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86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86A
KR20180100986A KR1020170027619A KR20170027619A KR20180100986A KR 20180100986 A KR20180100986 A KR 20180100986A KR 1020170027619 A KR1020170027619 A KR 1020170027619A KR 20170027619 A KR20170027619 A KR 20170027619A KR 20180100986 A KR20180100986 A KR 2018010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information
charging
s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7002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0986A/en
Publication of KR2018010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60L11/18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2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by charging in short intervals along the itinerary, e.g. during short sto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which provide a user requesting batter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with an additional service which can effectively use waiting time. The system comprises: a service server to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a charging server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lected based on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in response to reception of a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remaining battery power, calculate vehicle transfer time for each sight search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transmit the vehicle transfer time to the user, and transmit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ight, and vehicle transfer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sight selection information; and a charging server to control battery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of the user, receive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ransmit the notification message to an employee terminal, and transmit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of a sight selected by the user, and vehicle transfer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when charging for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요청하여 대기하는 동안의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최근의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The demand for eco-friendly electric vehicles (EVs) is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strengthening of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trend of reducing energy costs.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provision of electric vehicles is mandatory under the Air Quality Preservation Act. In Korea, interest and research on green cars (green vehicles) are actively pursued as part of low carbon green growth.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언제 어디서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소가 설치되어야 한다.In order to expand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harging infrastructure. Many charging stations should be installed to charge electric vehicles anywhere, anytime, including home charging facilities.

그러나, 충전소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 기존의 주유소나 가스충전소와는 달리 긴 충전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차량에서 대기하는 고객의 지루함과 불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unlike conventional gas stations or gas filling stations,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t a charging station requires a long charging time, which causes a problem of boredom and complaints of customers waiting in the vehicl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4525호(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154525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083호(전기자동차를 위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2: Korean Patent No. 10-1483083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대기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standby time System, and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선정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에게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고,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소의 정보와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충전 서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receives a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a battery remaining amoun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calculates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selection information, And a service server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And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user to the electric vehicle,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mployee terminal, and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inform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And a charging server for transmitting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상기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상기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명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여 상기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Wherein the service serv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ctric vehicle is moving by the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ime based o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and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raffic, and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can be calculated to be added to the time when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may selec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vehicle number.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할 때,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Wherein the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relevant spot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when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are transmitted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Lt; / RTI >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때,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the user whe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전기차 충전소 선정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명소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차량인도시간 계산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rvice server comprises: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pon receiving a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 searching unit for searching at least one spo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earched places;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명소 및 상기 계산된 명소별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searched one or more sights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calculated sights.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last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charging server of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last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에게로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명소별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버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소의 정보와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server receives a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user information and a battery remaining amount,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charging serv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selection result; Calculating, by the service server, a vehicle delivery time for each searched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spot to the user;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mploye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when the charging server complete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상기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상기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상기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명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여 상기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pot may include calculating a travel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 charging time based o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Calculating a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based on a travel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vehicle, and a delay time according to traffic volume; And calculating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adding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to the time when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상기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할 수 있다.The step of sele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y selec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user.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를 운전하는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예컨대, 도로변 등)에서 충전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전기차 충전소의 직원이 해당 전기자동차를 대신 가져 가서 충전을 해주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a user who operates an electric vehicle requests a charging service at an arbitrary place (for example, a road side), an employe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akes charge of the electric vehicle instead.

이와 함께, 충전 대기시간동안에 방문할 수 있는 주변 관광지 정보와 같은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에서 대기할 필요없이 주변 관광지 등을 방문해 볼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지루함을 달래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contents such as information on nearby sightseeing spots that can be visited during charging waiting time, visitors can visit surrounding tourist spots without having to wait in the vehicle. This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boredom of the customer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소로 오지 않더라도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지로 전기자동차를 인도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편리함을 느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come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electric vehicle is delivered to the tourist spot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feels very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ice server shown in FIG.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harging server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request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adopted in the description of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 battery charging request of an electric vehicle.

도 1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네트워크(20), 서비스 서버(30), 충전 서버(40), 전기차 충전기(50), 및 직원 단말(60)을 포함한다. The system of FIG. 1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network 20, a service server 30, a charging server 40, an electric car charger 50, and a staff terminal 60.

사용자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충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 단말(10)은 서비스 서버(30)로부터의 충전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받은 후에, 그 앱을 통해 충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can access the service server 30 via the network 20 and request a charging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 can request a charging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after downloading the charging service applic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30.

사용자 단말(10)은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이후에는 해당 사용자 정보(차량 정보 포함) 및 배터리 잔량을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은 추후에 서비스 서버(30)에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할 때 필요하다.After requesting the charging service, the user terminal 10 inpu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us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necessary for calculating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at the service server 30 at a later time.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사용자(고객)의 전기자동차(충전대상차량이 됨)를 충전시켜 주는 전기차 충전소에 대한 정보(상호명, 대표자명, 주소, 전화번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user terminal 10 can receive information (name, representative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abou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ubject vehicle) of the corresponding user (customer).

한편,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검색된 주변의 하나 이상의 관광지 및 관광지별 차량인도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광지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명소의 일예가 될 수 있다. 명소로는 관광지 이외로, 카페, 박물관, 마트, 음식점 등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 can receive the vehicle delivery time of one or more nearby sightseeing spots and sightseeing spots search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Here, the sightseeing spot may be an example of a spo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attractions include cafes, museums, marts, restaurants, and more.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지의 세부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receiv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tourist spo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a portable computer.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and can be used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Handheld devices such as a handheld device, an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a W-CDMA )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e portable computer may include a notebook, a laptop,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 may also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 wearable computer, or the like.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20 may be implemented as any type of wireless network such a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 Bluetooth,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한편,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20 may be implemented as any type of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20)는 유선 네크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가 결합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If desired, the network 20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in which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are combined.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에서는 해당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입력하므로,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수신할 것이다.The service server 30 may receive a charging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 [ At this time, since the user terminal 10 inpu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the service server 30 will receive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서비스 서버(30)는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일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전기자동차를 주차해 둔 위치라고 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30 can select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exists at an optimal posi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who has requested the charging service. 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xisting at the optimum position may b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can be said to be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서비스 서버(30)는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게로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알림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유는, 해당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대상차량(전기자동차)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필요에 따라서, 배터리 잔량은 알림 메시지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The service server 30 can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of the selection result.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remaining battery power, and the like. The reason wh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i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is that in order to bring the charging object vehicle (electric vehicle) 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user needs to know the current position. If necessar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may not be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주변의 관광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존재하는 관광지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반경은 조정가능하다. 그리고, 관광지 이외로 맛집, 숙소 등을 함께 검색할 수도 있다.The service server 30 can search for surrounding tourist site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30 can search tourist site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ing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Here, the predetermined radius is adjusta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restaurants, accommodations, etc. in addition to sightseeing spots.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검색된 관광지별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 잔량 등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여 가져다 주는데 소요되는 시간(차량인도소요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30 can calculate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time taken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of the us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have.

예를 들어, 차량인도소요시간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관광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적체 등)에 따른 지연시간 등을 근거로 계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vel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ime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A moving time by an automobile, and a delay time due to traffic volume (such as overload).

따라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계산하게 되면 이를 근거로 차량인도시간을 충분히 계산해낼 수 있다.Therefore, when calculating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livery time sufficiently based on this.

서비스 서버(30)는 검색된 관광지 및 검색된 관광지별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룩업 테이블 형태일 수 있음)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이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관광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rched sightseeing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earched sightseeing spot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via the network 20.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sightseeing spot.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관광지 선택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사용자 및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0)는 선택된 관광지의 세부 정보(명칭, 위치, 길안내용 지도, 설명 개요, 주변 맛집, 주변 숙소 정보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 해당 사용자의 단말(1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는 해당 사용자 정보, 및 선택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과 충전 서버(40)에게로 전송하는 관광지의 정보에서 차이나는 이유는, 전기차 충전소에서는 해당 전기자동차를 충전한 후에 차량 인도 장소(관광지)에 정해진 시간에 차량을 인도해 주면 되므로, 굳이 관광지의 세부 정보가 필요없다.The service server 30 may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rist location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user and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30 may transmit detailed information (name, location, guidance content, description summary, surrounding restaurants, nearby hotel information, etc.)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terminal 10 Lt; / RTI > The service server 30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the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name and loc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harge server 40 is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and delivers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time to the vehicle delivery place We do not need details of sightseeing spot because we give.

물론,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가 최종선택된 관광지의 정보 및 해당 차량인도시간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상호명, 대표자명, 주소, 전화번호 등)를 사용자에게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유는 자신의 전기자동차가 어디에서 충전되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Of course, when the use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last selected tourist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information (name, representative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user Can be provided together. The reason why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s to understand where the electric car is charged.

충전 서버(40)는 전기차 충전소(즉,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차 충전소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1에서, 전기차 충전소 A와 전기차 충전소 B는 지리적으로 상호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The charging server 40 may be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y be one or more as shown in FIG. In FIG. 1,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 are located at mutually different geographical positions.

충전 서버(40)는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기(5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harging server 4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electric vehicle chargers 50.

충전 서버(40)는 충전대상차량(즉, 전기자동차)을 충전시킬 전기차 충전소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서버(4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charging server 40 can receive via the network 20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it has been selected a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be charged with the vehicle to be charged (i.e., electric vehicle). At this time, the charging server 40 may receive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battery remaining amount,

충전 서버(40)는 수신한 알림 메시지를 직원 단말(6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The charging server 40 may transmit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mployee terminal 60.

또한, 충전 서버(40)는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어느 한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소에는 충전을 위해 반입된 전기자동차가 복수대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충전 서버(40)는 충전대상차량별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관광지는 사용자가 선택된 것으로서, 충전한 전기자동차를 인도할 장소가 된다. 직원(작업자)은 표시되는 충전대상차량별 관광지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보고서 차량인도시간에 맞도록 해당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harging server 40 can receiv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location) of a sightseeing site finally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hrough the network 20.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y have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brought in for charging. Accordingly, the charging server 40 can display on the screen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for each vehicle to be charged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Here, the selected tourist spot is a place where the user is selected to deliver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The employee (operator) will report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o be displayed and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and charge the electric vehicle to meet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그리고, 충전 서버(40)는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전기자동차(즉,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는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해당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직원 단말(6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직원은 자신의 단말(60)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확인하여 차량인도장소에 충전된 전기자동차를 인도해 줄 수 있다.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charging server 40 stores the information (name and location) of the tourist spo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vehicle (i.e., the user), the user information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Etc.),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60. Accordingly, the employee can confirm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his terminal 60 and deliver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to the vehicle delivery place.

이때, 충전 서버(40)와 직원 단말(60)은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charging server 40 and the employee terminal 60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server 40 and the employee terminal 60 in all kinds such as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 Bluetooth,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f the wireless network.

한편, 충전 서버(40)는 해당 충전대상차량(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충전을 행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server 40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to the charging object vehicle (electric vehicle).

전기차 충전기(50)는 전기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충전용 주차공간에 구비된다. The electric car charger 50 is provided in a charging parking space where the electric vehicle can park.

전기차 충전기(50)는 주차되는 전기자동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기차 충전기(50)는 충전대상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라인과 통신라인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 car charge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rked electric vehicle to charge the battery. At this time, the electric car charger 50 can simultaneously connect the charging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to be charged.

전기차 충전기(50)는 충전 스테이션이라고도 한다.The electric car charger 50 is also referred to as a charging station.

직원 단말(60)은 충전 서버(40)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ployee terminal 60 can receive the notification message from the charging server 40. [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remaining battery power,

한편, 직원 단말(60)은 선택된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ployee terminal 60 can receive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selected sightseeing spot,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직원 단말(6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mployee terminal 6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terminal or a portable computer.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to be portable and mobility, and can be used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Handheld devices such as a handheld device, an assistant, an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a W-CDMA )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e portable computer may include a notebook, a laptop, and the like.

또한, 직원 단말(6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The employee terminal 60 may be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 wearable computer, or the lik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30)의 내부 구성도이다.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ice server 30 shown in FIG.

서비스 서버(30)는 수신부(31), 데이터베이스(32), 위치 파악부(33), 전기차 충전소 선정부(34), 검색부(35), 차량인도시간 계산부(36), 메시지 생성부(37), 송신부(38), 및 제어부(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reception unit 31, a database 32,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33,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lection unit 34, a search unit 35, a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ion unit 36, 37, a transmitting unit 38, and a control unit 39.

수신부(31)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는 해당 사용자 정보(차량 정보 포함) 및 배터리 잔량을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31 may receive a charging servi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 [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31 inpu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us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데이터베이스(32)는 전기차 충전소 정보 저장부(32a), 고객 정보 저장부(32b), 및 관광정보 저장부(3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32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2a, a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32b, and a tourist information storage unit 32c.

전기차 충전소 정보 저장부(32a)는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에 관련된 정보(전기차 충전소의 위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고유번호 등)를 저장하고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32a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one or mor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location, name, phone number, e-mail address, unique number, etc.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고객 정보 저장부(32b)는 수신부(31)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고객)의 입력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는 해당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할 수 있다. 추후에, 사용자가 관광지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관광지 정보가 고객 정보 저장부(32b)에 저장될 것이다.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32b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customer)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31. [ Here,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battery power. When the user selects a sightseeing spot, the selected tourist attraction information will be stored in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32b.

관광정보 저장부(32c)는 전국의 관광지에 대한 각종의 정보(길안내용 지도 포함)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관광정보 저장부(32c)는 관광지 주변의 맛집 정보, 숙박 정보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tourist information storage unit 32c store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including a guide map) about sightseeing spots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e tourist information storage unit 32c may store the restaurant information, the accommod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ound the tourist spot.

위치 파악부(33)는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 파악은 사용자 단말(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히 가능하다.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3 can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who requested the charging servic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can be grasped by using a conventional technique of locating the user terminal 10.

전기차 충전소 선정부(34)는 위치 파악부(33)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일 수 있다.The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selecting unit 34 can select an electric-vehicle charging station that exists at an optimum posit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33. [ 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xisting at the optimum position may b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검색부(35)는 위치 파악부(33)에서 파악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주변의 관광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검색부(35)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관광지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반경은 조정가능하다. 그리고, 검색부(35)는 관광지 이외로 맛집, 숙소 등을 함께 검색할 수 있다.The search unit 35 can search for nearby tourist sites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identified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3. [ At this time, the search unit 35 can search for one or more sightseeing place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centering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Here, the predetermined radius is adjustable. Then, the search unit 35 can search restaurants, hotels, and the like together with sightseeing spots.

차량인도시간 계산부(36)는 검색부(35)에서 검색된 관광지별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 잔량 등을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여 가져다 주는데 소요되는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인도시간은 해당 사용자(고객)에게 전기자동차를 가져다 주어야 할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관광지 방문을 마친 해당 사용자(고객)가 자신의 전기자동차를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시점의 시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The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ion unit 36 calculates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for each tourist spot searched in the search unit 35 based on the vehicle delivery time required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of the user Time can be calculated. Here, the vehicle delivery time means a time required to bring an electric car to the user (customer), which means a time when the user (customer) who visited the sightseeing spot can immediately use his / her electric vehicle .

예를 들어, 차량인도소요시간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관광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적체 등)에 따른 지연시간 등을 근거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서 관광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은 네비게이션(도시 생략)과 연동하면 충분히 계산할 수 있다. 교통량 정보는 교통정보시스템(도시 생략)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물론,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 역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충분히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vel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ime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A moving time by an automobile, and a delay time due to traffic volume (such as overload). Here, the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nd the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from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the sightseeing spot, Can be calculated. Since the traffic volu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not shown),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can be easily calculated. Of course, the latency due to traffic volume can also be calculated sufficiently in conjunction with navigation.

그리고, 차량인도시간은 계산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게 되면 얻을 수 있다.The vehicle delivery time can be obtained by adding the calculated delivery time to the time at which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메시지 생성부(37)는 전기차 충전소에게로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37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electrification station of the election.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remaining battery power, and the like.

한편, 메시지 생성부(37)는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예컨대, 상호명, 대표자명, 위치, 전화번호 등)를 해당 사용자(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generating unit 37 can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customer)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e.g., a business name, a representative name, a location, and a telephone number).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37)는 검색부(35)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관광지 및 차량인도시간 계산부(36)에서 계산된 관광지별 차량인도시간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37 may generate a messag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ightseeing spot calculated by the one or more sightseeing places and the vehicle arrival time calculating unit 36 retrieved from the searching unit 35. [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37)는 선택된 관광지의 세부 정보(명칭, 위치, 길안내용 지도, 설명 개요, 주변 맛집, 주변 숙소 정보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ssage generating unit 37 generates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details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including name, location, guidance content map, description summary, surrounding restaurants, nearby hotel information, etc.) .

또한, 메시지 생성부(37)는 선택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해당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sage generator 37 may generate a message for informing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송신부(38)는 메시지 생성부(37)에서 생성한 메시지를 전기차 충전소 또는 사용자(고객)에게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38)는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선정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송신부(38)는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예컨대, 상호명, 대표자명, 위치, 전화번호 등)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고객)의 단말(1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8)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관광지 및 관광지별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8)는 선택된 관광지의 세부 정보(명칭, 위치, 길안내용 지도, 설명 개요, 주변 맛집, 주변 숙소 정보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38)는 선택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unit 38 transmits the message generated by the message generating unit 37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r the user (customer).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unit 38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inform that it has been selected. Meanwhile, the transmitting unit 38 can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e.g., name, representative name, location, telephone number, etc.) to the terminal 10 of the corresponding user (customer). The transmitting unit 38 may transmit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including the vehicle delivery time of one or more sights and sightseeing places searched. The transmission unit 38 transmits a message including the details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including the name, location, guidance map, description summary, surrounding restaurants, nearby hotel information, etc.) and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terminal 10 . The transmission unit 38 can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the general information (name and loc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제어부(39)는 서비스 서버(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39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ice server 3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서버(40)의 내부 구성도이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harging server 40 shown in FIG.

충전 서버(40)는 수신부(41), 고객 정보 저장부(42), 표시부(43), 송신부(44), 및 제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server 4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41, a customer information storing unit 42, a display unit 43, a transmitting unit 44, and a control unit 45.

수신부(41)는 충전대상차량(전기자동차)을 충전시킬 전기차 충전소로 선정되었음을 의미하는 알림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41 can receive a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the network 20 indicating that it has been selected a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be charged with the charging object vehicle (electric vehicle).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remaining battery power, and the like.

또한, 수신부(41)는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41 can receive a message including the general information (name and location) of the tourist site finally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hrough the network 20.

고객 정보 저장부(42)는 수신부(41)에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한다. The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42 stor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in the reception unit 41. [

표시부(43)는 충전대상차량별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관광지는 사용자가 선택된 것으로서, 충전한 전기자동차를 인도할 장소가 된다. 작업자는 표시부(46)에 표시되는 충전대상차량별 관광지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보고서 차량인도시간에 맞도록 해당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것이다.The display unit 43 can display the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name and loc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for each vehicle to be charged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on the screen. Here, the selected tourist spot is a place where the user is selected to deliver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The operator will charge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o be charged and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6 match the delivery time of the report vehicle.

송신부(44)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45)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전기자동차(즉,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직원 단말(6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직원 단말(60)에는 하나의 차량번호와 하나의 관광지 정보와 하나의 사용자 정보 및 하나의 차량인도시간이 제공될 것이다. 그에 따라, 직원은 직원 단말(60)에 표시되는 관광지의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에 근거하여 해당 전기자동차를 사용자에게 가져다 줄 수 있다. 이후, 직원 단말(60)은 다른 차량번호와 관광지 정보와 사용자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ly charged, the transmitter 44 controls the control unit 45 to transmit user information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tourist spo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60. That is, the employee terminal 60 will be provided with one vehicle number, one tourist information, one user information, and one vehicle delivery time. Accordingly, the employee can br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tourist spot displayed on the employee terminal 60,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hereafter, the employee terminal 60 can receive other vehicle numbers, touris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vehicle delivery times.

제어부(45)는 충전 서버(4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5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harging server 4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FIG.

먼저, 사용자(고객)는 사용자 단말(10)을 조작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에 접속하여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다(S10). 여기서, 사용자는 전기자동차를 운전하는 자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의 도로에서 전기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중에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고 느낌에 따라 도로변에 주차한 후에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것으로 가정하자.First, the user (customer) operates the user terminal 10 to access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network 20 to request a charging service (S10). Here, the user is a person driving an electric vehic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requests the charge service after parking on the road side according to the feeling that the battery needs to be charged while the electric car is being driven on an arbitrary road.

사용자는 충전 서비스 요청 이후에 해당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입력한다(S12).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fter the charging service request (S12). Here,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us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like.

결국, 사용자가 충전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충전 서비스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user requests the charging service, the charging service request signal includes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remaining battery power.

그에 따라, 충전 서비스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서비스 서버(30)는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현재 위치를 근거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한다(S14). 여기서,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30 having received the charging service request signal grasp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who has requested the charging service, and selects an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t the optimum loc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S14). Her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xisting at the optimum position may b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그 후, 서비스 서버(30)는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6).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of the selection result (S16). Here,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including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vehicle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etc.), remaining battery power, and the like.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충전대기시간동안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주변의 명소를 검색한다(S18). 명소로는 관광지, 카페, 박물관, 마트, 음식점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는 관광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존재하는 관광지를 검색할 수 있다. In order to provide the additional service during the charge wait time, the service server 30 searches for the surrounding sight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S18). There are tourist attractions, cafes, museums, marts, restaurants, and more.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30 can search for a sightseeing spot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검색된 관광지별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여 가져다 주는데 소요되는 시간(차량인도소요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한다(S20).Then, the service server 30 calculates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time required to charge and deliver the electric vehicl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for each searched location (vehicle delivery time) (S20 ).

예를 들어, 차량인도소요시간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관광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적체 등)에 따른 지연시간 등을 근거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에서 관광지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은 네비게이션(도시 생략)과 연동하면 충분히 계산할 수 있다. 교통량 정보는 교통정보시스템(도시 생략)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물론,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 역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충분히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vel time of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time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A moving time by an automobile, and a delay time due to traffic volume (such as overload). Here, the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distance to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nd the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from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sightseeing spot, Can be calculated. Since the traffic volu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not shown),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traffic volume can be easily calculated. Of course, the latency due to traffic volume can also be calculated sufficiently in conjunction with navigation.

그리고, 계산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게 되면 차량인도시간이 된다.If the calculated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is added to the time at which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is obtained.

이후, 서비스 서버(30)는 검색된 하나 이상의 관광지 및 검색된 관광지별로 계산된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룩업테이블 형태일 수 있음; 도 5 참조)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S22).Then, 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ed for each of the searched sightseeing places and the searched sightseeing places (may b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see Fig. 5)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 via the network 20, (S22).

그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단말(10)에 표시되는 관광지 및 관광지별 차량인도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보고서 방문하고자 하는 관광지를 선택한다(S24).Accordingly, the user selects the sightseeing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wants to visit the information (S24).

서비스 서버(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의 관광지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그에 따라, 서비스 서버(30)는 선택된 관광지의 정보 및 해당 차량인도시간을 사용자 및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 제공한다(S26).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30)는 선택된 관광지의 세부 정보(명칭, 위치, 길안내용 지도, 설명 개요, 주변 맛집, 주변 숙소 정보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사용자의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30)는 선택된 관광지의 일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에게로 전송한다.The service server (30) receives sightseeing site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30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user and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S26).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detailed information (name, location, guidance content, description summary, surrounding restaurants, surrounding hotel information, etc.)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terminal 10 send. The service server 30 transmits the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name and loc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e server 4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선택된 관광지의 세부 정보 및 해당 차량인도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상호명, 대표자명, 주소, 전화번호 등)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유는 자신의 전기자동차가 어디에서 충전되는지를 파악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n, the service server 30 can provide the information (name, representative name,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gether with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tourist destin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user. The reason why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s to understand where the electric car is charged.

한편, 상술한 단계 S16에 의해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는 알림 메시지(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배터리 잔량 등을 포함)를 직원 단말(60)에게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of the selection result by the above-described step S16 receives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er information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 Remaining battery power, etc.) to the employee terminal 60.

그에 따라, 직원은 해당 알림 메시지내의 정보를 보고서 충전대상차량(전기자동차)이 주차해 있는 곳(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으로 가서 해당 충전대상차량을 대신 운전하여 전기차 충전소로 가져온다(S28).Accordingly, the employee goes to the place where the report charge vehicle (electric car) parked the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message (i.e.,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drives the charge target vehicle to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instead (S28).

이후, 전기차 충전소로 가져온 충전대상차량을 충전시킨다(S30). 이때, 충전 서버(40)는 충전대상차량별로 선택된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수신하여 표시부(43)에 표시하므로(도 6 참조), 직원은 차량인도시간을 맞출 수 있도록 해당 충전대상차량에 대한 충전을 완료한다.Thereafter, the charging target vehicle brought to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s charged (S30). At this time, the charging server 40 receive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 selected for each vehicle to be charged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43 (see FIG. 6) The charging of the vehicle to be charged is completed.

그리고,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40)는 충전이 완료된 전기자동차에 상응하는 관광지의 정보(명칭, 위치 포함), 사용자 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전기자동차의 차량번호 등을 포함), 및 차량인도시간을 직원 단말(60)에게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전기차 충전소의 직원은 충전이 완료된 전기자동차를 차량인도시간에 맞게끔 운전하여 차량인도장소까지 가서 사용자에게 인도한다(S32).The charging server 40 of the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tore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tourist spot corresponding to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telephone number, And transmits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60). Thus, the staff memb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drives the charged electric vehicle to the vehicle delivery place at the time of the vehicle delivery, and delivers it to the user (S32).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battery charging reques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While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사용자 단말 20 : 네트워크
30 : 서비스 서버 31, 41 : 수신부
32 : 데이터베이스 33 : 위치 파악부
34 : 전기차 충전소 선정부 35 : 검색부
36 : 차량인도시간 계산부 37 : 메시지 생성부
38 : 송신부 39, 45 : 제어부
40 : 충전 서버 42 : 고객 정보 저장부
43 : 표시부 44 : 송신부
50 : 전기차 충전기 60 : 직원 단말
10: user terminal 20: network
30: service server 31, 41:
32: database 33:
34: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selection unit 35:
36: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ion unit 37: Message generation unit
38: transmitting unit 39, 45:
40: Charging server 42: Customer information storage unit
43: display unit 44:
50: Electric car charger 60: Staff terminal

Claims (17)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선정한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에게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고,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되,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소의 정보와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충전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A notific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server of the sel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upon receipt of the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A service server that calculates the time and transmits the time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user to the electric vehicle, receives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s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mployee terminal, and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information of the user information, And a charging server for transmitting the battery charging request to the employee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상기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상기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명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여 상기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A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a distance to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 charging time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 moving time by the electric car to the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relevant spot,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lay time,
And calculates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by adding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to the time when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And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a vehicle number. The system of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할 때,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When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attraction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때,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rvice server,
Whe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전기차 충전소 선정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명소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차량인도시간 계산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ice server,
A location information unit for receiving a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a battery remaining amount to determine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 searching unit for searching at least one spot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 vehicle delivery tim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earched places; And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reques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ssage generator comprises:
And generating a messag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명소 및 상기 계산된 명소별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essage generator comprises:
And genera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the searched one or more sightseeing spots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calculated sight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ssage generator comprises:
And generating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last by the user and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최종선택된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essage generator comprises:
And generating a message informing the charging server of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last by the user and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정보 및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전기차 충전소의 충전 서버에게로 선정사실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근거하여 검색한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명소별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서버가, 상기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명소의 정보와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직원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s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charging service request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a notification message informing the charging server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of the selection result;
Calculating, by the service server, a vehicle delivery time for each searched 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spot to the user;
Transmitting, by the service server,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employee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employee terminal when the charging server is completed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 method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a charging reques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명소별로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전기차 충전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상기 배터리 잔량에 근거한 충전 시간, 상기 전기차 충전소에서 해당 명소까지의 거리에 대한 전기자동차에 의한 이동 시간, 및 교통량에 따른 지연시간을 근거로 차량인도소요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인도소요시간을 충전 서비스를 요청한 시점의 시간과 합산하여 상기 차량인도시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calculating the vehicle delivery time by the spot includes:
A moving time by the electric vehicle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a distance to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a charging time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power, a moving time by the electric car to the distance from the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relevant spot, Calculating a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based on th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delay time; And
And calculating the delivery time of the vehicle by adding the time required to deliver the vehicle to the time when the charge service is reques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최근거리에 존재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selecting the electric-
And selec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ocated at a recent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notification message includes: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a vehicle numb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충전 서버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pot,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to the charging server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use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명소 선택 정보에 근거한 해당 명소의 정보 및 차량인도시간을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전기차 충전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요청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spot to the user and the vehicle delivery time based on the spot sel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selected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 to the us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KR1020170027619A 2017-03-03 2017-03-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KR201801009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619A KR20180100986A (en) 2017-03-03 2017-03-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619A KR20180100986A (en) 2017-03-03 2017-03-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86A true KR20180100986A (en) 2018-09-12

Family

ID=6359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619A KR20180100986A (en) 2017-03-03 2017-03-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098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2927A (en) * 2018-11-22 2019-03-19 上海电机学院 Charging pile intelligent scheduling management method
CN111028428A (en) * 2019-12-23 2020-04-17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gas station and refueling method
CN113103904A (en) * 2021-06-15 2021-07-13 清华大学 Mobil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and electronic equipment
EP3817946B1 (en) * 2018-07-02 2022-10-19 Mercedes-Benz Group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525B1 (en) 2009-07-07 2012-06-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of electric vehiche charging station
KR101483083B1 (en) 2012-10-26 2015-01-19 한국전기연구원 Contents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525B1 (en) 2009-07-07 2012-06-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of electric vehiche charging station
KR101483083B1 (en) 2012-10-26 2015-01-19 한국전기연구원 Contents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7946B1 (en) * 2018-07-02 2022-10-19 Mercedes-Benz Group AG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CN109492927A (en) * 2018-11-22 2019-03-19 上海电机学院 Charging pile intelligent scheduling management method
CN111028428A (en) * 2019-12-23 2020-04-17 航天科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gas station and refueling method
CN113103904A (en) * 2021-06-15 2021-07-13 清华大学 Mobil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103904B (en) * 2021-06-15 2021-09-10 清华大学 Mobile charging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1271B1 (en) Downloading geographical data to a mobile station and displaying a map
KR201801009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US7228137B2 (en) Mobile body information system
US6993350B2 (en)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6633809B1 (en) Wireles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US7146273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KR20130066353A (en) Method and system for link between in-door path and out-door path
CN102818574A (en) Route calculation apparatus
CN105555586A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providing information via charging station
JP2012083324A (en) Navigation service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service method therefor
KR10072790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djacent posi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10097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20110099087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2013170932A (en) Charging facil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N103134502A (en) Navigation method, navigation system and network server
US2010026846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navigation
JP200752068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search service
KR100906242B1 (en) Data searching navigation system using of communication network, the input data method and the searching method thereof
JP4316565B2 (en)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processing for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KR100866756B1 (en) Method for leading a way and Server for the same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s
KR20200031221A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request of electric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2006009089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ad guid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KR20180100987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delivery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601863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destrian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6292550A (en) Tourist route guid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