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394A -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 Google Patents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394A
KR20180102394A KR1020170028974A KR20170028974A KR20180102394A KR 20180102394 A KR20180102394 A KR 20180102394A KR 1020170028974 A KR1020170028974 A KR 1020170028974A KR 20170028974 A KR20170028974 A KR 20170028974A KR 20180102394 A KR20180102394 A KR 2018010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ad
main body
pad
cleaning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915B1 (ko
Inventor
김한성
이동훈
Original Assignee
김한성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성, 이동훈 filed Critical 김한성
Priority to KR102017002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9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8Polishing implements
    • A47L13/29Polishing implements having movable or detachable polishing or shining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점착시트에 의해 본체와 청소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물기에 의한 본체와 청소패드 사이의 점착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청소패드의 일면에 방수시트가 마련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점착시트(1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 및 상기 점착시트(112)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탈부착 되되 상기 점착시트(112)에 접촉되는 일면에는 방수시트(122)가 구비되어 있는 청소패드(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DETACHABLE TYP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PAD}
본 발명은 청소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점착시트에 의해 본체와 청소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물기로 인한 본체와 청소패드 사이의 점착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청소패드의 일면에 방수시트가 마련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거실 및 방 바닥을 닦을 때 수동청소기를 사용한다. 수동청소기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저면에 청소포라고 불리는 청소패드를 부착한 후 손으로 청소기를 밀며 청소를 하는 도구를 말하며, 이와 같은 수동청소기의 일례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243호의 "손잡이를 갖는 물걸레 청소구"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에 따른 청소구는 T형의 착탈편을 통해 물걸레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며, 착탈편에 의해 물걸레가 견고히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T자형의 착탈편이 물걸레의 섬유조직에 걸려 고정되는 방식으로 탈부착시 소정의 힘이 소요되어야 하며 착탈편에 의해 물걸레의 섬유조직이 끌어 올라오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21091호에는 청소구와 클린패드가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탈부착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벨크로테이프의 경우에도 탈부착시 일정 이상의 힘이 들어가게 되며, 벨크로테이프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물이 묻게 되면 접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클린패드가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28243호, "손잡이를 갖는 물걸레 청소구" 국내등록특허 제10-1021091호, "피브이에이 폴리우레탄폼 클린패드 제조방법 및 그 클린패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실이나 방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본체에 청소패드가 탈부착 되는 청소구에 있어서, 본체의 점착시트에 의해 본체와 청소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물기로 인한 본체와 청소패드 사이의 점착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청소패드의 일면에 방수시트가 마련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소패드의 교체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청소패드가 적층되는 패드수용부가 구비되며, 청소구의 종합적인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본체가 보관되는 본체수용부가 패드수용부에는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점착시트(1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 및 상기 점착시트(112)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탈부착 되되 상기 점착시트(112)에 접촉되는 일면에는 방수시트(122)가 구비되어 있는 청소패드(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구에는 상기 청소패드(120)가 겹겹이 적층되어 보관되는 패드수용부(132)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본체(110)는 본체수용부(134)에 보관되며, 상기 본체수용부(134)는 상기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는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점착시트의 점착력에 의해 본체로부터 청소패드의 탈부착이 손쉽게 이루어지며, 본체에 접촉되는 청소패드의 일면에 방수시트가 마련되어 청소패드의 물기가 점차시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해줌으로써 청소패드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본체와 청소패드 사이의 점착력이 떨어지지 않고 견고히 부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드수용부에 다수의 청소패드가 겹겹이 적층되어 있어 청소패드의 관리 및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지며, 본체가 보관되는 본체수용부가 패드수용부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청소구의 종합적인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에 청소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점착시트(1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 점착시트(112)에 의해 본체(110)에 탈부착 되며, 점착시트(112)와 접촉되는 일면에 방수시트(122)가 마련되어 있는 청소패드(120) 및 다수의 청소패드(120)가 적층되어 있는 패드수용부(132)와 본체(110)가 보관되는 본체수용부(134)로 이루어진 보관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0)는 청소패드(120)가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판(113)과 손잡이(114)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손잡이(114)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판(113)에 부착되어 있는 청소패드(120)를 이용하여 거실이나 방 바닥을 청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본체수용부(134)의 내측에 내장시켜 보관할 수 있다. 지지판(113)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갖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모서리가 라운드진 모양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지지판(113)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의 손잡이(114)가 마련된다. 손잡이(114)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형태 및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14)의 형태가 반원의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길이가 긴 봉(막대)의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지지판(113)의 저면에는 점착시트(112)가 구비된다. 점착시트(112)는 점착력을 갖는 물질로서,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점착시트(112)는 반복적인 점착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합성수지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점착시트(112)는 엘라스토머점착시트(SHEET ELASTOMER ADHESIVE)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점착시트(112)는 점착면에 티끌이나 먼지가 묻었을 경우, 물로 씻어 내면 점착력이 원상태로 복구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점착시트(112)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이 특수한 모양을 갖는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매끈하고 평평한 형태로 표면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점착시트(112)에 부착되는 청소패드(120)가 일체의 손상 없이 안전적이고 손쉽게 탈부착 되는 장점을 갖는다.
청소패드(120)는 천이나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작된 청소포의 형태로 거실 또는 방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청소패드(120)는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시트(112)에 의해 본체(110)의 저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거실이나 방 바닥을 물청소하기 위하여 청소패드(120)에 물기가 머금어진 상태에선 청소패드(120)의 물기가 점착시트(112)에 전달되어 점착시트(112)의 점착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체(110)로부터 청소패드(120)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100)는 청소패드(120)의 일면에 방수시트(122)가 구비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며, 점착시트(112)와 맞닿는 청소패드(120)의 일면 즉, 상면에는 물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방수시트(122)가 부착된다. 방수시트(122)는 표면이 매끈하며 광택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며, 이러한 방수시트(122)는 청소패드(120)의 물기가 점착시트(112)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점착시트(112)와 청소패드(120)의 점착력을 높여 본체(110)에 청소패드(12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청소패드(120)는 일정 횟수이상 사용하게 되면, 세척력이 저하되므로 본체(110)에 새로운 청소패드(120)로 교체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청소패드(120)가 겹겹이 적층·보관되는 보관함(130)이 구비된다. 이때, 보관함(130)은 청소패드(120)뿐만 아니라 본체(110)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체(110)에 청소패드(120)의 교체가 용이하게 가이드 해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1 및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보관함(130)은 청소패드(120)가 적층되는 패드수용부(132) 및 본체(110)가 보관되는 본체수용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수용부(134)는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수용부(134)가 패드수용부(132) 상단의 선회축(135)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수용부(134)는 패드수용부(132)의 상단 내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패드수용부(132)의 내측에는 다수의 청소패드(120)가 겹겹이 적층된다. 패드수용부(132)의 내측 사이즈는 본체(110)의 외측 사이즈와 정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청소패드(120)를 교체할 시 손쉽게 청소패드(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에 청소패드(120)를 교체해야 할 경우, 먼저 본체(110)로부터 사용이 다 된 청소패드(120)를 분리 시켜준 뒤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본체(110)를 패드수용부(132)의 내측에 삽입시켜주면 패드수용부(132)의 내측 사이즈에 본체(110)의 외측 사이즈가 정합되므로 본체(110)가 패드수용부(132)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수직 하강하게 되며 본체(110)의 계속적인 하강과 함께 다수의 청소패드(120) 중 제일 상단의 청소패드(120)가 본체(110)의 점착시트(112)에 맞닿아 견고히 부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체(110)에 청소패드(120)가 부착되면 본체(110)를 패드수용부(132)로부터 인출하여 청소패드(120)를 통해 거실이나 방 바닥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청소패드(12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청소패드(12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본체(110)는 본체수용부(134)에 배치하여 보관해둘 수 있다. 본체수용부(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내측에는 본체(11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청소패드(120)가 보관되어 있는 패드수용부(132)와 본체(110)를 보관할 수 있는 본체수용부(134)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청소구(100)의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청소구 110:본체
112:점착시트 113:지지판
114:손잡이 120:청소패드
122:방수시트 130:보관함
132:패드수용부 134:본체수용부

Claims (4)

  1.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저면에 점착시트(112)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110); 및
    상기 점착시트(112)의 점착력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탈부착되는 청소패드(120);를 포함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112)에 접촉되는 상기 청소패드(120)의 일면에는 방수시트(1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패드(120)가 겹겹이 적층되어 보관되는 패드수용부(132)를 더 포함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본체수용부(134)에 보관되며, 상기 본체수용부(134)는 상기 패드수용부(13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KR1020170028974A 2017-03-07 2017-03-07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KR10191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74A KR101911915B1 (ko) 2017-03-07 2017-03-07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74A KR101911915B1 (ko) 2017-03-07 2017-03-07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94A true KR20180102394A (ko) 2018-09-17
KR101911915B1 KR101911915B1 (ko) 2018-10-26

Family

ID=6372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74A KR101911915B1 (ko) 2017-03-07 2017-03-07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67B1 (ko) * 2019-06-03 2019-11-22 (주)대고 교차오염 방지용 청소패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243Y1 (ko) 2003-06-27 2003-09-26 주식회사 다이안 손잡이를 갖는 물걸레 청소구
KR200410975Y1 (ko) * 2005-12-21 2006-03-09 허숙경 먼지 제거 기구
KR101021091B1 (ko) 2008-05-22 2011-03-14 이왕섭 피브이에이 폴리우레탄폼 클린패드 제조방법 및 그클린패드
JP2011050570A (ja) * 2009-09-02 2011-03-17 Kokubo Kogyosho:Kk 粘着ロール式清掃具の収容用具。
JP5879050B2 (ja) * 2011-05-31 2016-03-08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243Y1 (ko) 2003-06-27 2003-09-26 주식회사 다이안 손잡이를 갖는 물걸레 청소구
KR200410975Y1 (ko) * 2005-12-21 2006-03-09 허숙경 먼지 제거 기구
KR101021091B1 (ko) 2008-05-22 2011-03-14 이왕섭 피브이에이 폴리우레탄폼 클린패드 제조방법 및 그클린패드
JP2011050570A (ja) * 2009-09-02 2011-03-17 Kokubo Kogyosho:Kk 粘着ロール式清掃具の収容用具。
JP5879050B2 (ja) * 2011-05-31 2016-03-08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915B1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502B2 (en) Multi-material mop head
KR101955726B1 (ko) 테이프 클리너
US9386899B2 (en) Foldable duster
US20130269134A1 (en) Cleaning cloth
WO2012160529A1 (en) A motorized handheld polishing and cleaning apparatus
KR101911915B1 (ko) 청소패드 탈부착형 청소구
US20140215739A1 (en) Flat mop and support plate therefor
WO2016154562A1 (en) Mop and mop head attachment
KR20160046485A (ko) 카트리지 기능을 구비한 청소도구
US8752238B2 (en) Vacuum cleaner with a cord holder
US20150351601A1 (en) Handheld cleaning device for use with disposable cleaning towel
US11154176B2 (en) Mop with integrated head removal system
JP2020028399A (ja) 掃除パッド取り外し式掃除具
CN110856633A (zh) 擦拭垫拆装型清扫装置
JP2022081384A (ja) 掃除用クロスの交換が容易な掃除道具
CN208610772U (zh) 一种双面拖把
CN207768298U (zh) 一种双面玻璃擦窗器
KR20150004639U (ko) 클리너가 내장된 휴대형 거울
CN104545720A (zh) 用于保持清洁机构的清洁设备
JP2011245051A (ja) 粘着クリーナ用カバー
KR200410975Y1 (ko) 먼지 제거 기구
JP2016036433A (ja) 清掃用具
CN203576436U (zh) 清洁器具
KR101576711B1 (ko) 청소용 키트 및 전자파 챔버 도어 청소용 키트
CN211674969U (zh) 一种功勋轮椅附属智能二便收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