)에 접촉되어 용기(10)의 하중(W10)을 더 받는 상태에서 내측 걸림턱(251)의 상면이 대차(100)의 일면(110)과 동일 면상에 위치하거나 대차(100)의 일면(1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변위(ΔX)만큼 수축될 수 있다.3 and 5 to 6, the inner elastic member 2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engagement protrusion 251 supported by the inner elastic member 2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load W 10 of the container 10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tching jaw 251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or at a predetermined displacement X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tching jaw 251 is positioned at a lower level than the one surface 110 of the carriage 100 Can be contracted.

이때, 외측 탄성부재(212)는 내측 탄성부재(211)가 수축된 변위(ΔX)만큼 로프(230)에 의한 장력(이를 테면,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210)의 탄성계수에 이의 변위(ΔX)를 곱한 것에 해당하는 힘)이 제거 또는 해소됨에 따라 상측으로 신전 또는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걸림턱(252)이 대차(100)의 일면(1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elastic member 212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caused by the rope 230 (for example,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modulus of one of the elastic members 210 by ΔX ) Is removed or eliminated, it can be stretched upward or elastically restored to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outer stopping jaw 252 can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복수개의 이탈 방지기(200) 각각은 용기(10)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대칭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1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걸림턱(250)은 상면의 일측에 경사면(260)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60) 예컨대 챔퍼면은 예컨대 걸림턱(250)의 상면의 모서리들 중에 기준점에 가까운 모서리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60)는 용기(10)가 걸림턱(250)에 접촉할 때 경사면의 걸림턱(250)이 용기(10)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그 모서리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latching jaw 2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loped surface 26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chamfered surface 260, for example, the chamfered surfac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edge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among the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jaw 250, for example. The inclined surface 260 serves to prevent abutment jaws 250 of the inclined surface from contacting the container 10 in a wide area when the container 10 contacts the engaging jaw 250 and to prevent the corners from being worn.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대차(100)가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한 후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면, 용기(10)가 천장 크레인(미도시)의 후크에 결속되어 대차(100)의 상측으로 운반된다. 이후, 후크가 권하되면서 용기(10)가 하강하는데 용기(10)의 중심(C10)이 기준점에 상하 방향(h)으로 정렬되도록 하강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When the carriage 100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then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tainer 10 is bound to the hook of a ceiling crane (not shown) and transpor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rriage 100. Thereafter, the container 10 is lowered while the hook is depressed, so that the center C 10 of the container 10 can be lower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reference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h.

이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10)가 이탈 방지기(200)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면(110)의 중심부에 안착되는데, 이때, 용기(10)가 안착된 위치를 정위치라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container 10 is se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side 11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200, and the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10 is seated is referred to as a straight edge.

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10)가 하강하는데 용기(10)의 중심(C10)이 기준점에 상하 방향(h)으로 정렬되지 않고, 일측으로 소정 간격(d1) 이탈하거나 타측으로 소정 간격(d2) 이탈하여 하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5 and the like, the center (C 10) is not the reference point is not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 the predetermined distance (d1) leaving one side of the container 10 to the container 10 is lowered as shown in Figure 6 Or can be lowered away from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2.

이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걸림턱(251)에 안착되는데, 용기(10)가 안착되는 내측 걸림턱(251)이 대차(100)의 내부로 수납됨에 따라 용기(10)가 대차(100)의 일면(110)상에 수평하게 안착되면서 용기(10)의 기울어짐이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5 and 6, the container 10 is seated in any one or at least one inner catching jaw 251, and the inner catching jaw 251 on which the container 10 is seated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10 is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110 of the carriage 100 to prevent the container 10 from tilting or coming off.

또한, 이때, 대차(100)의 내부로 수납되는 내측 걸림턱(251)과 한 쌍을 이루는 외측 걸림턱(252)이 대차(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10)의 측면을 마주하면서 용기(10)가 반경 방향(r)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engaging jaw 252, which is paired with the inner engaging jaw 251 stored in the bogie 10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arriage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10 from deviating in the radial direction r.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을 보면, 비교 예의 용기 이송 장치는 대차(100)에 고정식 걸림턱(300)이 설치된 구조이고, 이 구조에서는 용기(10)의 중심(C10)이 기준점에서 어긋나도록 하강하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식 걸림턱(300)에 용기(10)가 걸리게 되어 기울어지거나 이탈하게 된다.7 is an operational view of a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ntainer transport apparatus of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rriage 100 is provided with the fixed catching jaws 300. In this structure, when the center C 10 of the container 10 descends so as to be offset from the reference point, The container 10 is caught by the fixed stopping jaw 300 and tilted or separated as shown in Fig.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10)의 중심(C10) 기준점에서 이탈하여 대차(100)에 안착하더라도 걸림턱(250)이 선택적으로 원활하게 수납되면서 용기(10)의 기울어짐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10)의 외경이 각기 다른 경우에도 이탈 방지기(200)가 각 용기(10)의 안착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iner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C 10) and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point, even if mounted on the balance 100 engaging shoulder 250 is as selective smoothly accommodated in the vessel 10 of the container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lination or dropout of the antenna. Meanwhile, the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guide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to the seating of each container 10 and prevent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00 from escaping even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0 is different.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같은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by combining or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such modifications may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nd it is possible for the technician skilled in the art to mak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대차 200: 이탈 방지기
210: 탄성부재 230: 로프
240: 시브 250: 걸림턱
100: truck 200: escape prevention device
210: elastic member 230: rope
240: Sheve 250: Jaw

Claims (10)

일면에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대차; 및
상기 대차의 일면에 안착된 용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의 일면에 적어도 일부가 돌출 설치되는 이탈 방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며 상기 대차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형성되는 용기 이송 장치.
A bogie formed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seat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nd a breaker protector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on one surface of the bogie so as to prevent the container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bogie,
Where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is formed so as to be retrac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by contact with the container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arri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이격된 이탈 방지기들 간의 너비는 허용 오차 내에서 상기 용기의 외경에 일치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a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a width between the spaced apart escape prevention devices corresponds to an outer diameter of the container within an allowable toler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이탈 방지기는 상기 용기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상기 대차의 일면에 돌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대차의 내부로 출입하는 걸림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escape prevention devices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engaging jaw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so as to face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nd from the inside of the carri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k-
An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bogi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n engag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engaging jaw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각각의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각각의 걸림턱은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k-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 the mounting recesses formed in the one surface of the carriage; And
And a retain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And each of the engaging jaws protrudes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대차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에서 용기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각각의 탄성부재의 상면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각각의 탄성부재 중 일 탄성부재와 타 탄성부재가 번갈아 신축하도록 상기 복수의 탄성부재 또는 복수의 걸림턱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k-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installed vertically in the installation groove formed concavely on one surface of the bogie;
An engaging jaw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And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or the plurality of engaging jaws and is mounted inside the mounting groove so that one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lastic member of each elastic member alternately expand and contrac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의 탄성부재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재;
장력이 가해지도록 각각의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 및
상기 탄성부재들 사이에서 외주면에 상기 로프를 걸어 하측으로 당기도록 상기 대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브;를 포함하고,
각각의 지지부재 상면에 각각의 걸림턱이 지지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support membe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each elastic member;
A rope connecting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 members so that tension is applied; And
And a sheave installed inside the bogie so as to be pulled downward by hooking the ro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elastic members,
And eac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upport membe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브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하였을 때의 상기 탄성부재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heave is provid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elastic member is retracted so that the latching jaw is housed in the carriage,
Wherein the rope has a length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can be retracted by the rop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에 가까운 어느 하나의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걸림턱의 무게가 다르게 형성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eight of each of the engaging jaws is different so that any one of the engaging jaws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the correct position can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of the bogi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정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기준점에 가까운 어느 하나의 걸림턱이 상기 대차의 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각각의 탄성부재의 탄성계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용기 이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modulus of each of the elastic members is different so that any one of the engaging jaws close to the reference point for seating the container in the correct position can protrude upward from one surface of the carriage.
KR1020170029650A 2017-03-08 2017-03-08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KR102326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50A KR102326879B1 (en) 2017-03-08 2017-03-08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650A KR102326879B1 (en) 2017-03-08 2017-03-08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09A true KR20180102909A (en) 2018-09-18
KR102326879B1 KR102326879B1 (en) 2021-11-17

Family

ID=6371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650A KR102326879B1 (en) 2017-03-08 2017-03-08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7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68U (en)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Apparatus for removing the adhered base metal of metal-car
KR20020093435A (en)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포스코 Car for transfering ladle
KR20040010881A (en) * 2002-07-25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KR20050015313A (en)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Ladle-support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lug receiver
KR20100072583A (en)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우진 Auto-coupler between cart and ladle for the converter process
KR20110110540A (en) 2010-04-01 2011-10-07 티제이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Karaok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mo ser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150111224A (en)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포스코 Refining facilities and refining method
KR20160054971A (en)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포스코 Setting device for molten lad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68U (en)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Apparatus for removing the adhered base metal of metal-car
KR20020093435A (en) * 2001-06-08 2002-12-16 주식회사 포스코 Car for transfering ladle
KR20040010881A (en) * 2002-07-25 2004-02-05 주식회사 포스코 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KR20050015313A (en) 2003-08-05 2005-02-21 주식회사 포스코 Ladle-support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lug receiver
KR20100072583A (en) * 2008-12-22 2010-07-01 주식회사 우진 Auto-coupler between cart and ladle for the converter process
KR20110110540A (en) 2010-04-01 2011-10-07 티제이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Karaok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mo ser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150111224A (en) 2014-03-25 2015-10-05 주식회사 포스코 Refining facilities and refining method
KR20160054971A (en)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포스코 Setting device for molten l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879B1 (en)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1565B2 (en) Crane power supply system
JPWO2017029871A1 (en) Transport system
US11338687B2 (en) Charging station for a container transport vehicle, container transport vehicle, and system comprising same
KR10141187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crane
US201701448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fting and manipulating a load
EP20530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load-containing units from and onto railway trucks
CN105836599A (en) Space-adjustable equalizing beam
CN102459057A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hinged lid on a metallurgical transport vessel
KR20180102909A (en) Transfer Apparatus for Ladle
US9957139B2 (en) Overload brake for trolley
JP2008265984A (en) Crane control systems device
KR20150078062A (en) Transfer car for laddle
KR102359240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JP2017214176A (en) Container-handling cran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tainer-handling crane device
KR101243130B1 (en) Tilting ring for preventing separation
EP3080031B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KR20060076671A (en) Steel scrap charge chute
KR102121924B1 (en) Brake apparatus of over head crane
CN117775036A (en) Transport vehicle for transporting steel ladle and iron ladle
JP7404299B2 (en) How to transport fixed equipment and cranes
KR101260061B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transfer track
CN218368055U (en) Logistics transport vehicle
KR102307680B1 (en) Locking Apparatus
KR102115891B1 (en) Vessel apparatus and seating method thereof
FR3059654B1 (en) STOP AND DOCK INCLUDING A GUIDE-STOP WITH ACTIVATION PATH AND LOCKING, AND METHOD FOR LOADING / UNLOADING A VEHICLE AT THE D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