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72A - 멀티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72A
KR20180100972A KR1020170027577A KR20170027577A KR20180100972A KR 20180100972 A KR20180100972 A KR 20180100972A KR 1020170027577 A KR1020170027577 A KR 1020170027577A KR 20170027577 A KR20170027577 A KR 20170027577A KR 20180100972 A KR20180100972 A KR 2018010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relay
voltag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800B1 (ko
Inventor
황동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8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모듈 및 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통신연결단자; 상기 통신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통신IC;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와 상기 통신IC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형 공기조화기{Multi-airconditioner}
본 발명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선 및 전원선의 오결선을 감지하여 통신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에어컨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방식을 채용하며, 상기 실외기와 복수 실내기 사이에는 전원선 및 통신선 등이 연결되어 이 통신선을 매개로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에는 실외열교환기 및 하나 이상의 압축기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내기에는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 팽창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와 복수 실내기 사이에는 냉매배관이 설치되어 이 냉매배관을 매개로 냉매싸이클에 따라 상호간 냉매가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시스템의 최초 설치시 설치자가 실외기와 복수 실내기 사이의 통신선, 전원선 및 냉매배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오결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최대한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는 매우 복잡한 배선 특성을 가지므로 오결선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멀티에어컨(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6-0008198호)은 전원선과 통신선이 오결선되었을 때 통신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멀티에어컨에서 통신선과 전원선의 오결선시 통신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는, 전원선과 통신선이 오결선되어 통신회로에 교류고전압이 공급되어도 통신회로에 설치된 통신릴레이를 통해 통신회로에 공급되는 교류고전압을 차단하여 통신회로를 보호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멀티에어컨에 개시된 보호장치에서는, 전원선과 통신선이 서로 오결선되면 통신릴레이가 동작하지 않아 AC전원에 의한 통신회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나, 전원연결단자에 AC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통신연결단자에 AC전원선을 연결하는 경우 통신릴레이가 동작하여 노이즈 보호소자를 통해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통신회로가 파괴되고, 통신연결단자와 노이즈 보호소자 사이의 통신선로도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연결단자와 통신연결단자에 동시에 전원선을 연결하더라도 통신연결단자에 유입되는 AC전원을 차단하여 통신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통신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감지하여 통신연결단자에 유입되는 AC전원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공급모듈 및 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통신연결단자; 상기 통신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통신IC;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와 상기 통신IC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연결단자와 상기 통신IC를 연결하는 통신연결선; 및 상기 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통신연결선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는, 상기 통신연결선의 단락부에서 상기 통신연결단자 측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상기 통신연결선의 단락부에서 상기 통신IC 측에 구비되는 제2접점과;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과 이격되어 상기 전압감지부에 연결되는 제3접점과; 상기 제1접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 및 상기 제3접점 중 일측으로 피벗 가능하게 형성된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단자는 통신선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연결선은 상기 제1터미널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는 제1통신연결선 및 상기 제2터미널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는 제2통신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제1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3접점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는 초기에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위치부는 제3접점을 향해 피벗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접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위치부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3접점에 접하도록 상기 스위치부가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 또는 상기 제2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 모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이 기설정된 AC 전압인 경우 에러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연결단자와 통신연결단자에 동시에 전원선을 연결하더라도 통신연결단자에 유입되는 AC전원을 차단하여 통신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통신선과 전원선의 오결선이 발생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외기 및 실내기에 각각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20)와 복수 개의 실내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30)는 제1 내지 제4 실내기(30a~3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0)와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공급부(100) 및 실외기(20)와 복수개의 실내기(30) 사이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200)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실외기(20)에는 전원공급부(100)와 통신모듈(200)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실내기(30) 각각에도 전원공급부(100)와 통신모듈(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전원연결단자(150)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필요한 DC 전원(예를 들어, 12V 및/또는 5V)로 변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원연결단자(150)와 전원공급부(100)는 전원선(17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연결단자(150)를 통해 공급되는 AC전원은 상기 전원선(170)을 통해 전원공급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00)은 통신선(18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20)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300) 각각에 구비되는 통신모듈(200)은 상기 통신선(18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단자(150) 및 상기 전원공급부(100)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은 기설정된 AC 전압(예를 들어, 220V)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신모듈(200)에는 상기 AC 전압보다 낮은 통신 전압(예를 들어, 5V 및/또는 12V)이 인가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전원선(170) 및 통신선(180)의 오결선으로 인해 상기 통신모듈(200)에 AC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통신모듈(200)에 구비되는 후술할 통신회로기판(이하, "통신IC"라고도 함)이 손상될 수 있다.
상기 통신IC가 손상되면, 통신모듈(200)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비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멀티형 공기조화기(10)에서는 상당히 많은 수의 전원선(170) 및 통신선(180)이 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원선(170)과 통신선(180)의 오결선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도 1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통신선과 전원선의 오결선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실내기(30b)와 제3실내기(30c) 사이에 통신선(180)이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제2실내기(30b)에서 나온 통신선(180)과 제3실내기(30c)에서 나온 통신선(180)이 서로 연결되면 문제가 없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실내기(30b)로부터 나온 통신선(180)이 전원선(170)에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실내기(30b)에 구비되는 통신모듈(200)에 AC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통신모듈(200)이 손상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모듈(200)에 통신전압보다 높은 AC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통신모듈(200)에 구비되는 후술할 통신IC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선(170)과 통신선(180)이 오결선된 경우에 통신모듈(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신모듈(200)에 AC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통신모듈(200)에 구비되는 통신IC에 AC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신모듈(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외기 및 실내기에 각각 구비되는 통신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모듈(200)은 실외기(20)와 실내기(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모든 통신모듈(200)은 통신선(18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실외기(20)와 실내기(30) 사이,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실내기(30) 사이에 상기 통신선(18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모듈(200)은 통신선(180)이 연결되는 통신연결단자(210),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IC(220),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230) 및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는 통신선(180)을 통신모듈(200)에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는 2개의 통신선(180)을 통신모듈(200)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는 통신선(180)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211) 및 제2터미널(2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211) 및 상기 제2터미널(212)에 각각 통신선(18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IC(220)는 상기 통신연결단자(210) 및 상기 통신선(180)을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230)는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를 통해 들어오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통신선(180)이 연결되면 상기 전압감지부(230)는 통신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전원선(170)이 연결되면 상기 전압감지부(230)는 AC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통신전압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신선(180)과 전원선(170)의 오결선이 발생한 경우라도, 통신연결단자(210)와 통신IC(22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어 AC전압이 통신IC(220)까지 인가되지 않으므로, 통신IC(2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모듈(200)은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를 연결하는 통신연결선(241, 242) 및 상기 통신연결선(241, 242)에 구비되는 릴레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릴레이(250)는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250)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와 상기 통신IC(220)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선(241, 242)은 상기 릴레이(250)가 설치되는 부분이 단락(또는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연결선(241, 242)의 상기 단락된 부분은 상기 릴레이(250)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230)는 상기 릴레이(250)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연결단자(210)를 통해 상기 릴레이(250)까지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전압감지부(23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전원선(170)이 연결되더라도, AC 전압이 통신IC(220)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2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레이(250)는 통신연결단자(210) 측에 구비되는 제1접점(251)과, 상기 통신IC(220) 측에 구비되는 제2접점(252)과, 상기 제1접점(251) 및 상기 제2접점(25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 연결되는 제3접점(253)과, 상기 제1접점(251)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252) 및 상기 제3접점(253) 중 일측으로 피벗 가능하게 형성된 스위치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250)는 오프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254)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3접점(253)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릴레이(250)의 오프상태에서 스위치부(254)가 상기 제1접점(251)을 기준으로 상기 제3접점(253)을 향해 피벗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레이(250)는 초기에 오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릴레이(250)를 오프상태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결선에 의해 통신연결단자(210)에 AC전압이 인가되더라도 통신IC(220)에는 AC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서 통신IC(2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통신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릴레이(250)를 온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온상태는 상기 스위치부(254)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2접점(252)에 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릴레이(250)의 온상태에서 스위치부(254)가 상기 제1접점(251)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253)을 향해 피벗될 수 있다. 온상태에서는 상기 릴레이(250)에 의해 상기 통신연결선(241, 242)의 단락된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선(241, 242)은 전술한 제1터미널(211)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기 위한 제1통신연결선(241) 및 전술한 제2터미널(212)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기 위한 제2통신연결선(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250)는 상기 제1통신연결선(241)에 구비되는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통신연결선(242)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통신연결선(241)의 단락부에 상기 제1릴레이(250a)가 배치되고, 상기 제2통신연결선(242)의 단락부에 상기 제2릴레이(259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는 전술한 제1접점(251), 제2접점(252), 제3접점(253) 및 스위치부(254)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230)는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릴레이(250a)와 상기 제2릴레이(250b) 각각에 구비되는 제3접점(253)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를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통신 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모두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모두 온상태로 전환된 후에는, 상기 스위치부(254)가 상기 제3접점(253)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전압감지부(230)에 어떠한 전압도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통신연결선(241, 242) 중 하나에 블러킹 커패시터와 같은 공지된 구성을 적용하는 종래기술이 있으나, 이 경우, AC전압의 인가 초기에는 통신IC로 AC전압이 인가되어 통신IC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과 같이, 두 개의 통신연결선(241, 242)에 제1릴레이(250a) 및 제2릴레이(250b)가 각각 구비될 경우, 통신연결단자로 AC전압이 들어오더라도 AC전압은 통신IC(220)에 전혀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실외기(20)에 다수개의 실내기(30)가 연결될 경우, 통신신호의 경로 상에 구비되는 다양한 저항으로 인해 통신 임피던스가 달라져 통신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의 온상태에서 전압감지부의 내부전압(미도시)이 통신신호 전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실외기(20)에 연결되는 실내기(30)의 수에 따라 통신 임피던스가 달라질 우려가 없다.
한편, 통신선(180)과 전원선(170)이 오결선되는 시점에서 통신IC(220)에 AC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릴레이(250)는 초기에 오프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는 초기에 오프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는 통신연결단자(210)에 AC전압 및 통신전압이 인가되기 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초기는 전원선(170) 및 통신선(180)이 결선되기 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기는 전압감지부(230)에서 어떠한 전압도 감지되기 전의 상태(즉, 어떠한 전압도 감지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릴레이(250)는 초기의 오프상태에서, 제어부(C)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오프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에 각각 구비되는 스위치부(254)는 상기 제3접점(253)을 향해 피벗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릴레이(250a)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54)는 상기 제1릴레이(250a)에 구비되는 제3접점(253)을 향해 피벗되고, 상기 제2릴레이(250b)에 구비되는 스위치부(254)는 상기 제2릴레이(250b)에 구비되는 제3접점(253)을 향해 피벗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제3접점(253)은 상기 전압감지부(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연결단자(210)와 통신IC(2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통신선(180)이 연결되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는 기설정된 통신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전원선(170)이 연결되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는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오결선에 의해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에 전원선(170)이 연결되면,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는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250a) 또는 상기 제2릴레이(250b)는 오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전압감지부(240)에서 감지되는 전압은 제어부(C)로 전달되고, 상기 전압감지부(24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릴레이(250a) 또는 상기 제2릴레이(250b)를 오프상태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압감지부(24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결선에 의해 통신연결단자(210)로 AC전압이 인가되더라도, 통신연결단자(210)와 통신IC(22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므로, 통신IC(220)에는 AC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AC전압에 의한 통신IC(2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통신연결단자(210)에 AC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 중 하나가 오작동하는 경우에는 통신IC(220)에 AC 전압이 인가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릴레이(250a)가 오작동하여 항상 온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연결단자(210)로 AC전압이 인가되고 제어부(C)가 제1릴레이(250a)에 대해 오프상태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더라도 제1릴레이(250a)는 오작동에 의해 온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연결단자(210)로 AC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통신IC(220)에 AC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를 모두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250a) 및 상기 제2릴레이(250b)를 모두 오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형 공기조화기(10)는 표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통신모듈(20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60)는 각각의 통신모듈(2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실외기(20)와 상기 실내기(30) 각각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실외기(20) 및 실내기(30) 내에서 상기 통신연결단자(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전압이 기설정된 AC전압인 경우에 에러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상기 전압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전압이 기설정된 AC전압인 경우에 상기 표시부(260)에 에러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60)에 표시되는 에러정보는 오결선의 대상이 되는 실외기 및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및 전압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전압값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60)를 통해 상기 전원선(170) 및 상기 통신선(180)의 오결선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선(170)과 통신선(180)의 오결선이 발생한 경우라도, 통신IC(220)가 AC전압의 인가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표시부(260)를 통해 오결선의 발생 위치 및 발생 이유에 대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전원공급부 200 통신모듈
210 통신연결단자 220 통신회로기판(통신IC)
230 전압감지부 250 릴레이

Claims (12)

  1. 전원공급부 및 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 개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통신모듈은,
    통신선이 연결되도록 형성된 통신연결단자;
    상기 통신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 통신IC;
    상기 통신연결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및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연결단자와 상기 통신IC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통신연결단자와 상기 통신IC를 연결하는 통신연결선; 및 상기 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릴레이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통신연결선의 단락부에서 상기 통신연결단자 측에 구비되는 제1접점과;
    상기 통신연결선의 단락부에서 상기 통신IC 측에 구비되는 제2접점과;
    상기 제1접점 및 상기 제2접점과 이격되어 상기 전압감지부에 연결되는 제3접점과;
    상기 제1접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접점 및 상기 제3접점 중 일측으로 피벗 가능하게 형성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연결단자는 통신선이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연결선은 상기 제1터미널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는 제1통신연결선 및 상기 제2터미널을 상기 통신IC에 연결하는 제2통신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제1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통신연결선에 구비되는 제2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3접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는 초기에 오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에 각각 구비되는 스위치부는 제3접점을 향해 피벗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 또는 상기 제2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기설정된 AC전압이 감지되면, 상기 제1릴레이 및 상기 제2릴레이 모두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전압이 기설정된 AC 전압인 경우 에러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27577A 2017-03-03 2017-03-03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91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77A KR101919800B1 (ko) 2017-03-03 2017-03-03 멀티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77A KR101919800B1 (ko) 2017-03-03 2017-03-03 멀티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72A true KR20180100972A (ko) 2018-09-12
KR101919800B1 KR101919800B1 (ko) 2018-11-19

Family

ID=6359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77A KR101919800B1 (ko) 2017-03-03 2017-03-03 멀티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503B (zh) 2019-01-15 2021-04-16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供电控制电路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04B1 (ko) 2002-08-30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실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24673B1 (ko) * 2004-11-09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오결선 보호장치
KR100667098B1 (ko) 2005-07-07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의 통신칩 보호장치
KR100765168B1 (ko) * 2006-09-05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오결선 보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36821B1 (ko) 2007-02-16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800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C/DC surge protection
JP200907981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室内機
EP204281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between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and switching means
EP2746685B1 (en) Air conditioner
US202202439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including a2l sensors
WO2017149625A1 (ja) 中継基板及びセンサ装置
US119208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ir temperature control using A2L refrigerants
KR10191980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1075229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10249315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16790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ir conditioner
JP3379226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5219469B2 (ja) 電気機器および電力線通信システム
ES2966535T3 (es) Sistema de control ambiental y acondicionador de aire o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KR100489580B1 (ko) 다실형 공기조화기의 통신 장애 검지장치 및 그 방법
JP4169489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20060144064A1 (en) Airconditioning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solving unbalanced phas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70072259A (ko) 공기조화기의 오결선 감지장치
KR100765168B1 (ko) 멀티 시스템 공기 조화기의 오결선 보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96634A (ko) 모터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기 제어반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JPH06257836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WO2023209838A1 (ja) 空気調和機
KR100792521B1 (ko) 시스템 에어컨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28527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