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40B1 -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40B1
KR102359240B1 KR1020200068478A KR20200068478A KR102359240B1 KR 102359240 B1 KR102359240 B1 KR 102359240B1 KR 1020200068478 A KR1020200068478 A KR 1020200068478A KR 20200068478 A KR20200068478 A KR 20200068478A KR 102359240 B1 KR102359240 B1 KR 10235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cover part
wi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1535A (en
Inventor
박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6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40B1/en
Publication of KR2021015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6/00Controlling, supervising, not restricted to casting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e.g. for safety reasons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기에 의해 용융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상기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전달부; 상기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달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capable of transporting a melt by a transporter, the container having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nd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elt; a delivery unit coupled to the carrier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container;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t least a part of the cover part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part; will be.

Description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본 발명은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of an attachment attached to a container.

일반적으로, 제강조업은 용선 예비처리, 전로 정련, 2차 정련 및 연속주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에 전로 정련 공정은 전로에 용선을 공급하고 산소를 취입하여 용선 내 탄소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전로 정련 공정을 할 때 전로에는 고철이 장입되고, 이후 용선이 공급된다. 제선공정을 거쳐 나온 용선은 래들에 수용된 상태로 천장 크레인에 의해 권상되어 전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전로의 상부에 위치한 래들은 천장 크레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보조 크레인의 동작에 의해 래들이 기울어지면서(즉, 경동되면서) 수용된 용선을 전로로 장입시키게 된다.In general, the steelmaking industry consists of molten iron pretreatment, converter refining, secondary refining and continuous casting processes, among which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is a process of supplying molten iron to a converter and blowing oxygen to remove carbon in the molten iron. During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scrap iron is charged into the converter, and then molten iron is supplied. The molten iron coming out through the ironmaking process is hoisted by the overhead cran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ladle and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verter. The ladl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rter is supported by the overhead crane and the ladle is tilted (ie, tilted) by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crane to load the accommodated molten iron into the converter.

한편, 래들로 용융물을 수용하면서, 용융물이 비산되며 래들의 외부에 점착될 수 있다. 점착된 용융물은 래들에 고착되며 부착물로 잔류하게 된다. 이후, 천장 크레인으로 래들을 공중에 띄워 운반할 때, 래들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On the other hand, while receiving the melt in the ladle, the melt may be scattered and adhered to the outside of the ladle. The adhered melt will stick to the ladle and remain as a deposit. Afterwards, when transporting the ladle in the air with an overhead cran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ladle fell.

래들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할 경우, 낙하하는 부착물에 작업자가 부딪히며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또한, 래들이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한 구조물들과 낙하하는 부착물이 충돌하며, 구조물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천장 크레인으로 용융물을 수용한 래들을 운반시킬 때, 낙하하는 부착물을 막아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When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ladle falls, the operator collides with the falling attachment, resulting in a safety accident. In addition, structures located in the path of the ladle and falling attachments collid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s was lowered. Therefore, when transporting the ladle containing the melt with the overhead cran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alling attachment.

JP 1993-078365 UJP 1993-078365 U

본 발명은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of an attachment attached to a container.

본 발명은 부착물의 낙하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worker's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an attachment from falling.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장치는 운반기에 의해 용융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 상기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전달부; 상기 용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달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a melt by a transporter, comprising: a container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and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elt; a delivery unit coupled to the carrier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container; and a cover part installed in the contain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can be covere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part.

상기 커버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The cover par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벽체에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상기 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다.The container has a storage space that is recessed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in the wall of the container, and the delivery unit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so that at least a part of it is movable up and down.

상기 전달부는, 상기 운반기와 결합 가능한 걸이를 구비하고,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커버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및 내부에 상기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The delivery unit may include: a delivery member having a hook engageable with the carrier,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wir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and the cover part, respectively;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is insert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상부 영역과 결합된다.The wire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ver, and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region of the cove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disposed.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제1 결합롤을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에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롤을 구비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한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first part having a first coupling roll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forming the through hole therein; and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roll coupled to the cover part at an end thereof.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달부재가 마련되는 개수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기 전달부재가 마련되는 개수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된다.The wire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or exceeds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상기 전달부재는, 베이스,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보다 많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연결밴드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다.The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base, a shaft extending vertically and connected to the base, and a connecting b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and installed on the shaft,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larger than the base. It is connected to the base through a connecting band.

상기 복수의 커버부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더 크고, 각각의 커버부의 양측이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cover part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both sides of each cover portion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inclined,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ontainer.

상기 커버부는,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과, 하부에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egion having a groove at an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and a connecting pin coupled to the wire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y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상면에 신장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to b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은 용기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운반기로 상기 용기에 구비된 걸이를 상측으로 당기는 과정; 상기 걸이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커버부를 펼치는 과정;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의 이동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roviding a melt in a container; The process of pulling the hook provided in the container upward with a carrie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hook,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cover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moving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opened;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includes.

상기 커버부를 펼치는 과정은, 상기 운반기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용기를 향하여 당기는 과정;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리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unfolding the cover part may include: pulling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toward the container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carrier; and a process of spreading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away from the container.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부착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opened includes a process of collecting attachments falling from the container.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걸이에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는 과정 또는 당겨진 걸이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part includes a process of continuousl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hook or a process of fixing the pulled hook.

상기 용기의 이동을 완료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안착시켜 상기 걸이의 당김을 해제하는 과정; 및 안착된 상기 용기에서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pull of the hook by seating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the melt from the seated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커버부를 배치하여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낙하하는 부착물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an attachment attached to the container from falling by disposing the cover part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colliding with the falling attachment.

또한, 부착물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므로, 운반장치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구조물들에 부착물이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구조물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suppresses or prevents the attachment from fall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attachment from collided with the structures arrang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 및 운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커버부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position of a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position of a cover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선 또는 제강공정에 사용되는 처리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용기는 내부에 용선 또는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고, 운반기는 래들을 운반할 수 있는 천장 크레인일 수 있다. 하지만, 용기 및 운반기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걸이는 래들에 구비되는 주권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걸이의 적용 범위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treatment facility used in a steelmaking process or a steelmaking process in a steel mill. That is, the container may be a ladle capable of accommodating molten iron or molten steel therein, and the carrier may be an overhead cran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ladle. However,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arri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applied. In addition, the hanger may include a sovereign hanger provided in the ladle. However,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hook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 및 운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운반기(10)를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first, a carrier 10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운반기(10)는 운반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운반기(10)에 의해 운반장치(1000)가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운반기(1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기(10)는 천장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통상적인 기중기일 수 있다. 또한, 운반기(10)는 주권후크(11) 및 보권후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transporter 10 may move the transport device 1000 in the transport direction. Here, the transpor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transport device 1000 moves by the transport device 10 . The carrier 1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workshop. For example, the carrier 10 may include an overhead crane, which may be a conventional crane appli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carrier 10 may be provided with a main winding hook 11 and a winding hook (not shown).

주권후크(11)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반장치(1000)에 구비되는 걸이(1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권후크(11)는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주권후크(11)는 걸이(1220)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장치(100)를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운반기(10)는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main winding hook 11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may be coupled to a hook 1220 provided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 For example, the main winding hook 11 may be provided as a pair. The main winding hook 1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hanger 1220 to raise or lower the conveying device 100 . In addition, the transporter 10 may mov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move the transport device 1000 in the transport direction. Here,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direction.

보권후크(미도시)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반장치(1000)에 구비되는 보권걸이(1140)에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장치(10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보권후크가 보권걸이(1140)를 기울어지게 들어올려, 운반장치(10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 및 보권후크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bogwon hook (not show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and may be caught on the bogwon hanger 1140 provided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 The hoisting hook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ilt the conveying device 1000 . That is, the bogwon hook lifts the bogwon hanger 1140 at an inclination,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carrying device 1000 can be adjusted. Her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main winding hook 11 and the winding hook of the carrier 10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운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ver part un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1000)를 설명한다. 1 to 4, a transpor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운반장치(1000)는 운반기(10)에 의해 용융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1120)을 가지는 용기(1100), 운반기(10)와 결합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용기(1100)에 설치되는 전달부(1200) 및 용기(1100)의 둘레를 하측에서 커버할 수 있도록 전달부(12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용기(110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용기(1100)에 설치되는 커버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경방향은 상하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이송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device 100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melt by the transporter 10, the container 1100 having one side open and an accommodating space 112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elt, and the transporter 10 can be combi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1200 installed in the container 1100 to be movable a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0 by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1200 so as to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1100 from the lower side. It may include a cover unit 1300 installed on the container 1100 to be movable. Here, the radial direction may b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transfer direction.

한편, 운반장치(1000)의 수용공간으로 용융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용기(1100)의 외주면에 용융물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100)의 외주면에 부착된 용융물은 고착되며 용기(1100)에 잔류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용기(1100)의 외주면에 부착된 용융물을 부착물이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elt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the melt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Here, the molten material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is fixed and remains in the container 1100 . Hereinafter, the molten material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is referred to as an adhesion material.

용기(1100)는 제철소에서 용선이나 용강 등의 용융물을 저장하고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1100)는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00)는 용기(1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벽체(1110), 용융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벽체(1110)로 둘러싸여 형성된 수용공간(11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1100 may be used to store and transport molten iron such as molten iron or molten steel in a steel mill. The container 1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o accommodate the melt. The container 1100 may include a wall 1110 forming the body of the container 1100 and an accommodating space 1120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wall 1110 to accommodate the melt.

또한, 용기(1100)는 수용공간(1120)과 분리되고, 용기(1100)의 벽체(1110)에서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1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용기(1100)는 수용공간(1120)과 연통되지 않는 독립된 공간인 수납공간(113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1100)는 벽체(1110)를 기준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120)이 마련되고, 벽체(1110)의 외측면에 내부, 즉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소정 부피로 함몰된 수납공간(1130)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100 may include a storage space 1130 that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120 and is recessed from the wall 1110 of the container 1100 toward the accommodation space 1120 . That is, the container 1100 may include a storage space 1130 that is an independent space tha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120 .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110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1120 inside based on the wall 1110, and is recessed into a predetermined volum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1110 toward the interior, that is, the accommodating space 1120. A storage space 1130 may be provided.

수납공간(1130)은 벽체(1110)에서 상하방향 및 이송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으며, 교차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공간일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1130)에는 전달부(1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130)은 한쌍으로 마련되며, 용기(110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100)의 양측은 용기(1100)에서 이송방향에 수평하게 직교하고, 상하방향에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130 may extend from the wall 1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ransport direction to have an area, and may be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1200 may be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For example, the storage space 1130 is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0 , respectively. Here,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portions located in a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section direction) that is horizontally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in the container 1100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벽체(1110)에서 수납공간(1130)을 형성하는 면에는 함몰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벽체(1110)에서 수납공간(1130)을 형성하는 면들 중 이송방향에 배치된 면들에 함몰되며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슬릿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슬릿은 후술하는 전달부재(1210)의 가이드리브(미도시)와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즉, 가이드슬릿은 전달부재(1210)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리브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수납공간(1130)에 배치된 전달부재(1210)가 반경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수납공간(113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a guide slit (not shown) that is depressed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wall 1110 forming the storage space 1130 . That is, a guide slit that is depressed in the surfaces arrang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among the surfaces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in the wall 1110 and extends vertically may be provided. The guide slit may be fitted with a guide rib (not show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guide slit may be fitted and fastened to the guide rib protruding from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3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1130 without being sepa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용기(1100)는 외주면에 결합핀(111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핀(1111)은 용기(1100)의 외주면 중 수납공간(1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외주면에서 용기(1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1111)은 이송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홀이 구비될 있다. 결합핀(1111)에는 후술하는 커버부(1300)의 지지부재(1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핀(1111)의 홀에 후술하는 지지부재(1240)의 제1 결합롤(1241a)이 삽입되며, 결합핀(1111)에 지지부재(12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10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in 111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upling pin 1111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space 1130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100. The coupling pin 1111 may be provided with a hole penetrating the insid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 support member 1240 of the cover part 1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 That is, the first coupling roll 1241a of the support member 12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coupling pin 1111 , and the support member 12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

또한, 용기(1100)는 상술한 운반기(10)의 보권후크에 결합되는 보권걸이(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권걸이는 용기(1100), 예컨데 래들에 구비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100 may include a bogwon hanger 1140 coupled to the bogwon hook of the carrier 10 described above. Here, since the bogwon hanger is a general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1100, for example, a ladl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달부(1200)는 수납공간(1130)에 배치되는 전달부재(1210), 운반기(10)와 결합 가능한 걸이(1220), 전달부재(1210)와 커버부(1300)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1230) 및 지지부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1200)는 전달부재(1210)와 수납공간(1130)을 형성하는 벽체(1110)의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1260)와 탄성부재(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00 includes a transfer member 121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a hook 1220 that can be coupled to the carrier 10 , a wire 1230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1210 and the cover unit 1300 , respectively. ) and a support member 1240 .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12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1260 and an elastic member 1250 provided between the transfer member 1210 and the wall 1110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

전달부재(1210)는 수납공간(113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달부재(1210)는 상하방향 길이가 수납공간(113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전달부재(1210)가 수납공간(113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전달부재(1210)는 한쌍으로 마련되는 수납공간(1130)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210)는 용기(1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100)의 양측은 용기(1100)에서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The vertical length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shor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receiving space 1130 .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Meanwhile,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provided as a pair to correspond to the storage space 1130 provided as a pair.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ontainer 1100, one each. Here,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portions located in a direction horizontally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in the container 1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section direction).

또한, 전달부재(1210)는 이송방향에 위치한 측면들에 가이드리브(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는 벽체(1110)를 향하여 돌출되고, 전달부재(1210)에서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후술하는 복수의 롤러(1260)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 내측은 용기(11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수용공간(1120)을 향하는 방향이 내측일 수 있고, 그 반대가 외측일 수 있다. 전달부재(1210)의 가이드리브는 벽체(1110)의 가이드슬릿에 끼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전달부재(1210)가 반경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슬릿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provided with guide ribs (not shown) on the side surfaces loca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guide ribs protrude toward the wall 11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at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rollers 1260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crossing direction are provided. In the following, the direction toward the receiving space 1120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the inside, and vice versa may be the outside. The guide rib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fitted and fastened to the guide slit of the wall 1110 . Accordingly, while preventing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it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slit.

또한, 전달부재(1210)는 일부가 수납공간(1130)에 배치되며, 일부가 수납공간(11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210)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부분이 수납공간(1130)에 배치되고, 외측 부분이 수납공간(1130)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수납공간(1130)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부분은 돌출부분이라 한다. 또한, 전달부재(1210)는 와이어(1230)가 결합되는 제1 링크(1211)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 and a portion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have an inner portion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30 and an out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space 1130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Hereinafter,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space 1130 is referred to as a protruding portion.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include a first link 1211 to which the wire 1230 is coupled.

제1 링크(1211)는 전달부재(1210)의 돌출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며, 와이어(12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1211)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230)가 제1 링크(1211) 묶여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link 1211 is installed under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and may be coupled to the wire 1230 . For example, the first link 1211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ccordingly, the wire 1230 may be tied and fixed to the first link 1211 .

탄성부재(1250)는 수납공간(1130)에 배치되고, 전달부재(1210)의 상면과 수납공간(1130)을 형성하는 벽체(11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50)는 일단이 전달부재(1210)의 내측부분의 상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벽체(11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1110)의 일면은 수납공간(1130)을 형성하는 면들 중 전달부재(1210)의 내측부분의 상면과 마주보는 면이 일면일 수 있다. 탄성부재(12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전달부재(121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탄성부재(1250)가 수축되며 전달부재(1210)가 벽체(1110)의 일면과 충돌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5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mitting member 1210 and the wall 1110 forming the receiving space 1130 .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25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wall 1110 . Here, one surface of the wall 1110 may be one surface that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among the surfaces forming the receiving space 1130 . The elastic member 125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Accordingly, whe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oves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astic member 1250 is contracted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collides with one surface of the wall 1110 to prevent abrasion.

복수의 롤러(126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260)는 전달부재(1210)에서 이송방향에 위치한 면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전달부재(12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복수의 롤러(1260)가 회전하며 전달부재(1210)와 벽체(11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전달부재(1210)를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러(1260)는 전달부재(1210)에서 이송방향에 위치한 면들에 각각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surfaces loca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fer member 1210 . Accordingly, whe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rotates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and the wall 1110 , and to smoothly move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It can be moved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may be rotatably inserted and installed on surfaces position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와이어(1230)는 일단이 전달부재(121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커버부(1300)의 하부(예컨데,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230)는 일단이 제1 링크(1211)에 결합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커버부(1300)의 연결핀(1313)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230)는 전달부재(1210)가 마련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와이어(1230)는 한쌍의 전달부재(1210)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ire 123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eg, lower end) of the cover unit 1300 . More specifically, the wire 1230 may have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link 1211 ,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connection pin 1313 of the cover unit 130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wire 123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ransmission members 1210 are provided. That is, the wire 1230 may be provid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transmission members 1210 .

걸이(1220)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며, 전달부재(1210)의 돌출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이(1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들에 설치되는 주권걸이일 수 있으며,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이는 래들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hanger 1220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installed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Here, the hanger 1220 may be a main winding hook installed on the ladle,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main winding hook 11 of the carrier 1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ok is a general configuration installed in the ladl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와이어(1230)의 타단은 커버부(1300)와 연결되는 부분에 샤클링(1231)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다른 대상체를 결합할 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와 대상체를 연결하면 연결되는 부분의 결합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장력을 발생시킬 경우 결합 강도가 장력을 발생시키기 전과 비교하여 약 50% 정도 결합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230)와 커버부(1300)가 연결되는 부분에 샤클링(1231)을 사용하므로, 와이어(1230)에 장력이 발생되어도 결합 부분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1230)는 예를 들면 고온에 강하고 중량물을 견인할 수 있는 철제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Also, the other end of the wire 1230 may include a shackling 1231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ver unit 1300 . In general, when combining a wire and another object, if an operator manually connects the wire and the objec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connected portion may be relatively weak. In addition, when tension is generated on the wire in a bonded state, the bonding strength may be weakened by about 50% compared to before the tension is generated. Accordingly, since the shackling 1231 is used at the portion where the wire 1230 and the cover unit 1300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weakening of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even 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wire 1230 . Here, as the wire 1230, for example, an iron wire that is strong in high temperature and can pull a heavy object may be used.

지지부재(1240)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용기(1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커버부(1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240)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핀(1111)에 체결될 수 있고,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후술하는 커버부(1300)의 홀(1312)에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2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1100 ,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 That is,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2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 hole 1312 of the cover part 1300 to be described later.

지지부재(1240)는 결합핀(1111)에 결합되는 제1 파트(1241) 및 제1 파트(1241)에서 연장되고 커버부(1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파트(12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부재(1240)의 제1 파트 및 제2 파트(1242)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40)가 반경방향 중 하나인 교차방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지지부재(1240)는 결합핀(1111)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므로 그 배치 방향은 바뀔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240 may include a first part 1241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and a second part 1242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1241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part 1300 . can In the following,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1242 of the support member 1240,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member 1240 is horizontally aligned in one of the radial directions in the cross direction. It is assumed that the arrangement is described. However, since the support member 12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and can rotate,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reof can be changed.

제1 파트(1241)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의 제1 결합롤(1241a)과, 제1 결합롤(1241a)에서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제1 지지몸체(12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결합롤(1241a)이 결합핀(1111)의 홀에 삽입되며, 제1 파트(1241)가 결합핀(1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part 1241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roll 1241a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first support body 1241b extending in a cross direction from the first coupling roll 1241a. 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roll 1241a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coupling pin 1111 , and the first part 124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in 1111 .

또한, 제1 지지몸체(1241b)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구(1241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230)가 관통구(1241c)를 삽입 관통하며, 와이어(1230)의 일부가 관통구(1241c)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1230)의 일단이 전달부재(1210)에 결합되고, 와이어(123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가 관통구(1241c)에 배치되고, 와이어(1230)의 타단이 커버부(1300)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ody 1241b may include a through hole 1241c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wire 123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41c, and a portion of the wire 1230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241c. That is, one end of the wire 1230 is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a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123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241c,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1230 is the cover part 1300 . ) can be combined with

제2 파트(1242)는 제1 파트(1241)에서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몸체(1242a)와 제2 지지몸체(1242a)의 단부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롤(1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롤(1242b)이 후술하는 커버부(1300)의 홀(1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230)가 커버부(1300)의 하부를 상측으로 당길 경우, 지지부재(1240)의 제1 파트(1241)가 결합핀(111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파트(1242)와 커버부(1300)가 서로 상대 회전하며 커버부(1300)의 상부를 반경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커버부(1300)의 상부를 도 3에 도시된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와 멀어지도록 이동시켜 도 4에 도시된 모습처럼 배치시킬 수 있다. 커버부(1300)의 초기 위치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second part 1242 is a second coupling roll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second support body 1242a and the second support body 1242a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from the first part 1241 . (1242b). Accordingly, the second coupling roll 1242b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hole 1312 of the cover part 13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the wire 1230 pulls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art 1300 upward, the first part 1241 of the support member 1240 may rotate with the coupling pin 1111 as the rotation center. At this time, the second part 1242 and the cover part 1300 may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nd push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n a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moved away from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3 to be disposed as shown in FIG. 4 . The description of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ver part 130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0)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부재(1240)는 와이어(1230)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230)가 지지부재(1240)의 관통구(1241c)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240)가 와이어(123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전달부재(1210)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와이어(1230)를 당길 경우, 지지부재(1240)가 결합핀(111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하며 커버부(1300)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1300 is not unfolded, the support member 1240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30 is disposed. Accordingly, the wire 1230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241c of the support member 1240 .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124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ire 1230, whe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oves upward and pulls the wire 1230, the support member 1240 rotates the coupling pin 1111 to the center of rotation. It rotates smoothly and can move the cover part 1300 in the radial direction.

만일, 지지부재(1240)가 와이어(1230)와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전달부재(1210)가 상승 이동하며 와이어(1230)를 상측으로 당길 경우, 와이어(1230)가 당기는 힘의 방향과 지지부재(1240)가 배치된 방향이 서로 평행하므로, 지지부재(1240)가 결합핀(1111)을 회전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1240)를 와이어(1230)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켜 지지부재(1240)가 결합핀(1111)을 회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며 커버부(1300)를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f the support member 124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wire 1230, whe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oves upward and pulls the wire 1230 upward, the direction of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1230 and the support member Since the directions 1240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support member 1240 may not be able to smoothly rotate the coupling pin 1111 around the rotation center. Accordingly, by disposing the support member 1240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30 is disposed, the support member 1240 smoothly rotates the coupling pin 1111 around the rotation center and the cover part 1300 is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can do i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1300)는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용기(1100)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할 경우, 부착물이 운반장치(1000)의 하측으로 낙하되지 못하도록 낙하하는 부착물을 막아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1100)에서 떨어져 낙하하는 부착물이 커버부(1300)의 외부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부착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300)는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용기(1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는 전달부(120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용기(1100)의 반경방향으로 펼쳐지며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1 to 4 , the cover part 1300 may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1100 . That is, when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container 1100 fall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ttachment from falling so that the attachment does not fall to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ment from falling off the container 110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art 1300 . To this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1100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sprea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vessel 1100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unit 1200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vessel 1100 .

한편, 커버부(13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0)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용기(1100)의 측면에서 이격 배치되며, 커버부(1300)의 상면이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경우를 초기 위치 혹은 미전개 상태라고 한다. 즉, 커버부(1300)가 전체적으로 용기(1100)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가 미전개 상태(즉, 초기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0)의 상부가 용기(1100)의 측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커버부(1300)의 하부가 용기(1100)의 측면에 접촉하며, 커버부(1300)의 상면이 반경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를 전개 상태라 한다. 즉, 용기(1100)의 하부를 둘러싸며 펼쳐진 상태가 전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2)은 미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1) 보다 길 수 있다.Meanwhile, in describing the cover unit 1300 , as shown in FIG. 3 ,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ver unit 1300 ar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300 is A case in which the arrangemen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or an undeployed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1300 is disposed close to the container 1100 as a whole may be an undeployed state (ie, an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cover unit ( A cas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1300) is horizont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deployed state. That is, the unfolded stat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the unfolded state. Here, the radius (R 2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in the deployed state is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in the undeployed state. It may be longer than the radius (R 1 ) of .

커버부(1300)는 상기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의 측면 중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30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용기(1100)의 측면에서 용기(11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커버부(1300)가 서로 연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커버부(1300)가 전달부재(121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The cover part 1300 may cover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may be covered. The cover part 13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1100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 That is,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1300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cover unit 1300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커버부(1300)는 용기(1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쌍의 커버부(130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긴 콘(cone)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커버부(1300)는 하측에서 상측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는 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커버부(1300)는 상부가 용기(1100)의 측면과 근접하게 배치되고, 하부가 용기(1100)의 측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130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0 . For example, the pair of cover parts 1300 may be provided in a cone shape with an upper diameter longer than a lower diameter. That is, the pair of cover parts 1300 may be provided in a cone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Here, the pair of cover parts 1300 may have an upper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nd a lower portion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전개 상태일 때, 복수의 커버부(1300) 중 일 커버부의 양측과 타 커버부의 양측은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커버부(1300)는 양측 사이의 틈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커버부(1300)에서 상부의 양측 사이의 틈이 하부의 양측 사이의 틈보다 짧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in the undeployed state, a gap may be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one cover part and both sides of the other cover part among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1300 . That is,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130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both sides gradually widens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is case, in the plurality of cover units 1300 , a gap betwee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may be shorter than a gap betwee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또한, 각각의 커버부(1300)의 둘레방향 길이는 한쌍의 커버부(1300)의 둘레방향 길이에 대하여 1/2의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커버부(1300)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360° 연장되는 한쌍의 커버부(1300)에 대하여 각각 180°만큼 나뉜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each cover part 1300 may have a length of 1/2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pair of cover parts 1300 . That is, each of the cover parts 1300 may have a shape divided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a pair of cover parts 1300 extending 360 degrees along the centr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커버부(1300)는 상부의 반경이 용기(1100)의 반경보다 크고, 하부의 반경이 용기(1100)의 반경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커버부(13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가 전개 상태가 되었을 경우, 커버부(1300)의 상부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는 링모양의 소정의 면적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1300)의 하부와 용기(1100)의 측면은 사이에 틈이 없이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radius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lower radius may be the same as the radius of the container 1100 . That is, the cover part 13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ccordingly, when the cover part 1300 is in the deployed state, a predetermined ring-shaped area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out a gap therebetween.

또한, 커버부(1300)는 하부가 와이어(1230)에 결합되고 상부가 지지부재(1240)에 결합되는 제1 영역(1310) 및 제1 영역(1310)의 양측에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는 제2 영역(13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1300 extends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t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1310 and the first region 1310, the lower part of which is coupled to the wire 1230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240 . A second region 1320 may be inclu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310)은 커버부(1300)에서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영역(1310)은 용기(1100)의 측면 중 하부에 배치되며,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면적을 갖을 수 있다. 제1 영역(1310)은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된 홈(13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310)에서 홈(1311)을 형성하는 면들 중 이송방향에 위치한 면들에는 각각 홀(1312)이 형성될 수 있다. 홈(1311)에는 제2 결합롤(1242b)의 일부가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홀(1312)에는 제2 결합롤(1242b)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first region 1310 may be a portion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cover unit 13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region 131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110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region 13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1311 recessed downwardly on the upper surface. Also, in the first region 1310 , holes 1312 may be formed on surfac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mong surfaces forming the groove 1311 . A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roll 1242b is disposed in the groove 1311 , and the second coupling roll 1242b may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ole 1312 as described above.

또한, 제1 영역(1310)은 하부에 연결핀(131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1310)에서 용기(1100)를 향하는 면의 하부에 연결핀(1313)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핀(1313)은 제1 링크(1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핀(1313)에는 와이어(1230)의 샤클링(1231)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는 지지부재(1240)에 의해 용기(1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와이어(1230)의 당기는 힘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 즉, 커버부(1300)의 하부는 와이어(1230)에 의해 당겨지며 용기(1100)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커버부(1300)의 상부는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의 측면과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gion 1310 may include a connection pin 1313 at a lower portion thereof. That is, the connection pin 1313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rface facing the container 1100 in the first region 1310 . The connection pin 1313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link 1211 . The shackling 1231 of the wire 1230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n 1313 . Accordingly, the cover part 1300 may be unfolded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123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container 1100 by the support member 1240 .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pulled by the wire 123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and It can spread farther away.

제2 영역(1320)은 제1 영역(1310)의 양측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제2 영역(1320)은 제1 영역(1310)에서 용기(1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1320)은 소정의 면적을 갖을 수 있으며, 제1 영역(1310)이 갖는 소정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면적을 갖을 수 있다. 이에, 제2 영역(1320)은 용기(1100)의 측면 중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용기(1100)에서 낙하하는 부착물이 용기(1100)의 하측으로 낙하되지 못하도록 부착물을 막아줄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1320 may be a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1310 . That is, the second region 1320 may be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13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100 . Here, the second region 1320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region 1310 . Accordingly, the second region 1320 may have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region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1100 . Therefore, when the cover part 1300 is disposed as shown in FIG. 4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ttachment from falling from the container 1100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1100 .

한편, 제1 영역(1310)과 제2 영역(1320)의 하면은 용기(1100)의 수용공간(1120)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의 하면과 용기(1100)의 측면이 면접촉하며, 커버부(1300)의 하부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region 1310 and the second region 1320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ceiving space 1120 of the container 1100 .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are in surface contac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from occurring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상기에 설명한 운반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커버부가 이동하며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while the cover part moves i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운반장치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따른 커버부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nitial position of the cover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cover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to 8,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전달부재(1210)는 베이스(1212), 베이스(12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샤프트(1213) 및 샤프트(1213)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밴드(1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include a base 1212 , a shaft 1213 installed under the base 1212 , and a connection band 1214 installed under the shaft 1213 .

베이스(1212)는 수납공간(113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1212)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수납공간(113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수납공간(1130)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212)는 교차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212)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의 베이스(1212)는 용기(1100)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쌍의 수납공간(113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12)는 일부가 수납공간(1130)에 배치되며, 일부가 수납공간(11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base 1212 may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storage space 1130 . That is, the length of the base 1212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1130 , and can move in the storage space 1130 . For example, the base 1212 may be provided as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The base 1212 is provided as a pair, and the pair of bases 1212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a pair of storage spaces 1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0 . In addition, a part of the base 1212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30 , and a part of the base 121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30 .

샤프트(12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베이스(1212)에서 수납공간(1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1213)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한쌍의 베이스(121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샤프트(1213)는 용기(1100)와 간섭하지 않으면서, 베이스(1212)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2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The shaft 121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1212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30 . Here, the shaft 1213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bases 1212 . Accordingly, the shaft 1213 may move vertically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se 1212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container 1100 . For example, the shaft 1213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연결밴드(1214)는 용기(1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샤프트(121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밴드(1214)는 용기(1100)의 측면에서 지지부재(12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밴드(1214)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연결밴드(1214)의 내경은 용기(110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연결밴드(1214)는 베이스(1212)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샤프트(1213)에 고정된 상태로 베이스(121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nd 1214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1100 and may be installed under the shaft 1213 . That is, the connection band 121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240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 For example, the connecting band 1214 may have a ring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band 1214 may be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tainer 1100 . Accordingly, the connection band 1214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ase 1212 while being fixed to the shaft 1213 in associa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se 1212 .

또한, 연결밴드(1214)는 와이어(12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2 링크(121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링크(1214a)는 연결밴드(1214)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크(1214a)는 제1 링크(1211)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링크(1214a)는 후술하는 커버부(130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링크(1214a)가 4개로 마련되며,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연결밴드(1214) 및 제2 링크(1214a)를 이용하여, 운반장치(1000)에서 베이스(1212)가 없는 방향에 배치된 커버부(1300)에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and 1214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links 1214a so that the wire 1230 may be coupled thereto. The second link 1214a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band 1214 . For example, the second link 1214a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link 1211 . Here, the second link 1214a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cover part 1300 to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a case in which four second links 1214a are provided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Accordingly, by using the connection band 1214 and the second link 1214a, power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cover unit 1300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1212 is not present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

한편, 와이어(1230) 및 지지부재(1240)는 전달부재(1210)가 마련되는 개수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1230) 및 전달부재(1210)가 4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4개의 지지부재(1240) 중 2개의 지지부재(1240)는 베이스(1212)가 구비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의 지지부재(1240)는 베이스(1212)가 없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지지부재(1240)가 베이스(1212)가 없는 방향에 배치된 커버부(1300)들을 지지할 수 있고, 와이어(1230)가 베이스(1212)가 없는 방향에 배치된 커버부(1300)들을 당겨줄 수 있다.Meanwhile, the number of wires 1230 and the support member 1240 may exceed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members 1210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four wires 1230 and a transmission member 1210 are provided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Here, two support members 1240 of the four support members 124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1212 is provided, and the other two support members 124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1212 is not provided. have.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240 can support the cover parts 1300 arranged in the direction without the base 1212 , and the wire 1230 can support the cover parts 1300 arranged in the direction without the base 1212 . can pull

커버부(1300)는 베이스(1212)가 마련되는 개수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되며, 용기(1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커버부(1300)가 4개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커버부(1300)의 둘레방향 길이는 4개의 커버부(1300)의 둘레방향 길이에 대하여 1/4의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커버부(1300)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360° 연장되는 4개의 커버부(1300)에 대하여 각각 90°만큼 나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커버부(1300)가 전개 상태가 되었을 때,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낙하하는 부착물을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서 더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The cover unit 1300 is provided in a number exceeding the number provided with the base 1212 ,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1100 .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four cover parts 1300 are provided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More specifically,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each cover part 1300 may have a length of 1/4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our cover parts 1300 . That is, each of the cover parts 1300 may have a shape divid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our cover parts 1300 extending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cover units 1300 are in the deployed state, they may have a relatively large area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block the falling attachment over a relatively wide area.

또한, 복수의 커버부(1300)가 커버부(1300)를 상측으로 당김에 있어서, 와이어(123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230)의 내구성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커버부(1300)를 4개로 마련함에 따라, 커버부(1300)에 마모 혹은 파손이 발생했을 때, 각각의 커버부(1300)의 수리 혹은 교체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1300 pull the cover part 1300 upwar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wire 1230 may be relatively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wire 1230 . In addition, by providing four of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1300 , when abrasion or damage occurs in the cover part 1300 , repair or replacement of each cover part 1300 can be made more easily.

도 9(a)는 운반장치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운반기가 걸이에 결합된 도면이고, 도 9(c)는 커버부가 펼쳐진 도면이고, 도 10(a)는 커버부가 낙하하는 부착물을 막아주는 도면이고, 도 10(b)는 커버부의 부착물을 제거한 도면이고, 도 10(c)는 커버부를 접는 도면이다.Fig. 9 (a) is a view showing the standby state of the transport device, Fig. 9 (b) is a view in which the transport unit is coupled to the hook, Fig. 9 (c) is a view showing the cover part unfolded, and Fig. 10 (a) is It is a view for preventing the attachment from falling of the cover part, FIG. 10(b) is a view with the attachment from the cover part removed, and FIG. 10(c) is a view for folding the cover part.

도 3 내지 도 4 및 도 9(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는 작동이 서로 유사할 수 있으며, 작동이 동일한 부분은 함께 설명하고 작동이 상이한 부분에서는 각각의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nd FIGS. 9 (a) to 10 (c), an operation process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may be similar to each other, and parts with the sam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and parts with different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도 3 및 도 9(a)를 참조하면, 운반장치(1000)는 작업장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00)는 와이어(123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지 않은 미전개 상태일 수 있다. 커버부(1300)의 상부는 지지부재(1240)에 의해 지지되고, 커버부(1300)의 하부는 와이어(1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부(1300)의 상부 및 하부는 용기(1100) 측면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은 R1일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은 R3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9 ( a ), the conveying device 1000 may be seated in a workplace. More specifically,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 an undeployed state that is not pulled upward by the wire 1230 .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40 ,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wire 1230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t this time,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of one embodiment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R 1 and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of another embodiment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is R It can be three .

한편, 전달부재(1210)는 수납공간(1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부재(1250)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운반장치(1000)의 수용공간(1120)에는 용융물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용기(1100)에는 부착물(P)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is disposed under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 and the elastic member 1250 may be in an extended state. On the other hand, the molten materi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20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 and the attachment P may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1100 .

도 9(b)를 참조하면, 걸이(1220)에 운반기(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가 걸이(1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주권후크(11)는 용기(1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에 걸이(1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b ), the carrier 10 may be coupled to the hanger 1220 . That is, the main winding hook 11 of the carrier 10 may be coupled to the hook 1220 . Here, the main winding hook 11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hook 1220 in a pai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1100 .

운반기(10)는 운반장치(10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운반기(10)가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전달부재(1210)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211)에 묶여있는 와이어(1230)가 상측으로 당겨지며, 커버부(1300)의 상부가 지지부재(124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커버부(1300)의 하부가 와이어(123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The transporter 10 may move the transport device 1000 upward. Referring to FIG. 4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rrier 10 pulls the hook 1220 upward,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move upward together. At this time, the wire 1230 tied to the first link 1211 is pulled upward, and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40 ,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the wire. 1230 may be pulled upwards.

한편, 도 9(c)를 참조하면, 운반기(10)가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전달부재(1210)의 베이스(1212)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베이스(1212)와 함께 샤프트(1213) 및 연결밴드(1214)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연결밴드(1214)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와이어(1230)를 상측으로 당겨줄 수 있다. 즉, 용기(1100)의 상승 이동과 함께, 베이스(1212), 샤프트(1213) 및 연결밴드(1214)도 상승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9 (c), when the carrier 10 pulls the hook 1220 upward, the base 1212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can move upward, and the shaft (with the base 1212) ( 1213) and the connecting band 1214 may also move upward together. Accordingly, the connection band 1214 may move upward, and the wire 1230 may be pulled upward. That is, along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ntainer 1100 , the base 1212 , the shaft 1213 , and the connecting band 1214 may also upwardly move.

한편, 탄성부재(1250)는 수축하며 벽체(1110)과 베이스(1212)의 충돌을 방지할 있고, 복수의 롤러(1260)는 회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1212)와 벽체(11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1250 is contracted to prevent a collision between the wall 1110 and the base 1212, and 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rotate and move upward between the base 1212 and the wall 1110. friction can be reduced.

와이어(1230)가 커버부(1300)를 당겨주면, 커버부(1300)의 상부가 지지부재(12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커버부(1300)의 하부가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240)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커버부(1300)의 상부를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에서 멀어지도록 벌릴 수 있다. 또한, 와이어(1230)가 커버부(1300)의 하부를 상측으로 당겨주며, 커버부(1300)의 하부를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와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며 용기(1100)의 측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의 상부를 용기(1100)와 멀어지도록 벌리며 커버부(1300)의 상부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고, 커버부(1300)의 하부를 용기(1100)를 향하여 당기며 용기(1100)의 측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0)로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부(1300)가 전개 상태일 수 있다. When the wire 1230 pulls the cover part 1300 ,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pulled upward while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40 .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240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pread apart from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wire 1230 pulls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upward, moves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closer to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can do it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pread apart from the container 1100 to form a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It can be pulled toward the (1100)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Accordingly,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covered with the cover unit 1300 . That is,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 a deployed state.

여기서, 일 실시 예의 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2)은 초기 위치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1)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4)은 초기 위치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3)보다 길 수 있다.Here, the radius (R 2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embodiment is the cover part 1300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in the initial position. It may be longer than the radius (R 1 ) to the end, in addition, the radius (R 4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 1100 )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 1300 ) in the deploy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is the initial position. It may be longer than the radius (R 3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

도 10(a)를 참조하면, 운반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장치(10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용기(1100)에 부착된 부착물(P)이 낙하할 수 있다. 용기(1100)에서 낙하한 부착물들은 커버부(130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낙하하는 부착물(P)이 커버부(1300)와 접촉하고, 커버부(13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며 커버부(1300)의 외부로 부착물(P)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 the conveying device 1000 may be mov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transport device 1000 , the attachment P attached to the container 1100 may fall. Attachments that have fallen from the container 1100 may be seated on the cover unit 1300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ing attachment P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ver part 1300 , moving downward along the cover part 1300 , and from fall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art 1300 .

도 10(b)를 참조하면, 운반기(10)가 하강 이동하며 운반장치(1000)를 작업장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운반기(10)는 용기(1100)의 바닥면이 작업장에 안착되고, 베이스(1212)가 수납공간(1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커버부(1300)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 위치한 부착물(P)을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b ), the transporter 10 moves downward and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seated in the workplace. At this time, the carrier 10 may maintain the pulled stat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is seated in the workplace, and the base 1212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30 . Thereafter, the operator may remove the attachment P located between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도 10(c)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부착물(P)을 모두 제거하면, 운반기(10)는 베이스(1212)의 당김을 해제하고 베이스(1212)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베이스(1212)는 자중 및 탄성부재(12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며 수납공간(1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롤러(1260)가 회전하면서 베이스(1212)와 벽체(11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1212)의 이동에 연동하여, 샤프트(1213)와 연결밴드(1214)도 함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230)가 커버부(1300)의 당김을 해제할 수 있고, 커버부(1300)의 하부가 와이어(1230)에 지지된 상태로 자중에 의해 용기(1100)의 측면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c ), when the operator removes all the attachments P, the carrier 10 releases the pull of the base 1212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1212 . Accordingly, the base 1212 may move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50 and be disposed under the accommodation space 1130 . In this case, while the plurality of rollers 1260 rotate, friction between the base 1212 and the wall 1110 may be reduc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base 1212, the shaft 1213 and the connecting band 1214 may also move downward together. Accordingly, the wire 1230 can release the pulling of the cover part 1300 ,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oves away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by its own weight in a state supported by the wire 1230 . can That is,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지지부재(1240)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커버부(1300)의 상부가 용기(1100)의 측면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커버부(1300)를 미전개 상태, 즉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240 may move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closer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That is, the cover unit 1300 may be returned to an undeployed state, that is, to an initial position.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은 운반기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운반장치(1000)를 이용하여 운반장치(1000)에 수용된 용융물을 운반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방법은 용융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착물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운반방법은 용기(1100)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S110), 운반기(10)로 용기(1100)에 구비된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기는 과정(S120), 걸이(1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커버부(1300)를 펼치는 과정(S130), 커버부(1300)를 펼친 상태로 용기(1100)를 이동시키는 과정(S140), 용기(1100)의 이동을 완료하는 과정(S1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transporting the melt accommodated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using the transport device 1000 that can be moved by the transport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transport method may relate to a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adheren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melt. The transport method includes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elt in the container 1100 (S110), the process of pulling the hook 1220 provided in the container 1100 with the transporter 10 upward (S120),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hanger 1220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cover part 130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1100 (S130),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1100 with the cover part 1300 in an open state (S140), the container 1100) It may include a process of completing the movement (S15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 내지 도 4 및 도 9(a) 내지 도 10(c)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운반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의 동일한 동작은 함께 설명하고, 상이한 동작은 각각의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한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and 9 (a) to 10 (c) and 11,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ransport method, the sam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ogether, and the different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도 3 및 도 9(a)를 참조하면, 먼저, 용기(1100)에 용융물을 마련할 수 있다(S110). 이때, 운반장치(1000)는 작업장에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00)는 와이어(123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1300)는 미전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 길이는 R1 일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 길이는 R3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9 ( a ), first, a melt may be prepared in the container 1100 ( S110 ). At this time,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seated in the workplace. More specifically, the cover part 1300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pulled upward by the wire 1230 . That is,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 an undeployed state. At this time, the radial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R 1 , and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 The radial length to the end may be R 3 .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00)의 상부는 지지부재(1240)에 의해 지지되고, 커버부(1300)의 하부는 와이어(1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300)의 하부는 용기(1100) 측면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1210)는 수납공간(1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부재(1250)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용기(1100)에는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착물은 용기(1100)에 용융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용융물이 비산되며 용기(1100)에 융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40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supported by the wire 1230 .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unit 1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1100 .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is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space 1130 , and the elastic member 1250 may be in an extended state. Meanwhile, an attachment may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1100 . Here,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melt in the container 1100 , the attachment may scatter and be fused to the container 1100 .

이후, 운반기(10)의 주권후크(11)가 용기(1100)의 한쌍의 걸이(12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운반기(10)가 용기(1100)에 구비된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길수 있다(S120). 즉, 운반기(10)가 안착된 작업장의 바닥면으로 부터 용기(1100)를 띄울 수 있다.Thereafter, the main winding hook 11 of the carrier 1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a pair of hooks 1220 of the container 1100 . Subsequently, the carrier 10 may pull the hook 1220 provided in the container 1100 upward (S120). That is, the container 1100 can be flo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shop on which the carrier 10 is seated.

도 4 및 도 9(c)를 참조하면, 걸이(12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커버부(1300)를 펼칠 수 있다(S13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는 운반기(10)가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기면, 전달부재(1210)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달부재(1210)의 상측 이동에 연동하여, 전달부재(1210)의 제1 링크(1211)에 연결된 와이어(1230)를 상측으로 당겨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기(10)가 걸이(1220)를 상측으로 당기면, 베이스(1212), 샤프트(1213) 및 연결밴드(1214)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제2 링크(1214a)에 묶여있는 와이어(1230)를 상측으로 당겨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9 ( c ), the cover part 1300 may be unfol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1100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anger 1220 ( S130 ). As shown in FIG. 4 , in one embodiment, when the carrier 10 pulls the hook 1220 upward,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move upward. The wire 1230 connected to the first link 1211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may be pulled upward in associa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10 .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c), when the carrier 10 pulls the hook 1220 upward, the base 1212, the shaft 1213 and the connection band 1214. can move upwards together. Accordingly, the wire 1230 tied to the second link 1214a may be pulled upward.

이에, 커버부(1300)는 상부가 지지부재(12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가 와이어(123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240)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커버부(1300)의 상부를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에서 멀어지도록 벌릴 수 있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240 ,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pulled upward by the wire 1230 .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240 may rotate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pread apart from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와이어(1230)가 커버부(1300)의 하부를 상측으로 당겨주며,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용기(1100)와 가까워지도록 당기며 용기(1100)의 측면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의 상부를 용기(1100)의 측면과 멀어도록 벌리며 커버부(1300)의 상부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고, 커버부(1300)의 하부를 용기(1100)를 향하여 당기며 용기(1100)의 측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300)로 용기(1100)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부(1300)가 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 1230 pulls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art 1300 upward, pulls it closer to the container 1100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and makes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may be sprea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to form a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1300 . may be pulled toward the container 1100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Accordingly,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1100 may be covered with the cover unit 1300 . That is,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 a deployed state.

여기서, 일 실시 예의 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2)은 초기 위치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1)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전개 상태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4)은 초기 위치일 때의 용기(1100)의 중심에서 커버부(1300)의 단부까지의 반경(R3)보다 길 수 있다.Here, the radius (R 2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embodiment is the cover part 1300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in the initial position. It may be longer than the radius (R 1 ) to the end, in addition, the radius (R 4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 1100 )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 1300 ) in the deployed state of another embodiment is the initial position. It may be longer than the radius (R 3 ) from the center of the container 1100 to the end of the cover part 1300 .

도 10(a)를 참조하면, 이후 커버부(1300)를 펼친 상태로 운반기(10)가 운반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40). 이에, 운반장치(10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기(1100)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하더라도, 펼쳐진 커버부(1300)가 부착물이 낙하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 the carrier 10 may move the conveying device 1000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unit 1300 is opened ( S140 ). Accordingly, even if the attachment attached to the container 1100 falls while the transport device 1000 moves, the unfolded cover unit 1300 may prevent the attachment from falling.

도 10(b)를 참조하면, 운반기(10)가 하강 이동하며, 운반장치(1000)를 작업장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운반기(10)는 용기(1100)의 바닥면은 작업장에 안착시키고, 베이스(1212)가 수납공간(1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커버부(1300)와 용기(1100)의 측면 사이에 위치한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b ), the transporter 10 moves downward, and the transporter 1000 may be seated in the workplace. In this case, the carrier 10 may maintain the pulled stat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is seated in the workplace, and the base 1212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30 . Thereafter, the operator may remove the attachment located between the cover part 13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100 .

도 10(c)를 참조하면, 부착물이 모두 제거되면, 운반기(10)는 걸이(1220)의 당김을 완전히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300)가 펼쳐지는 순서에 역순으로 초기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커버부(1300)가 미전개 상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c ), when all the attachments are removed, the carrier 10 may completely release the pull of the hook 1220 . Accordingly, the cover unit 1300 may be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in a reverse order to the unfolding order. That is, the cover unit 1300 may be in an undeployed state.

이후, 용기(1100)에 수용된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의 이동을 완료할 수 있다(S150).Thereafter, the mel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100 may be discharg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S150).

이처럼, 커버부를 펼쳐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커버한 상태로 운반장치를 이동시켜 용기에 부착된 부착물이 낙하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낙하하는 부착물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장치의 이동경로에 배치된 주변 구조물에 부착물이 충돌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주변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an attachment attached to the container from falling by moving the trans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spread out to cover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being injured by colliding with the falling attach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collision of the attachment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arrang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structur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운반기 1000: 운반장치
1100: 용기 1200: 전달부
1300: 커버부 P: 부착물
10: transporter 1000: transporter
1100: container 1200: delivery unit
1300: cover part P: attachment

Claims (18)

운반기에 의해 용융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되고, 용융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공간과, 벽체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용기;
상기 운반기와 결합 가능하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전달부;
상기 용기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달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운반장치.
As a conveying device capable of conveying the melt by the conveyer,
A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having one side open and accommodating the melt, and a accommodating space recessed from the wall toward the accommodating space;
a delivery unit coupled to the carrier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container;
and a cover part installed in the contain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can be covere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elivery part;
The delivery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ort device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o be movable up and dow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운반기와 결합 가능한 걸이를 구비하고,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커버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및
내부에 상기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를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livery unit,
a transmission member having a hook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carrier,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a wir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and the cover part, respectively; and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support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is inserte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커버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상부 영역과 결합되는 운반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ir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ver,
The support member is a transport device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ver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운반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upport member is a conveying device that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dispos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용기와 결합되는 제1 결합롤을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제1 파트에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롤을 구비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member is
a first part having a first coupling roll coupled to the container and forming the through hole therein; and
and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roll coupled to the cover part at an end there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전달부재가 마련되는 개수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기 전달부재가 마련되는 개수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되는 운반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ire is the same as the number in which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or is provided in a number exceeding the number in which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베이스,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보다 많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연결밴드를 통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운반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base, a shaft extending vertically and connected to the base, and a connecting band connected to the wire an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and installed on the shaft,
A conveying device in which more said cover portions than said base are connected to said base through said connecting ban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부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더 크고, 각각의 커버부의 양측이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면이 상기 용기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운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both sides of each cover portion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inclined,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ontain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과, 하부에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연결핀을 구비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양측에서 상기 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운반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ver part,
a first region having a groove in an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is rotatably inserted, and a connecting pin coupled to the wire in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gion.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9,
The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member; Convey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달부재의 상면에 신장 수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9,
The delivery un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livery member so as to b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용기에 용융물을 마련하는 과정;
운반기로 상기 용기에 구비된 걸이를 상측으로 당기는 과정;
상기 걸이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용기의 하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커버부를 펼치는 과정;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용기의 이동을 완료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를 펼치는 과정은,
상기 운반기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상기 용기를 향하여 당기는 과정,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를 상기 용기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preparing the melt in the vessel;
The process of pulling the hook provided in the container upward with a carrier;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hook,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cover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moving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opened;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including,
The process of unfolding the cover part,
The process of pulling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toward the container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carrier; and
and spreading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away from the container.
삭제dele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기로부터 낙하하는 부착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part,
A transport method comprising a; the process of collecting attachments falling from the contain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펼친 상태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걸이에 당기는 힘을 계속 가하는 과정 또는 당겨진 걸이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 of moving the container 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part,
A transport method comprising a; the process of continuousl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hook or the process of fixing the pulled hook.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이동을 완료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를 안착시켜 상기 걸이의 당김을 해제하는 과정; 및
안착된 상기 용기에서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movement of the container is,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pull of the hook by seating the container; and
A transport method comprising a; discharging the melt from the seated container.
KR1020200068478A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KR102359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78A KR102359240B1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78A KR102359240B1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35A KR20210151535A (en) 2021-12-14
KR102359240B1 true KR102359240B1 (en) 2022-02-07

Family

ID=7890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478A KR102359240B1 (en) 2020-06-05 2020-06-05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4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06B1 (en) * 2005-11-25 2007-03-20 주식회사 포스코 Ladle for preventing scatter
KR101568725B1 (en) * 2014-07-29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of ladd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365U (en) 1992-03-27 1993-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Adhesion metal removal equipment for molten steel ladle
KR20180020732A (en) *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포스코 Protecive device and truck having the same
KR102083531B1 (en) * 2018-03-16 2020-03-02 주식회사 포스코 Waste remo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was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06B1 (en) * 2005-11-25 2007-03-20 주식회사 포스코 Ladle for preventing scatter
KR101568725B1 (en) * 2014-07-29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of lad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35A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9275A (en) Lift appliance and method
US20020003996A1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KR102359240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US5494132A (en) Side-loading suspension frame and ladder assembly for maintenance of energized power transmission lines
KR101667294B1 (en) Distribution Apparatus
JP6723119B2 (en) Fall prevention equipment for overhead cranes
JPH1192076A (en) Spreader device for wire rope for slinging for crane
KR101510262B1 (en) Transport
KR101930745B1 (en) Apparatus for ladle
KR20060076671A (en) Steel scrap charge chute
KR102210205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supporting object
KR102207710B1 (en) Apparatus for covering object and method for covering object
CN208830728U (en) A kind of hanging object hole and hoist shaft convenient for platform lifting discharging
AU2012212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arge off-highway truck-truck bodies
US20200331377A1 (en) Transportation Container
CN203959669U (en)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casing of material
KR102210206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KR20170088225A (en) High pressure container handling systems
KR101700645B1 (en) Unpowered variable multistage stand
CN213294399U (en) Hoisting equipment and leading wheel hoist and mount system
JP2001122591A (en) Vehicle for high lift work for moving work
KR101704610B1 (en) hybrid hoist lift apparatus
KR20230053303A (en)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07680B1 (en) 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