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655A -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655A
KR20180100655A KR1020187022827A KR20187022827A KR20180100655A KR 20180100655 A KR20180100655 A KR 20180100655A KR 1020187022827 A KR1020187022827 A KR 1020187022827A KR 20187022827 A KR20187022827 A KR 20187022827A KR 20180100655 A KR20180100655 A KR 20180100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pnt
resource element
subcarrier
resul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헤슬러
헨릭 살린
로베르트 발데마이어
니클라스 비베르그
라스 린드봄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to KR102020702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37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a non-coherent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910)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트랜시버(1010), 프로세서(1020) 및 메모리(10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9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Description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우선권>
본 출원은 2017년 2월 9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 Sequence Generation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292,99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조 기준 신호들(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DMRS)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PNT-RS)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메시지들의 송신들이 신뢰성 있게 수신될 수 있기 전에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서 일부 형태의 동기화를 필요로 한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과 같은 셀룰러 시스템들에서, 기지국들은 협대역 동기화 신호들을 시간상 규칙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들 동기화 신호들은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이 초기 셀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들은 캐리어 주파수, 시간 참조 인스턴트들 및 셀 아이덴티티 검색을 포함하는 동기화 프로시져를 거칠 수 있다. 초기 셀 검색을 수행하고 셀 아이덴티티를 식별한 LTE 무선 디바이스는 그 후 시스템 대역폭을 통해 동기화 신호들보다 시간상으로 더 빈번하게 송신되는 셀 특정 기준 신호들에 대해 정밀한 동기화를 행함으로써 다운링크에서 초기 동기화를 완료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업링크 시간 동기화가 확립되고 디바이스와 기지국 간의 통신이 시작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송신기 및 수신기 측 모두에서의 오실레이터 드리프트로 인해, 무선 디바이스는 기지국과의 통신 동안에 다운링크에서 정밀한 주파수 동기화를 규칙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셀-특정 기준 신호들(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CRS)이 없는 NX를 위한 린 프레임(lean frame) 구조 설계가 제안되어 왔으며, 여기서는 대신에 다운링크(DL) 물리 데이터 채널(physical data channel)(PDCH)의 정밀한 동기화 및 복조에 필요한 기준 신호들이 PDCH 송신에 임베딩된다. 도 1은 할당 또는 허가를 운반하는 PDCH 및 연관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DL 송신들을 예시한다. 특히, 도 1은 서브프레임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이 PDCCH를 포함하고, 후속 OFDM 심볼들이 PDCH들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PDCH의 송신들은 서브프레임 어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에 걸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한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로도 지칭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는 UE에 어드레싱되는 PDCCH를 검출하고,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PDCH 관련 정보를 도출한다. UE는 다른 UE들로의 PDCCH 송신들을 인식하지 못하는데, 여기서 하나의 특정 사용자에 대한 PDCCH는 OFDM 서브캐리어들의 서브세트를 통해 운반된다. PDCCH의 매핑은 분산될 수도 있고 국부화될 수도 있으며, 후자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내의 OFDM 심볼들의 수는 시스템 설계 파라미터이고, 도시된 예에서 사용된 4개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PDCCH 및 PDCH는 복조를 위한 그들 자신의 기준 신호들을 갖는데, 이는 주로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을 지칭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잠재적으로는 다른 타입들의 기준 신호들도 지칭할 수 있다. DMRS는 수신기가 초기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그에 의해 수신기 프로세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의 초기에 송신되어야 한다.
NX와 관련하여, 시간-동기화는 제1 기준 신호(예를 들어, 시간 동기화 신호(Time Synchronization Signal)(TSS))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개략적-주파수-동기화(coarse-frequency-sync)는 동일한 제1 기준 신호 또는 제2 신호(예를 들어, 주파수 동기화 신호)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들 신호들은 시간상으로나 주파수상으로나 매우 정확한 동기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간-오차는 OFDM 시스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고, 주파수-오차는 충분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것에 의해 핸들링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변조(예를 들어, 64 및 256 QAM) 방식들에 의해 PDCH의 상위 랭크 송신들의 성능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서는, 보다 양호한 주파수-동기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LTE에서와 같은) 최첨단 솔루션들은 이 목적을 위해 DMRS 또는 CRS를 재사용한다.
더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의 5G 시스템 배치들에서, 무선 링크는 더 낮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의 LTE에 비해 일부 새로운 특성들을 나타낼 것이다. 근본적인 변화들 중 하나는 위상 잡음 문제가 주파수로 스케일링되어, OFDM 심볼 내의 모든 서브캐리어들에 공통적인 위상 잡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새로운 위상 기준 신호에 대한 필요성을 도입한다는 점이다. 이 기준 신호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서 필요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정밀한 캐리어 주파수-동기화 및 위상 잡음 보상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두 번째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기준 신호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DMRS 및 PNT-RS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들을 예시한다. 예시된 설계는 설계가 3GPP에서 아직 특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는 시간 연속적으로 송신되고, 길이 8의 커버-코드는 8개의 직교 DMRS 자원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DMRS 자원은 0 ... 7로 열거될 수 있고, 8개의 DMRS 포트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는, 4개의 상이한 PNT-RS가 상이한 위상 잡음을 갖는 4개의 송신기를 지원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PNT-RS는 DMRS와 공동으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PNT-RS는 또한 DMRS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서브세트를 통해 PDCH와 공동으로 송신된다. DMRS는 여기서 서브프레임 내 또는 서브프레임 어그리게이션 내에서 초기에 하나 또는 수개의 OFDM 심볼에서 송신되고, PNT-RS는 가능하게는 모든 OFDM 심볼에서 송신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DMRS의 밀도는 PNT-RS의 대응하는 밀도보다 상당히 높다. 따라서, DMRS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세트는 PNT-RS에 의해 점유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세트보다 상당히 높다. 송신 대역폭상에서 이따금씩 평탄하지 않은 무선 채널들과는 대조적으로, 위상 잡음에 의해 야기되는 위상 모호성은 모든 서브캐리어들에 유사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개 이상의 서브캐리어를 통해 PNT-RS를 송신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할 뿐만 아니라 프로세싱 이득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PDCH의 다층 송신들은 인터리빙된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F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ode Division Multiplexing)(CDM) 중 어느 것 또는 둘 모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직교 DMRS의 세트를 필요로 한다. 인터리빙된 FDM 또는 CDM은 LTE에서 콤(comb)들로도 알려졌을 수 있다. CDM은, 예를 들어, 월시-하다마드 코드(Walsh-Hadamard code)들 또는 DFT 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직교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방식들에 기초한 직교 커버 코드들(Orthogonal Cover Codes)(OCC)을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서브프레임 내에서 위상 잡음이 추적될 필요가 있을 때, 시간 도메인에서의 OCC는 덜 적절할 수 있다. 또한, DMRS는 다수의 OFDM 심볼들로 송신될 필요가 있지만, NX에서 항상 그렇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서브캐리어들이 PNT-RS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사용 가능한 DMRS의 최대 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와 같은 통상적인 동기화된 무선 시스템에서는, UE가 네트워크와 먼저 통신할 필요없이 신호들을 찾을 수 있도록 일부 신호들이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신호들의 예들로는 1차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2차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 및 CRS가 있다. 이들 타입들의 신호들은 UE가 네트워크와 시간-주파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항시-켜짐(always-on) 신호들은 무선 시스템에 일부 복잡성을 추가하여, 에너지 성능이 나빠지게 하고, 일정한 간섭을 제공한다.
일부 최근의 솔루션들은 상기 신호들을 제거하는 린 시스템(lean system) 설계를 포함한다. 이들 설계들에서의 문제점은 동기화-프로시져가 보다 복잡해지고, PNT-RS들이 데이터 레이트들의 감소를 대가로 스펙트럼의 많은 부분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오버헤드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DMRS를 재사용하는 것은 정확한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해 필요한 시간 밀도가 높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DMRS 설계는 주파수 선택도를 고려하는데, 이는 복조 성능을 위해 주파수의 자원 밀도가 다소 높아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신호가 복조 및 위상 잡음 추적 모두에 사용되면, 불필요한 높은 오버헤드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PNT-RS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DMRS에 사용되는 OFDM 심볼들 또한 위상 잡음을 포함하고 위상 잡음 기준(phase noise reference)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위상 잡음 추적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들이 차단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생성한다. 따라서, 초기 DMRS에 많은 수의 직교 DMRS가 필요할 경우, 더 많은 수의 DMRS를 초기에 배치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기존의 솔루션들에서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 시퀀스 생성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특히, PNT-RS 시퀀스들은 유효 DMRS 신호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계층들에 대해 유효하고, PNT-RS와 DMRS의 교차점에서 송신되는 심볼은 PNT-RS에 할당되는 모든 다른 자원 엘리먼트들에 사용되고 복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resulting signal)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한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에서의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서의 방법은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이 결정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이 추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위상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이 생성된다.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를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기는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이 결정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이 추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위상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이 생성된다.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은 오버헤드 감소 및 DMRS에 대한 자원들의 양호한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상당한 수의 직교 PNT-RS가 존재하는 경우에서조차도 서브프레임에서 초기에 많은 수의 DMRS를 가능하게 한다. 위상 잡음 추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DMRS에 대한 OFDM 심볼의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을 사용할 때, 다른 공지된 솔루션은 없다.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수신기 안테나를 갖는 업링크(UL)(또는 다운링크(DL))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U-MIMO) 시스템을 고려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시스템들 및 기술들이 없으면, 양호한 피크 대 평균 및 양호한 주파수 보간 특성들, 주파수 도메인 콤들과 같이 OFDM 심볼에 DMRS만을 갖는 것의 이점들이 차단된다.
다른 이점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은 기재된 이점들 중 어느 것도 갖지 않을 수도 있고, 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및 그 특징들 및 이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은 할당 또는 허가를 운반하기 위한 물리 데이터 채널(PDCH) 및 연관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복조 기준 신호들(DMRS) 및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들(PNT-RS)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해 복사된 DMRS 심볼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 의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 의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에 의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시간상으로 2개의 직교 커버 코드(OCC)의 길이를 사용할 때의 위상 잡음 추적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한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한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한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 시퀀스는 송신되는 유효 복조 기준 신호(DMRS)로부터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PNT-RS와 DMRS의 교차점에서 송신되는 DMRS 심볼이 사용되어, PNT-RS에 할당되는 모든 다른 자원 엘리먼트들로 복사된다. 도 3은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해 복사된 DMRS 심볼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PNT-RS 0이 동일한 서브캐리어 내의 DMRS 자원 엘리먼트의 사본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MRS 신호는 자원 엘리먼트에서 송신되는 복소 값(complex value)으로서 복사될 수 있다. 이는 수신기가 신호가 복사되는 공지된 신호이고 제2 OFDM 심볼에서 시간 시프트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기는 신호가 시간 연속적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NT-RS의 각각의 이전의 사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CP)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위상 잡음 추적을 위한 예시적인 기술들은 수신기 및 송신기 모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 의한 예시적인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수신기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들은 도 1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방법은 무선 수신기가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202)에서 시작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MRS의 세트는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복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DMRS의 세트에 대해 제1 채널 추정이 수행된다. DMRS의 세트는 제1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 상의 제1 위상 잡음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제1 자원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단계(206)에서, 무선 수신기는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PNT-RS는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일 수 있다.
단계(208)에서, 무선 수신기는 서브캐리어 상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추출한다. 단계(210)에서, 제1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제2 OFDM 심볼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추정된 제2 채널이 생성될 수 있다. 단계(212)에서,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NT-RS를 추적하는 방법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도 4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방법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제1 결정 모듈(310), 수행 모듈(320), 제2 결정 모듈(330), 추출 모듈(340), 생성 모듈(350), 수신 모듈(360) 및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은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 설명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서들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모듈들 중 2개 이상의 것들의 기능들이 단일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결정 모듈(31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결정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결정 모듈(310)은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310)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310)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취득할 수 있다.
수행 모듈(32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수행 모듈(320)은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에서 DMRS의 세트에 대해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결정 모듈(33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결정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2 결정 모듈(330)은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추출 모듈(34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추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추출 모듈(340)은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생성 모듈(36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생성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생성 모듈(360)은 상기 제1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을 생성할 수 있다.
수신 모듈(38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수신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380)은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5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수신기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신기는,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것들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6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 의한 다른 예시적인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수신기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방법(400)은 무선 수신기가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402)에서 시작한다.
단계(404)에서, DMRS에 대해 제1 채널 추정이 수행된다. DMRS는 제1 OFDM 심볼 내의 서브캐리어 상에 제1 위상 잡음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제1 자원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는 복조 기준 신호들의 세트에 대해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6)에서, 서브캐리어 상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이 추출된다.
단계(408)에서, 제1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제2 OFDM 심볼에 대한 상기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는 제1 및 제2 위상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NT-RS를 추적하는 방법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는 도 6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방법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는 결정 모듈(510), 제1 수행 모듈(520), 추출 모듈(530), 제2 결정 모듈(540), 수신 모듈(550) 및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은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 설명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서들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모듈들 중 2개 이상의 것들의 기능들이 단일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결정 모듈(51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결정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510)은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510)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510)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취득할 수 있다.
제1 수행 모듈(52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수행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수행 모듈(520)은 DMRS에 대해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MRS는 제1 OFDM 심볼 내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제1 위상 잡음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제1 자원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DMRS의 세트 또는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 모듈(53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추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추출 모듈(530)은 서브캐리어 상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수행 모듈(54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수행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2 수행 모듈(540)은 제1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제2 OFDM 심볼에 대한 상기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모듈(55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수신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수신 모듈(550)은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500)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7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수신기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신기는,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것들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8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에 의한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송신기는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방법(600)은 무선 송신기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602)에서 시작한다.
단계(604)에서, 무선 송신기는 서브캐리어 내의 DMRS 자원들의 세트에서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DMRS 결과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DMRS를 포함하는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생성될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DMRS들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OFDM 심볼과 연관될 수 있고, 제1 OFDM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606)에서, 무선 송신기는 DMRS 결과 신호를 서브캐리어 내의 연관된 PNT-RS의 자원 엘리먼트들로 복사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송신기는 DMRS 결과 신호를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PNT-RS는 서브캐리어 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일 수 있고, 무선 송신기는 DMRS 결과 신호를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모든 OFDM 심볼들에 할당되는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에 복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복소 값은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으로 복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사본은 서브캐리어에 걸쳐 시간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소 값이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으로 복사되는 경우, 복소 값은 시간 시프트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에 걸쳐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결과 신호는 다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과 연관된 길이의 OCC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것은,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 신호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 무선 송신기는 DMRS 결과 신호 및 PNT-RS와 함께 데이터 송신을 송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NT-RS를 생성하는 방법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도 8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방법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는 결정 모듈(710), 생성 모듈(720), 복사 모듈(730), 송신 모듈(740) 및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듈들 중 하나 이상은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이하 설명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서들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모듈들 중 2개 이상의 것들의 기능들이 단일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결정 모듈(71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결정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결정 모듈(710)은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결정 모듈(510)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 모듈(510)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DMRS와 PNT-RS 매핑을 취득할 수 있다.
생성 모듈(72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생성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생성 모듈(720)은 생성할 수 있다.
복사 모듈(73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복사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사 모듈(730)은 복사할 수 있다.
송신 모듈(740)은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송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 모듈(740)은 송신할 수 있다.
가상 컴퓨팅 디바이스(700)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9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수신기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신기는,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것들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DMRS가 시간상으로 직교 커버 코드들(OCC)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시나리오에서, 상이한 계층들이 매핑되는 OCC 코드들의 시간에 따른 송신에서 상이한 계층들에 대해 위상-기준의 생성이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위상 잡음 추적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위상 잡음이 낮은 주파수에서 우세한 경우, 2개 이상의 인접한 OFDM 심볼에 대한 평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시간상으로 2개의 OCC의 길이를 사용할 때의 위상 잡음 추적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간-주파수 그리드(800)를 예시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잡음 추적은 2개의 OFDM 심볼로부터 개별 신호들을 복사하고, 이것들을 PNT-RS에 대한 OFDM 심볼들의 쌍마다 하나 걸러 반복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OFDM 심볼에 대한 평균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 중 일부는 위상 잡음 보상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설명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에서, 복사된 DMRS 신호는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은 채널의 코히어런스 시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DMRS 신호의 사본들 간에 채널 응답은 변경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의 DMRS가 사용될 수 있고, 여기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이 동일한 송신 내에서 여러 번 사용된다. 채널은 송신 시간 인터벌 동안에 변경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되기 때문에, DMRS-신호의 2개의 사본에서의 차이는 2개의 OFDM 심볼 간의 위상 잡음 변화로 인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차이는 채널 추정을 보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 구현에서는, 예를 들어, DMRS-신호의 상이한 사본들 중 다수의 사본들이 사본들 간의 간섭의 변동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절한 필터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필터 커널은 통상적으로 채널 추정 및 위상 잡음의 예상 주파수 프로파일로 튜닝된다. 예를 들어, 필터 커널은, 위상 잡음이 저주파수 콘텐츠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에는 PNT-RS의 다수의 시간 인스턴스들을 사용할 수 있고, 고주파수 콘텐츠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단일 인스턴스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위상 잡음을 추적하는 기술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900)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900)는 무선 디바이스들(910) 또는 UE들(910)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910A-C), 및 네트워크 노드들(915) 또는 eNodeB들(eNB들)(915)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들(915A-C)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91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들(915)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910A)는 네트워크 노드들(915) 중 하나 이상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고/있거나, 네트워크 노드들(915)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신호들은 음성 트래픽,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신호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915)와 연관된 무선 신호 커버리지 영역은 셀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910)은 D2D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들(910)은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직접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910A)는 무선 디바이스(910B)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910B)에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915)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도 11에서는 도시 생략)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네트워크 노드들(915)을 제어할 수 있고, 특정 무선 자원 관리 기능들, 이동성 관리 기능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들은 네트워크 노드(915)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호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상호 접속 네트워크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들, 데이터, 메시지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상호 접속 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상호 접속 네트워크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 공중 또는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대도시 통신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MAN), 광역 통신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인터넷,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업 인트라넷과 같은 로컬, 지역 또는 글로벌 통신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링크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들(910)을 위한 통신 세션들 및 다양한 다른 기능들의 확립을 관리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910)은 비-액세스 스트라텀 계층(non-access stratum layer)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특정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다. 비-액세스 스트라텀 시그널링에서, 무선 디바이스들(910)과 코어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신호들은 투명하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915)은 인터노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들 915A와 915B가 X2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를 통해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900)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910), 및 무선 디바이스들(910)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들(915)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910)는 무선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들(915)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910)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910)의 예들로는 모바일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태블릿), 센서, 모뎀, MTC(machine-type-communication) 디바이스/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 LEE(laptop embedded equipment),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D2D 가능 디바이스,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있다. 무선 디바이스(910)는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UE, 스테이션(STA), 디바이스, 또는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일반적인 용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또는 단순히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그것은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이는 노드 B, 기지국(base station)(BS), MSR(multi-standard radio) 무선 노드(MSR BS 등), eNode B,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중계를 제어하는 중계 도너 노드,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송신 포인트들, 송신 노드들, RRU, 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istributed antenna system)(DAS)의 노드들,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C, MME 등), O&M, OSS, SON,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E-SMLC), MDT 또는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및 UE와 같은 용어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특히 둘 사이의 특정 계층적 관계를 암시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eNodeB"는 디바이스 1로서, "UE"는 디바이스 2로서 간주될 수 있고, 이들 두 디바이스는 일부 무선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무선 디바이스들(810), 네트워크 노드들(815),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각각 도 12, 도 13 및 도 14와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1은 네트워크(900)의 특정 구성을 예시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갖는 다양한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900)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무선 디바이스들(910) 및 네트워크 노드들(915)뿐만 아니라, 무선 디바이스들 간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다른 통신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데 적절한 임의의 추가 엘리먼트들(랜드라인 전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이 LTE 네트워크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표준을 지원하고 임의의 적절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가 신호들(예를 들어, 데이터)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는 임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 또는 다중-RAT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LTE, LTE-Advanced, LTE-U UMTS, HSPA, GSM, cdma2000, WiMax, WiFi, 다른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 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 중 임의의 적절한 조합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비록 특정 실시예들이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업링크에서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고 그 반대도 가능함을 고려한다.
도 12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91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910)는 트랜시버(1010), 프로세서(1020) 및 메모리(10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1010)는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915)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이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1020)는 무선 디바이스(101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020)는 무선 디바이스(1010)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구현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0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다른 명령어들과 같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030)의 예들로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이동식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있다.
무선 디바이스(910)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11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915)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915)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무선 디바이스(9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는 임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915)는 동종 배치, 이종 배치 또는 혼합 배치로서 네트워크(900)를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동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동일한(또는 유사한)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들(915) 및/또는 유사한 커버리지 및 셀 사이즈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로 구성된 배치를 기술할 수 있다. 이종 배치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셀 사이즈들, 송신 전력들, 용량들 및 사이트 간 거리들을 갖는 다양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915)을 사용하는 배치들을 기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 배치는 매크로-셀 레이아웃 도처에 배치된 복수의 저전력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혼합 배치들은 동종 부분들과 이종 부분들의 혼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915)는 트랜시버(1110), 프로세서(1120), 메모리(1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1110)는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무선 디바이스(110)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고 이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프로세서(1120)는 네트워크 노드(915)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등과 같은 백엔드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신호들을 통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915)는 다중-안테나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고, 다중 안테나들이 장착될 수 있으며,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IMO)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제어 가능한 편극(polarization)을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엘리먼트는 상이한 세트들의 빔포밍 가중치들이 방출된 파에 상이한 편극을 부여하도록 상이한 편극들(예를 들어, 교차-편극에서와 같이 90도 분리)을 갖는 2개의 동일-위치의 하위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120)는 네트워크 노드(915)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구현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1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다른 명령어들과 같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130)의 예들로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이동식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프로세서(11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며, 네트워크 노드(915)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915)로부터 출력을 전송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들에 통신하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포함하여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915)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13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들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를 갖지만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4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20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노드들의 예들은 모바일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MSC),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200)는 프로세서(1220), 메모리(1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2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0)는 게이트웨이, 스위치, 라우터, 인터넷,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STN), 네트워크 노드들(915),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노드에 신호들을 통신한다.
프로세서(1220)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1200)의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어들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에서 구현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2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로직, 규칙들, 알고리즘들, 코드, 테이블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다른 명령어들과 같은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메모리(1230)의 예들로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이동식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및/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들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0)는 프로세서(12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며,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출력을 전송하고, 입력 또는 출력 또는 둘 모두의 적절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다른 디바이스들에 통신하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들을 포함하여 적절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포트,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등)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14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추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컴포넌트들은 위에서 설명된 기능 중 임의의 기능 및/또는 임의의 추가 기능(위에서 설명된 솔루션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기능 포함)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한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에서의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가 생성된다. DMRS 결과 신호는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서브캐리어 내의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된다. DMRS 결과 신호 및 PNT-RS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이 송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PNT-RS를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에서의 방법은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이 결정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이 추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위상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이 생성된다.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를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기는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이 결정된다.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이 추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위상 기준을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이 생성된다.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가 수신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들은 오버헤드 감소 및 DMRS에 대한 자원들의 양호한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상당한 수의 직교 PNT-RS가 존재하는 경우에서조차도 서브프레임에서 초기에 많은 수의 DMRS를 가능하게 한다. 위상 잡음 추적을 가능하게 하면서 DMRS에 대한 OFDM 심볼의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을 사용할 때, 다른 공지된 솔루션은 없다.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수신기 안테나를 갖는 업링크(UL)(또는 다운링크(DL))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MIMO) 시스템을 고려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시스템들 및 기술들이 없으면, 양호한 피크 대 평균 및 양호한 주파수 보간 특성들, 주파수 도메인 콤들과 같이 OFDM 심볼에 DMRS만을 갖는 것의 이점들이 차단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장치들에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컴포넌트들은 통합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들 및 장치들의 동작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문헌에서 사용됨에 있어서, "각각"은 세트의 각각의 구성요소 또는 세트의 서브세트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에 수정들, 추가들 또는 생략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들은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다른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들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실시예들의 변경들 및 치환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경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Claims (70)

  1.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910) - 상기 사용자 장비(910)는 트랜시버(1010), 프로세서(1020) 및 메모리(1030)를 포함함 - 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910)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고,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9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9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사용자 장비(9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사용자 장비(9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것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complex value)을 복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9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사용자 장비(9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rthogonal Cover Code)(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9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1010)는 다중-안테나 수신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9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1010)는 다중-안테나 송신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910).
  10.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910)에 의한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을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910)는 다중-안테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910)는 다중-안테나 송신기를 포함하는 방법.
  19.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915) - 상기 네트워크 노드(915)는 트랜시버(1110), 프로세서(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함 - 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915)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고,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915).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노드(915).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네트워크 노드(915).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네트워크 노드(915).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것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을 복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915).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네트워크 노드(915).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915).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1110)는 다중-안테나 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915).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1110)는 다중-안테나 송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915).
  28.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노드(915)에 의한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 대 PNT-RS의 매핑 폼을 결정하는 단계;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을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방법.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915)는 다중-안테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법.
  36. 제2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915)는 다중-안테나 송신기를 포함하는 방법.
  37.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910, 915)에서의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DMRS)와 PNT-RS 매핑을 결정하는 단계;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을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방법.
  43. 제37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910, 915)는 네트워크 노드(915)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910, 915)는 사용자 장비(910)를 포함하는 방법.
  46.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를 생성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910, 915) - 상기 무선 송신기는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함 - 로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복조 기준 신호들(DMRS)과 PNT-RS 매핑을 결정하고,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자원 엘리먼트에 대한 DMRS의 서브세트로부터 DMRS 결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상기 PNT-RS에 할당되는 제2 자원 엘리먼트로 복사하고,
    상기 DMRS 결과 신호 및 상기 PNT-RS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송신기(910, 915).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는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과 연관되며,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모든 자원 엘리먼트들은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위해 사용되는 무선 송신기(910, 915).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원 엘리먼트는 제2 OFDM 심볼과 연관되는 무선 송신기(910, 915).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무선 송신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를 복사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에 상기 제1 자원 엘리먼트로부터의 복소 값을 복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송신기(910, 915).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사본은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무선 송신기(910, 915).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결과 신호는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을 포함하는 길이의 직교 커버 코드(OCC)를 사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DMRS 결과 신호를 복사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인접한 OFDM 심볼들 각각에 대해, 각각의 DMRS 결과 신호를 각각의 OFDM 심볼로 복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추가로 동작 가능한 무선 송신기(910, 915).
  53. 제46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네트워크 노드(915)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기(910, 915).
  54.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는 사용자 장비(910)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기(910, 915).
  55.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를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910, 915)에서의 방법으로서,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위상 잡음 기준 신호(PNT-RS)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phase noise reference)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PNT-RS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상 잡음 기준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DMRS와 PNT-RS 매핑을 취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세트는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복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58. 제55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은 상기 DMRS와 연관된 복소 값의 사본을 포함하는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PNT-RS는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방법.
  61. 제55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네트워크 노드(915)를 포함하는 방법.
  62. 제55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사용자 장비(910)를 포함하는 방법.
  63.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PNT-RS)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적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910, 915) -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함 - 로서,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서브캐리어 내의 제1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에서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의 세트에 대한 제1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제1 OFDM 심볼의 제1 위상 잡음 기준 신호(PNT-RS)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1 위상 잡음 기준을 결정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내의 제2 OFDM 심볼의 제2 PNT-RS 자원 엘리먼트에서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위상 잡음 기준 및 제2 위상 잡음 기준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추정의 위상 잡음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채널 추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채널 추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2 OFDM 심볼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수신기(910, 915).
  64. 제63항에 있어서, DMRS와 PNT-RS 매핑을 취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910, 915).
  65. 제63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DMRS의 세트는 상기 제1 OFDM 심볼과 연관된 복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910, 915).
  66. 제63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NT-RS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모든 OFDM 심볼들에서 연속적인 무선 수신기(910, 915).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 각각은 상기 DMRS와 연관된 복소 값의 사본을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910, 915).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값의 각각의 사본은 상기 PNT-RS에 매핑되는 상기 서브캐리어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시간 시프트되며, 각각의 PNT-RS는 CP 지속기간만큼 시프트되는 무선 수신기(910, 915).
  69. 제64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네트워크 노드(915)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910, 915).
  70. 제64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910, 915)는 사용자 장비(915)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기(910, 915).
KR1020187022827A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80100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7014A KR102283375B1 (ko)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92990P 2016-02-09 2016-02-09
US62/292,990 2016-02-09
PCT/SE2017/050130 WO2017138880A1 (en) 2016-02-09 2017-02-09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 sequence generation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14A Division KR102283375B1 (ko)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655A true KR20180100655A (ko) 2018-09-11

Family

ID=580467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27A KR20180100655A (ko)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207027014A KR102283375B1 (ko)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14A KR102283375B1 (ko) 2016-02-09 2017-02-09 복조 기준 신호들을 사용하는 위상 잡음 추적 기준 신호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11323300B2 (ko)
EP (3) EP4277219A3 (ko)
JP (2) JP2019504565A (ko)
KR (2) KR20180100655A (ko)
CN (1) CN108604973B (ko)
BR (1) BR112018016230A2 (ko)
DK (1) DK3414864T3 (ko)
ES (2) ES2969073T3 (ko)
IL (1) IL260476B (ko)
PL (1) PL3414864T3 (ko)
WO (1) WO20171388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250A (ko) * 2019-11-07 2021-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3512C1 (ru) 2016-02-09 2020-02-05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dmrs конфигурации на пилот-сигнал отслеживания фазового шума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изводительности приемника
WO2017162903A1 (en) 2016-03-23 2017-09-28 Nokia Technologies Oy Common phase error and/or inter-carrier interference
CN109314686B (zh) * 2016-04-25 2021-08-31 Lg 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估计相位噪声的信号传输方法
US10965499B2 (en) * 2016-06-05 2021-03-30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estimating phase noi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24050B1 (ko) * 2016-07-22 2020-06-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참조신호 전송 장치 및 참조신호 전송 방법
US10367672B2 (en) * 2016-09-28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to phase-noise compensation reference signal design and scrambling
CN112491509B (zh) 2016-09-30 2023-10-31 Lg 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用于参考信号的控制信息的方法及其用户设备
JP7025423B2 (ja) 2017-01-09 2022-02-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参照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3605927B1 (en) * 2017-03-31 2022-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336413B2 (en) * 2017-05-04 2022-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396952B1 (ko) 2017-06-15 2022-05-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ptrs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30900A1 (en) * 2017-06-15 2018-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ptrs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CN113381960B (zh) * 2017-09-07 2022-08-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相位跟踪参考信号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基站、用户设备
EP3691363B1 (en) * 2017-09-25 2024-03-06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19058549A1 (ja) * 2017-09-25 2019-03-28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ユーザ装置
US20200287678A1 (en) 2017-09-29 2020-09-10 Convida Wireless, Llc Time and frequency tracking reference signals in new radio
US11652667B2 (en) * 2020-11-25 2023-05-16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f channel conditions and channel estimation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receiver
CN113315561B (zh) * 2021-05-25 2022-04-08 之江实验室 一种mimo系统中共参考多通道相位噪声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451A1 (ja) * 2003-01-29 2004-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CN100518151C (zh) 2005-05-01 2009-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的信道估计装置、系统及方法
US7873710B2 (en) * 2007-02-06 2011-01-18 5O9, Inc. Contextual data communication platform
JP2011193383A (ja) 2010-03-16 2011-09-29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ローカル信号処理方法
US8520658B2 (en) * 2010-06-29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40064858A (ko) 2011-08-11 2014-05-2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백홀 중계기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증강
EP2761780A1 (en) 2011-09-30 2014-08-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poin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13070144A1 (en) 2011-11-07 2013-05-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WO2013141594A1 (ko) 2012-03-22 201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 신호 전송 또는 수신 방법
JP6208409B2 (ja) * 2012-04-06 2017-10-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JPWO2014024502A1 (ja) 2012-08-10 2016-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Ofdm送信装置、ofdm送信方法、ofdm受信装置、及びofdm受信方法
WO2014070321A1 (en) 2012-11-01 2014-05-08 Maruti Gupta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EP3105875B1 (en) * 2014-02-10 2020-05-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coupl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6664278B (zh) * 2014-06-30 2021-02-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相位噪声估计和补偿
KR102656885B1 (ko) * 2015-11-13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전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39663B2 (en) * 2016-04-06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hase noise estimation in data symbols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s
US10979191B2 (en) * 2016-08-05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signaling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US10820331B2 (en) * 2017-02-03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beamforming-based cellular system
CN108631990B (zh) * 2017-03-24 2022-1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令的指示方法和装置
EP3556041B1 (en) 2017-04-03 2020-08-05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performs measurement based selection of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ports
CN109392122B (zh) 2017-08-10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和基站
KR102394214B1 (ko) * 2017-08-10 2022-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67065B2 (en) 2017-08-11 2020-02-18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Radio frequency beam management and failure pre-emption
US11283567B2 (en) * 2017-11-15 2022-03-22 Idac Holdings, Inc.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10965421B2 (en) 2017-11-16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and devices supporting the same
US10980008B2 (en) 2017-12-08 2021-04-13 Apple Inc. Determining resources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an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ith frequency hopp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250A (ko) * 2019-11-07 2021-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1033B2 (en) 2024-05-21
JP2019504565A (ja) 2019-02-14
WO2017138880A1 (en) 2017-08-17
EP3414864B1 (en) 2021-09-29
US10484223B2 (en) 2019-11-19
BR112018016230A2 (pt) 2018-12-18
CN108604973B (zh) 2021-09-10
DK3414864T3 (da) 2021-10-18
US11627028B2 (en) 2023-04-11
US20210194744A1 (en) 2021-06-24
PL3414864T3 (pl) 2022-02-07
EP4277219A3 (en) 2023-12-27
EP3697018C0 (en) 2023-11-01
ES2969073T3 (es) 2024-05-16
KR102283375B1 (ko) 2021-07-30
ES2898647T3 (es) 2022-03-08
US11316638B2 (en) 2022-04-26
US20200153589A1 (en) 2020-05-14
US11323300B2 (en) 2022-05-03
US20190109747A1 (en) 2019-04-11
JP7049399B2 (ja) 2022-04-06
EP3697018A1 (en) 2020-08-19
EP3414864A1 (en) 2018-12-19
IL260476B (en) 2022-02-01
EP4277219A2 (en) 2023-11-15
KR20200111281A (ko) 2020-09-28
CN108604973A (zh) 2018-09-28
US20230246892A1 (en) 2023-08-03
US20220247611A1 (en) 2022-08-04
JP2020162150A (ja) 2020-10-01
EP3697018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10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tracking reference signal sequence generation us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US113166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DMRS configuration to phase noise tracking pilot for improved receiver performance
US10985792B2 (en) Common phase error compensation
JP7259951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及び方法
US20190319760A1 (e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ystem
WO2020132794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versity trans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