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262B1 - Transport - Google Patents

Trans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262B1
KR101510262B1 KR20130067964A KR20130067964A KR101510262B1 KR 101510262 B1 KR101510262 B1 KR 101510262B1 KR 20130067964 A KR20130067964 A KR 20130067964A KR 20130067964 A KR20130067964 A KR 20130067964A KR 101510262 B1 KR101510262 B1 KR 10151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pulley
pulley block
rop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5673A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6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262B1/en
Publication of KR2014014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2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한 도르래 블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르래 블록에 감겨 상기 도르래 블록을 이동시키는 로프, 상기 도르래 블록의 외측에서 상기 도르래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로프에 인접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부재보다 하측 방향으로 큰 힘을 받는 균형 부재를 포함하여 운송장치에 구비되는 도르래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apparatus, comprising a rotatable sheave block, a rope wrapped around the sheave block to move the sheave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sheave block outside the sheave block, And a balancing member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receiving a force larger than the blocking member in a downward direction so as to prevent or preven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pulley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

Description

운송장치{Transport}Transportation device {Transport}

본 발명은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운송장치에 구비되는 도르래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ortation apparatus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a pulley provided in a transportation apparatus.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은 제철소 내의 여러 조업 과정에서 처리물을 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제강공장의 전로 전, 후단에서 레이들(ladel)에 담긴 쇳물(용선 또는 용강)을 전로나 연주설비로 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Cranes used in steel mills are used to transport processed material during various operations within the steelworks. For example, it is used to transport molten iron (molten steel or molten steel) in a ladle to a transmission or performance facility before or after the steelmaking plant.

크레인은 고로에서 나온 용선의 정련을 위하여 용선을 전로에 운송하여 장입하는 것이 주요 작업이나 때로는 전로에 고철을 운송하여 장입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한다. The crane carries out the work of charging and transferring the charcoal to the converter for the refinement of the charcoal from the blast furnace.

그런데, 크레인을 이용하여 레이들을 이동시키거나 경동시킬 때, 레이들에 고착된 지금(쇳조각)이나 슬래그 덩어리 등의 이물질들이 크레인에 구비되는 도르래로 투입될 수 있다. 이에, 이물질이 도르래와 와이어 로프 사이에 끼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크레인에 사용되는 보권 후크가 레이들에 걸려 레이들을 경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자주 투입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lanes are moved or tilted by using a crane, foreign matter such as slabs (slabs) now attached to the lad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ulley provided in the crane.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eign matter is caught between the sheave and the wire rope.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is frequently injected because the bobbin hook used for the crane is caught by the ladle and tilts the ladle.

도르래에 지금이나 슬래그 덩어리가 끼이게 되면, 도르래가 회전을 하지 못하여 더 이상 작업을 진행할 수 없어 공정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끼인 지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크레인 상부에서 와이어로프를 절단하거나 고소용 리프팅 차량을 이용하여 정비해야 하기 때문에 정비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에 작업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pulley now slips into the pulley, the pulley can not rotate and the work can no longer be carried out,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Also, in order to remove the wire now, it is necessary to cut the wire rope at the top of the crane or to repair it by using a high-lift lifting vehicle, so it takes too much maintenance time and may cause a safety accident during operation because it is dangerous work.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455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45513

본 발명은 도르래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운송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into a pulley.

본 발명은 안정된 설비 운용 및 장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운송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ation apparatus capable of securing a stable facility operation and a long life.

물체를 이동시키는 운송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도르래 블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르래 블록에 감겨 상기 도르래 블록을 이동시키는 로프, 상기 도르래 블록의 외측에서 상기 도르래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로프에 인접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부재보다 하측 방향으로 큰 힘을 받는 균형 부재를 포함한다.A transport device for moving an object, comprising: a rotatable sheave block,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wrapped around the sheave block to move the sheave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sheave block is wrapped outside the sheave block, An adjacent blocking member, and a balance member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receiving a large force lower than the blocking member.

상기 도르래 블록은 하나 이상의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양단부가 상기 차단 부재 및 상기 균형 부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지지바를 포함한다.The pulley block includes a support bar having at least one pulley and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pulley,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the balance member,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 shaft is penetrated.

상기 균형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보다 무거운 무게 추를 포함한다.The balance member includes a weight that is heavier than the blocking member.

상기 도르래 블록의 외측 및 상기 차단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블록과 함께 움직이는 도르래 커버를 포함한다.And a pulley cover installed outside the pulley block and inside the blocking member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pulley block.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도르래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 부재를 포함한다.And a buf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member and the pulley cover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차단 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로프가 이동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한다.The b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groove through which the rope can move.

상기 홈에는 상기 로프와 접촉하여 상기 로프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롤러가 구비한다.The grooves are provided with auxiliary rollers that assist the movement of the rope in contact with the rope.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도르래 블록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고,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구비한다.The blocking member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ulley block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상기 물체는 용탕이 저장되는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한다.The object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the melt is stored, and includes a hook connected to the pulley block and engageable with the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송장치는 이물질의 투입을 막아주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이에, 운송장치에 구비되는 도르래에 슬래그 덩어리나 지금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slag block or the foreign matter such as now from being fed into the pulley provided in the transportation device.

이처럼, 이물질의 투입을 억제하게 되면, 도르래에 설치되는 로프의 마모나 로프가 절단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고, 로프가 도르래에서 탈선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부터, 설비가동이 중단되는 것을 막아 공정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uppressing the introduction of the foreign matter can reduce the abrasion of the rope installed on the pulley or the accident that the rope is cut, and can prevent the rope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pulley. From thi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from being stopped.

도르래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소용 차량을 이용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수리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운송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물질 투입의 억제 및 방지의 효과는 운송장치의 보권 후크부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pair processes that can cause a safety accident, and to maintain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by using a high-altitude vehicle to remove foreign materials stuck to the pulley. In addition, the effect of suppressing and preventing such foreign matter input can be more efficiently achieved in the helical hook portion of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권 후크부와 보권 후크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종래의 보권 후크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의 정상 상태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의 흔들리는 상태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main hook portion and the auxiliary hook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lementary hook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ervo lock hook.
Fig. 4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bbin hook portion in a steady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in the shaking state of the securing hook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강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크레인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물체를 운송하는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rane used in the steel production process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lied to devices for transporting various obje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권 후크부와 보권 후크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종래의 보권 후크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의 정상 상태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의 흔들리는 상태에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front view of a transpor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main hook unit and the auxiliary hook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bbin hook portion in a steady st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bbin hook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in the shaking state of the servo lock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송장치는 물체를 이동시키는 운송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도르래 블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르래 블록에 감겨 상기 도르래 블록을 이동시키는 로프, 상기 도르래 블록의 외측에서 상기 도르래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로프에 인접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부재보다 하측 방향으로 큰 힘을 받는 균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A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able pulley block, a rop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wound on the pulley block to move the pulley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pulley block outside the pulley block And a balancing member which surrounds some of the area and has one end adjacent to the rope and a large member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receiving a large force lower than the blocking member.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운송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송장치는 메인 트롤리부(100)와, 메인 트롤리부(100)의 하측에 이격되어 로프(R1)를 통해 매달리게 설치되는 리프팅 조립체(300), 및 메인 트롤리부(100)와 독립적으로 운행되는 서브 트롤리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운송장치는 크레인일 수 있고, 크레인이 이동시키는 물체는 용탕이 저장되는 용기(10)일 수 있다.Firs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1,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includes a main trolley part 100, a lifting assembly 300 suspended from a lower side of the main trolley part 100 and hanging via a rope R1, and a main trolley part 100, And a sub trolley unit 200 that is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sub trolley unit 200. At this time, the transportation device may be a crane, and the object to which the crane moves may be the container 10 in which the molten metal is stored.

메인 트롤리부(100)는 트롤리 본체(140)와, 동력기(110), 로프 드럼(120), 상부 도르래 블록(130), 및 바퀴(150)를 포함한다. 트롤리 본체(14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한 쌍의 동력기(110), 한 쌍의 로프 드럼(120), 및 한 쌍의 상부 도르래 블록(130)을 지지하고 있다. 이때, 트롤리 본체(140) 상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동력기(110), 로프 드럼(120), 상부 도르래 블록(130)이 흔들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동력기(110)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로프 드럼(120)에 회전력을 가해 로프 드럼(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로프 드럼(120)은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로프(R1)가 감겨있다. 따라서, 로프 드럼(120)의 회전으로 로프(R1)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상부 도르래 블록(130)은 트롤리 본체(140)의 상부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도르래 블록(13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있고, 도르래에 로프가 감겨있다. 이에, 도르래를 지지하는 상부 도르래 블록(130)이 로프(R1)를 통해 연결된 리프팅 조립체(300)를 지지해주고 있다. 바퀴(150)는 트롤리 본체(140)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트롤리부(100)는 바퀴(150)를 통해 외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트롤리부(100)의 이동에 의해서 이와 연결된 리프팅 조립체(300), 및 용기(10)도 이동할 수 있다. The main trolley part 100 includes a trolley body 140, a power unit 110, a rope drum 120, an upper pulley block 130, and a wheel 150. The trolley main body 14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upports a pair of power units 110, a pair of rope drums 120, and a pair of upper pulley blocks 13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t this time, a stoppe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main body 140 to prevent the power generator 110, the rope drum 120, and the upper pulley block 130 from being shaken. A motor may be used as the power generator 110, and a rotatin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rope drum 120 to rotate the rope drum 120. The rope drum 120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ope R1 is wound. Therefore, the rope Rl can be wound or unwound by the rotation of the rope drum 120. The upper pulley block 13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body 140. The upper pulley block 130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pulleys, and the rope is wound around the pulleys. The upper pulley block 130 supporting the pulley thus supports the lifting assembly 300 connected via the rope R1. The wheel 150 is provided under the trolley body 140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Therefore, the main trolley unit 100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s provided on the outside through the wheels 150. The lifting assembly 300 and the container 10 connected thereto by the movement of the main trolley part 100 can also be moved.

리프팅 조립체(300)는 리프팅 빔(310)과, 한 쌍의 하부 도르래 블록(320), 한 쌍의 리프팅 바(340), 및 한 쌍의 주권 후크(330)를 포함하고 있다. 리프팅 빔(31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부에는 하부 도르래 블록(320)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리프팅 바(340)와 연결해주는 연결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도르래 블록(32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일측이 상기 로프 드럼(120)에 감겨있는 로프(R1)의 타측이 하부 도르래 블록(320)의 도르래와 상부 도르래 블록(130)의 도르래에 감기면서 리프팅 빔(31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하부 도르래 블록(320)이 상부 도르래 블록(130)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부 도르래 블록(130)이 하부 도르래 블록(320)을 구비하는 리프팅 조립체(300)를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동력기(110)에 따른 로프 드럼(120)의 작동으로 인해, 상부 도르래 블록(130)과 하부 도르래 블록(320) 간의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리프팅 조립체(3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팅 바(340)는 일측이 리프팅 빔(310)에 설치되는 연결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로프(R)를 통해 주권 후크(330)와 연결된다. 리프팅 바(340)를 통해, 리프팅 빔(310)과 주권 후크(330)가 연결될 수 있다. 주권 후크(330)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10)의 돌출부(11)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용기(10)가 리프팅 조립체(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The lifting assembly 300 includes a lifting beam 310, a pair of lower pulley blocks 320, a pair of lifting bars 340, and a pair of main hooks 330. The lifting beam 310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pace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fting beam 310 to support the lower pulley block 320. A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to connect the lifting bar 340 to the lifting bar 340. The lower pulley block 320 includes one or more pulleys.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rope R1, one side of which is wound on the rope drum 120, is fixed to the lifting beam 310 while being wound on the pulley of the lower pulley block 320 and the pulley of the upper pulley block 130. Because the lower pulley block 320 is connected to the upper pulley block 130, the upper pulley block 130 supports the lifting assembly 300 with the lower pulley block 320. The lifting assembly 30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ulley block 130 and the lower pulley block 320 by operating the rope drum 120 along with the power generator 110. [ have. One side of the lifting bar 340 is fixed to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on the lifting beam 3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hook 330 through a rope R. [ Through the lifting bar 340, the lifting beam 310 and the sovereign hook 330 can be connected. The main hook 3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protruding portion 11 of the container 10. Thus, the container 10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lifting assembly 300.

서브 트롤리부(200)는 트롤리 본체(240)와, 로프 드럼(230), 및 보권 후크부 (220)를 포함하고 있다. 트롤리 본체(24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 양단에 바퀴(2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서브 트롤리부(200)는 바퀴(250)를 통해 외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로프 드럼(230)은 트롤리 본체(240)의 내부 또는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로프 드럼(2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하여 로프 드럼(230)에 감겨 있는 로프(R3)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보권 후크부(220)는 로프(R3)를 통해 로프 드럼(230)과 연결되어 있고, 로프 드럼(23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즉, 메인 트롤리부(100)는 용기(10)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전,후진시키는 장치이고, 서브 트롤리부(200)는 용기(10)의 기울기의 조절하여 용기(10)에 담겨있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장치일 수 있다.
The sub trolley part 200 includes a trolley main body 240, a rope drum 230, and a supplementary hook part 220. The trolley body 24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wheels 250 at both lower ends thereof. Accordingly, the sub trolley part 200 can move along a rail provided outside through the wheel 250. The rope drum 230 may be installed inside or below the trolley body 240. Since the rope drum 2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rope drum 230 can be wound and unwound by rotating the rope drum 230 wrapped around the rope drum 230.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connected to the rope drum 230 through the rope R 3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pe drum 230. That is, the main trolley part 100 is a device for moving the container 10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he sub trolley part 20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container 10, To the outside.

하기에서는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차단부(250)가 설치되는 영역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보권 후크부(220)에 차단부(250)가 설치되는 경우로 예시한다. Hereinafter, a region where the blocking portion 250 is provid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je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blocking portion 250 is provided in the bobbin hook portion 220.

도 3을 참조하면, 보권 후크부(220)는 도르래 블록(222), 도르래 블록(222)에 감기는 로프(R3), 도르래 블록(222)의 외측에서 도르래 블록(22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는 차단 부재(225a), 및 차단 부재(225a)와 연결되어 차단 부재(225a)보다 하측 방향으로 큰 힘을 받는 균형 부재(225b)를 포함한다. 또한, 보권 후크부(220)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 본체(221)와, 도르래 블록(222)을 지지해주는 회전축(224), 및 차단 부재(225a)와 균형 부재(225b)를 연결시켜주는 지지바(225c)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compensating hook portion 220 includes a pulley block 222, a rope R3 wound around the pulley block 222, at least a portion of the pulley block 222 outside the pulley block 222 And a balance member 225b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receiving a force larger than the blocking member 225a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ncludes a hook body 221 having a hook shape and a rotary shaft 224 for supporting the pulley block 222 and a support bar 225 connecting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balance member 225b. (Not shown).

후크 본체(221)는 단부가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10)의 걸림부(12)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보권 후크부(2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기(1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end portion of the hook body 221 is formed into a hook shape so that it can be caught by the latching portion 12 of the container 10. Thus, the tilt angle of the container 10 can be adjusted while the bobbin hook portion 220 moves up and down.

도르래 블록(222)은 하나 이상의 도르래를 포함하고 있다. 즉, 도르래 블록(222)은 하나의 도르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복수의 도르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르래는 원판 모양으로 제작되어, 둘레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이에, 로프(R3)가 오목한 홈에 위치하여 탈선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르래 블록(222)은 로프(R3)를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pulley block 222 includes one or more pulleys. That is, the pulley block 222 may be a single pulley, or a plurality of pulleys may be used. The pulley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concave groove is formed around the pulley. Thus, the rope R3 is positioned in the concave groove and can smoothly move without derailment. In addition, the pulley block 222 can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rope R3.

차단 부재(225a)는 상기 도르래 블록의 폭(W1)보다 큰 폭(W2)을 가지고,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차단 부재(225a)는 도르래 블록(222)의 상부 영역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 부재(225a)는 도르래 블록(222)의 형상을 따라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도르래 블록(222)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차단 부재(225a)는 이물질과 충돌이 일어나는 곳이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초경합금층이 코팅되어 있거나, 초경라이너가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재질에 관해서 한정되지 않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다양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부재(225a)는 상부 단부가 로프(R3)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즉, 상부 단부가 로프(R3)의 표면과 접촉하거나, 수 mm이내의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에, 이물질이 도르래 블록(222)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225a has a width W2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pulley block and has a curve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225a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upper region of the sheave block 222. [ That is,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is extended along the shape of the pulley block 222,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put to the pulley block 222.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is a place where a collision with foreign matter occurs, the cemented carbide layer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may be coated or a carbide liner may be attached. However, a variety of materials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can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o materials. This blocking member 225a is located at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rope R3. That is,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pe R3, or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n interval of several mm or less.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alling down to the pulley block 222. [

차단 부재(225a)에는 가이드 홈과, 보조 롤러(225d), 및 완충 부재(225e)가 구비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홈은 차단 부재(225a)의 일단부 즉, 상부단부에 로프(R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은 도르래 블록(222)에 도르래가 구비되는 만큼 형성되고, 로프(R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르래 및 로프(R3)의 개수만큼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은 차단 부재(225a) 내측으로 파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홈이 제작되면, 가이드 홈 내에서 로프(R3)가 슬라이딩되므로 로프(R3)와 차단 부재(225a)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의 로프(R3) 사이의 공간에도 차단 부재(225a)가 위치하게 되어, 이물질의 투입을 더욱 효율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홈에 회전할 수 있는 보조 롤러(225d)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보조 롤러(225d)는 원통 모양으로 제작되어,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롤러(225d)는 차단 부재(225a)가 형성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에 고정되어 있는 축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이에, 보조 롤러(225d)는 차단 부재(225a)와 연결되면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조 롤러(225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롤러(225d)가 구비되면, 로프(R3)를 부드럽게 슬라이딩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차단 부재(225a) 설치로 인한 로프(R3) 이동의 억제를 방지하면서도, 차단 부재(225a)를 로프(R3)에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로프(R3)의 마모 및 소선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225a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an auxiliary roller 225d, and a buffer member 225e.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so that the rope R3 can move to one end or upper end of the blocking member 225a. Therefore,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have a sheave in the sheave block 222, a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pe R3. That is, guide grooves can be formed by the number of pulleys and ropes R3. The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fined inside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quadrangle, a semicircle, and the like. Since the rope R3 is slid in the guide groove when the guide groov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between the rope R3 and the blocking member 225a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matter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or prevented. An auxiliary roller 225d which can rotate in each of the guide grooves may be provided. The auxiliary roller 225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groove formed around it. The auxiliary roller 225d is supported by a shaft fixed to the guide groov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225a is formed. Accordingly, the auxiliary roller 225d can rotat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However, the shape of the sub-roller 225d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This auxiliary roller 225d allows smooth movement of the rope R3 while sliding it so that the blocking member 225a can be moved to the rope 225a while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rope R3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blocking member 225a. R3. ≪ / RTI >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abrasion and wire rope of the rope R3.

완충 부재(225e)는 일측이 차단 부재(225a)에 고정되고, 타측이 도르래 커버(223)와 접촉하거나 이격되게 배치된다. 완충 부재(225e)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스프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면 도르래 커버(223)와 차단 부재(225a)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225a)에 구비된 완충 부재(225e)가 도르래 커버(223)와 먼저 충돌하여 차단 부재(225a)와 도르래 커버(223) 간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 다양한 물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225e)의 일측이 도르래 커버(223)에 고정되고, 타측이 차단 부재(225a)에 접촉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The buffer member 225e has one side fix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other side contacting or spaced from the pulley cover 223. The buffer member 225e has an elastic force and can be formed into a spring shape. When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shaken, the pulley cover 223 and the blocking member 225a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ushioning member 225e provided on the blocking member 225a may collide with the pulley cover 223 to reduce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pulley cover 2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bjects having elastic force can be used. One side of the buffer member 225e may be fixed to the pulley cover 223 and the other side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blocking member 225a.

균형 부재(225b)는 차단 부재(225a)와 연결되어 있고, 차단 부재(225a)보다 하측 방향으로 큰 힘을 받고 있다. 이때, 균형 부재(225b)는 하측 방향으로 힘을 받기 위해 차단 부재(225a)보다 무거운 무게 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균형 부재(225b)에 하측 방향으로 힘을 줄 수 있다. 균형 부재(225b)는 차단 부재(225a)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 부재(225a)에 힘을 가하고 있다. 즉, 시소와 같이 균형 부재(225b)가 아래 방향으로 힘을 주고 있기 때문에, 하기에서 서술될 회전축(224)에 의해 차단 부재(225a)는 위로 올라가려고 한다. 이에, 차단 부재(225a)의 상부 단부가 로프(R3)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차단 부재(225a)가 균형 부재(225b)로 인해 로프(R3)에 인접하게 되면, 이물질이 도르래 블록(222)으로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어 이물질 투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균형 부재(225b)는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더라도 차단 부재(225a)가 항상 로프(R3)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alance member 225b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receives a larger force than the blocking member 225a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balance member 225b may include a weight that is heavier than the blocking member 225a to receive a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balance member 225b can be urged downward in various ways. Since the balance member 225b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it exerts a force on the blocking member 225a. That is, since the balancing member 225b is urging downward as in the seesaw, the blocking member 225a tries to move up by the rotation shaft 22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us,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member 225a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rope R3. When the blocking member 225a is adjacent to the rope R3 due to the balance member 225b, the spac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pulley block 222 is reduced,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at is, the balancing member 225b can serve to always allow the blocking member 225a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ope R3, even if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wobbled.

도르래 커버(223)는 도르래 블록(222)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르래 블록(222)을 감싸고 있다. 도르래 커버(223)는 로프(R3)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거나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하부도 후크 본체(221)가 돌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The pulley cover 223 is provided outside the pulley block 222 and surrounds the pulley block 222. The upper portion of the pulley cover 223 is opened or completely opened so that the rope R3 can mov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ulley cover 223 is opened so that the hook body 221 can be protruded.

회전축(224)은 원통 모양으로 제작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양단에는 회전축(224)의 직경보다 크기가 큰 막음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24)은 도르래 블록(222), 도르래 커버(223)를 관통하여 도르래 블록(222)과 도르래 커버(223)를 연결시켜주고 있다.The rotating shaft 22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both ends thereof, a blocking memb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224 may be provided. The rotating shaft 224 passes through the pulley block 222 and the pulley cover 223 to connect the pulley block 222 and the pulley cover 223.

지지바(225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양단부가 차단 부재(225a)와 균형 부재(225b)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차단 부재(225a), 균형 부재(225b), 지지바(225c)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각각 별개 부재로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차단 부재(225a), 균형 부재(225b), 지지바(225c)는 회전축(2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르래 블록(222)과 함께 이동할 수 있지만, 회전력을 받을 때는 독립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bar 225c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both ends fixed to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balance member 225b, and a hole H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can pass is formed. At this time, the blocking member 225a, the balance member 225b, and the supporting bar 225c may be integrally formed, or they may be assembled and assembled separately.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the balancing member 225b and the supporting bar 225c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24, they can move together with the pulley block 222. However, Can be moved or rotated.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운송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보권 후크부(220)는 도르래 블록(222)의 상부 혹은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보권 후크부(220)가 전,후진하거나 상하로 이동하게 될 때, 외부의 이물질이 도르래 블록(222)으로 투입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A, the upper or side surface of the conventional helical-hook portion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moved forward, backward, or up and down, external foreign matter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input to the pulley block 222.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권 후크부(220)는 차단부(225)를 구비하므로 도르래 블록(222)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는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지 않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균형 부재(225b)는 아래 방향으로 차단 부재(225a)보다 큰 힘을 받고 있다. 이에, 균형 부재(225b)와 연결된 차단 부재(225a)가 위로 올라가려고 하기 때문에, 차단 부재(225a)와 로프(R3)가 항상 근접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부재(225a)는 도르래 블록(222)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최대로 덮어줄 수 있어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bobbin hook portion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locking portion 225,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put to the pulley block 222.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pending hook portion 220 is not shaken. In this situation, the balance member 225b receives a larger force than the blocking member 225a in the downward direction. Thus,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connected to the balance member 225b tries to move upward,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rope R3 can always be positioned close to each other.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225a can cover the exposed portion of the sheave block 222 to the maximum,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injected.

도 4c는,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는 상황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면 이에 구비되는 차단 부재(225a)도 흔들릴 수 있다. 그러나 차단 부재(225a)는 회전축(224)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르래 커버(223)나 도르래 블록(222)과는 회전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즉, 차단 부재(225a)는 균형 부재(225b)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보권 후크부(22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흔들리는 정도가 덜하다.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면 차단 부재(225a)와 도르래 커버(223) 사이의 로프(R)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로프(R)가 차단 부재(225a)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들어갈 수 있다. 가이드 홈으로 들어간 로프(R)는 보조 롤러(225d)와 접촉하게 되고, 보조 롤러(225d)는 로프(R)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보권 후크부(220)가 흔들리게 되면, 도르래 커버(223)와 차단 부재(225a)의 회전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225a)에 구비된 완충 부재(225e)가 도르래 커버(223)와 먼저 충돌하여 차단 부재(225a)와 도르래 커버(223) 간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차단 부재(225a)는 도르래 블록(222)이 흔들리더라도 균형 부재(225a)가 하측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차단 부재(225a)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므로, 차단 부재(225a)는 로프(R3)와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에, 도르래 블록(222)의 외부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FIG. 4C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servo lock hook portion 220 is shaken. When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shaken, the blocking member 225a provided therein may also be shaken. However,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24,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blocking member 225a with respect to the pulley cover 223 or the pulley block 222 may be different. That is, since the blocking member 225a is urged downward by the balance member 225b, the blocking member 225a is less shaken than other components of the securing hook portion 220. [ The space in which the rope R between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pulley cover 223 can move can be reduced if the bobbin hook portion 220 is shaken. Thus, the rope R can enter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225a. The rope R which has entered the guide groov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roller 225d and the auxiliary roller 225d can rotate so that the rope R can move smoothly. Further, when the servo lock hook portion 220 is shaken, the pulley cover 223 and the blocking member 225a are rotated differently, so that they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ushioning member 225e provided on the blocking member 225a may collide with the pulley cover 223 to reduce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blocking member 225a and the pulley cover 223. The blocking member 225a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by the force of the balancing member 225a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blocking member 225a pushes the blocking member 225a in the upward direction even if the pulley block 222 swings,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pulley block 222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injected.

상기에서는 보권 후크부에 설치되는 차단 부재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보권 후크부 외에 운송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도르래에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the blocking member provided in the bobbin hook por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ulleys used in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bobbin hook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 용기 100: 메인 트롤리부
200: 서브 트롤리부 220: 보권 후크 조립체
225: 차단부 300: 리프팅 조립체
10: container 100: main trolley part
200: Subtroller 220: Coupling hook assembly
225: breaking portion 300: lifting assembly

Claims (9)

용탕이 저장되는 용기를 이동시키는 운송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도르래 블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르래 블록에 감겨 상기 도르래 블록을 이동시키는 로프;
상기 도르래 블록의 상부 영역에서 측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도르래 블록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싸고, 일단부가 상기 로프에 인접하는 차단 부재;
상기 차단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차단 부재에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제공하는 균형 부재;
상기 도르래 블록의 외측 및 상기 차단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르래 블록과 함께 움직이는 도르래 커버; 및
상기 차단 부재와 상기 도르래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A transportation device for moving a container in which molten metal is stored,
A rotatable pulley block;
A rope at least partially wrapped around the pulley block to move the pulley block;
A shielding member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in an upper region of the pulley block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of the pulley block and having one end adjacent to the rope;
A balancing member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providing a force to move the blocking member upward;
A pulley cover installed outside the pulley block and inside the blocking member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pulley block; And
And a cushion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member and the pulley cover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블록은 하나 이상의 도르래 및 상기 도르래를 관통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양단부가 상기 차단 부재 및 상기 균형 부재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ey block having at least one pulley and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pulley,
And a support bar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the balance member, respectively, and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pas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형 부재는 상기 차단 부재보다 무거운 무게 추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ance member includes a weight that is heavier than the blocking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로프가 이동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locking member has a groove at one end thereof through which the rope can mov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로프와 접촉하여 상기 로프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 롤러가 구비되는 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roller for contacting the rope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rop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도르래 블록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고, 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구비하는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locking member has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ulley block and has a curve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width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에 걸릴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하는 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hook connected to the pulley block and engageable with the container.
KR20130067964A 2013-06-13 2013-06-13 Transport KR101510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964A KR101510262B1 (en) 2013-06-13 2013-06-13 Trans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964A KR101510262B1 (en) 2013-06-13 2013-06-13 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73A KR20140145673A (en) 2014-12-24
KR101510262B1 true KR101510262B1 (en) 2015-04-10

Family

ID=5267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964A KR101510262B1 (en) 2013-06-13 2013-06-13 Trans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2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4607A (en) * 2015-01-29 2015-06-2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Steel wire rope groove-releasing protection devic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2083530B1 (en) * 2018-03-02 2020-03-02 주식회사 포스코 Transport equipment and method for molten steel processing
CN110127549A (en) * 2019-05-16 2019-08-16 袁雪峰 A kind of suspender pulley blocks of twin beams bridge crane, twin beams bridge crane and concrete-pile suspen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2876U (en) * 1973-11-06 1975-06-26
JP2012006696A (en) * 2010-06-23 2012-01-12 Toshiba Elevator Co Ltd Governor tensioner
KR101245513B1 (en) * 2010-07-06 2013-03-20 (주)새텍 Equipped with sensors and sensor-operated unmanned crane hook
JP5416922B2 (en) * 2007-06-14 2014-02-12 ヒルティ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Pulley device for wire saw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2876U (en) * 1973-11-06 1975-06-26
JP5416922B2 (en) * 2007-06-14 2014-02-12 ヒルティ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Pulley device for wire saw device
JP2012006696A (en) * 2010-06-23 2012-01-12 Toshiba Elevator Co Ltd Governor tensioner
KR101245513B1 (en) * 2010-07-06 2013-03-20 (주)새텍 Equipped with sensors and sensor-operated unmanned crane h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673A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8960B (en) Cable detection vehicle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WO2013179549A1 (en) Method for swapping stay cable,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tay cable
KR101510262B1 (en) Transport
EP3097043B1 (en)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KR101510273B1 (en) Hanger
KR20030081529A (en) Elevator and traction sheave of an elevator
CN102089235B (en) Trolley of overhead crane
US201701448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fting and manipulating a load
CN106061884B (en) For the low structure trolley of Cable pull
JP6825774B2 (en) How to replace the unloader and its grab bucket
KR20150014187A (en) Trolley rotating device for crane
KR101919525B1 (en) Deivce for preventing sheave wire derailment
KR100951763B1 (en) Hook shifting equipments for hot metal charging crane in an iron works
KR101767315B1 (en) Hook fixing stopper, and twin type hook spa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JP6393954B2 (en) Crane overhead structure system and crane manufacturing method
KR101050201B1 (en) Equipment for building refractory units of blast furnace
CN216764133U (en) Wellhead cantilever crane
CN101378983B (en) Elevator device
CN215101663U (en) Main pulley rope-dropping prevention device for tower crane amplitude-variable trolley
KR1013684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ladle
KR101423605B1 (en) Transfer equipment
KR101256531B1 (en) Apparatus for standing ladle of ladle car
CN104743463A (en) Steel wire rope protection device and rotary drilling rig with same
JP2019156619A (en) Quay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