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254A - 챗 커머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챗 커머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254A
KR20180102254A KR1020170028591A KR20170028591A KR20180102254A KR 20180102254 A KR20180102254 A KR 20180102254A KR 1020170028591 A KR1020170028591 A KR 1020170028591A KR 20170028591 A KR20170028591 A KR 20170028591A KR 20180102254 A KR20180102254 A KR 2018010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t
chat window
background screen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2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2254A/ko
Publication of KR2018010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챗 커머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Chat Commerce)를 위한 채팅방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챗 커머스를 위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챗 커머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hat Commerce}
본 발명은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판매자와 사용자가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판매할 물품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판매자와 구매자 간 상호 채팅을 통해 제품을 거래하는 전자상거래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특허공개공보 특2001-0094138(2001년10월31일), 특허공개공보 특2001-0090207(2001년10월18일))
이러한 종래의 채팅 기반 전자상거래 방식은 채팅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여 실시간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지만, 구매자가 제품 선택이나 상품정보 확인 내지 구매/결제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오래전부터 채팅 기반 전자상거래 방식이 제안되었음에도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판매자와 사용자가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Chat Commerce)를 위한 채팅방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챗 커머스를 위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의 입장경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패턴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지정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터치 조작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통해 상품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통해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특정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상태 변경은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확대/축소 변경,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회전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상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는 N(N≥1)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으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제공하고,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제n(1≤n≤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챗 커머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가 출력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거나 사용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요청 확인 시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판매자와 사용자가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한 후 일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이 변경된 경우 이를 다른 일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상세히 검토하면서 채팅할 수 있고, 판매자도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사용자와 채팅하면서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궁금해하고 어떤 의도로 질의하는지 실시간 파악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배경화면을 이용한 챗 커머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한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판매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배경화면을 이용한 챗 커머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판매자와 사용자가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배경화면을 이용한 챗 커머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챗 커머스(Chat Commerce)를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60)과,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챗 커머스를 위해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70)를 더 포함하며, 챗 커머스와 연계된 상거래를 제공하는 상거래서버(155), 챗 커머스와 연계된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서버(180)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60)은 챗 커머스를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컴퓨터 등의 유선단말,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사용자 무선단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사용자 단말(16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사용자 무선단말(160)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160)은 챗 커머스의 매개체인 채팅을 지원하기 위한 소정의 앱(Application)을 설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 단말(160)은 상기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에 입장하여 채팅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채팅 앱(165)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은 웹을 통해 입장 가능한 웹 기반 채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60)은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한 브라우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60)의 브라우져로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한 페이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사용자 무선단말(160)에 채팅 앱(165)을 설치 실행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판매자 단말(170)은 챗 커머스를 위해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총칭으로서, 판매자가 이용하는 개인컴퓨터 등의 유선단말, 판매자가 이용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판매자 무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판매자 단말(17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판매자 무선단말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판매자 단말(170)은 챗 커머스의 매개체인 채팅을 지원하기 위한 소정의 앱을 설치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판매자 단말(170)은 상기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에 입장하여 채팅 가능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채팅 앱(175)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은 웹을 통해 입장 가능한 웹 기반 채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판매자 단말(170)은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한 브라우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해 접속하는 판매자 단말(170)의 브라우져로 상기 웹 기반 채팅을 위한 페이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판매자 무선단말에 채팅 앱(175)을 설치 실행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상거래서버(155)는 채팅을 매개로 하여 제공되는 챗 커머스와 연계된 상거래를 제공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쇼핑몰서버나 오픈마켓서버 등과 같이 유/무선 상거래를 제공하는 쇼핑서버, 챗 커머스를 통해 판매할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및/또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저장하는 정보서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에 대응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도면1의 실시예는 상거래서버(155)와 운영서버(100)를 별도의 서버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상거래서버(155)와 운영서버(100)는 하나의 서버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결제서버(180)는 채팅을 매개로 하여 제공되는 챗 커머스와 연계된 결제를 제공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결제서비스(예컨대, 간편결제 등)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 결제 중계 업무를 처리하는 지불대행사나 밴사의 서버,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발급사의 서버, 사용자에게 발급된 결제수단을 운영하는 운영사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한 특정한 서버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특정 서버에 구비되는 서버용 S/W 등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또는 동기화 출력)하는 기능은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실행(예컨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이 웹 기반 채팅인 경우에 웹 기반 채팅을 위한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측을 통해 실행 등)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가 채팅창을 출력하는 단말 측과 연동하여 실행(예컨대, 채팅방을 운영하는 서버 측에서 단말 측에 설치 실행된 채팅 앱(165, 175)과 연동하여 실행 등)될 수 있고, 만약 단말 측에 상품정보컨텐츠가 제공된 상태의 경우에 단말 측에서 자체적으로 실행(예컨대, 단말 측에 설치 실행된 채팅 앱(165, 175)을 통해 실행 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또는 동기화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주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기재에서 운영서버(100)의 어떤 기능 구성부가 상품정보컨텐츠와 관련된 어떤 행위를 실행하는 주체인 것으로 설명하더라도, 이러한 행위는 운영서버(100)의 기능 구성부가 실행하는 구성은 물론, 운영서버(100)의 기능 구성부가 단말 측의 채팅 앱(165, 175)과 연동하여 실행하는 구성은 물론, 운영서버(100)가 단말 측으로 상품정보컨텐츠를 제공하면 단말 측의 채팅 앱(165, 175)에서 자체적으로 실행하는 구성까지 모두 포함하는 기재임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유지하는 채팅방 운영부(105)와, 상기 채팅방의 판매자 입장이나 사용자 입장을 관리하는 입장 관리부(110)와,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챗 커머스를 위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 확인부(125)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컨텐츠 처리부(130)를 구비하며,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판매자를 대신하여 상기 사용자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을 처리하는 채팅 처리부(115)를 더 구비거나 및/또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 운영부(105)는 판매자 단말(170)과 연동하여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 상기 채팅방이 폐쇄될 때까지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팅방 운영부(105)는 각 판매자 별로 채팅방을 개설하여 유지하거나, 또는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 별로 채팅방을 개설하여 유지하거나, 또는 판매자의 상품판매 관련 사이트나 페이지 별로 채팅방을 개설하여 유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채팅방 운영부(105)는 상기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 상기 채팅방에 대한 채팅주소를 판매자 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는 상기 채팅주소를 상거래서버(155)의 페이지나 상거래서버(155)에 접속하는 앱에 게시함으로써 챗 커머스를 이용할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팅방 운영부(105)는 판매자가 채팅방에 입장하지 않은 상태(또는 퇴장한 상태)에서도 상기 채팅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판매자가 채팅방에 입장하지 않은 상태(또는 퇴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장한 경우, 상기 채팅 처리부(115)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나 의도를 파악하고, 지정된 DB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나 의도에 대응하는 답변을 추출하거나 지정된 논리 알고리즘에 따라 답변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생성된 답변을 포함하는 가상의 판매자 측 채팅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하지 않은 상태(또는 퇴장한 상태)에서 상기 채팅 처리부(115)가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거나 가상의 판매자 측 채팅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판매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경우, 상기 채팅 처리부(115)는 상기 판매자가 입장하지 않은 상태(또는 퇴장한 상태)에서 판매자를 대신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측 채팅정보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한 가상의 판매자 측 채팅정보를 포함하는 채팅 내용정보를 판매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판매자는 상기 채팅 처리부(115)가 사용자와 가상으로 채팅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을 이어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키 입력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6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채팅 처리부(115)는 판매자가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상태에서도 자동으로(또는 판매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인공지능적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나 의도를 파악하고, 지정된 DB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나 의도에 대응하는 답변을 추출하거나 지정된 논리 알고리즘에 따라 답변을 생성하고, 상기 추출/생성된 답변을 포함하는 가상의 판매자 측 채팅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채팅방 운영부(105)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이 개설되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입장 관리부(110)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하는지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입장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장 관리부(110)는 판매자 단말(170)을 식별하는 식별자, 판매자 단말(170)에 설치된 채팅 앱(175)을 식별하는 식별자, 판매자 단말(170)과 채팅 앱(175)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자, 판매자를 식별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등록 저장 관리하며, 상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통해 채팅방에 입장하는 자를 판매자로 식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장 관리부(110)는 상기 예시된 식별자를 이용하지 않고 채팅방에 입장하는 자를 판매자로 식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장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160)을 식별하는 식별자, 사용자 단말(160)에 설치된 채팅 앱(175)을 식별하는 식별자, 사용자 단말(160)과 채팅 앱(175)의 조합을 식별하는 식별자,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등록 저장 관리하며, 상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통해 채팅방에 입장하는 자를 사용자로 식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챗 커머스를 위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되고 사용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60)(또는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 앱(165))로 제공하여 도면2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의 입장경로를 확인한다. 예를들어, 판매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하기 위한 채팅주소를 상거래서버(155)의 페이지나 상거래서버(155)에 접속하는 앱에 게시하는 경우, 상기 게시된 채팅주소에는 상기 채팅주소를 선택하여 채팅방에 입장하는 사용자가 어느 페이지나 어느 웹 화면에 게시된 채팅주소를 선택하여 채팅방에 입장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 및/또는 어떤 상품과 관련하여 채팅방에 입장하는지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식별값을 판독하여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가 어느 페이지나 어느 웹 화면에서 채팅방에 입장했는지 및/또는 어떤 상품과 관련하여 채팅방에 입장했는지에 대응하는 입장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되거나 운영서버(100)에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 중 상기 채팅방과 연계된 저장매체에는 상기 입장경로를 식별하는 식별값과 상기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연계 저장할 수 이쓴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입장경로에 식별하는 식별값을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를 통해 사용자가 채팅방에 입장한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60)(또는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 앱(165))로 제공하여 도면2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단말(170)(또는 판매자 단말(170)의 채팅 앱(175))로 제공하여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되고 사용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도면3a, 도면3b, 도면3c 및 도면3d 중 적어도 하나의 예시와 같이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되거나 운영서버(100)에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 중 하나 이상의 상품식별자와 상품정보컨텐츠를 연계 저장하는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선택된 상품식별자와 연계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를 통해 판매자 측 채팅창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60)(또는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 앱(165))로 제공하여 도면2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되고 사용자가 상기 채팅방에 입장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도면3a, 도면3b, 도면3c 및 도면3d 중 적어도 하나의 예시와 유사하게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비되거나 운영서버(100)에 접근 가능한 저장매체 중 상기 컨텐츠식별자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식별자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를 통해 판매자 측 채팅창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60)(또는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 앱(165))로 제공하여 도면2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또는 제4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의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이 도면2a의 예시와 유사하게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또는 채팅 앱(175))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터치 영역(예컨대, 판매자 측 채팅창의 특정한 메뉴 표시 영역이나 특정한 아이콘 표시 영역이나 '+' 표시 영역 등)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패턴(예컨대, 채팅 과정에서 터치될 수 없는 터치 패턴,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판매자 측 채팅창이 출력된 경우 세로 방향의 터치&드래그 패턴을 이전 채팅내용을 스크롤하는데 이용할 수 있지만 가로 방향의 터치&드래그 패턴은 채팅 과정 중에 사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가로 방향의 터치&드래그 패턴을 지정하여 이용 가능함)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지정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또는 채팅 앱(175))는 도면3a, 도면3b, 도면3c 및 도면3d 중 적어도 하나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있으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이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또는 제4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또는 채팅 앱(175))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또는 채팅 앱(17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소정의 상품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상품과 매칭되는 키워드와 함께 상기 상품의 선택 옵션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구문 구조나 문장 구조가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는 구조이거나 질의하는 구조인지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통해 사용자 측에서 상품정보를 요청한 것이 확인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부(120)(또는 채팅 앱(175))는 도면3a, 도면3b, 도면3c 및 도면3d 중 적어도 하나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있으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이나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함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특정한 상품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특정 상품과 매칭되는 키워드와 함께 상기 상품의 선택 옵션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구문 구조나 문장 구조가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는 구조이거나 질의하는 구조인지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각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확인된 특정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를 통해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요청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인되면,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60)(또는 사용자 단말(160)의 채팅 앱(165))로 제공하여 도면2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장 관리부(110)를 통해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도면2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는 상기 제1 내지 제5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6 상품정보컨텐츠 제공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 확인부(125)를 통해 확인되는 상품정보컨텐츠는 N(N≥1)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으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은 상기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상세정보컨텐츠나 대표 상세정보컨텐츠에 해당하는 제n(1≤n≤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상태변경 확인부(135)와,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상태변경 동기화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소정의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되거나 및/또는 회전 변경되어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도면4b의 예시와 같이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축소된 변경값(예컨대, 확대/축소 비율 등)을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도면4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회전된 변경값(예컨대, 회전 방향과 회전 각 등)을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상태변경 동기화 실시예에 따르면,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소정의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되거나 및/또는 회전 변경되어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도면4a의 예시와 같이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축소된 변경값(예컨대, 확대/축소 비율 등)을 확인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확대/축소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도면4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회전된 변경값(예컨대, 회전 방향과 회전 각 등)을 확인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회전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상태변경 동기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상기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인 경우,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도면5b의 예시와 같이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도면5b의 예시와 같이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 도면5a의 예시와 같이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상태변경 동기화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가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상기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인 경우, 상기 상태변경 확인부(135)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165)과 연동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도면5a의 예시와 같이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도면5a의 예시와 같이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상태변경 동기화부(14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 도면5b의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가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거나 사용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결제요청 확인부(145)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요청 확인 시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결제절차 처리부(15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결제절차 처리부(15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처리부(130)를 통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가 출력된 후,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4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45)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사용자의 구매 결정이나 결제 요청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가격 할인이나 가치 적립 등과 매칭되는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은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메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45)는 사용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요청 확인부(145)를 통해 사용자 측에서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결제절차 처리부(15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상기 채팅정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채팅 앱(165)은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바탕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가 출력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채팅 앱(165)은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결제서버(180)와 직접 연동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60)에 구비된 별도의 결제 앱을 구동시켜 지정된 결제서버(180)를 통해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절차 처리부(15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채팅 앱(165)이나 결제서버(180)로부터 상기 결제절차를 수행한 결제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상품의 상거래를 제공하는 상거래서버(155)로 제공하거나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채팅 앱(165)은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절차 처리부(150)로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절차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절차 처리부(150)는 지정된 결제서버(180)와 직접 연동하여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절차를 수행한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결과정보를 상기 상품의 상거래를 제공하는 상거래서버(155)로 제공하거나 판매자가 이용하는 판매자 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2a와 도면2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한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2a는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한 판매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2b는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2a와 도면2b의 예시를 참조하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판매자와 사용자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도면3a 내지 도면3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판매자 측 채팅창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3a는 상기 도면2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상단부 영역을 통해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예시도이고, 도면3b는 상기 도면2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하단부 영역을 통해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예시도이고, 도면3c는 상기 도면2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키 입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예시도이고, 도면3d는 상기 도면2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측면부 영역을 통해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예시도이다.
도면3a 내지 도면3d의 예시를 참조하면,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느 한 상품정보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판매자에게 다른 상품정보를 요청하면서 채팅할 수 있고, 판매자도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사용자가 요청한 다른 상품정보를 제공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도면4a와 도면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4a는 상기 도면3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4b는 상기 도면2b에 대응하는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가 확대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4a의 예시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일정 비율 확대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확대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는 도면4b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되어 확대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면4b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일정 비율 확대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확대 변경되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는 도면4a의 예시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되어 확대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마저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상세히 검토하면서 채팅할 수 있고, 판매자도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사용자와 채팅하면서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궁금해하고 어떤 의도로 질의하는지 실시간 파악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도면5a와 도면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면5a와 도면5b는 상품정보컨텐츠에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가 포함되고 상기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된 경우에 상기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하는 것을 동기화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도면5a는 상기 도면3a에 대응하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5b는 상기 도면2b에 대응하는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5a의 예시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변경 출력된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는 도면5b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면5b의 예시와 같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변경 출력된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는 도면5a의 예시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된 상세정보컨텐츠의 변경 출력마저 동기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 중에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상품정보를 상세히 검토하면서 채팅할 수 있고, 판매자도 별도의 화면 전환이나 채팅 중단 없이 사용자와 채팅하면서 사용자가 어떤 부분을 궁금해하고 어떤 의도로 질의하는지 실시간 파악하면서 채팅하여 커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동기화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600),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한 상태에서(605),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610),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615),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620).
도면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의 입장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하되, 판매자가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경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동기화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700),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705),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의 입장경로를 확인하고(710), 상기 사용자의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715),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한다(720).
한편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725),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730).
도면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판단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여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동기화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800),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한 상태에서(805),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810),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확인한다(815).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확인할 수 있다(815).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확인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여 상품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820).
만약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825),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하도록 처리한다(830).
도면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판단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여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동기화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900),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한 상태에서(905),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910),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확인한다(915).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한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지 확인할 수 있다(915).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확인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여 상품정보컨텐츠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920).
만약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상품정보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측 채팅창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 출력하도록 처리한다(925).
도면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여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요청한 특정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하되, 판매자가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경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동기화 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운영서버(100)를 통해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고(1000),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1005),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확인하고(1010),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한다(1015).
만약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 측에서 요청한 특정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고(1020),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한다(1025).
한편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1030),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1035).
도면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된 경우 이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운영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한다(1100).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1105).
도면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된 경우 이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운영서버(100)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한다(1200).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1205).
도면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상품정보컨텐츠에 포함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이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운영서버(100)는 상품정보컨텐츠에 포함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1300).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리한다(1305).
도면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품정보컨텐츠에 포함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이를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변경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운영서버(100)는 상품정보컨텐츠에 포함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한다(1400). 만약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리한다(1405).
도면1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 요청을 확인하여 채팅창을 통해 결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출력된 후,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거나 사용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한다(1500).
만약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요청이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하고(1505),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1510).
만약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515),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출력된 결제 인터페이스 통해 상기 채티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처리하는 졀제절차를 수행한다(1520). 만약 상기 결제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결제절차의 결제결과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상품의 상거래를 제공하는 상거래서버(155)나 판매자 단말(170)로 제공한다(1525).
100 : 운영서버 105 : 채팅방 운영부
110 : 입장 관리부 115 : 채팅 처리부
120 : 인터페이스 처리부 125 : 컨텐츠 확인부
130 : 컨텐츠 처리부 135 : 상태변경 확인부
140 : 상태변경 동기화부 145 : 결제요청 확인부
150 : 결제절차 처리부 155 : 상거래서버
160 : 사용자 단말 165,175 : 채팅 앱
170 : 판매자 단말 180 : 결제서버

Claims (17)

  1. 채팅을 매개로 하여 상거래를 제공하는 챗 커머스(Chat Commerce)를 위한 채팅방을 운영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방을 개설하는 제1 단계;
    상기 채팅방에 사용자가 입장한 경우, 챗 커머스를 위해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할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의 입장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입장경로에 대응하는 상품과 관련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입장해 있는 판매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지정된 터치 영역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지정된 터치 패턴이 터치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을 판독하여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지정된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지정된 터치 조작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터치 조작의 입력을 확인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지정된 일정 영역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통해 상품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에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여 사용자 측에서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정보를 통해 특정한 상품정보를 요청한 경우 지정된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특정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 판매자가 입장해 있는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기 확인된 상품정보컨텐츠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 변경을 확인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의 출력상태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상태 변경은,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확대/축소 변경, 상기 상품정보컨텐츠의 회전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상태 변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컨텐츠는, N(N≥1)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을 출력하는 채팅 앱으로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를 포함하는 상품정보컨텐츠를 제공하고, N개의 상세정보컨텐츠 중 지정된 제n(1≤n≤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측 채팅창과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상품정보컨텐츠가 동기화 출력된 후,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1≤n≤N, n≠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제n 상품정보컨텐츠가 다른 제n' 상세정보컨텐츠로 변경된 경우 상기 판매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변경 출력된 제n' 상세정보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으로 동기화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을 통해 상품정보컨텐츠가 출력된 경우,
    사용자 측 채팅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측 채팅정보에 포함된 단어, 구문, 문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독하거나 사용자 측 채팅창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을 근거로 사용자 측에서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배경화면에 출력된 상품정보컨텐츠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요청 확인 시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의 일정 영역에 상기 상품의 결제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채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측 채팅창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 커머스 제공 방법.
KR1020170028591A 2017-03-06 2017-03-06 챗 커머스 제공 방법 KR2018010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91A KR20180102254A (ko) 2017-03-06 2017-03-06 챗 커머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591A KR20180102254A (ko) 2017-03-06 2017-03-06 챗 커머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254A true KR20180102254A (ko) 2018-09-17

Family

ID=6372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91A KR20180102254A (ko) 2017-03-06 2017-03-06 챗 커머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22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718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ing an augmented environment with a companion
CA3091195A1 (en) Corroborating data to verify transactions
CN105359178A (zh) 用于实现移动设备上的即时支付的系统和方法
US20150019375A1 (en) Projection shopping with a mobile device
US202000349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70105187A (ko) 부동산 중개시스템
KR101664400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JP2006293576A (ja) 営業店システム
CN111108523A (zh) 用于移动应用、可穿戴应用、交易性消息收发、呼叫、数字多媒体捕获、支付交易和一触式服务的系统和方法
JP6941549B2 (ja) 商品の販売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61475A1 (en) Methods and systems to enhance publication information with a communication feature
CN111178918A (zh) 导购系统和方法、智能货架系统以及电子设备
US201500582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authorization using full-duplex communication from browser
KR20170024797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2002532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상품 주문 시스템
US20180165738A1 (en) Enhanced View System
KR20180102254A (ko) 챗 커머스 제공 방법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KR20180102255A (ko) 챗 커머스를 위한 채팅 운영 방법
KR20170014306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3041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page purchase link embedding
KR20130027638A (ko) 프로필 기반 서비스에서의 온라인 거래방법 및 시스템
US20240031310A1 (en) System for providing a chatbot communications network between a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merchants and clients
JP5655597B2 (ja) 遠隔相談システム
AU20214486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terminal accessibility us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