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920A - 욕실관리기 - Google Patents

욕실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920A
KR20180101920A KR1020170028492A KR20170028492A KR20180101920A KR 20180101920 A KR20180101920 A KR 20180101920A KR 1020170028492 A KR1020170028492 A KR 1020170028492A KR 20170028492 A KR20170028492 A KR 20170028492A KR 20180101920 A KR20180101920 A KR 2018010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ir
frame
air condition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744B1 (ko
Inventor
전진현
박대윤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44B1/ko
Priority to US15/913,257 priority patent/US10767302B2/en
Priority to CN201810182655.3A priority patent/CN108523723B/zh
Publication of KR2018010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2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essential features of rigi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고 하측면이 상기 캐비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스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기능모듈과, 상기 기능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공조 모듈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는 블로워 아웃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하측면에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모듈은 상기 캐비닛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로 송풍하고,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공조 모듈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 중 하나로 절환한다.

Description

욕실관리기{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 내에 설치되어 수건을 비롯한 각종 욕실용품을 수납할 수 있고 욕실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집안에서 가장 다습한 장소이기 때문에, 여러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이 쉽게 일어나고, 악취가 쉽게 발생되는 장소이다.
대부분의 욕실은 환기팬에 의존하여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기팬의 가동이 적절히 되지 못하거나 가동이 되더라도 욕실 전체를 건조하게 유지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잔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에 의해 오염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의 수분을 조기에 제거하고, 욕실 내의 건조대에 걸려있는 수건과 같은 젖은 욕실용품도 조기에 건조시켜서, 욕실이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욕실은 수건을 비롯하여 각종 욕실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고, 더불어 세면대, 변기, 거울, 수건걸이, 치솔걸이 등 다양한 편의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욕실에서 헤어드라이기 및 면도기를 비롯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기도 하고, 화장을 하기도 한다.
만약, 상기 수납장의 기능 및 욕실 건조의 기능을 기본으로 하면서, 칫솔살균기의 기능, 화장품 냉장고의 기능 및 전자제품의 충전기능 등이 하나로 통합된 욕실관리기가 개발된다면, 욕실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의 기능을 하는 수납모듈, 상기 욕실 건조의 기능을 하는 공조모듈, 상기 칫솔살균기의 기능을 하는 살균모듈, 상기 화장품 냉장고의 기능을 하는 냉장모듈 및 상기 전자제품의 충전기능을 하는 충전모듈 등으로 이루어진 각종 기능모듈이 독립적으로 구비된 욕실관리기가 개발된다면, 사용자는 상기 기능모듈 중에서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하여 욕실관리기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수납 편의성 및 사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기능모듈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욕실에 설치된 변기, 세면대 및 거울의 위치가 상이한 바, 상기 기능모듈의 설치 위치를 욕실 환경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추운 겨울철에 사용자는 욕실에서 샤워를 한 후 자신의 바디를 신속히 말리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공조모듈에서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을 절환하여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도록 욕실관리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풍향을 가시화하여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지, 욕실을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고 하측면이 상기 캐비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과,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스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기능모듈과, 상기 기능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공조 모듈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는 블로워 아웃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하측면에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모듈은 상기 캐비닛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로 송풍하고,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공조 모듈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 중 하나로 절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샤워를 한 후 자신의 바디를 건조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욕실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유로절환 베인이 전면개구부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상기 전면개구부로 빛을 비추는 제1 광원과,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절환 베인이 하단개구부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상기 하단개구부로 빛을 비추는 제2 광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상기 제1 광원의 빛이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고,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상기 제2 광원의 빛이 상기 하단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기 때문에, 상기 제1 광원의 빛이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고, 상기 제2 광원의 빛이 상기 하단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욕실을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샤워를 한 후 자신의 바디를 건조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욕실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제1 광원의 빛이 전면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고,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제2 광원의 빛이 하단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기 때문에, 상기 제1 광원의 빛이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고, 상기 제2 광원의 빛이 상기 하단개구부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욕실을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워 패널 및 좌측 사이드 패널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로워 프레임 및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은 도 4에 도시된 로워 프레임 및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살균 모듈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살균 모듈의 외곽 케이스 및 이너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살균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조 모듈에 블로워 아웃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전면개구부가 개방되고 하단개구부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전면개구부가 차폐되고 하단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과, 캐비닛(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9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0)은 욕실관리기의 상측면 외관, 하측면 외관, 좌측면 외관 및 우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패널(110)과,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워 패널(120)과,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 사이드 패널(130)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 사이드 패널(140)을 포함한다.
어퍼 패널(110)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상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상단을 연결하고, 로워 패널(120)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하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하단을 연결한다.
어퍼 패널(110)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패널(120)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캐비닛(100)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 및 후면이 개구된 프레임 본체(210,220)와, 프레임 본체(210,220)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 브래킷(240)을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캐비닛(100)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백 브래킷(240)은 프레임 본체(210,220)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강성을 보강해준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내부에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이 설치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한다.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은 타월(towel) 케어 모듈(300)과, 살균 모듈(400)과, 스크릿 박스 모듈(500)과, 냉장 모듈(600)과, 충전 모듈(700)과, 블로워 아웃 모듈(800)을 포함한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충전 모듈(7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내부에 모듈단위로 설치된다.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상하좌우측면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한다.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에 상하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리브 중에서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리브는 후술하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돌출 형성되는 이너 리브(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내부에 기능분할판(303)이 설치된다. 기능분할판(303)은 타월 케어 모듈(3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기능분할판(303)의 상측에 타월을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301)이 형성되고, 기능분할판(303)의 하측에 타월을 수납함과 아울러 수납된 타월을 건조 및 워밍(warming)시키는 제2 수납공간(302)이 형성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기능분할판(303) 없이 제1 수납공간(301)만을 가지는 독립적인 제1 타월 케어 모듈과, 제2 수납공간(302)만을 가지는 독립적인 제2 타월 케어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살균 모듈(400)은 칫솔살균기로 사용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은 내부에 칫솔이 거치될 수 있고, 상기 거치된 칫솔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 모듈(400)의 하측에는 블로워 아웃 모듈(800)이 설치될 수 있고, 블로워 아웃 모듈(800)보다 상측에 해당하는 살균 모듈(400)의 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블로워 아웃 모듈(800)로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가 흡입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공조 모듈(810)이 설치되어, 살균 모듈(400) 및 공조 모듈(8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상기 송풍기가 송풍하는 공기를 욕실 내로 배출할 수 있다.
스크릿 박스 모듈(500)은 어린아이 및 손님이 보거나 만져서는 안되는 물건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 모듈(600)은 의약품 및 화장품을 냉장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냉장 모듈(600)에는 냉장 모듈(600) 내로 냉기를 공급하고 냉장 모듈(600)의 외부로는 온기를 방출하는 열전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충전 모듈(700)은 헤어 드라이기 및 전기면도기를 비롯한 전자기기를 보관하면서 충전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충전 모듈(700)에는 헤어 드라이기를 거치하는 거치구가 설치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전원 플러그 또는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전원 플러그가 꼽아지는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프레임 본체(210)와,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본체(22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본체(210) 및 제2 프레임 본체(22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충전 모듈(700) 및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소비자가 필요한 것만 골라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는 타월 케어 모듈(300)만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고, 타월 케어 모듈(300) 두 개와 살균 모듈(400) 하나와 냉장 모듈(600)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이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되는 개수에 따라 프레임 본체(210,220)의 개수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어(900)는 욕실관리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900)는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한다. 도어(900)는 프레임 본체(210,2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본 제1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210,220)는 2개로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900)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도어(910) 및 제2 도어(920)를 포함한다. 제1 도어(910)는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 중 좌측을 개폐하고, 제2 도어(920)는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닛(100)의 개구된 전면 중 우측을 개폐한다.
제1 도어(910) 및 제2 도어(920)의 전면은 각각 미러(911,921)로 구비될 수 있다. 미러(911,921)는 욕실 내에 설치되는 거울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러(911,921)는 제1 도어(9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미러(911)와, 제2 도어(92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2 미러(921)를 포함한다.
도어(900)의 배면에는 힌지(930)가 설치된다. 힌지(930)는 도어(900)의 배면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 힌지부재와, 상기 제1 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 본체(210,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930)는 제1 도어(910)의 배면 중 상측 및 하측에 하나씩 설치되고, 제2 도어(910)의 배면 중 상측 및 하측에 하나씩 설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워 패널 및 좌측 사이드 패널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 및 하측면이 캐비닛(1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이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측면이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는 어퍼 커버(150)가 삽입 배치된다. 어퍼 커버(150)는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어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에 결합된다.
어퍼 커버(150)는 캐비닛(100)의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의 공간을 가려서, 도어(9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900)의 배면 상측에 설치된 힌지(930)가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를 통해 욕실관리기의 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도어(90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를 통해 욕실관리기의 전방에서 욕실벽면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어퍼 커버(150)는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부, 전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150)의 전면부에는 도어(900)가 닫힘 위치일 때 힌지(930)가 수용되는 오목홈(151)이 형성되어, 어퍼 패널(11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상측면 사이에 힌지(9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는 블로워 아웃 모듈(800) 및 컨트롤 패널(160)이 삽입 배치된다. 컨트롤 패널(160)은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과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되어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 및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컨트롤 패널(160)은 상측이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에서 나오는 공기는, 프레임 본체(210,220)의 하측면과 컨트롤 패널(160)의 상측과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후술할 제1 공기토출구(2)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샤워를 한 후, 제1 공기토출구(2)에서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바디를 말릴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0)에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비롯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누르거나 터치하여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을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0)은 도어(900)가 닫힘 위치일 때 상기 입력부가 설치된 부분이 도어(90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캐비닛(100)은 어퍼 패널(110)의 전단,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전단 및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전단에 각각 데코부재(171,172,173)가 결합된다. 데코부재(171,172,173)는 어퍼 패널(10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데코부재(171)와, 좌측 사이드 패널(13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 데코부재(172)와, 우측 사이드 패널(140)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3 데코부재(173)를 포함한다. 로워 패널(120)의 전단에는 데코부재(171,172,173)가 설치되지 않고, 컨트롤 패널(160)의 전단에 의해 가리어진다. 즉, 컨트롤 패널(160)은 로워 패널(120)의 전단을 가려서 데코부재(171,172,173)의 기능을 대신한다. 컨트롤 패널(160)은 데코부재(171,172,173)와 동일한 색상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본체(210,220)는 상측면을 형성하는 어퍼 프레임(211)과,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워 프레임(212)과,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을 포함한다.
어퍼 프레임(211)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상단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상단을 연결하고, 로워 프레임(212)은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하단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하단을 연결한다.
어퍼 프레임(211)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로워 프레임(212)은 좌측단이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우측단이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 및 로워 프레임(212)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 본체(210) 및 제2 프레임 본체(22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상하 구분없이 설치될 수 있고, 좌우 구분없이 설치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은 상면 및 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및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워 프레임(212)은 어퍼 프레임(211)이 상하로 뒤집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 및 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로워 프레임(212)은 상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후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에는 각각 사각형상의 제1 개구부(216)가 형성된다. 제1 개구부(216)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810)의 전선이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부(216)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되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8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내측에는 각각 이너 리브(215)가 형성된다. 이너 리브(215)는 제1 개구부(216)의 상측 및 하측에서 프레임 본체(210,2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너 리브(215)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개별적으로 프레임 본체(210,220) 내로 삽입시에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삽입을 안내하고,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프레임 본체(210,220) 내로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을 지지한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외측에는 각각 아우터 리브(217)가 형성된다. 아우터 리브(217)는 제1 개구부(216)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프레임 본체(210,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우터 리브(217)는 제1 개구부(216)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설치된 기능모듈(300,400,500,600,700,810)의 전선이 제1 개구부(216)를 통해 빠져나온 후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시킨다.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에는 사각형의 절개라인(218)이 형성된다. 절개라인(218)은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되어, 작업자가 어퍼 프레임(211)의 하면부 및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부에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되는 내측 부분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어퍼 프레임(211)에 형성되는 절개라인(218)과 로워 프레임(212)에 형성되는 절개라인(218) 중에서, 살균모듈(400)이 어퍼 프레임(21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어퍼 프레임(211)에 형성된 절개라인(218)을 파단시켜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어퍼 프레임(211)의 내측 부분을 떼어 낼 수 있고, 살균모듈(400)이 로워 프레임(21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경우 로워 프레임(212)에 형성된 절개라인(218)을 파단시켜서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로워 프레임(212)의 내측 부분을 떼어 낼 수 있다.
어퍼 프레임(211) 및 로워 프레임(212)에는 절개라인(218)으로 구획된 내측 부분이 작업자에 의해 떼어지는 경우 제2 개구부(2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160)의 하측면에는 제2 개구부(219)의 하측에 제3 개구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에는 제3 개구부(161)의 하측에 제4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로워 패널(120)의 상측면에는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블로워 루버(181)가 설치되거나, 로워 커버(183)가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 루버(181)는 제4 개구부(121)가 살균모듈(400)의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블로워 루버(181)가 설치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로워 커버(182)가 설치되어 제4 개구부(121)는 로워 커버(182)에 의해 차폐된다.
블로워 루버(18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그릴(183)을 가지고 있으며,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블로워 아웃 모듈(800)에서 나오는 공기를 제4 개구부(121)로 안내한다. 로워 패널(120) 중 제4 개구부(121)와 대응되는 부분에 블로워 루버(182)가 설치되는 경우, 제4 개구부(121)는 제2 공기토출구(121)가 된다. 즉, 캐비닛(100)은 프레임(200)의 하측면인 로워 프레임(212)과의 이격된 사이에 제1 공기토출구(2)가 형성되고, 하측면에 제2 공기토출구(121)가 형성된다.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로워 패널(120) 및 로워 프레임(212) 사이에서 컨트롤 패널(160)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상단은 제2 개구부(219)로 삽입되어 공조 모듈(810) 연결되어서 상기 송풍기가 송풍한 공기를 흡입하고, 하단이 제3 개구부(161)로 삽입되어 블로워 루버(181)와 연결되어서 제2 공기토출구(121)와 연통된다.
한편, 프레임 본체(210,22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본체(210,220)들의 서로 인접한 사이드 프레임(214,213)의 전면에는 센터 커버(18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 본체(210,220)가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의 전면과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의 전면에는 센터 커버(184)가 설치된다. 센터 커버(184)는 제1 프레임 본체(210)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214) 및 제2 프레임 본체(220)의 좌측 사이드 프레임(213)을 전방에서 가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센터 커버(184)는 프레임 본체(210,220) 내에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삽입된 후, 각각의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210,220)의 양 사이드 프레임(213,214)의 전면에 체결된 모듈체결 리브(미도시)를 전방에서 가리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로워 프레임 및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로워 프레임 및 컨트롤 패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워 프레임(212)의 후면에는 후크홀(212A)이 형성된다. 후크홀(212A)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후크홀(212A)은 프레임 본체(210,220) 하나당 2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 패널(160)에는, 후크홀(212A)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제1 후크돌기(165)와,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 단부에 걸림되는 제2 후크돌기(166)가 형성된다. 제1 후크돌기(165)는 후크홀(212A)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제1 후크돌기(165)는 컨트롤 패널(160)의 상측면 후방부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후크돌기(166)는 컨트롤 패널(160)의 양측면 전단부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컨트롤 패널(160)을 로워 프레임(21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무빙시키면서 제1 후크돌기(165)를 후크홀(212A)로 삽입한 후, 제2 후크돌기(166)를 로워 프레임(212)의 상면 단부에 걸림시킴으로써, 컨트롤 패널(160)은 프레임(200)의 로워 프레임(212)에 임시로 체결된다.
컨트롤 패널(160)에는 프레임(200)의 로워 프레임(212)에 체결되는 제2 체결보스(162)와,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에 체결되는 제3 체결보스(163)가 더 형성된다. 제2 체결보스(162)는 컨트롤 패널(160)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3 체결보스(163)는 컨트롤 패널(16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체결보스(162)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제2 체결보스(162)는 프레임 본체(210,220) 하나당 두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워 프레임(212)에는 제2 체결보스(162)와 스크류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홀(212B)이 형성된다. 체결홀(212B)은 제2 체결보스(162)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후크돌기(165) 및 제2 후크돌기(166)를 이용하여 컨트롤 패널(160)을 로워 프레임(212)에 임시로 체결한 후, 로워 프레임(212)의 상측에서 체결홀(212B)로 스크류를 삽입한 후 상기 스크류를 제2 체결보스(162)와 체결함으로써, 컨트롤 패널(160)은 프레임(200)의 로워 프레임(212)에 체결된다. 그리고,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의 하측에서 스크류를 삽입하여 로워 패널(1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체결리브(124)와 컨트롤 패널(160)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3 체결보스(163)를 체결함으로써, 컨트롤 패널(160)은 캐비닛(100)의 로워 패널(120)에 체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본체(210,220)는 내측에 기능모듈(300,400,500,600,700)이 삽입 장착되는 장착공간(S1,S2,S3,S4,S5,S6)을 제공한다. 장착공간(S1,S2,S3,S4,S5,S6)은 제1 프레임 본체(210) 내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장착공간(S1)과, 제1 프레임 본체(210) 내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장착공간(S2)과, 제2 프레임 본체(210) 내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3 장착공간(S3)과, 제2 프레임 본체(220) 내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제4 장착공간(S4)과, 제2 프레임 본체(220) 내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5 장착공간(S5)과, 제2 프레임 본체(220) 내의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제6 장착공간(S6)을 포함한다.
제1 장착공간(S1), 제2 장착공간(S2), 제3 장착공간(S3), 제4 장착공간(S4), 제5 장착공간(S5) 및 제6 장착공간(S6)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2 장착공간(S2)은 제1 장착공간(S1)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3 장착공간(S3)은 제2 장착공간(S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5 장착공간(S5)는 제4 장착공간(S4)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6 장착공간(S6)은 제5 장착공간(S5)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4 장착공간(S4)은 제1 장착공간(S1)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5 장착공간(S5)은 제2 장착공간(S2)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6 장착공간(S6)은 제3 장착공간(S3)의 일측에 위치한다.
제1 장착공간(S1) 및 제4 장착공간(S4)은 상하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제2 장착공간(S2) 및 제5 장착공간(S5)은 상하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제3 장착공간(S3) 및 제6 장착공간(S6)은 상하로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제1 장착공간(S1), 제2 장착공간(S2), 제3 장착공간(S3), 제4 장착공간(S4), 제5 장착공간(S5) 및 제6 장착공간(S6) 각각의 상하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좌우길이도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제1 장착공간(S1), 제2 장착공간(S2), 제3 장착공간(S3) 중 서로 인접한 장착공간인 제1 장착공간(S1) 및 제2 장착공간(S2)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고, 제2 장착공간(S2) 및 제3 장착공간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타월 케어 모듈(300)은 제4 장착공간(S3), 제5 장착공간(S5), 제6 장착공간(S6) 중 서로 인접한 장착공간인 제4 장착공간(S4) 및 제5 장착공간(S5)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고, 제5 장착공간(S5) 및 제6 장착공간(S6)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은 각각 제1 장착공간(S1), 제2 장착공간(S2), 제3 장착공간(S3), 제4 장착공간(S4), 제5 장착공간(S5) 및 제6 장착공간(S6)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월 케어 모듈(300)은 제1 장착공간(S1) 및 제2 장착공간(S2)에 삽입 장착되고, 살균 모듈(400)은 제3 장착공간(S3)에 삽입 장착되며, 스크릿 박스 모듈(500)은 제4 장착공간(S4)에 삽입 장착되고, 냉장 모듈(600)은 제5 장착공간(S5)에 삽입 장착되며, 충전 모듈(700)은 제6 장착공간(S6)에 삽입 장착된다.
타월 케어 모듈(300)은 상기 제1 타월 케어 모듈 및 상기 제2 타월 케어 모듈이 하나로 통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 각각보다 상하 길이가 두배로 형성되어, 제1 장착공간(S1) 및 제2 장착공간(S2)에 삽입 장착되나, 상기 제1 타월 케어 모듈 및 상기 제2 타월 케어 모듈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타월 케어 모듈은 상기 제1 장착공간(S1) 및 제2 장착공간(S2) 중 어느 하나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제2 타월 케어 모듈은 다른 하나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스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 각각의 좌우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살균 모듈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살균 모듈의 외곽 케이스 및 이너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살균 모듈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조 모듈에 블로워 아웃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공조 모듈(810)은 살균 모듈(400)의 후방에 장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공조 모듈(810)이 살균 모듈(400)에 장착되나, 공조 모듈(810)은 캐비닛(100)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블로워 아웃 모듈(800)로 송풍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타월 케어 모듈(300), 살균 모듈(400), 시크릿 박스 모듈(500), 냉장 모듈(600) 및 충전 모듈(700) 중 프레임(200) 내에서 블로워 아웃 모듈(800)과 가장 가깝게 설치되는 것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공조 모듈(810)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210,220)가 제1 프레임 본체(910)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기능모듈(300,400,500,600,700) 중 제3 장착공간(S3)에 장착된 것에 장착될 수 있고, 프레임 본체(210,220)가 제1 프레임 본체(210) 및 제2 프레임 본체(220)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 기능모듈(300,400,500,600,700) 중 제3 장착공간(S3) 또는 제6 장착공간(S6)에 장착된 것에 장착될 수 있으며, 기능모듈(300,400,500,600,700) 중 공조 모듈(810)이 장착되는 것의 외곽 케이스는 후술할 살균 모듈(400)의 외곽 케이스(4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공조 모듈(810)은 제3 장착공간(S3)에 장착된 살균 모듈(4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살균 모듈(400)의 외곽 케이스(410)는 전면부(411)와, 전면부(411)의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측면부(412)를 포함한다.
전면부(411)는 살균 모듈(400)의 고유기능의 수납공간(R1)과, 공조 모듈의 수납공간(R2)을 구획한다. 즉, 살균 모듈(400)의 외각 케이스(410)는 개구되어 전면부(411)를 기준으로 전방에 살균하고자 하는 물품(여기서는, 칫솔)이 수납되는 살균기능의 수납공간(R1)이 형성되며, 전면부(411)를 기준으로 후방에 공조 모듈(810)이 수납되는 공조 모듈 수납공간(R2)이 형성된다.
전면부(411)에는 전면이 후방으로 함입되고 후면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공조 모듈 결합부(413)가 형성된다. 공조 모듈(810)은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후면에서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 장착된다.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는 공조 모듈(810)의 부품 중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가 결합된다.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 결합되는 전면이 개구되고, 공조 모듈 결합부(413)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전면이 결합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공조 모듈 결합부(413)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내부와 연통된다.
측면부(412)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리브(610)가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610)는 프레임(200)의 양 사이드 프레임(213,214)에 각각 형성된 이너 리브(215)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측면부(412)에는 제1 공기흡입구(414)가 형성된다. 제1 공기흡입구(414)는 프레임(200)의 양 사이드 프레임(213,214)에 각각 형성된 제1 개구부(216)와 동일한 형상인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개구부(216)와 연통된다. 따라서, 캐비닛(100) 내의 공기는 제1 개구부(216) 및 제1 공기흡입구(414)를 차례로 통과하여 측면부(412)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는 제1 공기흡입구(414)를 통해 측면부(412)의 내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공기흡입구(415)가 형성된다. 제2 공기흡입구(415)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상측면 및 양측면에 형성된다. 살균 모듈(400)이 제1 장착공간(S1), 제2 장착공간(S2) 및 제3 장착공간(S3)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장착공간(S3)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2 공기흡입구(415)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양측면뿐만 아니라 상측면에도 형성되어서, 캐비닛(100) 내의 공기를 골고루 흡입할 수 있다.
또한,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는, 제2 공기흡입구(415)보다 후방에 흡입 그릴(416)이 배치되고, 제2 공기흡입구(415)보다 전방에 이너 도어(417)가 배치된다. 흡입 그릴(416)은 공조 모듈 결합부(413) 중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와 연통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흡입 그릴(416)의 후방에는 항균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너 도어(417)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개구된 전방을 차폐하고, 사용자가 흡입 그릴(416)의 청소를 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너 도어(417)는 하단이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개구된 전방의 하측면에 구비된 힌지축(4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 상단에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의 개구된 전방의 상측면에 구비된 걸림부(419)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돌기(417A)가 형성된다. 이너 도어(417)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너 도어(417)의 상측을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417A)는 걸림부(419)에서 걸림이 해제되어서 이너 도어(417)는 힌지축(418)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고, 이너 도어(417)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너 도어(417)를 닫으면서 이너 도어(417)의 상측을 다시 한번 누르면 걸림돌기(417A)가 걸림부(419)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공조 모듈(810)은,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 결합되고 제2 공기흡입구(415)와 연통하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와,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송풍팬(813)과, 송풍팬(813)을 회전시키는 팬모터(814)와,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에 배치되어 송풍팬(813)이 송풍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815)를 포함한다.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는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 결합되는 부분인 전면이 개구되고, 블로워 아웃 모듈(800)의 상단과 연결되는 부분인 하단이 개구된다.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는 전면 및 하단이 개구되고 송풍팬(813) 및 팬모터(814)가 설치되는 어퍼 공조 모듈 케이스(811)와,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고 히터(815)가 설치되는 로워 공조 모듈 케이스(8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어퍼 공조 모듈 케이스(811)의 개구된 전면은 공조 모듈 결합부(413)에 결합되고, 로워 공조 모듈 케이스(812)는 개구된 상단이 어퍼 공조 모듈 케이스(811)의 개구된 하단에 연결되고, 개구된 하단은 블로워 아웃 모듈(800)의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상단과 연결된다. 이하,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는 어퍼 공조 모듈 케이스(811) 및 로워 공조 모듈 케이스(8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여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로 설명하기로 한다.
송풍팬(813)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으로 구비되어, 회전축의 일단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송풍팬(813)은 구동시에 제2 공기흡입구(415)를 통해 공조 모듈 결합부(413) 내로 유입된 공기를 전면에서 흡입하여 하단으로 송풍하여서, 블로워 아웃 모듈(800)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팬모터(814)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외부에 배치되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이 송풍팬(813)의 회전축과 커플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히터(815)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PTC히터로 구비되고, 송풍팬(813)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히터(815)가 구동되는 경우 송풍팬(813)이 송풍하는 공기는 히터(815)에 의해 가열되어 온기로 변한 후, 블로워 아웃 모듈(800)로 송풍된다. 히터(815)는 송풍팬(813)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송풍팬(813)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히터(815)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로 삽입 장착되고, 전원단자부가 배치된 일단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살균 모듈(400)의 외곽 케이스(410) 중 전면부(411)의 배면에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로 삽입된 히터(815)의 일단을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외측에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돌기(411A)가 형성된다. 따라서, 히터(815)는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에 삽입된 후,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필요가 없이, 탄성지지돌기(411A)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 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전면개구부가 개방되고 하단개구부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블로워 아웃 모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전면개구부가 차폐되고 하단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블로워 아웃 모듈(800)은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와,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로절환 베인(802)과, 유로절환 베인(802)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803)를 포함한다.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는 상단에 개구된 상단개구부(804)가 형성되고, 전면에 개구된 전면개구부(805)가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된 하단개구부(806)가 형성된다.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는 상단이 프레임(20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로워 프레임(212)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9)로 삽입되어 공조 모듈 케이스(811,812)의 하단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단개구부(804)는 공조 모듈(810)과 연통된다. 또한,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는 하단이 컨트롤 패널(160)에 형성된 제3 개구부(161)로 삽입되어 블로워 루버(181)와 연결되기 때문에, 하단개구부(806)는 제2 공기토출구(121와 연통된다. 그리고, 전면개구부(805)는 제1 공기토출구(2)와 연통된다.
유로절환 베인(802)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유로절환 베인(802)은 양단에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베인모터(803)는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축이 유로절환 베인(802)의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과 결합된다.
유로절환 베인(802)은 베인모터(8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공조 모듈(810)로부터 상단개구부(804)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전면개구부(805) 및 하단개구부(806) 중 하나로 절환한다. 즉, 유로절환 베인(802)이 상기 베인모터(80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전면개구부(805)를 개방하고 하단개구부(806)를 닫는 경우 상기 공조 모듈(8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전면개구부(805)를 통과하여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고, 전면개구부(805)를 닫고 하단개구부(806)를 개방하는 경우 공조 모듈(810)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블로워 루버(181)를 통과하여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된다.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60)에 설치되는 상기 입력부를 조작하여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800)의 유로절환 베인(802)의 회전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욕실 내를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801) 내에는 제1 광원(807) 및 제2 광원(808)이 설치된다. 제1 광원(807) 및 제2 광원(808)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비된다. 제1 광원(807)은 유로절환 베인(802)이 전면개구부(805)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전면개구부(805)로 빛을 비추고, 제2 광원(808)은 유로절환 베인(802)이 하단개구부(806)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하단개구부(806)로 빛을 비춘다.
따라서, 유로절환 베인(802)이 전면개구부(805)를 개방하고 하단개구부(806)를 닫는 경우, 공조 모듈(810)에서 송풍된 공기는 전면개구부(805)를 통해 제1 공기토출구(2)로 토출됨과 아울러, 제1 광원(807)이 생성한 빛이 전면개구부(805)를 통해 배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유로절환 베인(802)이 전면개구부(805)를 닫고 하단개구부(806)를 개방하는 경우, 공조 모듈(810)에서 송풍된 공기는 하단개구부(806)를 통해 제2 공기토출구(121)로 토출됨과 아울러, 제2 광원(808)이 생성한 빛이 하단개구부(806)를 통해 배광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관리기는 사용자가 샤워를 한 후 자신의 바디를 건조시키고자 할 때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욕실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바디의 건조 및 욕실의 건조를 선택하여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토출구(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제1 광원(807)의 빛이 전면개구부(805)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고, 제2 공기토출구(121)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때 제2 광원(808)의 빛이 하단개구부(806)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기 때문에, 제1 광원(807)의 빛이 전면개구부(805)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사용자의 바디를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고, 제2 광원(808)의 빛이 하단개구부(806)를 통해 은은하게 비춰지는 경우 욕실을 건조시키기 위한 모드인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 제1 공기토출구 100 : 캐비닛
121 : 제2 공기토출구 160 : 컨트롤 패널
161 : 제3 개구부 181 : 블로워 루버
183 : 토출 그릴 200 : 프레임
216 : 제1 개구부 219 : 제2 개구부
300 : 타월 케어 모듈 400 : 살균 모듈
410 : 외곽 케이스 411 : 전면부
411A : 탄성지지돌기 412 : 측면부
413 : 공조 모듈 결합부 414 : 제1 공기흡입구
415 : 제2 공기흡입구 416 : 흡입 그릴
417 : 이너 도어 500 : 스크릿 박스 모듈
600 : 냉장 모듈 700 : 충전 모듈
800 : 블로워 아웃 모듈 801 :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802 : 유로절환 베인 803 : 베인모터
804 : 상단개구부 805 : 전면개구부
806 : 하단개구부 807 : 제1 광원
808 : 제2 광원 810 : 공조 모듈
811,812 : 공조 모듈 케이스 813 : 송풍팬
814 : 팬모터 815 : 히터

Claims (13)

  1. 전면이 개구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보강하고, 하측면이 상기 캐비닛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
    타월 케어 모듈, 살균 모듈, 스크릿 박스 모듈, 냉장 모듈 및 충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기능모듈;
    상기 기능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공조 모듈;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는 블로워 아웃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는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하측면에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모듈은 상기 캐비닛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로 송풍하고,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공조 모듈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흐름을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 중 하나로 절환하는 욕실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 장착공간과, 상기 제1 장착공간의 하측에 제2 장착공간과, 상기 제2 장착공간의 하측에 제3 장착공간을 내부에 제공하고,
    상기 공조 모듈은 상기 제3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기 기능모듈에 결합되는 욕실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과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과의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컨트롤 패널 내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모듈의 외곽 케이스는, 상기 기능모듈의 고유기능의 수납공간과 상기 공조 모듈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에는 전면이 후방으로 함입되고 후면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공조 모듈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제1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모듈 결합부에는 상기 제1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공기흡입구와 통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흡입구는 상기 공조 모듈 결합부의 상측면 및 양측면에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조 모듈 결합부에는, 상기 제2 공기흡입구보다 후방에 흡입 그릴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공기흡입구보다 전방에 이너 도어가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조 모듈은,
    상기 공조 모듈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공기흡입구와 연통하는 공조 모듈 케이스와,
    상기 공조 모듈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상기 공조 모듈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이 송풍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는 상기 공조 모듈 케이스 내로 삽입된 상기 히터의 일단을 상기 공조 모듈 케이스의 외측에서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욕실관리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제3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단이 상기 제2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조 모듈과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제3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욕실관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제2 공기토출구와 대응되는 부분에 토출 그릴을 가지는 블로워 루버가 결합되고,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하단이 상기 블로워 루버에 연결되는 욕실관리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공조 모듈과 연통하는 상단개구부와, 상기 제1 공기토출구와 연통하는 전면개구부와, 상기 제2 공기토출구와 연통하는 하단개구부가 형성된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와,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단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공조 모듈의 공기를 상기 전면개구부 및 상기 하단개구부 중 하나로 절환하는 유로절환 베인과,
    상기 유로절환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은,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절환 베인이 상기 전면개구부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상기 전면개구부로 빛을 비추는 제1 광원과,
    상기 블로워 아웃 모듈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절환 베인이 상기 하단개구부를 개방하였을 시 점등되어, 상기 하단개구부로 빛을 비추는 제2 광원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KR1020170028492A 2017-03-06 2017-03-06 욕실관리기 KR10233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92A KR102334744B1 (ko) 2017-03-06 2017-03-06 욕실관리기
US15/913,257 US10767302B2 (en) 2017-03-06 2018-03-06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N201810182655.3A CN108523723B (zh) 2017-03-06 2018-03-06 浴室管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92A KR102334744B1 (ko) 2017-03-06 2017-03-06 욕실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920A true KR20180101920A (ko) 2018-09-14
KR102334744B1 KR102334744B1 (ko) 2021-12-02

Family

ID=6335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92A KR102334744B1 (ko) 2017-03-06 2017-03-06 욕실관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7302B2 (ko)
KR (1) KR102334744B1 (ko)
CN (1) CN108523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578B1 (ko) * 2017-03-03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267351B1 (ko) * 2017-03-03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339976B1 (ko) * 2017-03-07 202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352579B1 (ko) * 2017-03-08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DE102017115702A1 (de) * 2017-07-12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Gehäuse für eine Stromtankstell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1254642A (zh) * 2018-11-30 2020-06-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衣物护理设备的控制方法及衣物护理设备
CN109316112A (zh) * 2018-12-17 2019-02-12 开平市欧尚卫浴实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浴巾架
US11666150B2 (en) * 2020-01-13 2023-06-06 Robern, Inc. Charging device and cabinet
KR20220028829A (ko) * 2020-08-31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CN213335274U (zh) * 2020-09-25 2021-06-01 深圳市安拓浦科技有限公司 毛巾烘干机
CN112856750B (zh) * 2021-01-27 2022-11-1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智能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51Y1 (ko) * 2001-05-26 2001-10-29 주식회사 엔텍 욕실장
KR20090012438U (ko) 2008-06-02 2009-12-07 윤현환 욕실용 수납장
US20100224615A1 (en) * 2009-03-05 2010-09-09 Gallo Christopher J Assembly for warming towels and the ambient air
JP2013106785A (ja) * 2011-11-21 2013-06-06 Panasonic Corp 洗面化粧台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1126A (en) * 1931-02-12 1933-12-26 Blackman Albert Edgar Medicine cabinet
US2419226A (en) * 1941-09-27 1947-04-22 Alva L Palmer Clothes drier with collapsible supports
US2598917A (en) * 1949-12-29 1952-06-03 Herbert M Ingram Refrigerator construction
US3054194A (en) * 1959-05-25 1962-09-18 Robert M Hayes Collapsible portable clothes drier
US3306689A (en) 1965-07-21 1967-02-28 Walter E Heller & Company Receptacle
US3519318A (en) * 1968-05-27 1970-07-07 Donald E Hagen Camper's cupboard
US3515450A (en) * 1968-05-29 1970-06-02 William A Jaecke Space saver cabinet
US3521936A (en) * 1968-10-25 1970-07-28 Ilco Corp Drug and medicine container
US3955922A (en) * 1975-06-06 1976-05-11 Robert J. Patch Sterilizer for bathroom articles
US4195416A (en) * 1977-05-30 1980-04-01 Hall Marshall J Combination hair/hand/body dryer and vapor dispenser
US4134625A (en) * 1978-01-16 1979-01-16 General Bathroom Products Inc. Bathroom cabinet
US4189195A (en) * 1978-06-12 1980-02-19 Virginia R. Turney Bathroom cabinet
US4239310A (en) * 1979-04-02 1980-12-16 The Celotex Corporation Container door and back therefor
US4644136A (en) * 1985-02-19 1987-02-17 Watchman Kenneth C Towel warmer
US5255971B1 (en) * 1990-08-31 1996-12-17 Zaca Inc Medicine cabinet
US5355627A (en) * 1990-09-25 1994-10-18 Robern, Inc. Cabinet having an internal power supply and a door casing gasket
US5108162A (en) * 1990-12-12 1992-04-28 Lund Jacqueline A Medicine cabinet and jewelry box combination
US5487877A (en) * 1992-02-01 1996-01-30 Choi; Min K.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US5380981A (en) * 1993-05-04 1995-01-10 Feldman; Bernard Economical bathroom mirror heater
US5524980A (en) 1993-07-15 1996-06-11 Rx For Organization Medicine cabinet organizing insert
US5577819A (en) * 1994-05-02 1996-11-26 Olsen; Danny H. Bathroom appliance cabinet
US5444984A (en) * 1994-05-10 1995-08-29 Carson; Steven D. Storage cabinet with active dehumidifier
US6089685A (en) * 1999-04-15 2000-07-18 Jensen Industries Storage cabinet with selectively mounted independently supported shelves
US6640581B1 (en) * 1999-10-28 2003-11-04 Yoo-Pyung Corporation Property box of cabinet/wall-hanging type requiring low temperature
US6420682B1 (en) * 1999-11-03 2002-07-16 Newhome Bath & Mirror, Inc. Fogless mirror for a bathroom shower and bathtub surround
JP2001241682A (ja) * 2000-02-29 2001-09-07 Inax Corp 脱衣室温風器
KR100796870B1 (ko) * 2000-09-29 2008-01-22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손 건조장치
US6365876B1 (en) * 2001-08-27 2002-04-02 Parkson Industries, Inc. Cabinet with convectively heated exterior and interior mirrors
US20030042828A1 (en) * 2001-08-29 2003-03-06 Bonin Pete J. Compact utility medicine cabinet with sanitizing
US6525298B1 (en) 2001-10-01 2003-02-25 Barney D. Hunts Towel warmer
US6664513B1 (en) * 2002-05-25 2003-12-16 Parkson Industries, Inc. Wall-mounted mirror heated by convection and radiation
GB2399010B (en) * 2003-03-03 2005-09-14 P & L Systems Ltd Hand dryer
EP1486637B1 (en) * 2003-06-12 2009-08-05 Lidartech Co., Ltd. Window having a ventilation equipment
US7712752B2 (en) * 2003-09-09 2010-05-11 Jack Horning Sports equipment storage device
US20050052100A1 (en) * 2003-09-09 2005-03-10 Jack Horning Sports equipment storage device
US20050167563A1 (en) * 2004-01-29 2005-08-04 Delaney Kathy M. Adjustable hair dryer and mirror assembly
US20050264141A1 (en) * 2004-05-28 2005-12-01 Scott Whitall Furniture containing a safe
JP4604588B2 (ja) * 2004-07-21 2011-01-05 マックス株式会社 浴室空調装置
US8058588B2 (en) 2005-08-31 2011-11-15 Western Industr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warmer drawer
US7258606B1 (en) * 2005-09-06 2007-08-21 Carlos Patrick Reid Modular retrofit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313928B1 (ko) * 2007-02-13 201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A2584573A1 (en) * 2007-04-11 2008-10-11 Paul Regan Storage and drying unit for storing and drying outerwear, sports clothing and equipment use
CA2686612A1 (en) 2007-05-07 2008-11-13 Robern, Inc. Medicine cabinet with cold storage region
JP2009121793A (ja) * 2007-11-19 2009-06-04 Panasonic Corp 浴室換気空調装置
US7543339B1 (en) * 2008-02-25 2009-06-09 Robert Marion Harris Modular bidet, cartridge based liquid dispenser and blow-dryer system
US8317040B2 (en) 2008-04-09 2012-11-27 Terry Lanning Magnetic divider system
US8166667B1 (en) * 2008-07-07 2012-05-01 Robert Lora Clothes drying furniture
WO2011069147A1 (en) * 2009-12-04 2011-06-09 Natalie Levi Electrical appliance holder system
US9013071B1 (en) * 2009-12-04 2015-04-21 Natalie Levi Electrical appliance holder system
JP5538621B2 (ja) * 2011-03-23 2014-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浴室乾燥機
US9261304B2 (en) 2013-01-30 2016-02-16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divider assembly for refrigerator storage unit
US9307837B2 (en) * 2014-06-30 2016-04-12 Ronald Lynn Wood Customizable wall cabinet for storage of personal items
US9644834B2 (en) * 2014-08-15 2017-05-09 American Glasscrafters, Inc. Electrified medicine cabinet
TWI537712B (zh) * 2015-01-19 2016-06-11 圓展科技股份有限公司 充電裝置及其之供電結構與承載模組
US10582769B2 (en) * 2015-12-28 2020-03-10 Robern, Inc. Cabinet system including accessory
KR2018004458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352578B1 (ko) * 2017-03-03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KR102334745B1 (ko) * 2017-03-06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관리기
US10448762B2 (en) * 2017-09-15 2019-10-22 Kohler Co. Mirr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51Y1 (ko) * 2001-05-26 2001-10-29 주식회사 엔텍 욕실장
KR20090012438U (ko) 2008-06-02 2009-12-07 윤현환 욕실용 수납장
US20100224615A1 (en) * 2009-03-05 2010-09-09 Gallo Christopher J Assembly for warming towels and the ambient air
JP2013106785A (ja) * 2011-11-21 2013-06-06 Panasonic Corp 洗面化粧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23723B (zh) 2021-01-08
CN108523723A (zh) 2018-09-14
US10767302B2 (en) 2020-09-08
US20180251932A1 (en) 2018-09-06
KR102334744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23723B (zh) 浴室管理器
CN108523722B (zh) 浴室管理器
CN108567352B (zh) 浴室管理器
KR102352579B1 (ko) 욕실관리기
KR102280073B1 (ko)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KR102542121B1 (ko) 욕실관리기
CN108523730B (zh) 浴室管理器
KR20180101919A (ko) 욕실관리기
KR102352578B1 (ko) 욕실관리기
KR20180026242A (ko) 욕실관리기
KR20180044589A (ko) 욕실관리기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20180026952A (ko) 욕실관리기
KR20180101076A (ko) 욕실관리기
KR200329211Y1 (ko) 화장실용 수납장
KR20180027672A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20180044588A (ko) 욕실관리기
KR20180049912A (ko) 욕실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