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339A -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339A
KR20180102339A KR1020170028821A KR20170028821A KR20180102339A KR 20180102339 A KR20180102339 A KR 20180102339A KR 1020170028821 A KR1020170028821 A KR 1020170028821A KR 20170028821 A KR20170028821 A KR 20170028821A KR 20180102339 A KR20180102339 A KR 2018010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risk
unit
information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998B1 (ko
Inventor
곽필재
강재모
최창호
김진영
박상혁
박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ewag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주행부, 영상 획득부, 손상 정보 획득부, 관로 건전도 산출부, 배면 공동 탐지부, 공동 위험 평가부, 위험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주행부는 하수도 관로 내부를 주행하고, 영상 획득부는 주행부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내측의 서로 다른 영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손상 정보 획득부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하수도 관로 내부의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를 획득하고, 관로 건전도 산출부는 손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하수도 관로 건전도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건전도를 산출하고, 배면 공동 탐지부는 주행부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배면의 공동을 탐지하여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고, 공동 위험 평가부는 배면 공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배면 공동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산출하며, 위험도 산출부는 하수도 관로 건전도와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한다.

Description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GROUND SUBSIDENCE RISK OF SEWER PIPE SURROUNDING GROUN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지반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싱크홀(sing hole)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역에서는 상하수도 관로 또는 지하철 선로에 관련되어 싱크홀이 다수 발생하고 있는데, 발생지역의 특수성으로 인해 피해액이 커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싱크홀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시도는 이전부터 계속되고 왔으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 제2008-135526호나,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68680호 등에서는 싱크홀 발생의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들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지진에 기초한 지반 붕괴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술들로서, 상하수도 관로에 관련되어 발생하는 지반함몰 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측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은 주행부, 영상 획득부, 손상 정보 획득부, 관로 건전도 산출부, 배면 공동 탐지부, 공동 위험 평가부, 및 위험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주행부는 하수도 관로 내부를 주행하고, 복수의 영상 획득부는 주행부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내측의 서로 다른 영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손상 정보 획득부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하수도 관로 내부의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를 획득하고, 관로 건전도 산출부는 손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하수도 관로 건전도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건전도를 산출하고, 배면 공동 탐지부는 주행부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배면의 공동을 탐지하여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고, 공동 위험 평가부는 배면 공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배면 공동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산출하며, 위험도 산출부는 하수도 관로 건전도와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수도 관로 내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와 하수도 관로 배면 공동 탐지 정보를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영상 획득부는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영상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수관로 분석을 위해 근접 촬영된 하수도 관로 내측면 영상과 함께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상 정보 획득부는 CCTV 영상의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자막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CCTV 영상뿐만 아니라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자막 정보까지 하수관로 분석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부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수도 관로의 손상이나 배면 공동의 존재나 상태는 물론 그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상 정보 획득부는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가 획득되는 영상 획득 영역에 대해 배면 공동 탐지부가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면 공동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배면 공동의 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도 관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부, 및 입력된 상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상태 양호도를 산출하는 관로 상태 평가부를 더 포함하며, 위험도 산출부는 관로의 상태 양호도를 더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존에 확보되어 있는 하수도 관로 관련 자료 및 운영 관리자들의 의견을 활용하여 지반함몰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태 데이터 기준은 하수도 관로의 관종, 관 직경, 매설년도, 배수 형태, 매설 주변 도로 현황, 유지 관리 이력,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도 관로 내부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와 배면 공동 탐지 정보를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관로 분석을 위해 근접 촬영된 하수도 관로 내측면 영상과 함께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CCTV 영상뿐만 아니라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자막 정보까지 하수관로 분석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도 관로의 손상이나 배면 공동의 존재나 상태는 물론 그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면 공동의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배면 공동의 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확보되어 있는 하수도 관로 관련 자료 및 운영 관리자들의 의견을 활용하여 지반함몰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하수도 관로 상태 평가표의 예.
도 3은 상태 평가 점수에 따른 등급 및 판단 기준표의 예.
도 4는 하수도 관로 상태 평가 결과가 지반함몰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표의 예.
도 5는 하수도 관로의 상태 평가, 건전도 평가 및 배면 공동 여부가 지반함몰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표의 예.
도 6은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표의 예.
도 7은 Sewer-SRI의 평가 기준표의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100)은 주행부(110), 영상 획득부(120), 손상 정보 획득부(130), 관로 건전도 산출부(140), 배면 공동 탐지부(150), 공동 위험 평가부(160), 위치 정보 획득부(170),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부(180), 관로 상태 평가부(190), 및 위험도 산출부(200)를 포함하며, 영상 획득부(120)는 다시 CCTV 영상 획득부(122), 손상 정보 획득부(130)는 자막 정보 추출부(132)를 각각 포함한다.
도 1에서,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만으로 구현될 수 있겠지만,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함께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주행부(110)는 하수도 관로 내부를 주행한다. 이를 위해, 주행부(110)는 하수 관종 및 환경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00mm ~ 1200mm 하수도 관로를 주행할 수 있는 무인 주행 주행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획득부(120)는 주행부(110)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내측의 서로 다른 영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120)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구현되며, 사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개가 주행 중 하수도 관로 내측면 서로 다른 영역의 이미지를 각각 촬영한다. 예를 들어, 200만 화소 이상의 카메라 4대로 구현되어 하수관로 내면의 파노라마 이미지를 각각 촬영하여 미세균열 0.3mm를 감지할 수 있다.
CCTV 영상 획득부(122)는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수관로 분석을 위해 근접 촬영된 하수도 관로 내측면 영상과 함께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손상 정보 획득부(130)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하수도 관로 내부의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를 획득한다.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는 지반 침하 위험도를 추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정보로서, 하수도 관로의 단차, 균열, 파손 등의 정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손상 유형별로 DB에 저장될 수 있다.
손상 정보 획득부(130)는 영상 획득부(120)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DB에 저장된 손상 유형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에 대한 손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막 정보 추출부(132)는 CCTV 영상의 자막 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CCTV 영상뿐만 아니라 영상과 함께 출력되는 자막 정보까지 하수관로 분석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관로 건전도 산출부(140)는 획득된 자막 정보 및 손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하수도 관로 건전도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건전도를 산출한다.
배면 공동 탐지부(150)는 주행부(110)에 탑재되어 하수도 관로 배면의 공동을 탐지하여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한다. 지표면에서 실시하는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로 하수 관로 주변의 공동을 적절히 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수관로 내부에서의 직접적인 탐사를 통해 공동 탐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배면 공동 탐지부(150)는 하수 관종 및 환경 조건에 최적화되어 하수관로 배면의 공동의 위치, 규모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GPR 탐사에 다양한 주파수(500MHz ~ 2GHz) 대역을 이용한 적용성을 확보하며, 관로 주변 1m 이내 공동을 탐지할 수 있다.
공동 위험 평가부(160)는 배면 공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배면 공동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170)는 주행부(110)의 위치를 획득한다. UWB를 이용하여 관로 내의 정밀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하수관로 탐사장치 위치인식 오차율을 30cm 이내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수도 관로의 손상, 배면 공동의 존재나 상태는 물론 그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손상 정보 획득부(130)는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가 획득되는 영상 획득 영역에 대해 배면 공동 탐지부(150)가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CCTV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곳에서 관내 GPR탐지를 통해 지반함몰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부(180)는 하수도 관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기존에 확보되어 있는 하수관로 관련 데이터 및 하수관로(운영&관리)관련 기술자의 의견 등을 반영하여 하수도 서비스 측면에서의 대상관로 구간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종, 관경, 매설년수, 배수형태, 주변도로 현황, 이력정보 등의 하수관로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반영한 총 6개의 세부평가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6개 항목은 다음과 같다.
관종 : 흄관, PE관, 다중 PE관 (3개 항목)
관경 : 300mm 이하, 300mm 초과 450mm 미만, 450mm 이상(3개 항목)
매설연도 : 흄관(0~10년 미만, 10년 이상~20년 미만 또는 불명확, 20년 이상, 흄관 외(0~10년 미만, 10년 이상~30년 미만 또는 불명확, 30년 이상) (각 3개 항목)
배수형태 : 오수관, 합류식, 우수관(3개 항목)
주변도로 : 관 매설 주변도로 현황(무차원) (1개 항목)
유지관리 관련 : 매설관 이력정보(무차원) (1개 항목)
관로 상태 평가부(190)는 입력된 상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 기준과 비교하여 하수도 관로의 상태 양호도를 산출한다. 이때, 상태 데이터 기준은 하수도 관로의 관종, 관 직경, 매설년도, 배수 형태, 매설 주변 도로 현황, 유지 관리 이력,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양호도 평가점수는 100점(만점)으로 산정되고, 고득점일수록 관 상태가 양호하다고 평가될 수 있다. 도출된 최종 평가점수 및 평가등급에 따라 대상관로 구간에 대한 개량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상태 평가를 위한 항목, 내용 조건 및 점수표는 도 2와 같다. 도 2는 하수도 관로 상태평가표의 예이다. 평가 점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A : 기초 평가 점수
n : 기초 평가항목 개수(n=6)
x : 기초 평가항목별 점수
[가중치(A) × 조건값(B) × 100점(환산점수)]
하수도관로의 상태평가 결과는 유지관리를 위한 개량의사 결정을 위한 것으로 평가점수(총점)에 따라 ①양호(존치) ②갱생/세척 ③교체로 분류된다.
평가점수에 따른 상태평가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은 상태 평가 점수에 따른 등급 및 판단 기준표의 예이다.
하수도관로가 노후하여 물리적으로 파손의 위험이 있거나 다양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교체가 필요하다. 즉, 하수관로의 상태평가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하수관로 상태평가 및 측정된 정보로부터의 직접평가가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Sewer-Sinkhole Risk index; Sewer-SRI)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하수도 관로 상태 평가 결과가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표의 예이고, 도 5는 하수도 관로의 상태 평가, 건전도 평가 및 배면 공동 여부가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표의 예이다.
위험도 산출부(200)는 하수도 관로 건전도,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 및 상태 양호도를 이용하여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하수관로의 상태평가 결과와 직접평가인 CCTV 영상 분석 및 GPR 탐지 결과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이다.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Sewer-SRI)의 산정을 위한 평가표는 도 6과 같다. 도 6은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표의 예이다. Sewer-SRI의 평가 점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Sewer-SRIp = Sewer-SRI 평가 점수
n = 평가항목 개수
x = 평가항목별 점수[가중치 × 조건값 × 100점(환산점수)]
Sewer-SRI의 평가 등급은 도 7과 같다. 도 7은 Sewer-SRI의 평가 기준표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서, SRI(Sinkhole Risk Index)평가 장치에 의한 SRI 평가 방법은 지중 매설 관로의 상태를 평가하여 평가값을 산출하고(S110), 관로 내측 영상을 이용하여 관로 손상 평가하여 평가값을 산출하며(S120), 관로 배면 공동을 평가하여 평가값을 값을 산출한다(S130). 그리고, 산출된 세가지 평가값에 기반하여 관로 주변의 싱크홀 위험 지수(SRI)를 평가한다(S140).
위와 같은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하여 관로에 대한 기초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관로에 대한 기본 정보로 관로가 매설된 지역정보, 관로의 종류(금속/비금속 여부, 세부관종(ex, 덕타일주철관 등)) 관경, 관 연장길이, 매설년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관로의 구간을 한정하는 필터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필터링 기준으로 법적으로 사용 금지된 관인지 여부(ex, 아연도강관 등), 라이닝 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관의 사용 여부(CIP) 등 및 그 외 법규나 규율 또는 판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 또는 상수도 수질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관인지 여부가 사용될 수 있다.
SRI 평가 방법은 상수도 관로와 하수도 관로에 대하여 각각 다른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하수도 관로에서의 SRI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서, 하수도 관로 상태 평가표에는 관종과 배수 형태에 대한 세부 평가 항목이 포함된다. 관종은 흉관인 경우 ‘A’로, PE관인 경우 ‘B’로, 다중 PE관인 경우 'C'로 평가될 수 있다. 배수 형태는 오수관인 경우 ‘A’로, 합류식 배수인 경우 ‘B’로, 우수관인 경우 'C'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수관로의 상태평가 결과와 직접평가인 CCTV 영상 분석 및 GPR 탐지 결과를 이용하여, 하수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Sewer-SRI)를 산정하게 된다.
앞서 설명된 일 실시 예에 따른 SRI 평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에 따라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앞선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참조된 도면 각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각 도면에 표시된 정보들의 항목, 내용과 이미지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110: 주행부
120: 영상 획득부
122: CCTV 영상 획득부
130: 손상 정보 획득부
132: 자막 정보 추출부
140: 관로 건전도 산출부
150: 배면 공동 탐지부
160: 공동 위험 평가부
170: 위치 정보 획득부
180: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부
190: 관로 상태 평가부
200: 위험도 산출부

Claims (15)

  1. 하수도 관로 내부를 주행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탑재되어 상기 하수도 관로 내측의 서로 다른 영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복수의 영상 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하수도 관로 내부의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를 획득하는 손상 정보 획득부;
    상기 손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하수도 관로 건전도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건전도를 산출하는 관로 건전도 산출부;
    상기 주행부에 탑재되어 상기 하수도 관로 배면의 공동을 탐지하여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는 배면 공동 탐지부;
    상기 배면 공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배면 공동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산출하는 공동 위험 평가부; 및
    상기 하수도 관로 건전도와 상기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이용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획득하는 CCTV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상 정보 획득부는 상기 CCTV 영상의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자막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상 정보 획득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가 획득되는 영상 획득 영역에 대해 상기 배면 공동 탐지부가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 관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상태 양호도를 산출하는 관로 상태 평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도 산출부는 상기 상태 양호도를 더 이용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기준은 상기 하수도 관로의 관종, 관 직경, 매설년도, 배수 형태, 매설 주변 도로 현황, 유지 관리 이력,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8.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이,
    하수도 관로 내부를 주행하는 주행부상에서 상기 하수도 관로 내측의 서로 다른 영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하수도 관로 내부의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를 획득하는 손상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손상 정보를 미리 설정된 하수도 관로 건전도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건전도를 산출하는 관로 건전도 산출 단계;
    상기 하수도 관로 배면의 공동을 탐지하여 배면 공동 정보를 획득하는 배면 공동 탐지 단계;
    상기 배면 공동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배면 공동 평가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산출하는 공동 위험 평가 단계; 및
    상기 하수도 관로 건전도와 상기 하수도 관로의 배면 공동 위험도를 이용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하수도 관로 내부의 CCTV 영상을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상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CCTV 영상의 자막 정보를 추출하는 자막 정보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위치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손상 정보 획득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손상 정보가 획득되는 영상 획득 영역에 대해 상기 배면 공동 탐지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 관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관로 상태 데이터 입력 단계;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상태 데이터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의 상태 양호도를 산출하는 관로 상태 평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험도 산출 단계는 상기 상태 양호도를 더 이용하여 상기 하수도 관로 주변의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 기준은 상기 하수도 관로의 관종, 관 직경, 매설년도, 배수 형태, 매설 주변 도로 현황, 유지 관리 이력, 시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방법.
  15.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70028821A 2017-03-07 2017-03-07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90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21A KR101909998B1 (ko) 2017-03-07 2017-03-07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21A KR101909998B1 (ko) 2017-03-07 2017-03-07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339A true KR20180102339A (ko) 2018-09-17
KR101909998B1 KR101909998B1 (ko) 2018-10-19

Family

ID=6372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21A KR101909998B1 (ko) 2017-03-07 2017-03-07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46A (ko) * 2019-06-21 2020-12-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반의 대변형을 고려한 지반함몰 해석 방법 및 장치
CN117541234A (zh) * 2023-12-04 2024-02-09 南京新鸿运物业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工程维修诊断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19B1 (ko) 2020-01-30 2021-06-01 임도형 도로함몰피해지수 산정 및 이를 이용한 공동관리기준 도출방법
KR20240064368A (ko) 2022-11-04 2024-05-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하매설물 특성을 활용한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100B2 (ja) * 2013-11-07 2018-08-29 株式会社環境総合テクノス 3次元路面下診断システムおよび3次元路面下診断方法
KR101557865B1 (ko) * 2015-05-27 2015-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수관로의 cctv 데이터 및 상부지반의 gpr 데이터를 이용한 지반침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46A (ko) * 2019-06-21 2020-12-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반의 대변형을 고려한 지반함몰 해석 방법 및 장치
CN117541234A (zh) * 2023-12-04 2024-02-09 南京新鸿运物业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工程维修诊断系统和方法
CN117541234B (zh) * 2023-12-04 2024-04-26 南京新鸿运物业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工程维修诊断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998B1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998B1 (ko) 하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8973B1 (ko) 딥러닝 기반의 하수도관 내부 결함 탐지 장치 및 방법
Li et al. Long-distance precision inspection method for bridge cracks with image processing
CN103075641B (zh) 非接触式管道磁检测方法
KR101928557B1 (ko) 상수도 관로 주변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57865B1 (ko) 하수관로의 cctv 데이터 및 상부지반의 gpr 데이터를 이용한 지반침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7078B1 (ko) 비전을 이용한 지중관로의 곡률 측정 및 맵핑 방법
KR101913747B1 (ko) 지하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Gokhale et al. A new development in locating leaks in sanitary sewers
Romanova et al. Sewer inspection and comparison of acoustic and CCTV methods
Wang et al. A combined approach to characterization of dent with metal loss
RU2294482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 обнаружения дефектов на трубопроводах из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20150066391A1 (en) Methods for characterizing dents in pipelines
Ebrahimi et al. Automated condition assessment of sanitary sewer pipes using LiDAR inspection data
RU2301941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дефектов внутрипромыслов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104122323A (zh) 非磁化管道内检测方法
Abdel-Aleem et al. Multisensor data fusion for the simultaneous location and condition assessment of underground water pipelines
Foria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visual inspection of heritage railways tunnels: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ology
Metje et al. Improved underground utilities asset management–assessing the impact of the UK utility survey standard (PAS128)
Jaw Urban underground pipelines mapping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DeBoda et al. Benefits of PACP® version 7.0 update NASSCO
CN109737308B (zh) 基于lbs和大数据的油气管道打孔盗油监视分析方法
Stanić et al. Potential of laser scanning for assessing structural condition and physical roughness of concrete sewer pipes
RU2506581C2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й магнитометрии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Yan et al. Method for rapid detection and treatment of cracks in tunnel lining based on deep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