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092A -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092A
KR20180100092A KR1020180101772A KR20180101772A KR20180100092A KR 20180100092 A KR20180100092 A KR 20180100092A KR 1020180101772 A KR1020180101772 A KR 1020180101772A KR 20180101772 A KR20180101772 A KR 20180101772A KR 20180100092 A KR20180100092 A KR 2018010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roller bracket
sliding door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786B1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80101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78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4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롤러 브라켓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일부분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일부분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함께 삽입 고정된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Connection apparatus for sliding door frame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 주방, 세탁실, 다용도실 등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이 설치되어 있다. 수납장은 수납공간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합니다.
도어는 크게 여닫이와 미닫이로 구분될 수 있다. 여닫이는 도어가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방식이며, 미닫이는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미닫이 도어(700)는 도어패널(710)과 도어패널(710)과 본체(800)를 연결하는 브라켓(730) 및 브라켓(730)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본체(800)에 형성된 레일(810)을 따라 구르는 롤러(72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도어패널(710)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패널(710a)과 패널(710a)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711a, 711b, 711c, 711d) 및 이웃한 프레임(711a, 711b, 711c, 711d)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재(710b)를 포함한다. 상, 하부에 위치한 프레임(711b, 711d)에는 롤러 브라켓(730)이 나사로 체결되어 있다.
도어패널(710)을 조립한 후, 롤러 브라켓(730)을 상, 하부 프레임(711b, 711d)에 체결하므로 도어(700)의 조립성이 저하되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10168호 (2006.02.24.)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147호 (2009.04.01)
본 발명은 수납장용 미닫이 도어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는, 롤러 브라켓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일부분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일부분은 서로 접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함께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는 상기 롤러 브라켓이 상기 제1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롤러 브라켓에 걸릴 수 있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롤러 브라켓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브라켓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접하며 상기 고정부가 배치된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롤러 브라켓과 함께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부재 및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연결몸체를 벗어나 있고 타측은 상기 제2 삽입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 일측과 중첩되어 있는 눌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눌림방지부재로부터 돌출된 밀폐 연장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닫이 도어 연결장치는 상기 제1 삽입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면과 접하는 밀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탄성부재의 끝 부분은 상기 제1 삽입부재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밀착 탄성부재 끝 부분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1 삽입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의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걸림홈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롤러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밀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수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된 도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의 주변부에 배치된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패널, 상기 패널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및 전술한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이웃한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의 롤러는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선택된 어느 한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밀폐바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연결부가 이웃한 프레임을 연결할 때 롤러 브라켓이 프레임 연결부와 함께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이웃한 프레임을 연결하는 동시에 롤러 브라켓이 설치되므로 도어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프레임 연결부와 롤러 브라켓이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므로 롤러 브라켓과 프레임 연결부이 보이지 않는다. 이에 도어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납장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일측 도어의 프레임과 연결장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배면도.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를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2는 도 9를 XII-X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타측 도어의 일측 프레임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3의 타측 도어의 타측 프레임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수납장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가 적용된 수납장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10)은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수납공간(100a)이 형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이는 도어(300)를 포함한다. 본체(100)에는 도어(3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레일(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30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도어(300a, 300b)는 각각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목재 또는 거울로 이루어진 패널(1), 패널(1) 외곽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2a, 2b, 2c, 2d) 및 패널(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이웃한 프레임(2a, 2b, 2c, 2d)을 연결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3)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어(300a, 300b)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있다. 한 쌍의 도어(300a, 300b)가 움직일 때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타측도어(300b)는 일측도어(300a) 두께만큼 본체(100)의 일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에 타측도어(300b)와 본체(100) 사이에는 틈새(300g)가 형성되며 일측도어(300a)는 본체(100)와 타측도어(300b) 사이로 움직이며, 타측도어(300b)는 일측도어(300a) 앞에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틈새(300g)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타측도어(300b)의 제3 프레임(2c)에는 본체(100) 일면 방향으로 돌출된 밀폐바(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도어(300b)의 제1 프레임(2a 및 제3 프레임(2c)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손잡이(21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측 도어의 프레임과 연결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를 XI-X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를 XII-X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고하면,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이하, 연결장치라 함)(3)는 한 쌍의 도어(300a, 300b) 상하부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이웃한 프레임들을 연결한다. 이하, 일측도어(300a)의 제1 프레임(2a)과 제2 프레임(2b)을 연결하는 연결장치(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연결장치(3)는 롤러 브라켓(31) 및 프레임 연결부(32)를 포함한다.
롤러 브라켓(3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롤러 결합부(311)와 프레임 삽입부(312), 그리고 롤러 결합부(311)와 프레임 삽입부(312)를 연결하는 간격 유지부(313)를 포함한다(도 11 참조). 간격 유지부(313)의 길이에 따라 롤러 결합부(311)와 프레임 삽입부(312)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롤러 결합부(311)에는 레일(200)을 따라 구르는 롤러(311a)가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 삽입부(312)는 프레임 연결부(32)와 접하여 제1 프레임(2a)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레일(200)의 구조에 따라 롤러(311a)는 생략될 수 있다.
롤러 브라켓(31)의 구조는 도어(300)와 본체(100)의 디자인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롤러 브라켓(31)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을 더 참고하면, 프레임 연결부(32)는 연결몸체(321), 제1 삽입부재(322) 및 제2 삽입부재(323)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2a)과 제2 프레임(2b)의 끝 부분은 직각을 이루며, 연결몸체(321)의 하면은 제1 프레임(2a)과 접하고 일측면은 제2 프레임(2b)의 끝 부분과 접해 있다.
패널(1)의 모서리 부분은 연결몸체(321)의 전면과 중첩되어 있으며, 연결몸체(321)의 가장자리에는 패널(1)의 모서리 둘레를 감싸는 보호턱(321a)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턱(321a)은 패널(1) 모서리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 삽입부재(322)는 연결몸체(321) 하면에서 제1 프레임(2a)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 삽입부(312)와 함께 제1 프레임(2a)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도 11 참조).
제2 삽입부재(323)는 연결몸체(321)의 일측면에서 제2 프레임(2b)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프레임(2b)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을 더 참고하면, 제1 삽입부재(322)와 연결몸체(321)의 후면에는 프레임 삽입부(312)가 위치하는 안착홈(322a)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322a)의 둘레(322b)가 프레임 삽입부(312)의 측면과 접하게 되어 롤러 브라켓(31)은 제1 삽입부재(322)에서 흔들리지 않는다.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가 함께 제1 프레임(2a) 내부로 삽입되어 롤러 브라켓(31) 제1 프레임(2a)에 고정된다. 아울러, 제1 프레임(2a)과 제2 프레임(2b)을 연결하는 동시에 롤러 브라켓(31)을 결합하므로 도어(30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가 제1 프레임(2a) 내부로 함께 삽입되므로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의 연결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종래와 같이 롤러 브라켓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지 않으므로 체결수단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도어의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는 고정부(34)를 더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 삽입부(312)의 일측면에는 걸림홈(31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몸체(321)의 안착홈(322a) 부분에는 제1 삽입부재(322)와 수직한 슬라이드홈(321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홈(321b)은 연결몸체(321)의 측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슬라이드홈(321b)은 제2 삽입부재(32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드홈(321b)은 걸림홈(312a)과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홈(321b)에는 고정부(34)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34)는 고정부재(341), 가압 탄성부재(344) 및 단속부재(35)를 포함하며 프레임 삽입부(312)가 제1 프레임(2a) 내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재(341)는 슬라이드 몸체(341a), 걸림돌기(342) 및 탄성 고정돌기(343)를 포함하며 프레임 삽입부(312)와 접한다.
슬라이드 몸체(341a)는 슬라이드홈(321b)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삽입부(312)와 슬라이드홈(321b) 바닥 사이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몸체(314a)는 안착홈(322a)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슬라이드 몸체(341a)의 일측은 슬라이드홈(321b)을 벗어나 연결몸체(321)와 프레임 삽입부(312)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타측은 제2 삽입부재(323)의 슬라이드홈(321b) 부분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 일부분에는 슬라이드 몸체(3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단속홀(341b)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342)는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걸림홈(312a)에 위치한다. 걸림돌기(342) 걸림으로 프레임 삽입부(312)는 제1 프레임(2a) 내부에서 빠지지 않는다.
탄성 고정돌기(343)는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 단부 중앙에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탄성 고정돌기(343)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 단부에 삽입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거나, 타측 단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탄성부재(344)는 제2 삽입부재(323) 부분의 슬라이드홈(321b)에 배치되어 일측은 탄성 고정돌기(343)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슬라이드홈(321b)의 둘레와 접해있다. 그러나 탄성 고정돌기(343)가 생략된 경우 가압 탄성부재(344) 일측은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 단부와 접해있다.
가압 탄성부재(344)는 슬라이드 몸체(341a)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몸체(341a)의 일측은 연결몸체(321)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걸림돌기(342)는 걸림홈(312a)에 걸릴 수 있다. 가압 탄성부재(344)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슬라이드 몸체(341a)의 노출된 부분을 연결몸체(321) 방향으로 누르면 슬라이드 몸체(341a)는 슬라이드홈(321b)으로 삽입되면서 가압 탄성부재(344)는 압축되고 걸림돌기(342)는 걸림홈(312a)을 벗어날 수 있다. 롤러 브라켓(31)을 제1 프레임(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프레임 삽입부(312)는 제1 프레임(2a)과 제1 삽입부재(322) 사이에서 빠질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 몸체(341a)가 슬라이드홈(321b)으로 삽입되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슬라이드홈(321b)의 바닥과 접하는 슬라이드 몸체(341a)에는 슬라이드홈(321b)의 바닥턱(321c)에 걸리는 걸림턱(341c)이 형성되어 있다(도 12 참조).
단속부재(35)는 덮개(351) 및 단속돌기(352)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몸체(341a)의 움직임을 한정한다.
덮개(351)는 제2 삽입부재(323)와 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몸체(341a)의 타측이 제2 삽입부재(323) 부분의 슬라이드홈(321b) 부분에 들뜨지 않도록 눌러 고정한다.
단속돌기(352)는 덮개(351)에서 걸림돌기(342)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속홀(341b)위 삽입되어 있다. 단속돌기(352)에 의해 슬라이드 몸체(341a)는 단속홀(341b)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프레임 삽입부(312)가 안착홈(322a)에 위치하지 않을 때 슬라이드 몸체(341a)는 가압 탄성부재(344)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홈(321b)을 벗어나 프레임 연결부(32)와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단속돌기(352)가 단속홀(341b)에 위치하고 있어 슬라이드 몸체(341a)는 단속돌기(352)에 걸려 슬라이드홈(321b)을 벗어나지 못한다. 그러나 단속부재(35)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가 접하는 부분에는 고정돌기(33)와 고정홈(312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33)는 제1 삽입부재(322)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312b)은 프레임 삽입부(312)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33)가 고정홈(312b)에 삽입되면서 프레임 삽입부(312)는 제1 삽입부재(322)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에, 걸림돌기(342)가 걸림홈(312a)을 벗어나더라도 프레임 삽입부(312)는 제1 프레임(2a) 내부에서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는 눌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눌림방지부재(324)는 슬라이드 몸체(341a) 일측과 중첩되어 있으며 연결몸체(321)와 연결되어 있다. 눌림방지부재(324)의 넓이는 슬라이드 몸체(341a)의 일측 넓이 보다 넓다. 눌림방지부재(324)와 함께 슬라이드 몸체(341a)를 함께 누르게 될 경우 슬라이드 몸체(341a)는 눌림방지부재(324)에 의해 눌리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가 도어(300)을 열고 닫는 과정 중에 실수로 슬라이드 몸체(341a)가 눌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는 밀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안착홈(322a)의 바닥에는 슬라이드홈(321b)과 이웃한 배치홈(322c)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 탄성부재(36)는 배치홈(322c)에 배치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착 탄성부재(36)는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 사이에서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밀착 탄성부재(36)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삽입부재(322)와 프레임 삽입부(312)는 제1 프레임(2a)의 내부 둘레에 탄성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는 고정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1 삽입부재(322)의 전면에는 고정 탄성부재(37)가 위치하는 탄성 고정홈(322d)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고정홈(322d)은 고정공간(322e)과 유격공간(322f)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공간(322e)과 유격공간(322f)은 연결되어 있으며 유격공간(322f)은 제1 삽입부재(322)의 일측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유격공간(322f)은 고정공간(322e)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고정 탄성부재(37)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공간(322e)에 위치하는 고정부분(371)과 유격공간(322f)에 위치하여 복수 구부러져 고정부분(371)과 연결된 탄성부분(372)을 포함한다. 탄성부분(372)은 유격공간(322f)의 둘레와 떨어져 있으며 끝은 제1 삽입부재(322)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 삽입부재(322)가 제1 프레임(2a) 내부로 삽입될 때 탄성부분(372)의 끝이 제1 프레임(2a)의 내부면과 접하며, 탄성부분(372)은 유격공간(322f)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력에 의해 가압 탄성부재(344)의 끝은 제1 프레임(2a)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가압 탄성부재(344) 탄성력에 의해 제1 삽입부재(322)의 타측면은 제1 프레임(2a)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이에 제1 삽입부재(322)은 제1 프레임(2a) 내부에 탄력적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고정 탄성부재(37)를 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고정 탄성부재(37)는 판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재(323)에도 고정 탄성부재(37)가 위치하는 탄성 고정홈(322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탄성부재(37)에 의해 제2 삽입부재(323)는 제2 프레임(2b) 내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고하여 타측 도어(300b)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프레임 연결부(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부(32)는 도 6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부(3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손잡이 연장부(325)를 더 포함한다.
타측 도어(300b)를 이동시킬 때 잡을 수 있도록 제1 프레임(2a) 및 제3 프레임(2c)(도 3 참조)에는 손잡이(21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연장부(325)는 연결몸체(321)의 전면에 형성되어 손잡이(21a)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 연장부(325)는 손잡이(21a)의 길이를 연장하여 타측 도어(300b)의 좌, 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손잡이가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타측 도어(300b)의 타측에 위치한 프레임 연결부(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부(32)는 도 6 내지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연결부(3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밀폐 연장부(326)를 더 포함한다.
밀폐바(21c)가 형성된 제3 프레임(2c)과 연결된 프레임 연결부(32)의 후면에는 밀폐바(21c)를 연장하기 위한 밀폐 연장부(326)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 연장부(326)는 프레임 연결부(32)에서 본체(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밀폐 연장부(326)는 프레임 연결부(32a)와 본체(100) 사이의 틈새(300g)를 차단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수납장 100: 본체
100a: 수납공간 200: 레일
300: 도어 300g: 틈새
300a: 일측도어 300b: 타측도어
1: 패널 2a, 2b, 2c, 2d: 프레임
21c: 밀폐바 21a: 손잡이
3: 연결장치 31: 롤러 브라켓
311: 롤러 결합부 311a: 롤러
312: 프레임 삽입부 312a: 걸림홈
312b: 고정홈 123: 간격 유지부
32: 프레임 연결부 321: 연결몸체
321a: 보호턱 321b: 슬라이드홈
321c: 바닥턱 322: 제1 삽입부재
322a: 안착홈 322b: 둘레
322c: 배치홈 322d: 탄성 고정홈
322e: 고정공간 322f: 유격공간
323: 제2 삽입부재 324: 눌림방지부재
325: 손잡이 연장부 326: 연장바
33: 고정돌기 34: 고정부
341: 고정부재 341a: 슬라이드 몸체
341b: 단속홀 341c: 걸림턱
342: 걸림돌기 343: 탄성 고정돌기
344: 가압 탄성부재 35: 단속부재
351: 덮개 351: 단속돌기
36: 밀착 탄성부재 37: 고정 탄성부재
371: 고정부분 372: 탄성부분

Claims (12)

  1. 롤러 브라켓 및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일부분과 상기 롤러 브라켓의 일부분은 접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함께 삽입 고정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롤러 브라켓이 상기 제1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롤러 브라켓의 걸림홈에 걸리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롤러 브라켓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접하며 상기 고정부가 배치된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롤러 브라켓과 함께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부재 및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부재
    를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연결몸체를 벗어나 있고 타측은 상기 제2 삽입부재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 일측과 중첩되어 있는 눌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눌림방지부재로부터 돌출된 밀폐 연장바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제1 삽입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면과 접하는 밀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 탄성부재의 끝 부분은 상기 제1 삽입부재의 표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 삽입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밀착 탄성부재 끝 부분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1 삽입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력이 발생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의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걸림홈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롤러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서 빠지지 않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10. 제5항에서,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밀착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밀착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재와 상기 롤러 브라켓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11.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수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된 도어 및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의 주변부에 배치된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는 패널,
    상기 패널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이웃한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의 롤러는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수납장.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중 선택된 어느 한 프레임에는 상기 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밀폐바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장.
KR1020180101772A 2018-08-29 2018-08-29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10208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72A KR102081786B1 (ko) 2018-08-29 2018-08-29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72A KR102081786B1 (ko) 2018-08-29 2018-08-29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633A Division KR101936419B1 (ko) 2016-09-09 2016-09-09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92A true KR20180100092A (ko) 2018-09-07
KR102081786B1 KR102081786B1 (ko) 2020-02-26

Family

ID=6359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772A KR102081786B1 (ko) 2018-08-29 2018-08-29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7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83B1 (ko) * 2021-05-14 2021-11-12 김광열 수납장용 문틀 롤러 지지브라켓
KR20220065442A (ko) * 2020-11-13 2022-05-20 김성주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조
KR102640982B1 (ko) * 2023-12-19 2024-02-27 우하성 미관이 향상된 미닫이 장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6472A (zh) * 2004-05-12 2005-11-16 王恒男 45°接角铝框快速组装结构
KR200410168Y1 (ko) 2005-12-01 2006-03-07 (주)아이마켓코리아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KR20090003147U (ko) 2007-09-28 2009-04-01 안중식 미닫이 도어 개폐장치
KR101344636B1 (ko) * 2013-09-07 2013-12-26 여길봉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KR101936419B1 (ko) * 2016-09-09 2019-01-08 김진태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96472A (zh) * 2004-05-12 2005-11-16 王恒男 45°接角铝框快速组装结构
KR200410168Y1 (ko) 2005-12-01 2006-03-07 (주)아이마켓코리아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KR20090003147U (ko) 2007-09-28 2009-04-01 안중식 미닫이 도어 개폐장치
KR101344636B1 (ko) * 2013-09-07 2013-12-26 여길봉 조립성이 향상된 미닫이식 도어의 롤러장치
KR101936419B1 (ko) * 2016-09-09 2019-01-08 김진태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442A (ko) * 2020-11-13 2022-05-20 김성주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조
KR102326183B1 (ko) * 2021-05-14 2021-11-12 김광열 수납장용 문틀 롤러 지지브라켓
KR102640982B1 (ko) * 2023-12-19 2024-02-27 우하성 미관이 향상된 미닫이 장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786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092A (ko)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KR101936419B1 (ko) 미닫이 도어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
US6968647B2 (en) Rack-mounted door assembly with alternative pivoting axes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KR102574759B1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KR10025460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힌지 장착장치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KR200425313Y1 (ko)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US20210330080A1 (en) Household appliance and guide rail assembly
JP2012042180A (ja) 冷蔵庫
GB2343915A (en) Door hinge with moveable pivot axis
JP3355451B2 (ja) ドアの扉取付構造及び扉取付用ピポットヒンジ
KR102329141B1 (ko) 전기 가열조리기의 뚜껑열림 버튼 어셈블리
KR101715558B1 (ko) 미닫이용 도어
KR100637875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CN211549144U (zh) 一种便捷式框中框纱窗锁
US5722748A (en) Computer enclosure having side opening for removable media
JPS6242075Y2 (ko)
KR102683947B1 (ko) 여닫이 가구 도어용 밀폐형 손잡이
JPH08260823A (ja) 既設ドア枠への耐震性能付与構造
JPH0719718A (ja) 冷蔵庫等の扉装置
JP4326128B2 (ja) 貯氷庫
JP3418306B2 (ja) 引手用プロテクタ
KR20090111573A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