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274A -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 - Google Patents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274A
KR20180101274A KR1020180025860A KR20180025860A KR20180101274A KR 20180101274 A KR20180101274 A KR 20180101274A KR 1020180025860 A KR1020180025860 A KR 1020180025860A KR 20180025860 A KR20180025860 A KR 20180025860A KR 20180101274 A KR20180101274 A KR 2018010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acid
tmdci
tmdc36
co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793B1 (ko
Inventor
호프만 보토
애플리 에티엔
비에데만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filed Critical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8010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4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using polymerised unsaturated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8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L77/08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polyamines and polymerised unsaturated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의 모노머: (a)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b) 0.25~4.4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c)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d) 0~37.7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며, 모노머 (b), (c) 및 선택적으로 포함된 모노머 (d)의 합계는 총 50몰%이고,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몰 비의 합계는 총 100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폴리아미드(A)를 포함하는 성형 화합물,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s containing dimeric fatty acid as monomer}
본 발명은 지환식 디아민(cycloaliphatic diamines), 방향족 디카르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s), 이량체 지방산(dimeric fatty acids) 및 선택적으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aliphatic dicarboxylic acids)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성형 화합물 및 상기 성형 화합물로 제조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전기, 전자, 가정, 요리학, 실험실, 스포츠, 레저, 장난감 및 게임, 장식, 패키징, 광학, 기계 공학, 측정 기술 및 제어 기술 부문에서 성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이미 지확식 디아민 및 이량체 지방산의 코폴리아미드를 기재하고 있다.
EP 0469 435 A1은 a) R이 1~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 R'가 수소 또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라디칼; 및 x는 0~4인, 50몰%의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cycloaliphatic diamine);
Figure pat00001
, b) 5~25몰%의 이량체화 지방산, 및 c) 25~45몰%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d) a)~c)의 총 합에 기반하여, 0~50몰%의 추가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비정질 코폴리아미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비정질 코폴리아미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성분 a)~c)의 총 합이 100몰%인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코폴리아미드는 고강성 및 내충격성, 높은 유리 전이 온도 및 낮은 수분 흡수를 특징으로 하는 성형물의 제조, 특히 홑벽을 갖는 성형물의 제조를 위해,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공정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스티프 튜브 또는 광 섬유용 시스를 얻기 위하여 압출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필름 분야에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예를 들어 공압출 방법에 의해 다른 중합체와 함께 가공될 수 있다.
EP 2 957 598 A1은 유리 전이 온도가 적어도 180℃인 비정질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물질(matrix material)을 포함하는 복합체(composite)에 관한 것이다. EP 2 957 598 A1에 따른 복합체는 스포츠, 레저, 엔지니어링, 전자 공학, 건설, 의료 기술, 운송 및 우주 항공의 분야에서 강화된 구성 요소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코폴리아미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및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지 못한다. 그 이유는 오토 클레이브의 교반기 시스템이 교반기 시스템의 안정성 또는 구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발생할 수있는 토크(torque)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가 낮으면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에 대하여 열악한 기계적 특성을 초래한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폴리 아미드는 높은 용융 점도를 나타낸다. 폴리 아미드는의 용융 점도가 높으면 가공하기가 어렵다. 특히, 대형 부품을 제공하거나 홑벽 부품을 제공하기 위한 가공이 어렵다.
종래 기술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며 상대 점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코폴리아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코폴리아미드로부터 형성된 성형물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인성(toughness)이 특히 우수하며, 가공성이 우수하다.
상기 문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 의해 해소되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a)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b) 0.25~4.4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c) 12~49.75몰%의,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d) 0~37.7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이소프탈산의 몰 비는 테레프탈산의 몰 비와 적어도 동일하며, 모노머 (b), (c), 및 선택적으로 포함된 (d)의 합계는 총 50몰%이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몰 비의 총 합계는 100몰%이다.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0항은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코폴리아미드(A)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 (B) 및/또는 추가 폴리머(C)를 포함하는 성형 화합물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점은 청구항 제11항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12항은 바람직한 성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독립항 제13항은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제14항은 청구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성형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며, 청구항 제15항은 상기 성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의 정의
폴리아미드 및 이의 모노머의 표기법 및 약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폴리아미드(polyamide)"(약어: PA)는 포괄적 용어이다; "폴리아미드"는 호모폴리아미드(homopolyamides) 및 코폴리아미드(copolyamides)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및 이의 모노머에 대하여 선택된 표기법 및 약어는 ISO Standard 1874-1 (2011, (D))에 명시된 것과 일치한다. ISO Standard 1874-1 (2011, (D))에서 사용된 약어는 이하에서 모노머의 IUPAC 이름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출원서는 모노머에 대한 다음의 약어를 개시한다: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3,3'-dimethyl-4,4'-diaminodicyclohexylmethane)라고도 함, CAS No. 6864-37-5)은 약어 MACM;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3,3',5,5'-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3,3',5,5'-tetramethyl-4,4'-diaminodicyclohexylmethane)라고도 함, CAS No. 65962-45-0)은 TMDC;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4,4'-diaminodicyclohexylmethane)라고도 함, CAS No. 1761-71-3)은 PACM;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CAS No. 100-21-0)은 T;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CAS No. 121-95-5)은 I;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dimeric fatty acid)(CAS No. 68783-41-5 or 61788-89-4)은 36; 도데칸디올산(dodecanedioic acid)(데칸-1,10-디카르복실산(decane-1,10-dicarboxylic acid)라고도 함, CAS No. 693-23-2)은 12;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4-dicarboxylic acid)(CAS No. 1076-97-7)은 CHD; 및 라우로락탐(laurolactam)(CAS No. 947-04-6)은 12로 나타낸다.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
ISO 11357 (2013)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에서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는 20 K/min의 가열 속도에서 바람직하게 50 J/g미만, 더 바람직하게 25 J/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22 J/g의 융해열(heat of fusion)을갖는다.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는 반결정질 폴리아미드(semicrystalline polyamides)이며, 따라서 용융점을 갖는다. 하지만,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는 결정질이 2mm의 두께로 생성된 플라크(plaque)가 여전히 투명하고, 즉, 플라크의 ASTM D 1003-13(2013)에 따라 측정된 광 투과율이 적어도 75%인 작은 치수를 갖는 형태학적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 사용된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의 ISO 11357 (2013)에 따라 측정된 용융점은 바람직하게 25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 폴리아미드는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와 비교하여 더 낮은 융해열을 갖는다. ISO 11357 (2013)에 따른 시차 주사 열량계에서 비정질 폴리아미드는 20 K/min의 가열 속도에서 바람직하게 5 J/g미만, 더 바람직하게 3 J/g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1 J/g의 융해열(heat of fusion)을갖는다.
비정질 폴리아미드는 이들의 무정형(amorphicity) 때문에 용융점을 갖지 않는다.
2 mm의 두께를 갖는 플라크 상에서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측정된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폴리아미드의 광 투과율은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및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0%이다.
이량체 지방산(dimeric fatty acid)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량체 지방산(b)은 적어도 2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이량체 지방산은 디카르복실산을 얻기 위하여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을 이량체화(dimerization)하여 얻어지며, 이량체화는 촉매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량체 지방산은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s)이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aliphatic dicarboxylic acid)
본 발명의 맥락에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은 6~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카르복실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은 선형, 분지형 또는 지환식(cycloaliphatic)이며, 포화 상태에 있다.
모노머의 양의 계산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오직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 만을 포함한다.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의 몰량(molar amounts)은 모든 디아민의 합계에 대하여 50몰% 및 모든 디카르복실산의 합계에 대하여 50몰%이며,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양의 합계는 코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00몰%이다.
폴리아미드가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뿐 아니라 X 몰%의 함량으로 락탐 또는 아미노산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디아민의 합계는 (50 - 0.5X)몰% 이고, 모든 디카르복실산의 합계는 (50 - 0.5X)몰% 이며,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 양의 합계는 코폴리아미드에 대하여 100몰%이다.
코폴리아미드에서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 양의 계산에 있어서, 모든 디아민의 몰량의 합계는 모든 디카르복실산의 몰량의 합계와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는 것은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아민의 최대 초과량(maximum excess)이 3%인 것을 의미하며, 디아민에 대한 디카르복실산의 몰비가 1.03:1 내지 1:1.03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아민의 최대 초과량(maximum excess)이 2%로 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아민에 대한 디카르복실산의 몰비가 1.02:1 내지 1:1.02인 것을 의미한다.
초과량은 모노머의 손실을 보상하고 및/또는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 및 그에 따른 몰 질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모노머에 관한 양의 계산은 중축합 반응(polycondensation)에 사용된 모노머의 대응하는 몰 비가 중축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코폴리아미드에 반영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양의 계산과 관련한 일반 사항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오직 성분 (A), (B) 및 (C) 만을 포함하며, 성분 성분 (A), (B) 및 (C)의 합계가 100중량%인 것을 조건으로 한다. 각각의 성분 성분 (A), (B) 및 (C)에 대한 양을 계산하기 위해 고정된 범위는 각각의 개별 성분에 대한 임의의 양이 특정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단, 모든 성분 (A)~(C)의 합계가 100 중량%인 것을 조건으로 하도록 이해해야 한다.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의 양은 각각 최대 50몰%이다.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합계는 100몰%이다. 각각의 모노머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 고정된 범위는 각각의 개별 성분에 대한 임의의 양이 특정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고, 단, 모든 성분 (A)~(C)의 합계가 100 중량%인 것을 조건으로 하도록 이해해야 한다.
성형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코폴리아미드(A)에 기반하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70중량%,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80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88중량%의 양으로 코폴리아미드(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성(toughness)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인성은 파괴 강도, 내충격성 또는 노치 내충격성에 의해 평가되었다.
반투명성(translucence)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반투명 성형 화합물은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두께가 2mm인 플라크 상에서 측정된 광 투과율이 40~75%인 성형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불투명성(opaque)
본 발명의 맥락에서, 불투명 성형 화합물은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두께가 2mm인 플라크 상에서 측정된 광 투과율이 40% 미만인 성형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유전체 손실 계수(dielectric loss factor)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복소 비유전율(complex relative permittivity)(= εr)의 "유전체 손실 계수"(= tan δ)는 교류 전기장(electric alternating field) 내 물질에서 열로 전환됨에 따라 전기장으로부터 손실되는 에너지의 척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복소 비유전율(εr)의 "유전체 손실 계수"(= tan δ)는 다음과 같이 IEC 60250-1 (1969)에 따라 결정되며:
tan δ = εr ''/ εr '
복소 비유전율(εr)은 다음에 따라 결정되고:
εr = εr ' - j εr ''
상기 εr ''는 복소 비유전율 εr의 허수 부분(imaginary part)이며,
εr '은 복소 비유전율 εr의 실수 부분(real part)이고,
j는 허수 단위(imaginary unit)를 나타낸다.
코폴리아미드(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 화합물이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cycloaliphatic diamine);
(b) 0.25~4.4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dimeric fatty acid);
(c) 12~49.75몰%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 및
(d) 0~37.7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aliphatic dicarboxylic acid)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a)은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노르보르난-2,6-디아민(norbornane-2,6-diamine) 또는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2,6-bis(aminomethyl)norbornane), 1,3-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3-diaminocyclohexane), 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4-diaminocyclohexane),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nediamine),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3-bis(aminomethyl)cyclohexane), 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4-bis(aminomethyl)cyclohexane), 2,2-(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프로판(2,2-(4,4'-diaminodicyclohexyl)prop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환식 디아민(a)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서 40~50몰%, 바람직하게 48~5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정확히 50몰%로 존재한다.
50몰% 미만의 지환식 디아민이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경우, 디아민의 함량은 0~10몰% 및 바람직하게 0.2~2몰%의 적어도 하나의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선형 지방족 디아민(unbranched or branched linear aliphatic diamine) e)과 함께 최대 50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코폴리아미드(A)는 비정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량체 지방산(b)은 36개 또는 4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이량체 지방산이며, 이량체 지방산(b)은 3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량체 지방산(b)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서 1~4.2몰%, 바람직하게 1.5~3.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1.7~3.0몰%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A)에서 이량체 지방산(b)의 산가(acid number)는 바람직하게 145~210mg KOH/g, 특히 바람직하게 192~200mg KOH/g이다. 이량체 지방산(b)의 단관능성 산(monofunctional acid)의 함량은 5% 미만이며, 이량체 지방산(b)의 이관능성 산(bifunctional acid)의 함량은 적어도 88%이고, 이량체 지방산(b)의 삼관능성 산(trifunctional acid)의 함량은 4% 미만이다. 다양한 산의 산가 또는 함량은 AOCS Te 1a-64 또는 AOCS Tf 5-91에 따라 측정된다. 유용한 제품의 예로는 Croda의 Pripol 상표명, 특히 Pripol 1013, 1012, 1009, 1006 또는 Cognis의 Empol 상표명, 특히 Empol 1012, 1016 또는 1062, 또는 Oleon의 Radiacid 0975 상표명에서 얻을 수 있는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제품, 또는 예를 들어 Croda의 Pripol 1004와 같이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제품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A)의 이량체 지방산(b)은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포화되며, 더 바람직하게 완전히 포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기(c)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c)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서 14~44몰%, 바람직하게 23~38.5몰%, 더 바람직하게 25.5~33몰%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c)는 이소프탈산이며, 또한 바람직하게 테레프탈산이고,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합계에 기반한 이소프탈산의 비율은 6~49.75몰%, 바람직하게 7~44몰%, 더 바람직하게 11.5~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12.75~20.55몰%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c)은 이소프탈산, 또한 바람직하게 테레프탈산이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합계에 기반한 테레프탈산의 비율은 0~24.85%, 바람직하게 0~22몰%, 더 바람직하게 11.5~19.2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12.75~16.65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c)은 이소프탈산이며, 또한 바람직하게 테레프탈산이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합계에 기반한 이소프탈산의 비율은 6~49.75몰%, 바람직하게 7~44몰%, 더 바람직하게 11.5~27몰%, 특히 바람직하게 12.75~20.55몰%이고,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합계에 기반한 테레프탈산의 비율은 0~24.85%, 바람직하게 0~22몰%, 더 바람직하게 11.5~19.25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12.75~16.65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은 헥산-1,6-디오닉산(hexane-1,6-dioic acid), 노난-1,9-디오닉산(nonane-1,9-dioic acid), 데칸-1,10-디오닉산(decane-1,10-dioic acid), 운데칸-1,11-디오닉산(undecane-1,11-dioic acid), 도데칸-1,12-디오닉산(dodecane-1,12-dioic acid), 트리데칸-1,13-디오닉산(tridecane-1,13-dioic acid), 테트라데칸-1,14-디오닉산(tetradecane-1,14-dioic acid), 옥타데칸-1,18-디오닉산(octadecane-1,18-dioic acid), 사이클로헥산-1,3-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3-dicarboxylic acid),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4-dicarboxyl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d)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서 5~35몰%, 바람직하게 10~25.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0~15~22.8몰%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폴리아미드(A)는 P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9/TMDC36, TMDCI/TMDCCHD/TMDC36, TMDCI/TMDC11/TMDC36, TMDCI/TMDC13/TMDC36, TMDCI/TMDC18/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TMDCI/TMDCT/TMDC18/TMDC36, TMDCI/TMDCT/TMDC9/TMDC36, TMDCI/TMDCT/TMDCCHD/TMDC36, TMDCI/TMDCT/TMDC12/TMDCCHD/TMDC36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TMDC는 MACM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및/또는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은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폴리아미드(A)는 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18/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TMDCI/TMDCT/TMDC18/TMDC36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및/또는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은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폴리아미드(A)는 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MACMI/MACM12/MACM36, MACMI/MACM14/MACM36, MACMI/MACMT/MACM36, MACMI/MACM36, MACMI/MACMT/MACM12/MACM36, MACMI/MACMT/MACM14/MACM3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0.1중량% 이하의 물 함량을 가지는 펠렛 상에서 ISO 11357-2 및 -3 (201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155℃, 바람직하게 적어도 170℃,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190℃, 및 더욱 바람직하게 200℃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열가소성 코폴리아미드(A)의 유전체 손실 계수(dielectric loss factor) tan δ(탄젠트 델타)는 8.3 x 10-3미만, 바람직하게 8.0 x 10-3 미만, 바람직하게 7.0 x 10-3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 6.5 x 10-3 미만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 nm의 두께를 갖는 플라크 상에서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광 투과율(light transmittance)은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및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0%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노르보르난-2,6-디아민(norbornane-2,6-diamine) 또는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2,6-bis(aminomethyl)norbornane), 1,3-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3-diaminocyclohexane), 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4-diaminocyclohexane),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nediamine),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3-bis(aminomethyl)cyclohexane), 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4-bis(aminomethyl)cyclohexane), 2,2-(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프로판(2,2-(4,4'-diaminodicyclohexyl)prop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
(b) 36개의 탄소 원자 또는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및
(c)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d) 헥산-1,6-디오닉산(hexane-1,6-dioic acid), 노난-1,9-디오닉산(nonane-1,9-dioic acid), 데칸-1,10-디오닉산(decane-1,10-dioic acid), 운데칸-1,11-디오닉산(undecane-1,11-dioic acid), 도데칸-1,12-디오닉산(dodecane-1,12-dioic acid), 트리데칸-1,13-디오닉산(tridecane-1,13-dioic acid), 테트라데칸-1,14-디오닉산(tetradecane-1,14-dioic acid), 옥타데칸-1,18-디오닉산(octadecane-1,18-dioic acid), 사이클로헥산-1,3-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3-dicarboxylic acid),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4-dicarboxyl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
(b)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및
(c)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d) 도데칸-1,12-디오닉산(dodecane-1,12-dioic acid), 테트라데칸-1,14-디오닉산(tetradecane-1,14-dioic acid), 옥타데칸-1,18-디오닉산(octadecane-1,18-dio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40~50몰%, 바람직하게 48~5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정확히 50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b) 1~4.2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c) 14~44몰%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d) 5~3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전체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100몰%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40~50몰%, 바람직하게 48~5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정확히 50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b) 1.5~3.5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c) 23~38.5몰%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d) 10~25.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전체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100몰%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40~50몰%, 바람직하게 48~5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정확히 50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b) 1.7~3.0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c) 25.5~33.3몰%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d) 15~22.8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전체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100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폴리아미드는 모노머 (a)~(e)를 제외한 다른 어떠한 모노머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0℃에서 100ml의 m-크레졸(m-cresol)에 0.5g의 폴리아미드가 녹아있는 용액에서 측정된,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상대 점도는 1.40~2.15, 바람직하게 1.45~1.90, 더 바람직하게 1.50~1.80이다.
성형 화합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코폴리아미드(A) 뿐만 아니라, 첨가제(B)도 포함할 수 있으며, 코폴리아미드(A) 및 첨가제(B)와 상이한 추가 폴리머(C)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B)는 첨가제, 바람직하게 무기 안정제 및 유기 안정제, 특히 산화방지제, 오존 분해 방지제(antiozonant) 및 광 안정제, 축합 촉매(condensation catalyst), 사슬 조절기(chain regulator), 윤활유, 탈형제(demoulding agents), 분리제(separating agents), 사슬 연장 첨가제, 염료, 마커, 무기 안료, 유기 안료, 광학 증백제(optical brighteners), 천연 시트 실리케이트(natural sheet silicate), 합성 시트 실리케이트, 최대 입자 크기가 100nm인 나노 규모의 필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C)는 PA 66, PA 69, PA 610, PA 612, PA 614, PA 1010, PA 1212, PA 1012, PA 1012, PA 1210 PA 6/12, PA 11, PA 12, 폴리에테르아미드(polyetheramides),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polyetheresteramides), 폴리아릴 에테르(polyaryl ethers), 비정질 폴리아미드(amorphous polyamides),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s) 및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s)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폴리머(C)는 PA 66, PA 612, PA 1010, PA 11, PA 12, 폴리아릴 에테르, 비정질 폴리아미드, 충격 보강제 및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microwave-resistant moulding)의 경우에는, 성형 화합물의 일부분(10중량% 미만)은 대체로 내마이크로웨이브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마이크로웨이브성 물질은 바람직하게 나일론-10,10, 나일론-11, 나일론-12,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s) 및/또는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s)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microwave-resistant moulding)은 특히 가정, 요리학, 실험실 및/또는 산업용 식기류, 용기, 컨테이너, 접시, 포트(pots), 컵, 비이커, 플레이트, 리드, 소스 그릇, 플라스크, 또는 뚜껑이 있는 트레이(covering trays), 언더트레이(undertrays) 또는 서빙 트레이(serving trays)와 같은 물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microwave-resistant moulding)의 벽 두께는 0.05~5.0mm, 바람직하게 0.1~4.5mm, 및 더 바람직하게 1.0~4.0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성형 화합물은 다음의 조성물:
70~100중량%, 바람직하게 80~99.99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88.0~99.8중량%의 코폴리아미드(A);
0~10중량%, 바람직하게 0.01~5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0.1~2.0중량%의 첨가제(B); 및
0~20중량%, 바람직하게 0~15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0.1~10중량%의 폴리머(C)를 을 포함하며,
상기 성분 (A)~(C)의 합계는 총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 mm의 두께를 갖는 플라크 상에서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화합물의 광 투과율은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및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0%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무조건 투명할 필요가 없다. 성형 화합물에 존재하는 첨가제(B) 및 추가 폴리머(C)에 의존하여, 성형 화합물은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0.1중량% 이하의 물 함량을 가지는 펠렛 상에서 ISO 11357-2 및 -3 (2013)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화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적어도 155℃, 바람직하게 적어도 170℃,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190℃, 및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200℃이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성형 화합물의 유전체 손실 계수(dielectric loss factor) tan δ(탄젠트 델타)는 8.3 x 10-3 미만, 바람직하게 8.0 x 10-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7.0 x 10-3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 6.5 x 10-3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로부터 형성된 성형물의 기계적 특성은 매우 우수하며, 특히 내충격성이 매우 높다. 23℃에서 ISO 179/2에 따라 측정된 노치 내충격성(notched impact resistance)은 바람직하게 > 6 kJ/m2, 더 바람직하게 > 8 kJ/m2, 특히 바람직하게 > 10 kJ/m2이다. 23℃에서 ISO 179/2에 따라 측정된 내충격성은 > 130 kJ/m2, 더 바람직하게 > 250 kJ/m2, 특히 바람직하게 > 300 kJ/m2이다.
성형 화합물 및 성형물의 용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및 선택적으로 첨가제(B), 및 선택적으로 코폴리아미드(A) 및 첨가제(B)와 상이한 추가 폴리머(C)를 포함한다.
성형 화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의 바람직한 용도는 성형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자동차, 전기, 전자, 가정, 요리학, 실험실, 스포츠, 레저, 장난감 및 게임, 장식, 패키징, 광학, 기계 공학, 측정 기술 및 제어 기술 부문에서 성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는 공지된 방식, 예를 들어 저장 용기 및 반응 용기를 갖는 표준 상업용 교반 가능한 압력 오토클레이브(stirrable pressure autoclaves)에서제조될 수 있다.
반응 용기는 초기에 탈이온수로 채워지며, 모노머 및 임의의 첨가제가 첨가된다. 그 다음, 질소 가스로 반복적으로 비활성화 시킨다. 혼합물은 균질 용액을 얻기 위하여 설정된 압력하에서 교반하는 동안 180~230℃까지 가열된다. 이 용액을 시브(sieve)를 통해 반응 용기로 펌핑하고, 30 bar 미만의 압력에서 260~330℃의 원하는 반응 온도까지 가열한다. 혼합물은 압력 단계의 반응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유지된다. 그 후 팽창 단계에서, 압력은 1~2시간 내에 대기압으로 감소되며, 그 과정에서 온도는 약간 떨어질 수 있다. 이후의 탈가스 단계에서, 혼합물은 0.5-2.5시간 동안 대기압에서 270~330℃의 온도로 유지된다. 폴리머 용융물은 스트랜드 형태(strand form)로 배출되어 15~ 80℃로 수조에서 냉각되고 펠릿화된다. 펠릿화된 물질을 질소하에 또는 감압하에 80~120℃에서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0.1중량% 미만으로 만든다.
중축합 반응을 가속화시키는데 적합한 촉매는 인산, 예를 들어 H3PO2, H3PO3, H3PO4, 이들의 염 또는 유기 유도체가 있다. 촉매는 폴리아미드에 기반하여 0.01~0.5중량%, 바람직하게 0.03~0.1중량%로 첨가된다.
탈가스화 하는 동안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소포제(defoamer)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 유도체를 포함하는 10%의 수성 에멀젼이며, 폴리아미드에 기반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 0.01~0.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대 점도 및 이에 따른 몰 질량은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연쇄 이동제(chain transfer agent)로서 단관능성 아민(monofunctiona amines) 또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s) 및/또는 이관능성 디아민 및 디카르복실산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를 위해 바람직한 단관능성 연쇄 이동제에는 벤조산(benzo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발레르산(valeric acid), 카프로산(capro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사이클로헥사노익산(cyclohexanoic acid), 프로필아민(propylamine), 부틸아민(butylamine), 펜틸아민(pentylamine), 헥실아민(hexylamine), 2-에틸헥실아민(2-ethylhexylamine), n-옥틸아민(n-octylamine), n-노닐아민(n-nonylamine), n-도데실아민(n-dodecylamine), n-테트라데실아민(n-tetradecylamine), n-헥사데실아민(n-hexadecylamine), 스테아릴아민(stearylamine), 사이클로헥실아민(cyclohexylamine), 3-(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아민(3-(cyclohexylamino)propylamine), 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methylcyclohexylamine), 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dimethylcyclohexylamine), 벤질아민(benzylamine), 2-페닐에틸아민(2-phenylethylamine), 아닐린(aniline) 또는 트리아세톤디아민(triacetonediamine)이 있다. 연쇄 이동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 무수화물(anhydrides),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s), 산 할로겐화물(acid halide), 아미드(amides) 또는 에스테르(esters)와 같은 아미노기 또는 산기와 반응할 수 있는 다른 단관능성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관능성 연쇄 이동제의 전형적인 사용량은 코폴리아미드의 kg 당 5~200 mmol이다.
0.1중량% 이하의 물 함량을 갖는 펠렛 상에서 ISO 11357-2 및 -3 (2013)에 따라 측정된,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적어도 155℃, 바람직하게 170~235℃, 특히 바람직하게 180~230℃, 더 바람직하게 190~225℃ 및 더욱 바람직하게 200~220℃이다.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의 제조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은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 대한 표준 가공 기술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사출 성형 기술을 통해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을 가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에 의한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의 가공은 250~330℃의 바렐 온도(barrel temperatures)에서 표준 3-존 스크류(3-zone screw)를 갖는 종래의 사출 성형 기기에서 수행되며, 흡기구를 위해 100℃ 이하의 온도가 선택되고, 흡기구에서 노즐까지 상승하고 증가하는 온도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성형 온도는 120~180℃, 바람직하게 140~170℃로 설정된다.
도 1은 회전 대칭형 그릇(rotationally symmetric dish)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나타낸 특정 실시예로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테스트 방법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음의 테스트 방법이 사용되었다:
상대 점도(relative viscosity)
상대 점도는 20℃에서 ISO 307 (2007)에 따라 측정되었다. 상대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0.5g의 폴리머 펠렛(polymer pellets)이 100ml의 m-크레졸에서 계량되었고, 상대 점도(RV)는 표준 섹션 11에 따라 RV = t/t0로 측정되었다.
유리 전이 온도(Tg)
유리 전이 온도는 0.1중량% 미만의 물 함량을 갖는 펠렛 상에서 ISO 11357-2 및 -3(2013)에 따라 측정되었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는 20 K/min의 가열 속도로 각각 두 번의 열량 시험(heating runs)을수행하였다. 첫 번째 열량 시험 후, 샘플은 드라이 아이스로 퀀칭된(quenched)다. 유리 전이 온도(Tg)는 두 번째 열량 시험에서 측정된다. 유리 전이 온도(Tg)로 보고된 유리 전이 영역의 중심점(midpoint)은 "반높이(half-heigh)" 법에 의해 결정된다.
인장 탄성 계수(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인장 속도(pulling speed)가 1 mm/min인 ISO 527
ISO 인장 시험편(tensile specimen), 표준: ISO/CD 3167, A1 타입, 170 x 20/10 x 4 mm, 온도: 23℃
파괴 강도(breaking strength) 및 연신율(elongation at break)
파괴 강도 및 연신율의 측정은 표준 ISO/CD 3167에 따라 제조된 ISO 인장 시험편(크기 170 x 20/10 x 4 mm)를 사용하여 보강된 물질의 경우 5mm/min의 인장 속도로 23℃에서 ISO 527에 따라 수행되었다.
샤르피 내충격성(Charpy impact resistance)
사르피 내충격성의 측정은 표준 ISO/CD 3167에 따라 제조된 ISO 시험편, B1 타입(크기 80 x 10 x 4 mm)를 사용하여 23℃에서 ISO 179/2*eU (*2 = 계측된(instrumented))에 따라 수행되었다.
샤르피 노치 내충격성(Charpy notched impact resistanc)
샤르피 노치 내충격성은 표준 ISO/CD 3167에 따라 제조된 ISO 시험편, B1 타입(크기 80 x 10 x 4 mm)를 사용하여 23℃에서 179/2*eA (*2 = 계측된(instrumented))에 따라 수행되었다.
광 투과율(Light transmittance)
광 투과율은 CIE illuminant C를 사용하여 BYE Gardner의 "Haze Gard plus"의 필름 게이트를 갖는 두께 2mm의 60 x 60 mm 플라크(길이 x 너비)상에서 ASTM D 1003-13(2013)에 따라 23℃에서 측정되었다. 광 투과율 값은 입사 광량의 %로 보고되었다.
유전체 손실 계수(Dielectric loss factor)
유전체 손식 계수 tan δ(탄젠트 델타)는 폴란드의 쿼드(QWED)의 스플릿 포스트 유전체 공진기(split post dielectric resonator, SPDR) 및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웨이브 Microwave Q-Meter 1.5.11(www.qwed.eu에서 제공되는 측정 관련 정보를 포함한 팜플렛)를 사용하는 필름 게이트를 갖는 80 x 80 x 3mm 플라크 상에서 IEC 61189-2-721 (2015)에 따라 측정되었다. 측정 주파수는 2.45 GHz이며, 측정 온도는 23℃이다.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테스트(Microwave oven test)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테스트는 밥 그릇으로 수행되었고, 그 제조법은 이하의 3.2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밥 그릇은 95℃에서 14일 동안 물에 저장되고, 테스트 직전에 꺼내어지며, 면포(cotton cloth)로 건조시킨 다음,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조리 공간의 베이스 영역의 중심에 채워지지 않은 채로 놓여진다. 사용된 마이크로웨이브는 턴 테이블이 필요하지 않은, 시판중인 삼성 CM1919A 마이크로웨이브이다. 마이크로웨이브의 최대 출력은 1850 와트이다. 작동 주파수는 2.45 GHz이다. 조리 공간은 370 x 370 x 190 mm (폭 x 깊이 x 높이)의 크기를 가진다. 문이 닫힌 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은 1850 와트의 최대 출력을 사용하여 즉시 시작된다.
120초가 경과한 후, 밥 접시를 꺼내어 휨(warpage), 부분 용융 위치(partly molten sites) 또는 기포 형성과 같은 손상이 있는지 시각적으로 검사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5개의 그릇이 테스트 되었다; 접시 중 하나에서만 손상이 발생한 경우, 테스트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 120초의 마이크로웨이브 테스트를 통과한 물질로 이루어진 밥 그릇 중, 추가 5개의 그릇은 휨, 부분 용융 부위 또는 기포 형성과 같은 첫 번째 손상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의 창을 통해 발견되기 전의 시간을 측정하는 경우에 테스트되었다. 측정된 5회의 산술 평균이 보고되었다.
2. 시작 물질(Starting material)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모노머
모노머 CAS No. 용융 범위 [℃] 상품명 제조업체/공급업체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65962-45-0 - - BASF SE, Germany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 6864-37-5 - 7~- 0.6* Laromin C260 BASF SE, Germany
이량체 지방산 C36 68783-41-5 - Radiacid 0975 OLEON N.V., Belgium
테레프탈산 100-21-0 > 400 - GMS - Chemie-Handelsges.m.b.H., Germany
이소프탈산 121-91-5 345~348 - Flint Hills Resources, Switzerland
노난-1,9-디오닉산 123-99-9 101~102 - Emery Oleochemicals GmbH, Germany
운데칸-1,11-디오닉산 1852-04-6 113~114 - Cathay Biotechnology Ltd., China
도데칸-1,12-디오닉산 693-23-2 128~130 - Cathay Biotechnology Ltd., China
트리데칸-1,13-디오닉산 505-52-2 113~116 - Cathay Biotechnology Ltd., China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 1076-97-7 163~169 - Eastman Chemicals Company, USA
* ASTM D1015-55에 따른 냉각 범위(freezing range)
3. 실시예 및 비교예
3.1 실시예 1 및 9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A TMDCI/TMDCT/TMDC12/TMDC36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가 이하에 설명되었다:
300 L의 압력 오토클레이브의 보관 용기(charge vessel)는 처음에 30kg의 탈 이온수로 채워지며, 6.82kg의 이소프탈산, 6.82kg의 테레프탈산, 13.51kg의 도데칸-1,12-디카르복실산 및 3.30kg의 이량체 지방산(3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Radiacid 0975)을 보관 용기에 넣고 혼합시켰다. 그 후, 39.54kg의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TMDC), 소포제로서 20g의 Antifoam RD 10중량% 에멀젼, 및 마지막으로 연쇄 이동제로서 80g의 벤조산을 첨가하였다. 그 이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10번 불활성화시킨 후, 혼합물을 210℃까지 가열시킨다. 균질 용액은 210℃에서 시브(sieve)를 통해 반응 용기에 펌핑되었다.
● 교반시키면서, 혼합물을 300℃까지 가열하고, 5시간 동안 20 bar의 압력에서 유지시켰다. 1.5시간 이내에, 혼합물을 대기압에서 팽창시킨 후, 1시간 동안 300℃에서 탈가스화시킨다.
● 폴리머 용융물을 배출시키고, 수조(20℃)에서 냉각시키며, 펠렛화시킨다. 펠렛화된 물질을 감압(30 mbar) 하에 100℃에서 0.1중량% 이하의 물 함량으로 건조시켰다.
생성물의 상대 점도는 1.53이며, 유리 전이 온도는 212℃이고, 2 mm에서 광 투과율은 92.9%이다.
3.2 시험편의 제조
밥 그릇
밥 그릇은 표준 3-존 스크류(3-zone screw)를 갖는 Ferromatik Milacron의 사출 성형 기기, 모델명: K85D-S/2F에서 제조되었다. 바렐 온도는 280~320℃로 증가하며, 흡기 온도는 40℃로 설정하였다. 성형 온도는 160℃로 설정하였다.
회전 대칭형 그릇(rotationally symmetric dish)(도 1 참조)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상부에서의 내경: 113.2 mm
하부에서의 내경: 50 mm
반경: 125 mm
높이: 60 mm
벽 두께: 3.4 mm
플라크(Plaques)
필름 게이트를 갖는 80 x 80 x 3 mm 플라크가 25mm의 표준 3-존 스크류를 갖는 Arburg의 사출 성형 기기, 모델명: Allrounder 420 C 1000-250에서 제조되었다. 흡기구부터 노즐 까지, 310/320/325/325/315/305℃의 상승하고 하강하는 베럴 온도가 사용되었다. 성형 온도는 160℃로 설정되었다.
연마된 성형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광 투과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름 게이트를 갖는 60 x 60 x 2 mm 플라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
플라크는 건조된 상태로 사용되었다; 플라크를 건조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후 적어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 환경, 즉 실리카 겔에 저장하였다.
3.3 결과
하기의 표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및 3을 도시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 및 3
실시예 비교예
모노머 단위 1 2 3
TMDC mol% - 50 -
MACM mol% 50 - 50
이량체 지방산 C36 mol% 2 9.5 9.5
이소프탈산 mol% 14 40.5 40.5
테레프탈산 mol% 14 - -
도데칸-1,12-디온산 mol% 20 - -
측정된 값        
스톨 토크* Nm 120 120 120
상대 점도 (RV)** - 1.62 1.37 1.38
유리 전이 온도 °C 206 206 195
인장 탄성 계수 MPa 2150 2380 2270
연신율 MPa 64 87 70
파괴 강도 % 57 7 14
샤르피 내충격성 23°C kJ/m2 342 105 312
샤르피 노치 내충격성 23°C kJ/m2 11 5 5
유전체 손실 계수 tan δ [10^-3] 8.15 4.38 6.20
2 mm에서 광 투과율 % 92.8 92.8 93.3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테스트*** 120 s + + +
s 170 222 130
* 교반기의 스톨 토크(Stall torque)(120 Nm)
** RV 상대 점도는 20℃에서 100ml의 m-크레졸에 0.5g의 폴리아미드가 녹아있는 용액으로 측정함
*** + 통과됨
하기의 표 3은 실시예 4~11 및 비교예 12 및 13을 도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Monomers 단위 4 5 6 7 8 9 10 11 12 13
TMDC mol% 50 50 - - - - - - - -
MACM mol% - - 50 50 50 50 50 50 50 50
이량체 지방산 C36 mol% 2 2 2 2 2 2 2 4 - 50
이소프탈산 mol% 14 28 14 28 28 14 14 14 13.5 -
테레프탈산 mol% 14 - 14 - - 14 - 14 13.5 -
도데칸-1,12-디오닉산 mol% 20 - 20 20 - - 20 18 23 -
트리데칸-1,13-디오닉산 mol% - 20 - - - - - - - -
운데칸-1,11-디오닉산 mol% - - - - 20 - - - - -
노난-1,9-디오닉산 mol% - - - - - 20 - - - -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 mol% - - - - - - 14 - - -
측정된 값                      
상대 점도 (RV)* - 1.53 1.50 1.61 1.53 1.53 1.53 1.61 1.53 1.54 1.54
유리 전이 온도 °C 212 206 206 198 201 207 195 195 204 76
유전체 손실 계수 tan δ [10-3] 6.45 6.67 8.15 7.98 8.15 7.93 8.11 7.75 8.54 4.50
2 mm에서 광 투과율 % 92.9 n.m. 92.8 n.m. n.m. n.m. 93.2 n.m. 93.3 93.1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테스트** 120 s + + + + + + + + n.p. ***
s n.a. n.a. 170 n.a. n.a. n.a. n.a. n.a. - -
* RV 상대 점도는 20℃에서 100ml의 m-크레졸에 0.5g의 폴리아미드가 녹아있는 용액으로 측정함; n.m.= 측정되지 않음
** + = 통과됨, n.p.= 실패함, n.v. = 사용이 불가능함 (≥120s);
*** 컨디셔닝 단계에서 이미 변형됨(물에서 95℃로 14일)
4. 결과에 대한 논의
표 2 및 표 3에 따르면, 각각 이량체 지방산의 함량이 2중량% 및 4중량%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4~11의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에 대하여, 9.5중량%로 이량체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표 2의 실시예 2 및 3의 코폴리아미드 보다 현저히 높은 상대 점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의 제조에 있어서, 120 Nm의 스톨 토크가 달성되었고, 1.62의 상대 점도가 달성되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2 및 3의 코폴리아미드도 120 Nm의 스톨 토크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비교예 3에서 스톨 토크는 약간 감소하였다. 120 Nm의 토크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2 및 3의 코폴리아미드는 각각 1.38 및 1.37의 상대 점도만을 달성하였다. 비교적 낮은 점도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2 및 3의 코폴리아미드의 용융 점도는 높게 나타난다. 용융 점도가 높으면, 특히 특히 대형 부품 또는 홑벽 부품의 경우, 가공에 있어서 문제점을 초래한다.
실시예 1의 코폴리아미드와 비교예 2 및 3의 코폴리아미드를 비교해본 결과, 높은 상대 점도를 나타내는 실시예 1의 코폴리아미드의 인장이 개선됨에 따라 연신율, 내충격성 및 노치 내충격성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2는 추가적으로 비교예 3의 코폴리아미드가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 및 4 내지 11의 코폴리아미드와 비교 실시예 12 및 13의 코 폴리 아미드의 비교는 유전체 손식 계수 tan δ가 낮고 유리 전이 온도가 높으면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15)

  1.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로서,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cycloaliphatic diamine);
    (b) 0.25~4.4몰%의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dimeric fatty acid);
    (c) 12~49.75몰%의,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naphthalenedicarboxylic acid)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 및
    (d) 0~37.75몰%의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aliphatic dicarboxylic acid)을 포함하며,
    상기 이소프탈산의 몰 비는 상기 테레프탈산의 몰 비와 적어도 동일하고,
    상기 모노머 (b), (c) 및 선택적으로 포함된 상기 모노머 (d)의 합계는 총 50몰%이며,
    상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몰 비의 합계는 총 100몰%인,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하기의 몰 비를 갖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40~50몰%, 바람직하게 48~50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50몰%의 지환식 디아민 (a);
    1~4.2몰%, 바람직하게 1.5~3.5몰%, 특히 바람직하게 1.7~3.0몰%의 이량체 지방산 (b); 및
    14~44몰%, 바람직하게 23~38.5몰%, 더 바람직하게 25.5~33.3몰%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c);을 포함하며,
    5~35몰%, 바람직하게 10~25.5몰%, 및 더 바람직하게 15~22.8몰%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d);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총 10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c)으로서 이소프탈산 및 바람직하게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며,
    상기 이소프탈산의 비율은 상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총 합계에 대하여 6~49.75몰%, 바람직하게 7~44몰%, 더 바람직하게 11.5~27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12.75~20.55몰%이며,
    상기 테레프탈산의 비율은 상기 코폴리아미드(A)에 존재하는 모든 모노머의 총 합계에 대하여 0~24.85몰%, 바람직하게 0~22몰%, 더 바람직하게 11.5~19.25몰%, 및 특히 바람직하게 12.75~16.65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적어도 155℃, 바람직하게 적어도 170℃,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190℃, 및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200℃이며, 및/또는
    두께가 2mm인 플라크(plaque)를 사용하여 ASTM D 1003-13 (2013)에 따라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광 투과율은 적어도 75%,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및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0%이고,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유전체 손실 계수(dielectric loss factor)는 8.3 x 10-3 미만, 바람직하게 8.0 x 10-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7.0 x 10-3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 6.5 x 10-3 미만이며, 및/또는
    20℃에서 100ml의 m-크레졸에 0.5g의 폴리아미드가 녹아있는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의 상대 점도는 1.40~2.15, 바람직하게 1.45~1.90, 더 바람직하게 1.5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에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노르보르난-2,6-디아민(norbornane-2,6-diamine) 또는 2,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2,6-bis(aminomethyl)norbornane), 1,3-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3-diaminocyclohexane), 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1,4-diaminocyclohexane), 이소포론디아민(isophoronediamine), 1,3-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3-bis(aminomethyl)cyclohexane), 1,4-비스(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1,4-bis(aminomethyl)cyclohexane), 2,2-(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프로판(2,2-(4,4'-diaminodicyclohexyl)prop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
    (b) 36개의 탄소 원자 또는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및
    (c)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d) 헥산-1,6-디오닉산(hexane-1,6-dioic acid), 노난-1,9-디오닉산(nonane-1,9-dioic acid), 데칸-1,10-디오닉산(decane-1,10-dioic acid), 운데칸-1,11-디오닉산(undecane-1,11-dioic acid), 도데칸-1,12-디오닉산(dodecane-1,12-dioic acid), 트리데칸-1,13-디오닉산(tridecane-1,13-dioic acid), 테트라데칸-1,14-디오닉산(tetradecane-1,14-dioic acid), 옥타데칸-1,18-디오닉산(octadecane-1,18-dioic acid), 사이클로헥산-1,3-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3-dicarboxylic acid), 사이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cyclohexane-1,4-dicarboxyl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미세 결졍질 코폴리아미드(A)는 적어도 하기의 모노머:
    (a)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 바람직하게 비스(4-아미노-3-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methylcyclohexyl)methane), 비스(4-아미노-3,5-디메틸사이클로헥실)메탄(bis(4-amino-3,5-dimethylcyclohexyl)methane)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환식 디아민 성분;
    (b)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이량체 지방산; 및
    (c)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며,
    (d) 도데칸-1,12-디오닉산(dodecane-1,12-dioic acid), 테트라데칸-1,14-디오닉산(tetradecane-1,14-dioic acid), 옥타데칸-1,18-디오닉산(octadecane-1,18-dioic acid)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추가 모노머(d)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9/TMDC36, TMDCI/TMDCCHD/TMDC36, TMDCI/TMDC11/TMDC36, TMDCI/TMDC13/TMDC36, TMDCI/TMDC18/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TMDCI/TMDCT/TMDC18/TMDC36, TMDCI/TMDCT/TMDC9/TMDC36, TMDCI/TMDCT/TMDCCHD/TMDC36, TMDCI/TMDCT/TMDC12/TMDCCHD/TMDC36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TMDC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MACM으로 대체될 수 있고, 및/또한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상기 이량체 지방산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18/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TMDCI/TMDCT/TMDC18/TMDC36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TMDC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MACM으로 대체될 수 있고, 및/또한
    3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상기 이량체 지방산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4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이량체 지방산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는 TMDCI/TMDC12/TMDC36, TMDCI/TMDC14/TMDC36, TMDCI/TMDCT/TMDC36, TMDCI/TMDC36, TMDCI/TMDCT/TMDC12/TMDC36, TMDCI/TMDCT/TMDC14/TMDC36 MACMI/MACM12/MACM36, MACMI/MACM14/MACM36, MACMI/MACMT/MACM36, MACMI/MACM36, MACMI/MACMT/MACM12/MACM36, MACMI/MACMT/MACM14/MACM36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또는 미세 결정질 코폴리아미드(A).
  11. 성형 화합물로서,
    청구항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코폴리아미드(A);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B);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및/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폴리아미드(A)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B)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폴리머(C);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성형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화합물은 하기의 조성물:
    70~100중량%, 바람직하게 80~99.99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88.0~99.8중량%의 코폴리아미드(A);
    0~10중량%, 바람직하게 0.01~5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0.1~2.0중량%의 첨가제(B); 및
    0~20중량%, 바람직하게 0~15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0.1~10중량%의 폴리머(C);를 포함하며,
    상기 (A)~(C) 성분의 합계는 총 100중량%인, 성형 화합물.
  13.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성형 화합물의 용도.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성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성형물로서,
    상기 성형물은 상기 성형 화합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성형물.
  15. 자동차, 전기, 전자, 가정, 요리학, 실험실, 스포츠, 레저, 장난감 및 게임, 장식, 패키징, 광학, 기계 공학, 측정 기술 및 제어 기술 부문에서의 제14항에 따른 성형물의 용도.
KR1020180025860A 2017-03-03 2018-03-05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 KR102489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9179.5A EP3369761B1 (de) 2017-03-03 2017-03-03 Copolyamide enthaltend dimere fettsäure als monomer
EP17159179.5 2017-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274A true KR20180101274A (ko) 2018-09-12
KR102489793B1 KR102489793B1 (ko) 2023-01-18

Family

ID=5823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860A KR102489793B1 (ko) 2017-03-03 2018-03-05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91590B2 (ko)
EP (1) EP3369761B1 (ko)
JP (1) JP7260958B2 (ko)
KR (1) KR102489793B1 (ko)
CN (1) CN108530618B (ko)
TW (1) TWI829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4577A1 (de) 2015-12-23 2017-06-28 Ems-Patent Ag Verfahren und behälter für die lagerung und den transport von polyamidgranulaten und entsprechend gelagertes oder transportiertes polyamidgranulat sowi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EP3312224B1 (en) 2016-10-21 2018-12-26 Ems-Patent Ag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 and multi-layered structure made herefrom
EP3369760B1 (de) * 2017-03-03 2023-05-10 Ems-Chemie Ag Mikrowellenbeständige formkörper
EP3444114B1 (de) 2017-08-18 2023-10-25 Ems-Chemie Ag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mit geringem haze und formkörper daraus
EP3444112B1 (de) 2017-08-18 2020-12-23 Ems-Chemie Ag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mit geringem haze und formkörper daraus
EP3444113B1 (de) 2017-08-18 2021-01-20 Ems-Chemie Ag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mit geringem haze und formkörper daraus
EP3450481B1 (de) 2017-08-31 2020-10-21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mit hohem glanz und hoher kerbschlagzähigkeit
EP3502164B1 (de) 2017-12-22 2022-10-05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EP3502191B1 (de) 2017-12-22 2021-02-17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JP2021130723A (ja) * 2018-05-23 2021-09-09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EP3636406B1 (de) 2018-10-09 2021-04-28 Ems-Chemie Ag Schlagzähmodifizierte polyamid-formmassen
EP3772520B1 (de) 2019-08-09 2023-07-12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sowie aus der formmasse hergestellte formkörper
EP3842496A1 (de) 2019-12-23 2021-06-30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für hypochlorit-beständige anwendungen
EP3842470A1 (de) * 2019-12-23 2021-06-30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für hypochlorit-beständige anwendung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727A (ja) * 1990-07-27 1992-09-09 Ems Inventa Ag 無定形コポリアミド、その製法及び成形部材の製法
KR20120066638A (ko) * 2009-09-18 2012-06-22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가수분해적으로 안정적인 폴리아미드
KR20140034112A (ko) * 2010-09-06 2014-03-19 아르끄마 프랑스 코폴리아미드
JP2016020490A (ja) * 2014-06-20 2016-02-04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非晶質ポリアミドからなるマトリクス物質を含む複合材料および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3760B (en) 1984-02-10 1988-02-17 Bates W & A Ltd Feeding strip material in the manufacture of pneumatic tyres
DE4023969A1 (de) * 1990-07-27 1992-01-30 Inventa Ag Neue copoly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TE552288T1 (de) 2007-07-25 2012-04-15 Ems Patent Ag Transparente polyamid-elastomere
EP2412757B1 (de) 2010-07-30 2013-11-13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einer Weichgriffoberfläche sowie entsprechende Formkörper
EP2535365B1 (de) 2011-06-17 2013-09-25 Ems-Patent Ag Teilaromatische 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en
EP2716716B1 (de) 2012-10-02 2018-04-18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SI2746339T1 (sl) 2012-12-18 2015-05-29 Ems-Patent Ag Poliamidna oblikovalna masa in oblikovalni deli proizvedeni iz enakega
EP2746341B2 (de) * 2012-12-21 2018-11-14 Ems-Patent Ag Schmutzabweisende Artikel und ihre Verwendung
DE102013217241A1 (de) 2013-08-29 2015-03-05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EP2902444B1 (de) 2014-01-31 2018-01-17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mit flammhemmenden Eigenschaften und sehr guter Langzeitwärmealterungsbeständigkeit
EP2927273B1 (de) 2014-04-02 2017-06-07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sowie Verwendung der Polyamidformmassen
EP2933295B1 (de) 2014-04-15 2016-07-06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EP2952319B1 (de) 2014-06-06 2017-04-19 Ems-Patent Ag Verfahren zum spannungsarmen Spritzgießen von amorphen oder mikrokristallinen Polyamiden
EP3020746B1 (de) 2014-11-11 2020-08-26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zwecke
EP3184577A1 (de) 2015-12-23 2017-06-28 Ems-Patent Ag Verfahren und behälter für die lagerung und den transport von polyamidgranulaten und entsprechend gelagertes oder transportiertes polyamidgranulat sowi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EP3309199B1 (de) 2016-10-12 2020-04-01 Ems-Patent Ag Glasfüller-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auf basis amorpher copolyami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727A (ja) * 1990-07-27 1992-09-09 Ems Inventa Ag 無定形コポリアミド、その製法及び成形部材の製法
KR20120066638A (ko) * 2009-09-18 2012-06-22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가수분해적으로 안정적인 폴리아미드
KR20140034112A (ko) * 2010-09-06 2014-03-19 아르끄마 프랑스 코폴리아미드
JP2016020490A (ja) * 2014-06-20 2016-02-04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非晶質ポリアミドからなるマトリクス物質を含む複合材料およびそ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30618A (zh) 2018-09-14
US20180251600A1 (en) 2018-09-06
TWI829632B (zh) 2024-01-21
EP3369761A1 (de) 2018-09-05
KR102489793B1 (ko) 2023-01-18
JP2018168353A (ja) 2018-11-01
CN108530618B (zh) 2022-11-22
TW201841981A (zh) 2018-12-01
US11091590B2 (en) 2021-08-17
JP7260958B2 (ja) 2023-04-19
EP3369761B1 (de)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793B1 (ko) 모노머로서 이량체 지방산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
KR102478739B1 (ko) 내마이크로웨이브성 성형물
US10767011B2 (en) Transparent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with high tensile strain at break
US6528560B2 (en) Colorless, highly transparent polyamide blends with improved stress cracking resistance
US8952107B2 (en) Thermoplastic melt-mixed composition with polyetherol heat stabilizer
GB2170209A (en) Copolyamides
JPWO2003085029A1 (ja) 発光ダイオード反射板用樹脂組成物
CA2814733C (en) Transparent polyamide-imides
US8680199B2 (en) Reinforced polyamide composition
WO2011030911A1 (ja) 難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9371421B2 (en) Crystalline polyamide ester resi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101811919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39770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4115176A1 (en) Bio based transparent polyamides
US20220259379A1 (en) Copolyamides obtainable from 4-(aminomethyl)benzoic acid
WO2012031126A1 (en) Semi-aromatic copolyamide compositions with improved salt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