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344A -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344A
KR20180102344A KR1020170028837A KR20170028837A KR20180102344A KR 20180102344 A KR20180102344 A KR 20180102344A KR 1020170028837 A KR1020170028837 A KR 1020170028837A KR 20170028837 A KR20170028837 A KR 20170028837A KR 20180102344 A KR20180102344 A KR 2018010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fingerprint
microstructure
information
data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416B1 (ko
Inventor
변진영
Original Assignee
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진영 filed Critical 변진영
Priority to KR102017002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16B1/ko
Priority to US16/491,472 priority patent/US20200247171A1/en
Priority to CN201880030380.XA priority patent/CN110603561B/zh
Priority to PCT/KR2018/002515 priority patent/WO2018164416A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13Finger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5Security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촬영된 상기 미세구조로부터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문 추출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상호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된 지문 등록부를 포함한다.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므로, 전자지문을 모방하여 가품을 진품으로 위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기존 유명 작품의 위작 논란을 없앨 수 있으며 신진 작가의 작품 또한 위작의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LECTRONIC FINGERPRINT FOR PREVENTING FORGERY OR ALTERATION OF ART PIECES, METHOD FOR DETECTING FORGERY OR ALTERATION OF ART PIECE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고 전자지문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의 위변조를 방지 또는 판별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회화, 서화, 조각, 공예품, 조형물, 악기 등과 같이 예술적이고 심미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예술작품들은, 해당 예술작품의 창작자에 따라 이의 경제적 가치 및 보존적 가치가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다. 저명하거나 개성이 있는 창작자가 제작한 예술작품은 그 작품성과 희귀성으로 인해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므로, 이러한 예술작품을 진품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로 모방한 모조품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모조품을 식별하여 진품을 가려내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장시간에 걸쳐서 진품 식별을 위한 검증 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증 작업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마다 일치하는 검증 결과가 도출되지 않는 경우도 많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에 의한 진품 식별 결과라고 하더라도 드물게는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촬영 장비 등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으로부터 일정한 속성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상 예술작품의 진위 여부를 감정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장비를 이용한 진위 감정 방법은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의 형태나 판별 과정이 기술적으로 고도하지 않아 이를 우회할 수 있는 모조품을 어렵지 않게 제작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진품에 대한 관리가 예술작품의 소재 유통과 별개로 이루어지고 있어 예술작품 관련 정보가 일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637호는 미술품으로부터 지문영상데이터를 촬상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술품의 진위 여부를 감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637호의 지문영상데이터란 미술품의 작가 또는 이를 감정한 감정가의 지문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지문의 위조 가능성이 있으며, 감정가의 지문일 경우 위조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작가 또는 감정가가 개별 미술품마다 시간을 들여 지문을 남겨야 하는 것이므로 관리가 번거로우며, 다양한 작가의 작품에 대한 일괄적이고 종합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63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전자지문을 이용한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들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촬영된 상기 미세구조로부터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문 추출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상호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된 지문 등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기록하며 상기 소재에 고정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태그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투과하기 위한 X-선, 초음파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 이상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각각 밝기 값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유닛(unit)으로 이루어진 그리드(gri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 상기 그리드의 크기, 또는 상기 그리드의 각 단위 유닛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암호화한 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에 연관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문 등록부는, 상기 작품 정보를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은,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촬영된 상기 미세구조로부터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상호 연관시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기록하며 상기 소재에 고정되기 위한 NFC 태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투과하기 위한 X-선, 초음파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 이상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각각 밝기 값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 상기 그리드의 크기, 또는 상기 그리드의 각 단위 유닛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암호화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방법은,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에 연관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품 정보를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의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 및 상기 전자지문의 고유번호가 상호 연관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지문 등록부;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 또는 상기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위변조 판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변조 판별부에 의한 비교 결과를 상기 대상 예술작품의 위변조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소재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 또는 전자지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된 작품 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품 정보와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전자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미세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은,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 또는 상기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정보를,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의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 및 상기 전자지문의 고유번호가 상호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를 상기 대상 예술작품의 위변조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 또는 전자지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된 작품 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품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전자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미세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방법 또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의하면,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여 관리함으로써 해당 소재가 이용된 예술작품이 위조 또는 변조된 모방품이 아니라 진품이 맞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예술작품 소재로부터 미세구조를 추출한 위치나 크기 등 전자지문 관련 부가 정보가 암호화되어 서버에 등록되므로, 진정한 작가가 아닌 제3자가 전자지문을 모방하여 가품을 진품으로 위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전자지문이 저장된 서버는 온라인으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구현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지문을 이용하면, 완성된 예술작품뿐만 아니라 공백 상태의 캔버스(cavas) 등 소재로부터 전자지문을 추출하고 고유번호를 부여한 상태로 소재를 출고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한 전방위적 예술작품의 등록 및 조회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유명 작품의 위작 논란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진 작가의 작품 또한 위작의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에 따라 소재의 미세구조를 디지털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a 내지 4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에 따라 소재의 미세구조를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각 단계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1, 4)와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사이의 통신 방법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를 통해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 및 사용자 장치(1, 4)와, 이들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는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100)의 전자지문을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의 사용자는 소재(100)를 이용하여 예술작품을 저작하는 작가일 수도 있으며, 소재(100)의 판매 사업자일 수도 있고, 또는 전자지문의 등록만을 대행하는 사업자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4)는 대상 예술작품(200)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로부터 독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예술작품(200)의 진품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 4)는 NFC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phone)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장치(1, 4)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1, 4)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기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또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1, 4)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소정의 웹 페이지(web pag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 4)를 이용하여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에 접속함으로써 소재(100)의 전자지문을 등록하거나 대상 예술작품(200)의 진품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기능부로 이루어진다.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각 부(31-36)는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각 부(31-36)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의 각 부(31-36) 및 이에 연관된 사용자 장치(1, 2)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서 도 2를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직 전자지문이 등록되지 않은 소재(100)를 이용하여 전자지문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촬영부(31), 지문 추출부(32) 및 지문 등록부(3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재는 예술작품의 저작을 위한 재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회화작품의 경우 캔버스(canvas)가 소재에 해당한다. 캔버스는 광목이나 천을 주 재료로 하며 선택적으로 그 위에 젯소(Gesso)를 덧칠하여 건조하거나 기타 도료를 칠한 후 건조시킨 것이다. 광목이나 천은 씨실과 날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각 실의 꼬임이나 끊어진 실의 연결 부분, 실의 흩어짐 등으로 인하여 마치 사람의 지문과 같이 각 캔버스마다 미세구조가 상이하고, 모양과 형태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하여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화하고 이를 통해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캔버스를 기준으로 하여 소재를 설명하나, 소재는 개별 제품별로 고유의 미세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자지문화가 가능한 임의의 물건일 수 있으며, 캔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화작품의 경우 천이나 한지 등의 종이가 소재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예작품의 경우 점토나 흙이 소재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지문 등록을 위하여, 먼저 촬영부(31)는 소재(100)의 일 부분의 미세구조를 촬영한다(S11). 이때 소재(100)는 이미 그림이 그려져 있는 상태의 캔버스일 수도 있고, 또는 아직 그림을 그리기 전 상태의 빈 캔버스일 수도 있다. 빈 캔버스의 경우, 캔버스 후면에서 강한 빛을 비추고 이에 의해 비추어지는 캔버스의 섬유조직을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그림이 그려져 있는 캔버스의 경우, 단순 촬영을 하게 되면 캔버스의 미세구조보다는 그 위에 그려진 물감 등이 보이게 되므로, 미세구조 획득을 위한 비파괴 방식으로서 X-선 또는 초음파를 캔버스 표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투과시켜 물감이 아닌 캔버스 자체의 섬유조직에 X-선 또는 초음파를 집속시켜 미세구조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캔버스의 재질에 따라서는 X-선 또는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도 빛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밝게 하여 캔버스 섬유조직의 미세구조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이때 빛이란 가시광선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낮의 태양광 밝기 정도인 10,000룩스(lux) 이상의 강한 빛을 비추어 캔버스의 섬유조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구조를 촬영하기 위한 빛의 밝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원리는 캔버스 외에도 한지나 흙 등 다른 예술작품의 소재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지문 추출부(32)는, 촬영부(31)에 의해 촬영된 미세구조를 전자지문화하기 위하여,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을 실시한다(S12).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에 따라 소재의 미세구조를 디지털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도 3a 및 3b를 더 참조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 단계 S12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캔버스를 구성하는 광목이나 천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씨실(401)과 복수의 날실(402)로 이루어진다. 이때, 씨실(401)과 날실(402)의 조합은 각 실의 꼬임이나 끊어진 실의 연결 부분, 실의 흩어짐이나 올의 풀림, 또는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각 부분마다 고유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지문 추출부(32)는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의 형상에 상응하여 복수 개의 단위 유닛(unit)(301)을 가진 그리드(grid)(300)를 생성함으로써 캔버스의 미세구조를 디지털화한다.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은 특정 밝기 값을 갖는다. 즉, 그리드(300)는 단위 유닛(301)을 하나의 단위 픽셀로 하는 비트맵 이미지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의 불규칙한 형상으로 인하여,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밝기는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캔버스의 후면으로부터 강한 빛을 비추면서 캔버스 전면에서 미세구조를 촬영하였을 때, 씨실(401)이나 날실(402)이 단위 유닛(301) 내의 상대적으로 많은 영역에 걸쳐있는 경우에는 해당 단위 유닛(301)은 씨실(401)이나 날실(402)에 의해 빛이 가려져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타날 것이다. 반대로, 씨실(401)이나 날실(402)이 단위 유닛(301) 내를 상대적으로 적게 통과하는 단위 유닛(301)의 경우에는 캔버스 후면의 빛이 상대적으로 많이 전면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단위 유닛(301)이 상대적으로 밝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촬영된 미세구조에서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에 해당하는 영역의 밝기 값을 산출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의 불규칙한 형상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여기서 디지털 변환 정보란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의 불규칙한 형상에 의하여 얻어지는 고유의 밝기 패턴을 의미한다. 촬영된 미세구조는 복수 개의 픽셀을 가진 이미지 형태일 수 있으므로, 이때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이란 단위 유닛(301)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픽셀들의 밝기 값의 총 합계 또는 해당 픽셀들의 밝기 값을 평균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드(300)가 가로 및 세로 각각 5개씩의 줄을 포함하는 단위 유닛(301)의 어레이 형태일 경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51 49 46 48 46
50 52 53 41 50
40 59 66 41 39
53 55 62 38 55
52 50 63 52 50
일 실시예에서는, 추후 수행될 위변조 판별 과정에서의 전자지문 대조의 신뢰성을 높이고 연산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해당 밝기 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또는 기준값 미만인지에 따라 각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을 이진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밝기 값을 1로 변환하고,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이 기준값 미만일 경우 밝기 값을 0으로 변환할 수 있다.
디지털 변환 정보의 이진 변환을 위한 기준값은 고정된 특정한 밝기 수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그리드(300)에 속한 픽셀들의 밝기 값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준값은 그리드(300)에 속한 모든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에 대한 평균값일 수 있다.
표 1에 도시한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에서, 이진값 변환을 위한 기준값이 50이라고 가정할 경우, 표 1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이 이진 패턴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1 0 0 0 0
1 1 1 0 1
0 1 1 0 0
1 1 1 0 1
1 1 1 1 1
이상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5 × 5의 간단한 구조를 가진 그리드(3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 그리드(3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전자지문을 얻기 위한 미세구조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설정하고, 해당 미세구조에 상응하는 그리드(300)에 포함될 각 단위 유닛(301)의 크기를 충분히 작게 설정함으로써,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의 불규칙한 형상에 의해 캔버스의 각 부분에 형성되는 고유의 형상을 고유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소재에서 미세구조가 상이한 영역은 상이한 디지털 변환 정보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는, 촬영된 미세구조를 참조하여 해당 미세구조의 고유 패턴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가로 길이(Lx) 및/또는 세로 길이(Ly)를 결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미세구조에서 씨실(401)과 날실(402)이 위치하는 부분은 캔버스 후면에서 조사되는 빛이 가려져 상대적으로 어둡게 나타난다. 따라서, 촬영된 미세구조에서 픽셀의 밝기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을 탐지함으로써 씨실(401)과 날실(402)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과정은 공지된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지문 추출부(32)는 촬영된 미세구조 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씨실(401)을 검출하고, 서로 인접한 씨실(401) 사이의 간격 및 각 씨실(401)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가로 길이(Lx)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가로 길이(Lx)는 서로 인접한 씨실(401) 사이의 간격을 평균한 값에 각 씨실(401)의 두께의 평균값을 더한 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문 추출부(32)는 촬영된 미세구조 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날실(402)을 검출하고, 서로 인접한 날실(402) 사이의 간격 및 각 날실(402)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세로 길이(Ly)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세로 길이(Ly)는 서로 인접한 날실(402) 사이의 간격을 평균한 값에 각 날실(402)의 두께의 평균값을 더한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된 미세구조의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해당 미세구조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그리드(300) 및 단위 유닛(301)이 설정된다. 예컨대, 씨실(401)과 날실(402)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격자의 한 칸이 하나의 단위 유닛(301)에 대략적으로 대응되도록 그리드(3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그리드(300)는 캔버스의 미세구조가 가지는 전체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동시에, 그리드(300)의 각 단위 유닛(301)의 밝기 값이라는 형태로 미세구조가 가지는 고유의 형상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캔버스의 고유한 미세구조를 고유의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세구조에 대한 별도의 이미지 처리 과정 없이 고정된 크기의 단위 유닛을 가지는 그리드를 적용하여 디지털 변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리드의 전체 크기 및/또는 그리드의 각 유닛 크기를 무작위로 설정하여 디지털 변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구조를 촬영한 이미지에 대해 디지털 정보 변환에 앞서 포스터라이즈(posterize) 효과를 부여하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포스터라이즈된 이미지를 대상으로, 도 3a 및 3b의 디지털 변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자지문을 얻을 수도 있다. 포스터라이즈 처리란, 이미지의 디지털 변환이 용이하도록 이미지의 각 픽셀 사이의 명암 대비(contrast) 값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효과는 공지된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들의 기능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도 4a 내지 4e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에 따라 소재의 미세구조를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각 단계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a는 미세구조를 촬영한 원본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4b 내지 4e는 각각 1단계, 2단계, 3단계 및 4단계의 포스터라이즈 처리를 수행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시되는 것과 같이, 포스터라이즈 효과를 부여할 때마다 이미지의 미세구조가 가지는 명암의 불균일성이 점차 강조되므로, 포스터라이즈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미세구조의 특징이 잘 반영된 전자지문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들에 따라서는 포스터라이즈 처리 없이 미세구조의 원본 이미지를 그대로 디지털 변환하여 전자지문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4e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씨실(401)과 날실(402)로 이루어지는 캔버스를 예로 들어 소재의 미세구조를 디지털 변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원리가 상이한 조직 구조를 가지는 다른 소재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캔버스의 미세구조에서 씨실(401)과 날실(402)은 밝기 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인자에 해당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미세구조에 상응하는 그리드(300)를 설정하고 단위 유닛(301)들의 밝기 패턴을 디지털 변환 정보로서 얻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구의 나뭇결, 한지의 배지(합지) 상태, 흙이나 점토의 뭉침 등 소재에 있어서 밝기 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임의의 다른 요소를 전술한 실시예의 씨실(401) 및 날실(402)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미세구조에 상응하는 그리드 및 단위 유닛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드(300)의 형상 역시 도 3에 도시된 격자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의 조직 구조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소재에 있어서 밝기 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란 가시광선 영역에 대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 그림이 그려져 있는 캔버스나, 또는 표구나 도자기류와 같이 가시광선이 투과하기 힘든 재질의 소재의 경우에는 X-선 또는 초음파를 소재 표면의 일정 깊이까지 투과시켜 소재의 미세구조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소재에 있어서 밝기 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란 X-선 또는 초음파의 흡수도 차이를 유발하는 임의의 조직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문 추출부(32)는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한다(S13). 또한, 지문 추출부(32)는 생성된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한다(S14). 고유번호란 전자지문을 생성한 소재(100)에 대응하여 부여되는 임의의 숫자 및/또는 문자열로서,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소재(100)의 유통 및 이를 이용한 예술작품의 저작 활동이나 판매 경과를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문 등록부(34)는, 지문 추출부(32)에 의해 얻어진 전자지문 및 고유번호를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한다(S16). 예를 들어, 빈 캔버스의 출고 시 지문 등록부(34)는 해당 캔버스에 상응하는 전자지문, 고유번호, 분류, 판매일, 규격 등을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는 전자지문은 소재(100)의 일 영역에만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소재(100)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각각의 전자지문을 모두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함으로써 소재(100)의 영역 전체의 전자지문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는 전자지문을 얻기 위하여 소재(100)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한 위치 및 크기, 그리드(300)의 크기, 및/또는 그리드(300)에 포함된 각 단위 유닛(301)의 크기 등의 부가 정보가 더 저장된다. 이러한 부가 정보는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에 의해서만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암호화 규약을 통하여 암호화되어, 전자지문에 대한 권원이 없는 제3자에 의한 모방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31)는 소재(100)의 특정 위치로부터 특정 크기의 미세구조를 촬영한다. 예를 들면, 소재(100)의 좌상단 모서리로부터 우측으로 5cm, 아래로 5cm 지점을 좌상단 모서리로 하는 가로 세로 5cm의 정사각형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지문 등록부(34)는 미세구조가 촬영된 위치와 미세구조의 크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자가 전자지문을 탈취하였다고 하더라도 미세구조가 어느 위치에서 어느 크기로 얻어진 것인지 알지 못하는 한 진품의 미세구조를 위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전자지문을 얻을 때마다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를 무작위로 변경할 경우, 제3자는 전자지문만을 탈취하더라도 해당 전자지문이 소재의 어느 부분에 어느 크기로 위치하는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모방품을 만들 수 없게 된다.
동일한 원리가 미세구조에 대응하여 생성된 그리드(300)의 전체 크기 및 그리드(300)에 포함된 각 단위 유닛(301)의 크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그리드(300)의 전체 크기 및 그리드(300)에 포함된 각 단위 유닛(301)의 크기도 전자지문에 대한 부가 정보로서 암호화되어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는 정보 자체도 암호화될 수 있다. 또한,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는 외부 장치에 의한 온라인(on-line) 접속이 불가능한 단독 서버로 구현되거나, 외부 장치에 의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1차 서버 및 외부 장치에 의한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한 2차 서버로 나누어 구현되어, 해킹(hacking) 등에 의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전자지문 정보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는 반드시 USB 등 직접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매체로부터 수신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정보를 등록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한 해킹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나아가,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는 직접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매체 연결 시에도 해당 매체에 대한 바이러스(virus) 또는 멀웨어(malware) 검사 등을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악의적인 데이터베이스 조작 가능성을 차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전자지문 및 고유번호를 등록할 뿐만 아니라,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세구조의 이미지 자체도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후 위변조 판별 시 고유번호 및/또는 전자지문에 의한 위변조 판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미세구조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변조 판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한 위변조 판별 과정은 공지된 이미지 처리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될 이미지는 도 4e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스터라이즈(posterize)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통신부(33)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33)는 미세구조를 촬영한 소재(100)가 이용된 예술작품에 대한 작품 정보를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S15), 이와 같이 수신된 작품 정보는 전술한 단계 S16에서 소재(100)의 전자지문 및 고유번호와 함께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저장될 수 있다. 작품 정보란, 예술작품에 대한 작가 이름, 작업일, 내역, 제목, 재료, 분류, 판매일, 규격, 간단한 설명, 출품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미세구조를 촬영한 소재(100)가 아직 그림을 그리지 않은 빈 캔버스일 경우, 캔버스의 전자지문 및 고유번호만을 먼저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하고, 해당 캔버스를 이용하여 저작된 작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은 추후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캔버스는 이의 전자지문과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한 후 공백 상태로 제품으로서 출고되며, 작가는 해당 캔버스를 구입하여 그림을 그리면서 작품의 저작 도중 또는 완성 후 등 임의의 시점에 직접 또는 대행 사업자를 통하여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에 작품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 경우 작품 정보는 작품에 대해 작가가 입력한 작성 의도나 후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예술작품 이전의 소재 유통 단계에서부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을 통한 작품 이력의 관리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태그 출력부(35)를 더 포함한다. 태그 출력부(35)는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를 출력한다(S17). 본 명세서에서 NFC 태그의 출력이란, 실제로 필름 등 용지에 NFC 태그를 인쇄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 장치(1)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NFC 태그를 인쇄할 수 있도록 NFC 태그에 기록되기 위한 정보만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소재(100)의 전자지문을 등록한 사용자는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를 소재(100)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캔버스에서 작품을 훼손하지 않는 나무틀 등의 안쪽을 일부분 깎아 내고 그 안에 NFC 태그를 봉인하거나, 또는 캔버스의 표면상에 NFC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가 봉인된 위치에 전자지문의 고유번호나 봉인 표식 등을 각인할 수도 있다. 캔버스 외에 표구, 한지, 도자기 등 다른 작품 소재에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NFC 태그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NFC 태그는, 빈 캔버스를 구입하여 작품을 저작하는 작가가 작품 정보를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에 등록하고자 할 때, 또는 대상 예술작품(200)으로부터 NFC 태그를 판독하여 작품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자 할 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NFC 태그에 기록되는 정보는 미세구조를 촬영한 소재(100)와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는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에는 소재(100)의 전체 영역의 전자지문들을 모두 등록하되, NFC 태그에는 소재(100)의 특정 일부 영역에만 해당하는 전자지문만을 기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령 제3자가 NFC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전자지문을 얻어내는 데에 성공하고 모방품을 제작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모방품의 전체 영역으로부터 전자지문을 얻고 이를 데이터베이스(340)에 사전 등록된 전체 영역의 전자지문과 비교하게 되면 위작임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NFC 태그에 기록되는 정보는 도 4a 내지 4e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전자지문으로 변환된 미세구조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NFC 태그에 기록되는 정보는 작품에 관련된 작가 이름, 작업일, 내역, 제목, 재료, 분류, 판매일, 규격, 간단한 설명, 출품 내역 등 작품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작품 정보를 NFC 태그에 기록하게 되면, NFC 태그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변조 판별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전시 시 관람객이 자신의 스마트폰(smartphone)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NFC 태그를 태그하여 작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등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나아가, NFC 태그에 기록되는 정보는 소재(100)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한 위치 및 크기, 그리드(300)의 크기, 및/또는 그리드(300)에 포함된 각 단위 유닛(301)의 크기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소재(100)의 전자지문에 대한 고유번호를 소재(100) 자체에 기록한다. 고유번호는 소재(100) 중에서 분리 가능하지 않은 위치에 기록하여, 소재(100)를 이용한 예술작품의 유통 시 고유번호가 항상 발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캔버스의 경우 광목 부분이 아닌 캔버스의 나무 틀에서 특정 위치에 고유번호를 각인할 수 있다. 또는, 캔버스의 광목 부분에 작가 또는 다른 사람이 고유번호를 물감 등으로 기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캔버스의 전면에는 작가가 작품을 작성하도록 하, 캔버스의 뒷면에 고유번호를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소재(100)에 고유번호를 각인 또는 기록하는 위치는 복수 개로 하여,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는 고유번호가 훼손되더라도 다른 위치로부터 고유번호를 파악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복수 개의 위치에 있는 고유번호가 모두 훼손되어 있는 경우라면, 고유번호를 이용한 위변조 판별 과정을 수행해보지 않더라도 누군가의 악의적인 목적에 의하여 고유번호가 훼손된 것임을 충분히 의심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고유번호를 복수의 위치에 각인 또는 기록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소재(100)를 이용한 예술작품이 유통되는 과정에서 소재(100)에 봉인되어 있던 NFC 태그가 분실되거나 또는 악의적인 목적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소재(100) 자체에 각인 또는 기입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340)의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위변조 판별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품 여부를 알지 못하는 대상 예술작품(200)의 위변조를 판별하고자 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통신부(33), 지문 등록부(34) 및 위변조 판별부(36)를 포함한다.
대상 예술작품(200)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대상 예술작품(200)의 소재나 상기 소재에 예술작품(200)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S21), 독출된 정보를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의 통신부(33)에 전송할 수 있다(S22). 예를 들어, 독출된 정보란 대상 예술작품(200)의 소재에 각인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사용자가 확인 후 기입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대상 예술작품(200)에 고정되어 있는 NFC 태그를 독출한 정보일 수도 있다.
NFC 태그를 독출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4)를 이용하여 NFC 태그로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사용자 장치(4)로부터 통신부(33)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NFC 태그를 독출하는 과정은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에 구비된 독출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신부(33)는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상기 독출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단계 S21 및 S22는 생략될 수 있다.
위변조 판별부(36)에서는, 예술작품(200)의 소재 또는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지문 등록부(34)의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정보와 비교한다(S23). 위변조 판별을 위한 감정은 비교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차수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감정으로서, 위변조 판별부(36)에서는 예술작품(200)의 소재 또는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예술작품(200)의 소재 또는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고유번호가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의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대상 예술작품(200)이 위작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1차 감정에 있어서, NFC 태그 및 데이터베이스(340)에 작품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이를 더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예술작품(200)의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고유번호 및 작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의 대응되는 정보와 비교하여,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고유번호는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으나 이에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작품 정보가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정보와 상이할 경우, 또는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작품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으나 이에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고유번호가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고유번호와 상이할 경우, 대상 예술작품(200)이 위작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2차 감정으로서, 위변조 판별부(36)에서는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전자지문을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전자지문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지문을 비교하는 과정은, 데이터베이스(340)에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 그리드의 크기, 그리드의 각 단위 유닛 크기 등을 복호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지문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대상 예술작품(200)의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전자지문과 상이할 경우, 대상 예술작품(200)이 위작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전자지문이 각각 소재의 서로 상이한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복수 개일 경우,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복수 개의 전자지문을 각각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동일한 영역의 전자지문과 비교하여,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복수 개의 전자지문 중 어느 하나라도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동일한 영역의 전자지문과 상이한 것이 있을 경우 대상 예술작품(200)이 위작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변조 판별부(36)는, 전술한 비교의 결과를 대상 예술작품(200)의 위변조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4)에 전송한다(S24). 따라서, 사용자 장치(4)의 사용자는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대상 예술작품(200)의 위변조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2차 감정 과정의 일부로서,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세구조의 이미지가 NFC 태그 및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위변조 판별부(36)에서는 NFC 태그로부터 독출한 미세구조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된 미세구조 이미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대상 예술작품(200)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일치 여부의 확인 과정은 컴퓨터를 통한 이미지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NFC 태그 및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는 미세구조 이미지는 포스터라이즈(posterize) 처리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한편, 3차 감정으로서 NFC 태그의 전자지문에 의존하지 않는 추가 감정을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3)은 촬영부(31)를 더 포함한다. 촬영부(31)는 대상 예술작품(200)의 미세구조를 촬영한다(S25).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미세구조 촬영 단계(S11)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위변조 판별부(36)는 촬영부(31)에 의해 촬영된 미세구조를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지문과 비교할 수 있다(S26). 비교 과정은, 촬영부(31)에 의해 촬영된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자지문과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지문을 대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3차 감정은 대상 예술작품(200)에 사용된 소재의 전체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복수 개의 전자지문을 얻음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차 감정과 관련하여 촬영부(31)에 의한 촬영 과정 및 촬영된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전자지문과 관련하여 부가 정보로서 NFC 태그 또는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는 미세구조 촬영 위치 및 크기, 그리드의 크기, 및/또는 그리드에 포함된 각 단위 유닛의 크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예술작품(200)의 소재 또는 NFC 태그로부터 확인한 고유번호로 데이터베이스(340)를 조회하여 대상 예술작품(200)의 전자지문에 관련된 위의 부가 정보를 확인하고, 대상 예술작품(200)의 소재에서 이전의 전자지문 등록 시와 동일한 위치를 촬영 후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지문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베이스(340)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지문과 대조함으로써 3차 감정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및 2차 감정과 마찬가지로, 위변조 판별부(36)는, 전술한 비교의 결과를 대상 예술작품(200)의 위변조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4)에 전송할 수 있다(S27).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의하면,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미세구조를 전자지문으로 변환하여 관리함으로써 해당 소재가 이용된 예술작품이 위조 또는 변조된 모방품이 아니라 진품이 맞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지문에는 예술작품 소재로부터 미세구조를 추출한 위치나 크기 등 관련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어 제3자가 전자지문을 모방하여 가품을 진품으로 위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지문을 이용함으로써 빅데이터(big data) 기술을 활용한 전방위적 예술작품의 등록 및 조회 관리가 가능하여, 기존 유명 작품의 위작 논란을 없앨 수 있는 한편, 신진 작가의 작품 또한 위작의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방법 또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지문 관리 방법 또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
    촬영된 상기 미세구조로부터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지문 추출부;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상호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구성된 지문 등록부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기록하며 상기 소재에 고정되기 위한 NFC 태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태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투과하기 위한 X-선, 초음파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 이상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각각 밝기 값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 상기 그리드의 크기, 또는 상기 그리드의 각 단위 유닛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암호화한 정보를 더 저장하도록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에 연관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문 등록부는, 상기 작품 정보를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도록 더 구성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7.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촬영된 상기 미세구조로부터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전자지문에 상응하는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상호 연관시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를 기록하며 상기 소재에 고정되기 위한 NFC 태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투과하기 위한 X-선, 초음파 또는 미리 설정된 밝기 이상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는 각각 밝기 값을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유닛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구조의 촬영 위치 및 크기, 상기 그리드의 크기, 또는 상기 그리드의 각 단위 유닛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암호화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예술작품에 연관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품 정보를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의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 및 상기 전자지문의 고유번호가 상호 연관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지문 등록부;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 또는 상기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위변조 판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변조 판별부에 의한 비교 결과를 상기 대상 예술작품의 위변조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소재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 또는 전자지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된 작품 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통신부에 수신된 정보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품 정보와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전자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촬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변조 판별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미세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도록 더 구성된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20.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이,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 또는 상기 소재에 고정된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정보를, 예술작품에 사용되었거나 사용되기 위한 소재의 일 부분의 미세구조의 디지털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지문 및 상기 전자지문의 고유번호가 상호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결과를 상기 대상 예술작품의 위변조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고유번호 또는 전자지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전자지문 및 상기 고유번호와 연관된 작품 정보가 더 저장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작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품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NFC 태그로부터 독출된 전자지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예술작품에 사용된 소재의 일 부분으로부터 미세구조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된 미세구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자지문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2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을 실행하도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28837A 2017-03-07 2017-03-07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0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7A KR101905416B1 (ko) 2017-03-07 2017-03-07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6/491,472 US20200247171A1 (en) 2017-03-07 2018-03-02 Electronic fingerpri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rtwork forgery/falsification, method for detecting forgery/falsification of artwork,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CN201880030380.XA CN110603561B (zh) 2017-03-07 2018-03-02 防止艺术作品伪造变造的电子指纹管理系统及方法
PCT/KR2018/002515 WO2018164416A1 (ko) 2017-03-07 2018-03-02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7A KR101905416B1 (ko) 2017-03-07 2017-03-07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20A Division KR102027455B1 (ko) 2018-09-28 2018-09-28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44A true KR20180102344A (ko) 2018-09-17
KR101905416B1 KR101905416B1 (ko) 2018-10-08

Family

ID=6344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37A KR101905416B1 (ko) 2017-03-07 2017-03-07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47171A1 (ko)
KR (1) KR101905416B1 (ko)
CN (1) CN110603561B (ko)
WO (1) WO2018164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5878A (zh) * 2018-12-24 2019-04-16 山东环渤海艺术大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书画保真鉴定方法及装置
CN114817614A (zh) * 2022-05-18 2022-07-29 深圳市高光谱新技术有限公司 防伪标记的生成方法、识别方法和生成系统、识别系统、智能终端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289A (ko) * 2009-03-09 2010-09-17 최용호 미술품의 등기 방법과 그 시스템 및 미술품의 등기 모듈
DE102009023756B4 (de) * 2009-05-20 2012-05-31 Werner Scholzen Verfahren zum Herkunftsnachweis und zur Urheberschaft von Bildern
KR20130141403A (ko) * 2013-08-14 2013-12-26 (주) 지에스이 미술품의 특성을 이용한 미술품 감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3752A (ko) * 2015-04-17 2016-10-26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자치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KR101759247B1 (ko) * 2015-06-15 2017-07-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학적 특성 분석을 이용한 미술품의 진위감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03561B (zh) 2023-11-03
US20200247171A1 (en) 2020-08-06
KR101905416B1 (ko) 2018-10-08
WO2018164416A1 (ko) 2018-09-13
CN110603561A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0510B2 (en) Storing anonymized identifiers instead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US11349666B2 (en) Electronically signing and distributing identification data as a service that provides proof of identity, integrity, validity and origin of data for non-repudiation and ID validation methods
CN102663600B (zh) 基于数字水印和条码的防伪系统及其防伪方法和应用
US91530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e document
US2011005363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thenticating a product and a two-dimensional code and novel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code
US11430234B2 (en) Method of authentication using surface paper texture
CN103761799A (zh) 一种基于纹理图像特征的票据防伪方法和装置
US201702002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physical features on identification documents
AU2016360852B2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nd/or checking the integrity of a subject
CN106408063A (zh) 打印介质及其生成方法和扫描方法和标签
JP2017532696A (ja) ランダムセキュリティ機能を登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認証システム
LU93381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amper proofing documents and embedding data in a biometric identifier
TW201705043A (zh) 利用識別用代碼圖形確認客體真偽與否的方法及執行該方法的裝置
KR101905416B1 (ko)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3015898A (ja) 真贋判定支援装置、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支援プログラム、及び真贋判定プログラム
CN104239928B (zh) 一种防伪印刷品以及对应的防伪方法
JP2017021603A (ja) 正当性確認装置、方法、媒体発行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982606A (zh) 一种利用物理特征识别的防伪方法和系统
WO2020251380A1 (pt) Método para a validação da autenticidade de uma imagem presente em um objeto, objeto com nível de segurança intensificado e o seu método de preparo, aparelho computacional, programas de computador e meio de leitura adaptados
CN109409466B (zh) 动态防伪物理签章的生成核查方法及系统
KR102027455B1 (ko) 예술작품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지문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예술작품의 위변조 판별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998090B2 (ja) 画像照合装置、画像照合方法、画像照合プログラム
CN104123105A (zh) 印刷打印数字水印嵌入技术
CN109313701A (zh) 用于生成对象的真实性的度量的方法、成像装置和系统
JP2012212287A (ja) 個体識別装置、個体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