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411A -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411A
KR20180101411A KR1020187020986A KR20187020986A KR20180101411A KR 20180101411 A KR20180101411 A KR 20180101411A KR 1020187020986 A KR1020187020986 A KR 1020187020986A KR 20187020986 A KR20187020986 A KR 20187020986A KR 20180101411 A KR20180101411 A KR 2018010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epilobium
polyphenol
phenylpropa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이도 푸리첼리
살바토레 쿠조크레아
엘레나 스가라바티
다니엘 피에트라
Original Assignee
푸리트라 파르마체우티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리트라 파르마체우티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푸리트라 파르마체우티치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4Esters of 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polyol, i.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free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including the hydroxy group involved in the glycosidic linkage, e.g. monoglucosyldiacylglycerides, lactobionic aci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Ajuga reptans)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에필로븀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폴리페놀의 양은 폴리페놀의 총량에 대해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서도 개시한다.

Description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30% 내지 70%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결과적으로 10 내지 50%의 테우폴리오사이드가 포함된 아주가(조개나물) 추출물, 및 20 내지 50%의 폴리페놀, 결과적으로 최대 3%의 오에노테인 B가 포함된 에필로븀(바늘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은 전립선종 (BEP - 양성 전립선 확대증)이라고도 하며 전립선의 부피가 증가한 병리상태이다. 이러한 부피 증가는 전립선의 유면조직과 기질성분의 비대증 (즉, 세포수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
다수의 화학적 매개제가 BPF 발병과 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예컨대,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노르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염증성 시토카인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 중에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이 가장 중요하다.
DHT는 테스토스테론의 대사물질로서 전립성 성장의 중요한 매개제이다. DHT는 테스토스테론의 순환으로 전립선 내에서 합성된다. DHT는 주로 전립선 연결조직의 세포 내에 국소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합성시, DHT는 상피세포에 도달한다. 이들 두가지 세포에서 DHT가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이들 두가지 세포의 미토겐에게 성장인자의 전사 신호를 발생한다. DHT의 중요성은, 5-α 리덕타제 억제제를 투여하여 전립선내 DHT 함량의 현저한 감소를 야기한 양성 비대증 환자의 임상 관찰의 결과가 뒷받침한다. 이들 환자에서 전립선 크기가 감소하고 따라서 비대증 증상도 감소한다 [AUA guideline on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revisited 2010) 참조].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는 다양한 화합물, 즉: 두타스테라이드, 피나스테라이드 등의 5-알파-리덕타제(환원효소) 억제제 (5-ARI); 알푸조신, 독사조신, 타물로신, 테라조신, 실로도신 등의 알파 차단제; 항콜린제 등의 이용에 기초한다. 알파 차단제와 5-알파 리덕타제 억제제, 또는 알파 차단제와 항콜린제 등과 같이 복합 치료법도 이용되었다 [AUA guideline on manage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revisited 2010) 참조].
약효식품 접근을 통하여 (증세가 가벼운 경우 및 보통 내지 심각한 질환시 표준적인 치료와 병용하는) 양성 전립성 비대증에 대한 더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약효식품은 세레노아 레펜스(Serenoa repens), 피제움 아프라카눔(Pygeum africanum), 우르티카 다이오이카(Urtica dioica) 및 쿠쿠르비아 페포(Cucurbia pep)의 추출물, 또한 이소플라본, 라이코펜, 셀레늄 및 β-시토스테롤 등의 물질이 있다 (Phytother. Res. 2014 Jul; 28(7):949-55. Phytotherapy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A minireview. Pagano E, Laudato M, Griffo M, Capasso R 참조)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를 위해 활성 성분으로서 오에노테인 B를 함유하는 에필로븀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Granica S, Piwowarski JP, Czerwinska ME, Kiss AK. J. Ethnopharmacol. 2014 Oct 28; 156:316-46; 및 Lesuisse D, Berjonneau J, Ciot C, Devaux P, Doucet B, Gourvest JF, Khemis B, Lang C, Legrand R, Lowinski M, Maquin P, Parent A, Schoot B, Teutsch G. J. Nat. Prod. 1996 May; 59(5):490-2 참조).
주성분으로서 테우폴리오사이드를 20 내지 90%의 범위로 포함하는 페닐프로파노이드가 포함된 아주가 렙탄스(Ajuga reptans: 서양조개나물) 추출물은 EP1736166B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 언급한 바와 같이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5-알파-리덕타제의 활성화에 의존하여 전립선 질환 환자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달성되며, 이 조성물은: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에필로븀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폴리페놀의 양은 폴리페놀의 총량에 대해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아주가 렙탄스와 에필로븀의 두가지 특이적 추출물이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공동상승적 활성을 나타낸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30 내지 70%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결과적으로는 10 내지 50%의 테우폴리오사이드, 및 20 내지 50%의 폴리페놀, 결과적으로는 최대 3%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치료한 래트의 전립선의 중량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치료한 래트의 전립선의 조직학적 양상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치료한 래트에서 PGE2의 농도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치료한 래트에서 혈중 DHT 농도에 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IκBα의 분해로 인한 NFκB의 핵내로의 위치전환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iNOS 및 COx-2 발현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질 과산화 반응, 말론디알데히드 용량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세포사멸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치료한 래트의 전립선의 조직학적 양상을 도시한다.
도 10은 PGE2 및 DHT 농도의 조절에 있어서 실시예 3의 조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11은 IκB-α의 발현 및NF-κB의 핵 위치전환에 대한 실시예 3의 조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12는 BPH 후의 iNOS 및 COX-2의 발현 및 MDA 농도에 대한 실시예 3의 조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13은 세포사멸 경로의 조절에 대한 실시예 3의 조제물의 효과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술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에필로븀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술한 폴리페놀의 양은 폴리페놀의 총량에 대해 최대 3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는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여기에서 사용한 "페닐프로파노이드"라는 용어는 다음의 일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을 말하며:
Figure pct00001
여기서 R1은 수소 원자, 5개 혹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단당류 또는 10개 혹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이당류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카페오일기(A) 혹은 페룰로일기(B)이고;
R3은 수소 원자, 5개 혹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단당류, 10개 혹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이당류, 카페오일기(A) 또는 페룰로일기(B)이고;
R4는 수소 원자, 1개 내지 3개 바람직하게는 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나 분지쇄 알킬기 또는 히드록실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1개 내지 3개 바람직하게는 1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나 분지쇄 알킬기이고;
R3이 카페오일기(A) 혹은 페룰로일기(B)일 경우,
Figure pct00002
R2는 수소 원자이고 또는 이들이 서로 반대일 수도 있으며, 또한 R4와 R5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페닐프로파노이드 종류 중에서, 테우폴리오사이드, 이소테우폴리오사이드 및 메틸 이소테우폴리오사이드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다:
- 테우폴리오사이드:
Figure pct00003
여기서 R1은 갈락토스, R2는 카페인산, R3은 수소, R4는 수소 및 R5는 수소이다.
- 메틸 테우폴리오사이드:
Figure pct00004
여기서 R1은 갈락토스, R2는 페룰산, R3은 수소, R4는 수소 및 R5는 수소이다.
- 이소테우폴리오사이드:
Figure pct00005
여기서 R1은 갈락토스, R2는 수소, R3은 카페인산, R4는 수소 및 R5는 수소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이 페닐프로파노이드 양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의 페닒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결과적으로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 양에 대해 약 3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고 유리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이스티튜토 디 리체르케 바이오테크놀로지케 (IRB) S.p.A. 사 (아타빌라 비센티나, 이탈리아)에서 상품명 TeosideTM 50으로 시판하는 추출물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구현예의 추출물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약 3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메틸테우도폴리오사이드 및 이소테우도폴리오사이드 역시 상기의 추출물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이 포함된 에피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며,상기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한다.
오에노테인 B는 다음의 구조식을 갖고;
Figure pct00006
또한 이의 호변이성체 및 구조적 이형태체 (conformer)도 포함한다.
약 200 여종의 에필로븀이 현재 존재한다. 에필로븀은 스테롤, 트리테르펜, 플라보노이드류 및 폴리페놀류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량의 폴리페놀류를 함유하는 수많은 에필로븀 추출물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에필로븀 추출물은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 (angustifolium) 및/또는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parviflorum)으로부터 수득하며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일 구현예에서, 약제학적 조성물은 50%의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 및 50%의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의 잎과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고, 이 추출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33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1.7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최대 0.4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1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에필로븀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열수로 추출한 뒤 이 수용액 (수용성 추출물)을 건조시켜 수득하며, 이에 따라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무수 추출물을 수득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구현예에서, 에필로븀 추출물은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Epilobium angustifolium L)과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 쉐르브 (Epilobium parviflorumScherb)의 기근부의 50:50 혼합물을 열수로 추출하여 수득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상술한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 약제학적 조성물은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과 에필로븀 추출물을 1:1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 1:1 내지 1:1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6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또한, 약제학적 조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옥수수에서 얻은 말토덱스트린 같은 말토덱스트린류; 제2 인산칼슘 같은 증량제; 징크-L-피돌레이트;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같은 케이크 방지제; 아셀렌산 나트륨 등을 더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제물은 임의의 투여 경로,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더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캡슐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제물, 바람직하게는 경구형 단위 투약 형태 예컨대 캡슐이나 태블릿 형태로 투여하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100 내지 20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0 내지 1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가 포함된 10 내지 40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위 투약 형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캡슐이나 태블릿 등의 경구형 조제물로서 투여하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15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2.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가 포함된 25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위 투약 형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캡슐이나 태블릿 등의 경구형 조제물로서 투여하며,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을 포함하는 것인 15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2.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 3 mg의 아연과 등량인 12.5 mg의 징크-L-피돌레이트 및 27.5 μg의 셀레늄에 해당하는 양의 아셀렌산 나트륨이 포함된 25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 결과적으로는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폴리페놀의 양은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이용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두 종류의 추출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바람직하고 유리한 구현예는 전립선 질환 특히 양성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있어서의 이 조성물의 용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과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공동상승 효과의 평가에 관한 실시 구현예는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에필로븀 추출물은,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과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 쉐르브의 기근부의 50:50 혼합물을 열수로 추출하여 제조했다. 수득된 수용액을 건조하여 초기의 식물 재료 대비 1/4 중량의 추출물을 얻었다. 옥수수로부터 30%의 비율로 얻은 말토덱스트린을 부형제/보조제 물질로서 첨가했다. 추출물의 중량 대비 추출물 내의 폴리페놀의 양은 약 31.7 중량% 이었으며, 오에노테인 B (갈산 형태로 발현됨)의 양은 폴리페놀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31 중량% 이었다. 폴리페놀의 양은 유럽 약전(제8판)에서 정의한 기법에 따라 측정했으며 오에노테인 B의 양은 HPLC-MC-QTOF를 통해 측정했다.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로는, 이스티튜토 디 리체르케 바이오테크놀로지케 (IRB) S. p. A사 (알타빌라 비센티나, 이탈리아)가 테오사이드TM50 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는 제품을 사용했다. 테오사이드TM50 추출물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의 페놀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며, 이 페닐프로파노이드 양은 약 3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두 종류의 추출물, 에필로븀/테오사이드TM50 추출물을 12:2의 중량비로 조합했다.
실시예 2: 양성 전립성 비대증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평가
이 평가는, 경구 투여를 통해 치료 뒤 14일 후에 양성 전립선 비대증 실험모델에 대해 실시했다. 상기 화합물의 경구 투여로 유도된 효과를 확인하고 기타 부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절한 투여량 및 투여 모델 (위관 바늘을 이용한 경구 투여)를 선택했다. 생리학적 변화와 혈액 및 해부-병리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실험 설계를 설정했다. 상술한 변화가 출현하면 독성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찰스 리버 래버라토리사 (칼코, 밀라노, 이탈리아)로부터 구한 스프라그-다울리(Spraque-Dawley) 수컷 래트에 대해 평가를 실시했다.
래트는 전립선 비대증 연구에 "바람직한 선택" 동물종이다. 래트의 양성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본 발명의 조제물과 비교물질 양측의 효과를 평가했다.
시험 개시 단계시 동물은 생후 약 3개월의 월령으로 채중은 220 내지 250 그램이었다. 사육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21℃ 내지 23℃ 및 55±10% RH의 공조 환경에서 12시간 명-암 교대했다.
상기 조건에서 7일간 수용한 뒤 다음과 같은 수의학적 검사를 시행했다: 체중 측정, 물 및 먹이 소비량, 배설물 및 뇨 검사; 해당 동물 중 5%의 해부 실험 (무작위).
다음과 같은 실험군을 준비했다: 그룹당 각 5마리씩 3개 그룹을 마크롤론(markrolon) 케이지에 수용했다. 바닥이 편평한 425 x 266 x 180 mm 크기의 케이지로서 깨끗한 리터(litter: 배설물 처리제)(깨끗한 톱밥)가 구비되며, 펠릿 표준식이 (MIL 생쥐 및 래트를 대상으로 한)를 제공하고 수돗물은 무제한 공급했다. 옥수수 기름에 희석한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을 100 μl의 부피내 3 mg/kg의 용량으로 래트에게 매일 피하주사했다.
시험 조제물은 다음과 같았다:
-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수득한 에필로븀 추출물 (12 mg/kg)을 14일간 경구 투여함.
-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으로 공지된 시판 제품으로서, 파르말라보르사 (Farmalabor Ltd.) (카노사 디 푸글리아, 이탈리아)에서 판매하는 세레노아 추출물과 셀레늄의 조합물; 셀레늄 (0.005 mg/kg) + 세레노아 (28.5 mg/kg)을 14일간 경구 투여함.
- 테오사이드TM50 (2 mg/kg)과 에필로븀 추출물 (12 mg/kg)을 포함하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14 mg/kg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14일간 경구 투여함.
대조군 (허위 그룹)은 전체 실험기간 동안 담지체로 치료했다.
치료 부피, 방식 및 횟수는 다음과 같았다:
옥수수 기름에 희석한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의 피하 투여는 100 μl의 부피내 3 mg/kg의 용량으로 실시했으며, 또한 각종 조제물은 위관 바늘을 이용하여 14일간 (일일 1회) 250 μl의 부피내 2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다.
모든 실험군의 동물에 대해 다음 항목을 측정했다:
- 전립선의 중량:
- 전립선의 조직학적 검사;
-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측정;
- 혈중 DHT 평가;
- 염증성 매개제를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평가.
전립선의 조직학적 검사: 10% 중성 포르말린으로 고정 처리, 파라핀 포매 처리(embedding) 및 헤마톡실린-에오신을 이용한 전립선 염색 처리.
혈중 DHT내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측정: 혈청내 프로스타글란딘 E2 및 DHT의 농도를 엘리사 키트(ELISA KIT)로 측정했다.
결과
조사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해당하는 조제물과 셀레늄 + 세레노아 조제물은 14일 연속 경구 투여시 래트에게 잘 수용되었고 심지어 양성 전립선 비대증이 있는 경우에도 죽거나 심각한 체중 변화 및/또는 먹이 소비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시 전립선 크기의 현저한 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셀레늄 + 세레노아 조제물의 투여 후 성장이 감소했으나, 본 발명의 산물로 치료한 경우 더욱 감소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과 시험 조제물을 매일 투여함으로써 유도한 전립선의 형태 변화를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여 평가했다.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물은 비교 대상인 셀레늄 + 세레노아 조제물보다 전립선의 조직형태학적 변화를 더욱 현저히 감소시키고, 세엽의 규칙성, 세포 형상 및 기저막의 통합성(integrity: 온전성) 등을 회복했다.
또한 동일한 기관의 조직학적 변화의 감소를 하기의 표 1에서 명확히 나타낸다.
대조군 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 + 에필로븀 테스토스테론 + 본 발명의 산물 테스토스테론 + Se + Ser
세엽의 규칙성 있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기질 경량 가변적 가변적 경량 가변적
세포 형상 직육면체/원통형 원통형 원통형 직육면체/원통형 직육면체/원통형
세포 극성 있음 없음 없음/있음 있음 없음/있음
핵 형상 원형 원형/타원형 원형/타원형 원형/타원형 원형/타원형
유사분열 없음 있음 분리됨 없음 분리됨
세엽형 융모 없음 경량 경량 경량 경량
사상체 형태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축적 없음 보통 분리됨 없음 분리됨
성장 결여 보통 경량 결여 결여
기저막 온전함 온전함/단절있음 온전함/단절 있음 온전함 온전함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로 유발된 전립선의 형태 변화는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틀 통해 평가했다.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시 전립선 조직의 완전 해체 및 뚜렷한 과형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 1에 요약햐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토스테론으로 매일 처치한 결과, 낭강 내부의 융모 돌기가 있는 세엽의 불규칙한 형태 및 상피 극성의 손실이 관찰되었다. 상피는 직육면체/원통형으로 나타났고 핵은 불규칙하게 배열되었다. 다시 도 2와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산물을 이용한 치료시 전립선의 조직형태적 변화가 감소하고 세엽의 규칙적 형태, 상피 극성 및 기저막 통합성을 회복하고, 또한 낭강내 융모 돌기가 감소했음을 볼 수 있다 (표 1 및 도 2).
실험 과정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의 농도 및 혈중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도 평가했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응하는 조제물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및 다른 화합물보다 더 효과적으로 PGE2 및 DHT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테스토스테론 일일 투여에 따른 염증 과정의 개시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평가했다. 특히 IκBα 및 NFκB 농도를 관찰한 결과, 테스토스테론 일일 투여로 인해 IκBα 분해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핵내 NFκB의 위치전환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도 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물은 이러한 IκBα의 분해를 유의미하게 감소시켜 대조군 농도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NFκB가 핵내로 다시 위치전환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 일일 투여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와 지질 과산화 반응의 개시는 iNOS, COX-2 분석 및 멜론디알데히드 투여로 평가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에 따라 iNOS 및 COX-2의 발현과 지질 과산화 반응이 증가했고, 반면에 본 발명의 산물로 치료하면 iNOS 및 COX-2 발현 증가와 지질 과산화 반응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상기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에 따른 세포사멸 과정의 개시를 평가했다. 도 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테스토스테론의 일일 투여는 Bax, 즉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pro-apoptotic protein)의 농도를 감소시켜 세포사멸의 생리학적 과정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산물로 치료시 Bax 농도가 회복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산물의 비교 평가
본 연구에서, BPH 실험 모델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산물의 효능을 평가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산물로 동물을 치료했다:
- 에필로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수득한 에필로븀 추출물 (12 mg/kg)을 사용했다;
- 테오사이드TM50: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을 사용했다.테오사이드TM50의 추출물은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며 이 페닐프로파노이드 양은 약 30 중량%의 테오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한다.
- 본 발명의 산물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했으며 이는 테오사이드TM50과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했다; 또한
- 양성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으로 공지된 시판 제품으로서, 실시예 2에 개시된 세레노아 추출물과 셀레늄의 조합물, 약어로 "SeR + Se".
본 연구의 목적은 본 발명의 산물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항산화제 및 항염증 약제로서의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약 200 g 체중의 수컷 스프라그-다울리 래트를 엔비고사(이탈리아)로부터 구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동물 사육과 실험 절차는 실험 동물의 사육 및 이용에 관한 지침서 (실험동물 자원 관리원, 국립과학 연구소, Bethesda, M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상 동물에 관한 사육과 이용 기준을 준수했으며 메시나 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생체내 실험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을 유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험실 환경에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다음과 같은 그룹으로 동물을 무작위 할당했다:
허위 그룹: 래트에게 비히클을 투여했다 (100 mL의 옥수수 기름 피하주사);
BPH 그룹: 100 μl 부피의 옥수수 기름에 희석시킨 3 mg/kg 용량의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을 래트에게 피하주사로 15일간 투여하여 BPH를 유발했다;
BPH-테오사이드 그룹: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으로 처치한 래트에게 테오사이드TM50을 14일간 매일 경구 투여하여 (250 μl의 부피당 2 mg/kg의 용량으로) 치료했다;
BPH-에필로븀 그룹: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으로 처치한 래트에게 실시예 1의 산물을 14일간 매일 경구 투여하여 (2 mg/kg의 50% 테오사이드와 12 mg/kg의 에필로븀을 함유하는 총 12 mg/kg의 용량으로) 치료했다;
BPH-SeR + Se 그룹: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으로 처치한 래트에게 SeR (28.5 mg/kg) 및 Se (0.005 mg/kg)를 14일간 매일 경구 투여하여 치료했다.
실험을 종료하고, 동물을 마취후 죽여서 전립선을 즉시 분리하여 후속의 분석에 사용했다.
테오사이드Tm50 (IRB)과 프로피온산 테스토스테론 (시그마-알드리히사, 밀라노, 이탈리아)의 경우, 투여량과 투여 경로는 선행 게재된 논문들에 따라 적절히 선택했다 (Altavilla D, Minutoli L, Polito F, et al. Effects of flavocoxid, a dual inhibitor of COX and 5-lipoxygenase enzymes,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12;167:95-108).
전립선을 분리하여 무게를 재고 성장 억제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했다: 100 - [(TG (치료 그룹) - 허위 그룹)/(BPH - 허위 그룹) x 100], 여기서 TG는 치료 그룹의 값이다.
조직 절편을 헤마톡실린/에오신(H & E)으로 염색하여 화상장치에 연결한 광현미경으로 조사했으며 (악시오비전, 제이스, 밀라노, 이탈리아), 이는 조직학 연구에서 선행 개시된 바와 같다 (Paterniti I, Impellizzeri D, Di Paola R, et al. Docosahexaenoic acid attenuates the early inflammatory response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in mice: in-vivo and in-vitro studies. Journal of neuroinflammation. 2014;11:6).
웨스턴 블롯 분석에서, 선행 문헌에 게재된 절차를 약간 변형하여 세포액 및 핵 추출물을 제조했다 (Cordaro M, Paterniti I, Siracusa R, Impellizzeri D, Esposito E, Cuzzocrea S. KU0063794, a Dual mTORC1 and mTORC2 Inhibitor, Reduces Neural Tissue Damage and Locomotor Impairment After Spinal Cord Injury in Mice. Molecular neurobiology. 2016). 세포액 분획물에서 IκBα, iNOS, COX-2, Bax 및 Bcl2의 농도를 정량 분석했다. 핵 인자인 κB (NF-κB) p65는 핵 분획물에서 정량 분석했다, Abs 항-IκBα (1:500,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 항-iNOS (1:1000, BD-형질도입), 항-COX-2 (1:1000, 세포 신호발생), 및 항-BAX (1:500,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을 이용했다. 단백질 밴드의 상대적 발현은 BIORAD ChemiDocTM XRS +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밀도 측정법에 따라 정량 분석하고 β-액틴 농도로 표준화했다. 블롯 신호의 화상 (8 비트/600 dpi 해상도)을 분석 소프트웨어에 도입했다 (Image Quant TL, v2003).
선행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립선 시료의 말론디알데히드(MDA) 농도를 지질 과산화반응의 지표로 결정했다 (Paterniti I, Genovese T, Mazzon E, et al. Liver X receptor agonist treatment regulates inflammatory response after spinal cord trauma. Journal of neurochemistry. 2010;112:611-624).
전립선 조직내 PGE2를 평가했다. 전립선 시료를 균질화 처리후 입수가능한 카이만 EIA 키트 (카이만, 아르코레, 밀라노, 이탈리아)를 이용하여 PGE2에 대해 분석했다.
또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 농도를 측정했다. 시판 ELISA 키트 (My BioSource)를 이용하여 혈장 시료에서 DHT 농도를 분석했다.
여기서 사용한 그외 다른 시약 및 화합물은 시그마 케미칼사 (밀라노, 이탈리아)로부터 입수했다.
도면 및 하기의 기술에서 모든 값은 평균값 ± N개의 대상 관찰시 평균값의 표준편차(SEM)로 표시했다. 생체내 연구에서 N은 연구 대상 동물의 수를 나타낸다. 조직학을 수반하는 본 실험에서 도시된 도면은 서로 상이한 실험일자에 수행된 적어도 3회 실험에서 대표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를 일원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한 다음 다중 비교를 위해 본페로니(`Bonferroni) 후-hoc`테스트를 시행했다. 0.05 미만의 p-값은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했다.
결과
전립선 조직학
도 9에 상술한 조제물의 효과를 나타냈다.
비히클로 치료한 래트의 허위 전립선은 기저 배열(a, a1)을 나타내는 원형 핵과 함께 직육면체 및 키작은 원통형 상피세포를 가진 규칙적인 세엽을 나타낸다. BPH 전립선의 경우 낭강내 유두상 돌기를 가진 불규칙한 세엽 형상과 과형성 결절이 적층된 점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피세포는 키큰 원통형으로서 다중층 및 원형/타원형 핵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b.b1). 에필로븀, 테오사이드 및 SeR + Se를 이용한 치료시 (각각 c,c1, d,d1 및 f,f1 으로 표시하며 밀도 측정 결과는 (g)이다), 조직학적 패턴 및 뚜렷한 비대 증상이 감소했다.
도 9(g)는 상이한 실험 일자에 실시한 적어도 3회의 실험에서 대표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P < 0.0001 테스토스테론 대 허위 그룹; ###P < 0.0001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Se + Ser, 테오사이드 대 테스토스테론; ˚˚˚P < 0.0001 본 발명의 산물, Se + Ser, 테오사이드 대 에필로븀;
Figure pct00007
P < 0.05 테오사이드 대 Se + Ser (이원 ANOVA 및 본페로니 테스트와 함께 수행됨).
더욱이, BPH-유발된 래트에서 전립선 중량의 유의미한 증가가 관측되었으며 (h), 에필로븀, 테오사이드 및 SeR + Se로 치료한 경우 전립선의 성장이 감소했다 (h).
도 9(h)는 상이한 실험 일자에 실시한 적어도 3회의 실험에서 대표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P < 0.0001 테스토스테론 대 허위 그룹; ###P < 0.0001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Se + Ser, 테오사이드 대 테스토스테론; ˚P < 0.05 본 발명의 산물 대 에필로븀; §§ P < 0.001 테오사이드 대 본 발명의 산물.
대조군으로부터 수집한 전립선 조직은 정상적인 전립선 구조와 조직성을 나타내었으나 (도 9(a1) 및 밀도 측정 결과(g)를 참조), BPH 유발 후에는 전립선 조직의 장애, 중증 비대증 및 심각한 염증 등이 관찰되었다 (도 9(b)와 (b1), 및 밀도 측정 결과(g)를 참조).
에필로븀, 테오사이드 및 SeR + Se를 이용한 치료시 (각각 도 9(c, c1), (d, d1) 및 (f, f1), 및 밀도 측정 결과(g)를 참조), 테스토스테론 투여에 의해 유발된 뚜렷한 비대 증상이 감소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산물로 치료한 그룹의 경우 더욱 우수한 방지 경향이 관찰되었다 (도 9(e)와 (e1) 및 밀도 측정 결과(g)를 참조).
또한, BPH-유발된 래트에서 전립선 중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도 9(h)), 반면에 에필로듐, 테오사이드 및 SeR + Se를 이용한 치료의 경우 전립선의 성장 및 과중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도 9(h)). 본 발명의 산물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에는 전립선 성장률이 더욱 크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9(h)).
BPH 유발 후의 PGE2 및 DHT 농도
도 10은 PGE2와 DHT 농도의 조절에 있어서 상술한 조제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PGE2와 DHT의 기저 농도는 허위 그룹 동물에서 수집한 전립선 시료에서 확인했다 (각각 10(a) 및 (b)).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는 PGE2와 DHT 농도의 현저한 증가를 결정지었으며 (각각 10(a) 및 (b)) 반면에 테오사이드와 SeR + Se를 이용한 치료는 PGE2 농도의 증가를 유의미하게 저하시켰다 (각각 10(a) 및 (b)).
상기의 결과를 각 그룹당 20 마리에 대해 평균치 ± SD로 표시했다. PGE2 농도 ***P < 0.0001 테스토스테론 대 허위 그룹, ###P < 0.0001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Se + Ser, 테오사이드 대 테스토스테론; ˚˚˚P < 0.0001 본 발명의 산물, Se + Ser, 테오사이드 대 에필로븀; §§§P < 0.0001 Se + Ser, 테오사이드 대 본 발명의 산물;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P < 0.0001 테오사이드 대 Se + Ser.
허위 그룹 동물들에서 수집한 전립선 조직의 균질물은 기저 농도의 PGE2을 함유했다 (도 10(a)). 테스토스테론을 주사한 BPH 동물에서 수집한 전립선은 PGE2 농도에 있어서 뚜렷한 증가를 나타냈다 (도 10(a)). 테오사이드 및 SeR + Se로 치료시 PGE2 농도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도 10(a)). 본 발명의 산물로 치료한 그룹에서는 더욱 현저한 방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10(a)).
현재의 BPH 치료법에서 또다른 중요한 변수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농도이다. 본 연구에서 대조군이 DHT 기저 농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에, BPT-유발된 래트는 DHT 농도가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10(b)).
에필로븀, 테오사이드 및 SeR + Se로 치료한 경우 DHT 농도가 크게 감소했으며 (도 10(b)), 이들 테오사이드 및 SeR + Se와 비교시 본 발명의 산물을 투여한 경우 더 우수한 방지 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10(b)).
BPH 유발후 IκBα 및 NFκB의 발현
도 11에서, BPH 유발후 IκBα와 NFκB 발현에 대한 상기 조제물의 효과를 평가했다.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BPH 유발후, IκBα 분해 (A)와 NF-κB p65 위치전환 (B)에 대한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테오사이드 및 SeR + Se의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수득했다.
그룹당 20 마리의 동물로부터 얻은 용리물(lysate)의 대표적인 블롯을 도시하였으며, 밀도 측정 분석은 모든 동물에 대해 기록했다. A와 B의 결과를 각 그룹당 20 마리에 대해 평균치 ± SD로 표시했다. **P < 0.01 대 허위 그룹, *** P < 0.001 대 허위 그룹; ##P < 0.01 대 허위 그룹; #P < 0.05 대 BPH 그룹.
BPH의 정도에서 염증 과정이 수반되는 것을 더욱 적절히 평가하기 위하여, IκBα와 NF-κB의 발현을 분석했다. 대조군에서 IκBα의 기저 농도가 관찰된 반면, BPH 유발후에는 IκBα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결과적으로 도 11(a, a1) 및 (b, b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핵 내에서 NF-κB의 활성화/위치전환이 일어났다.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로 치료시 IκBα 분해를 유의미하게 방지했으며 (도 11(a, a1) 및 (b, b1)), 또한 NF-κB의 핵으로의 위치전환이 현저히 감소하여 (도 11(a, a1) 및 (b, b1)) 염증 촉진 유전자 (pro-inflammatory gene)의 후속 전사를 방지했다. 에필로븀 치료의 경우 이러한 방지 효과는 관측되지 않았다 (도 11(a, a1) 및 (b, b1)).
BPH 유발후 iNOS 및 COX-2 발현의 유도
BPH 유발 과정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iNOS 및 COX-2 발현 레벨을 분석했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테스토스테론 투여후 iNOS (A)와 Cox-2 (B) 농도에 대한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테오사이드 및 SeR + Se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수득했다. 또한,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테오사이드 및 SeR + Se 치료 후 MDA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c).
그룹당 20 마리의 동물로부터 얻은 용리물의 대표적인 블롯을 도시하였으며, 밀도 측정 분석은 모든 동물에 대해 기록했다. A, B 및 C의 결과를 각 그룹당 20 마리에 대해 평균치 ± SD로 표시했다. *P < 0.005 대 허위 그룹; **P < 0.01 대 허위 그룹, ***P < 0.001 대 허위 그룹; ##P < 0.01 대 BPH 그룹; ###P < 0.001 대 BPH 그룹.
BPH 유발후 iNOS 및 COX-2 발현 양쪽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 로 치료한 경우 iNOS 및 COX-2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고 (또 12(a, a1) 및 (b, b1)) 이에 따라 이들의 항산화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고 MDA 농도로써 측정된 지질 과산화 반응의 정도를 평가했다. BPH-그룹 (도 12(c))에서 MDA 농도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반면에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 치료시 지질 과산화 반응이 유의미하게 방지되어 도 1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MDA 농도가 감소했다. 에필로븀 치료의 경우 이러한 방지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12(c)).
BPH 에서 세포사멸 과정
도 13에서 상술한 조제물이 세포사멸 경로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BPH 유발후, Bax (A)와 Bcl-2 (B) 발현에 대한 에필로븀, 본 발명의 산물, 테오사이드 및 SeR + Se의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를 수득했다.
그룹당 20 마리의 동물로부터 얻은 용리물의 대표적인 블롯을 도시하였으며, 밀도 측정 분석은 모든 동물에 대해 기록했다. A, B 및 C의 결과를 각 그룹당 20 마리에 대해 평균치 ± SD로 표시했다. *P < 0.005 대 허위 그룹; ##P < 0.01 대 BPH 그룹; ###P < 0.001 대 BPH 그룹.
BPH가 세포사멸 과정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Bax 및 Bcl2 같은 세포사멸 촉진 단백질 및 세포사멸 방지 단백질을 모두 관찰했다.
수득한 결과에서 대조군의 전립선 조직내 검출가능한 Bax 및 Bcl2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a, a1) 및 (b, b1)). BPH 래트의 전립선 조직은 Bax 발현의 변화 없이 Bcl-2 농도의 소폭 증가를 나타냈다 (도 13(a, a1) 및 (b, b1)).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 를 이용한 치료시 세포사멸 방지 Bcl-2의 농도는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세포사멸 촉진 Bax의 발현은 증가했다 (도 13(a, a1) 및 (b, b1)).
본 연구에서,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를 이용한 치료가 14일 간의 테스토스테론 투여에 의해 유발된 IκBα 분해 및 NF-κB 위치전환을 감소시키는 항염증 효과를 더욱 증가시켰다는 사실이 확실하게 입증되었다. NF-κB의 활성화는 염증 촉진 유전자 예컨대 염증 촉진성 시토카인 (TNFα 및 IL-1β)과 iNOS 및 COX-2 등의 염증 촉진 효소의 농도 증가를 유도한다.
여러 종류의 염증 경로를 통하여 COX-2 발현 증가와 고농도 PGE2를 수반하는 이상 아라키돈산(AA) 대사반응이 BPH 발생과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Larre S, Tran N, Fan C, et al. PGE2 and LTB4 tissue levels in benign and cancerous prostates. Prostaglandins & other lipid mediators. 2008;87:14-19). 전립선 과성장에서 COX-2의 역할을 설명하는 몇가지 메카니즘이 제시되었으며 이들의 효과 중 일부는 COX-2가 매개한 PG 합성 특히 PGE2 합성의 증가가 그 원인일 수도 있다 (Larre S, Tran N, Fan C, et al. PGE2 and LTB4 tissue levels in benign and cancerous prostates. Prostaglandins & other lipid mediators. 2008;87:14-19).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BPH 유발후 더 큰 iNOS 및 COX-2 발현이 있었으며; 반면에 SeR + Se 및 에필로븀을 이용한 치료가 iNOS 및 COX-2의 농도 증가 뿐만 아니라 BPH 유발후 발생한 지질 과산화 반응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더욱더, 본 발명의 산물이 iNOS 및 COX-2과 MDA 생성을 둔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 대책임을 증명했다.
또한, COX-2는 전립선 조직의 세포사멸 감소와 더불어 세포사멸 방지 단백질 Bcl-2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고; Bcl-2 및 Bax가 세포사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전립선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암은 일반적으로 Bax의 세포사멸 효과를 중화시키는 Bcl-2를 과발현하고, 이에 따라 세포사멸로부터 벗어나 치료 효능을 감소시키며 (Revelos K, Petraki C, Gregorakis A, Scorilas A, Papanastasiou P, Koutsilieris M.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Bcl2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ime-to-biochemical failure in patients with clinically localized prostate cancer following radical prostatectomy. Anticancer research. 2005;25:3123-3133); 또한 이들 단백질의 상대비는 세포가 세포사멸의 대상이 될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에, 본 발명의 산물 및 SeR + Se를 이용한 치료가 Bcl-2의 발현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BPH 과정에서 Bax의 농도를 증가시켰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데이타는 전립선에서 Bax 발현을 유도하고 따라서 세포사멸의 메카니즘을 자극하는 본 발명의 치료 산물이 Bax/Bcl2 농도의 불균형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는, BPH의 조직학적 특징을 방지함에 있어서 에필로븀과 테오사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치료 산물이 기타 다른 단일 치료제보다 더욱 효과적이라는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확인되었다.

Claims (17)

  1.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이 조성물은: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7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아주가 렙탄스(Ajuga reptans)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양은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에필로븀 추출물로서, 여기서 상기 폴리페놀의 양은 폴리페놀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메틸테우폴리오사이드 및 이소테우폴리오사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약 50 중량%의 페닐프로파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량은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총량에 대해 약 30 중량%의 테우폴리오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은 이스티튜토 디 리체르케 바이오테크놀로지케(Istituto di Ricerche Biotechnologiche: IRB) S.p.A사에서 테오사이드TM50 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하는 추출물인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필로븀 추출물은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angustifolium) 및/또는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parviflorum)으로부터 수득하며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은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필로븀 추출물은 50%의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 및 50%의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의 잎과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이 추출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0 내지 33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며 이 폴리페놀은 최대 0.4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필로븀 추출물은 50%의 에필로븀 안구스티폴리움 및 50%의 에필로븀 파르비플로룸의 잎과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로서, 이 추출물은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31.7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며 이 폴리페놀은 최대 0.31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과 상기 에필로븀 추출물이 1:1 내지 1:20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과 상기 에필로븀 추출물이 1: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6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제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제물은 경구 투여용 조제물인 약제학적 조제물.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100 내지 20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0 내지 1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가 포함된 10 내지 40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단위 투약 형태인 것인 약제학적 조제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15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2.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가 포함된 25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단위 투약 형태인 것인 약제학적 조제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중량에 대해 20 내지 50 중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이 폴리페놀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대 3 중량%의 오에노테인 B를 포함하는 것인 150 mg의 에필로븀 추출물과 또한 12.5 mg의 폴리프로파노이드, 3 mg의 아연과 등량인 12.5 mg의 징크-L-피돌레이트 및 27.5 μg의 셀레늄에 해당하는 양의 아셀렌산 나트륨이 포함된 25 mg의 아주가 렙탄스 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단위 투약 형태인 것인 약제학적 조제물.
  16.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주가 렙탄스 추출물 및 에필로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질환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인 조성물.
KR1020187020986A 2015-12-21 2016-12-21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R20180101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5000085591 2015-12-21
ITUB2015A009551A ITUB20159551A1 (it) 2015-12-21 2015-12-21 Composizione farmaceutica per il trattamento dell?iperplasia prostatica
PCT/EP2016/082110 WO2017108907A1 (en) 2015-12-21 2016-12-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rostatic hyperplas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411A true KR20180101411A (ko) 2018-09-12

Family

ID=5564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986A KR20180101411A (ko) 2015-12-21 2016-12-21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261528A1 (ko)
EP (1) EP3393584A1 (ko)
JP (1) JP2019504117A (ko)
KR (1) KR20180101411A (ko)
IT (1) ITUB20159551A1 (ko)
MX (1) MX2018007724A (ko)
RU (1) RU2018126670A (ko)
WO (1) WO2017108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5053A1 (it) * 2020-03-10 2021-09-10 Idi Integratori Dietetici Italiani S R L Composizioni per la prevenzione e/o il trattamento dell’ipertrofia prostatica benigna (ipb)
IT202000014011A1 (it) 2020-06-11 2021-12-11 St Farmochimico Fitoterapico Epo S R L Ed In Forma Abbreviata Epo S R L Processo di preparazione di un estratto di epilobium spp. ad alto contenuto di enoteina b
IT202100025652A1 (it) * 2021-10-07 2023-04-07 Laboratori Nutriphyt Srl Composizione per il trattamento e la prevenzione delle patologie a carico della prostata e delle vie urinari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2049B1 (hu) * 1996-12-16 2003-04-28 Qms Consulting Bt Gyógyhatású készítmény prosztatagyulladás és BPH (beningus prostata hyperplasia) csökkentésére növényi komponensekből
EP1997501B1 (en) * 2005-06-20 2015-07-22 I.R.B. Istituto Di Ricerche Biotecnologiche S.r.l. Isoteupolioside and uses
CN104258093A (zh) * 2014-10-26 2015-01-07 淄博夸克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1528A1 (en) 2020-08-20
RU2018126670A (ru) 2020-01-23
RU2018126670A3 (ko) 2020-03-12
MX2018007724A (es) 2018-11-09
WO2017108907A1 (en) 2017-06-29
ITUB20159551A1 (it) 2017-06-21
EP3393584A1 (en) 2018-10-31
JP2019504117A (ja)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 Hroob et al.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diabetic cardiomyopathy an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epigallocatechin-3-gallate
Ndeingang et al. Phyllanthus muellerianus (Euphorbiaceae) restores ovarian functions in letrozole‐induced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n rats
Shwter et al. Chemoprevention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by Gynura procumbens in rats
Yang et al. Cardioprotective effects of a Fructus Aurantii polysaccharide in isoproterenol-induced myocardial ischemic rats
KR20180101411A (ko) 전립선 비대증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Kim et al. Combination of red clover and hops extract improved menopause symptoms in an ovariectomized rat model
Huang et al. Dietary mulberry-leaf flavonoids improve the eggshell quality of aged breeder hens
Minko Essono et al. The ethanol extract of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Lauraceae)) seeds successfully induces implant regression and restores ovarian dynamic in a rat model of endometriosis
Gharanjik et al. The Effect of Hydroalcoholic Calendula Officinalis Extract on Androgen‐Induced Polycystic Ovary Syndrome Model in Female Rat
Abdallah et al. Selenium nanoparticles modulate steroidogenesis-related genes and improve ovarian functions via regulating androgen receptors expression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rat model
Azgomi et al. Potential roles of genistein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Nsamou et al. The edible plant Amaranthus hybridus (Amaranthaceae) prevents the biochemical, histopathological and fertility impairments in colibri®-treated female rats
Mazloom et al. The effect of gallic acid on pituitary-ovary axis and oxidative stress in rat model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US10688146B2 (en) Curcuma mangga val et. zipp. extract as a treatment to overcome prostate problems
Kashkooe et al. A Review of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Adiantum capillus-veneris L.
Hadijafari et al. Yarrow (Achillea millefolium L.) Extract Produces Beneficial effects on Reproductive Parameters in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ian Syndrome in Rats
Abdulhussein et al.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Iraqi Cressa Cretica species on metabolic features and estrous cycle in PCOS rat-model
KR102628223B1 (ko) 노르갈란타민을 포함하는 간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hih et al. Ameliorative effects of Vaccaria segetalis extract on osteopenia in ovariectomized rats
Kamer Coşkun et al. Dose-dependent effect of Scolymus hispanicus L.(sevketibostan) on ethylene glycol-induced kidney stone disease in rats
Rustamzadeh et al. Effects of licorice hydroalcoholic extract and glyceric acid on sex hormones, malondialdehyde, and testicular histomorphometry in NMRI adult male rats exposed to cyclophosphamide
Mvondo et al. Research Article Aqueous Extract of Dacryodes edulis (Burseraceae) Leaves Inhibited Tumor Growth in Female Wistar Rats with 7, 12-Dimethylbenz [a] anthracene-Induced Breast Cancer
Essono et al. Research Article The Ethanol Extract of Avocado (Persea americana Mill.(Lauraceae)) Seeds Successfully Induces Implant Regression and Restores Ovarian Dynamic in a Rat Model of Endometriosis
Ulug et al. A New Approach to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Relat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Dietary Polyphenols
KR20240001176A (ko)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리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