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867A - Plc 시스템 - Google Patents

Pl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867A
KR20180101867A KR1020170028366A KR20170028366A KR20180101867A KR 20180101867 A KR20180101867 A KR 20180101867A KR 1020170028366 A KR1020170028366 A KR 1020170028366A KR 20170028366 A KR20170028366 A KR 20170028366A KR 20180101867 A KR20180101867 A KR 2018010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ase
power
plate
insertion hol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651B1 (ko
Inventor
김영평
심재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6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PLC] for automation or industrial process control
    • H05K7/1464Functional units accommodated in the same PLC modul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하여 안정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LC 시스템은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와, PCB 기판, 및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는 입력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부케이스는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원단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PCB 기판은 하부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전원단자 및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분리하는 필터부를 구비한다.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PCB 기판과 연결되어 분리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한다.

Description

PLC 시스템{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본 발명은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하여 안정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첨단 기술로 인하여 자동화 분야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공장 자동화를 위한 기기들이 등장하였다.
특히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해 로직, 시퀀스, 타이밍, 카운팅 및 연산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이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공장 내의 다양한 장비 및 여러 종류의 기기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공장 자동화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다양한 공장 자동화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PLC 시스템은 자동화 설비 등의 외부 기기로 신호를 제공하고, 기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케이스 외부에 입출력단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입출력단자는 PCB 기판에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PCB 기판은 전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원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에는 노이즈 전원이 포함되어 있어, PLC 시스템과 외부 기기는 정확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노이즈 전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원단자에 접지 플레이트를 결선해 주어야만 한다.
즉, 별도의 접지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단자와 접지 플레이트를 결선해 주어야만 하는데, PLC 시스템에는 수많은 단자가 설치되어 있어 종종 오결선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LC 시스템을 구조물에 설치할 때 접지 플레이트의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설치시 작업자가 결선작업을 누락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노이즈 전원으로부터 PLC 시스템을 보호하지 못하여 오작동이 발생하고, 심지어는 내부 소자가 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노이즈 전원을 제거하는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가 케이스 내부의 PCB 기판과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PLC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LC 시스템은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와, PCB 기판, 및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는 입력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부케이스는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원단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PCB 기판은 하부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전원단자 및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분리하는 필터부를 구비한다.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PCB 기판과 연결되어 분리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가 체결부재를 통해 PCB 기판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결선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종래에는 접지 플레이트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PLC 시스템을 구조물에 설치할 때, 접지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단자와 접지 플레이트를 결선해 주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가 하부케이스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의 결선 작업을 누락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접지 케이블이 제거되므로 오결선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있어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접지 프레이트가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6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에 가이드 바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이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있어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접지 프레이트가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6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부에 가이드 바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PLC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시스템(100)은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기기(10)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와, PCB 기판(130), 및 접지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10)는 입력 전원 케이블(111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111)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전원단자(111)는 외부에 설치된 전원 공급부(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 전원 케이블(111a)의 일단은 전원 공급부(20)에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단자(111)에 접속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원단자(111)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120)의 일면에는 상부케이스(120)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부(121)를 개방하면 전원단자(111)가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부(121)를 폐쇄하면 전원단자(111)는 차폐된다.
상부케이스(120)는 외부 기기(10)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122)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입출력단자(122)가 설치됨에 따라, PLC 시스템(100)은 외부 기기(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외부 기기(10)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PCB 기판(130)은 일면 또는 양면에 도체 패턴이 있는 배선판으로, 하부케이스(110) 내에 배치되어 전원단자(111) 및 입출력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PCB 기판(130)은 전원단자(1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동시에, 입출력단자(122)를 통해 외부 기기(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기기(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CB 기판(130)은 전원단자(111)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분리하는 필터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13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13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130)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PCB 기판(130)이 필터부(131)를 구비함에 따라 전원단자(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대하여 노이즈 전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전원은 전력선 통신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필터부(131)는 커패시터를 통해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즉, 커패시터는 직류 성분을 차단하는 특성이 있고, 전원단자(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직류이기 때문에, 공급전원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면 커패시터는 노이즈에 해당하는 교류 전원만을 출력한다. 그리고, 필터부(131)는 커패시터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전원을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출력한 후, 입출력단자(122)로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필터부(131)는 전술한 노이즈 필터링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131)가 상기의 방법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하부케이스(11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PCB 기판(130)과 연결되어 분리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한다. 이처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를 통해 필터부(131)로부터 분리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함에 따라, PLC 시스템(100)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면, PLC 시스템(100)은 입출력단자(122)를 통해 제어신호를 외부 기기(10)로 보다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일면에 제1 삽입 홀(140a)이 형성되고, 제1 삽입 홀(140a)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재(150)를 통해 PCB 기판(1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150)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CB 기판(130) 및 하부케이스(110)에는 제1 삽입 홀(140a)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1 체결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부재(150)를 제1 삽입 홀(140a) 및 제1 체결 홀에 삽입시킨 후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PCB 기판(130)에 고정 및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제1 삽입 홀(140a)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재(14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에 돌출부재(141a)가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의 설치시 별도의 너트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조립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제1 플레이트(141)와, 절곡부(142)와, 제2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41)는 일면에 제1 삽입 홀(140a)이 형성된다. 즉, 제1 플레이트(141)는 제1 체결부재(150)를 통해 PCB 기판(130)에 고정 및 접속되는 부위가 된다.
절곡부(142)는 제1 플레이트(141)의 일단에 연장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절곡부(142)의 단면은 'V'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43)는 절곡부(142)의 일단에 연장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141)와, 절곡부(142)와, 제2 플레이트(143)는 각각 별도로 구비한 후 이들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일자 형태의 플레이트를 구비한 후 상기 플레이트 중앙을 'V'자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플레이트(143)의 양측에는 각각 개구 홀(14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개구 홀(143a)에는 제2 플레이트(14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측으로 벤딩(bending)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재(144)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장부재(144)는 가이드 바(18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일면에 제2 삽입 홀(140b)이 형성되고, 제2 삽입 홀(140b)에 삽입되는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하부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부재(160)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110)에는 제2 삽입 홀(140b)과 대응되는 부위에 제2 체결 홀(110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체결 홀(110b)은 하부케이스(110)의 하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부케이스(110)의 전면 일부를 절개하여 하측면에 체결 플레이트(113)를 형성하고, 체결 플레이트(113)의 일면에 상하방향의 제2 체결 홀(110b)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하방향이라 함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2 체결부재(160)를 제2 삽입 홀(140b) 및 제2 체결 홀(110b)에 삽입시킨 후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는 하부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절개부(114)에 체결공구를 삽입시킨 후 제2 체결부재(160)를 회전시키면, 체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0)는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외부 구조물(3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를 하부케이스(110)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외부 구조물(30)에 설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부케이스(110)의 하측면을 외부 구조물(30)과 맞닿게 배치시킨 후, 제2 체결부재(160)를 제2 삽입 홀(140b) 및 제2 체결 홀(110b)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체결공구를 통해 제2 체결부재(160)를 체결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케이스(110)에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가 고정되는 동시에 제2 체결부재(160)가 구조물(30)에 체결된다.
이처럼 제2 체결부재(160)가 하부케이스(110)를 지지하며 구조물(30)에 체결됨에 따라, 하부케이스(110)는 구조물(3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조물(30)에 지지시키기 위하여, 제2 체결부재(160)가 체결된 타측면에 제3 체결부재(1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3 체결부재(170)를 이용하여 하부케이스(110)를 구조물(30)에 체결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케이스(110)의 외측 하부에는 수평방향의 가이드 레일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부(112)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홀(180a)을 구비한 가이드 바(18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이라 함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
가이드 레일부(112)는 하부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부케이스(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하부케이스(1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 레일부(112)는 하부케이스(110)에 억지끼움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12)는 가이드 바(180)의 양측부가 끼워지도록 일면에 슬라이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180)가 가이드 레일부(112)로 삽입될 때에는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의 하측면을 지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플레이트(140)에는 하측으로 벤딩(bending) 처리된 연장부재(144)가 구비되므로, 가이드 바(180)가 가이드 레일부(112)로 삽입될 때 연장부재(144)가 가이드 바(18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144)가 제2 플레이트(143)와 가이드 레일부(112) 사이에서 가이드 바(180)를 가압하는 형태가 되므로, 가이드 바(180)가 가이드 레일부(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와 하부케이스(110) 사이에는 구조상 이격된 공간(19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접지 플레이트(140)와 하부케이스(110) 사이에 공간(190a)이 형성되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가 하부케이스(110)로부터 들뜨는 형태가 되어 연장부재(144)가 가이드 바(18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에 절곡부(142)를 형성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180)가 가이드 레일부(112)로 삽입될 때 가이드 바(180)가 제2 플레이트(143)를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절곡부(142)가 변형되어 제2 플레이트(143)가 하부케이스(110)에 밀착하게 된다. 그러면, 연장부재(144)가 가이드 바(180)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가이드 바(180)를 가이드 레일부(11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바(180)는 하부케이스(1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물(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30)의 일면에 설치된 고리에 가이드 바(180)의 고정 홀(180a)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시키면, 구조물(30)에 가이드 바(180)는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 바(180)를 따라 가이드 레일부(112)을 이동시키면, 하부케이스(11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110)의 배치위치를 잘못 설정한 경우, 고정 홀(180a)들과 가이드 레일부(112)을 이용하면 구조물(30)로부터 하부케이스(110)를 분리하지 않고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부(112)는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 배치된 가이드 레일부(112)와 비오버랩되도록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방향이라 함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가이드 레일부(112)가 각각 이격 배치됨에 따라, 가이드 레일부(112) 사이에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따라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의 설치시 가이드 레일부(112)와 간섭되지 않아, 접지 플레이트(14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PLC 시스템(100)은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가 제1 체결부재(150)를 통해 PCB 기판(130)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부케이스(110)에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결선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종래에는 접지 플레이트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PLC 시스템을 구조물에 설치할 때, 접지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단자와 접지 플레이트를 결선해 주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가 하부케이스(110)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140)의 결선 작업을 누락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접지 케이블이 제거되므로 오결선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하부케이스 111.. 전원단자
111a.. 입력 전원 케이블 120.. 상부케이스
121.. 도어부 122.. 입출력단자
130.. PCB 기판 131.. 필터부
140..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 140a.. 제1 삽입 홀
140b.. 제2 삽입 홀 141a.. 돌출부재
150.. 제1 체결부재 160.. 제2 체결부재
170.. 제3 체결부재 180.. 가이드 바

Claims (9)

  1.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PLC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단자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입출력단자가 상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단자 및 입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단자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 전원을 분리하는 필터부를 구비한 PCB 기판;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PCB 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분리된 노이즈 전원을 제거하는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1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홀에 삽입되는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PCB 기판과 연결되는 PLC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삽입 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PLC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일면에 상기 제1 삽입 홀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 연장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일단에 연장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PLC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각각 개구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개구 홀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측으로 벤딩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재가 구비된 PLC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는 일면에 제2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 홀에 삽입되는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는 PLC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2 체결부재를 통해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PLC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측 하부에는 수평방향의 가이드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는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고정 홀을 구비한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PLC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각각 상기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격 배치된 가이드 레일부와 비오버랩되도록 상기 프레임 접지 플레이트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PLC 시스템.
KR1020170028366A 2017-03-06 2017-03-06 Plc 시스템 KR10191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66A KR101910651B1 (ko) 2017-03-06 2017-03-06 Plc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366A KR101910651B1 (ko) 2017-03-06 2017-03-06 Plc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867A true KR20180101867A (ko) 2018-09-14
KR101910651B1 KR101910651B1 (ko) 2018-10-23

Family

ID=6359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366A KR101910651B1 (ko) 2017-03-06 2017-03-06 Pl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4299B (zh) * 2019-11-14 2022-05-11 日商富士電機股份有限公司 可程式控制器用基板及可程式控制器系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3199B (zh) * 2022-02-18 2023-05-21 寶元數控股份有限公司 可程式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09B1 (ko) * 2007-10-18 2009-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노이즈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4299B (zh) * 2019-11-14 2022-05-11 日商富士電機股份有限公司 可程式控制器用基板及可程式控制器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651B1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147A (en) EMI shield apparatus and methods
US5323299A (en) EMI internal shield apparatus and methods
EP3301763B1 (en) Electronic device
EP2685564B1 (en) Electronics modul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onics module
KR101910651B1 (ko) Plc 시스템
EP0934688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hielding of electronic components on a circuit board
US8221134B2 (en) Solderless connector assembly
EP3319177B1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220133192A (ko) Emc 필터 플러그인 장치
CN111434020B (zh) 逆变器装置
KR101444597B1 (ko) 쉴드캔 및 그 설치방법
KR101547495B1 (ko) Emi필터부가 일체된 bldc 모터장치
JP2019145503A (ja) コンタクト及びバスバーアセンブリ、そのようなコンタクト及びバスバーアセンブリを有する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そのような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から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を取り外す方法
US20140148048A1 (en) Display device
WO1999054973A1 (en) Quick connect relay module
CN1145571A (zh) 屏蔽盒
EP2043118B1 (de) Elektrisches/elektronisches Installationsgerät
JP2006012495A (ja) 電子機器等の静電気放電構造
RU2726645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обработка всплесков напряжения
EP3430875B1 (de) Elektronische reihenklemme für einen datenbus
JPH0716116B2 (ja) 電子装置
RU162854U1 (ru)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с межплатной экранировкой
CN217894108U (zh) 驱动装置及具有其的运输设备
EP1887848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eed through filter
KR20020023672A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