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053A -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053A
KR20180100053A KR1020187021477A KR20187021477A KR20180100053A KR 20180100053 A KR20180100053 A KR 20180100053A KR 1020187021477 A KR1020187021477 A KR 1020187021477A KR 20187021477 A KR20187021477 A KR 20187021477A KR 20180100053 A KR20180100053 A KR 2018010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morphous
amoled
glaz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햐엘 라브로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10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82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 B32B17/1011Properties of the bulk of a glass sheet having predetermined tint or excitation pu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48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n obscura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76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metal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41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mprising a light source or a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글레이징 시트들의 내부 면들 사이에서 아몰레드 화면(3)을 포함하고, 그러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으로 지칭되는 영역(50) 내에 위치되고 그 자체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서 또한 함께 그룹화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Description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본 발명은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및 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더욱 많은 수의 지능형 윈드실드가 존재하고 있다.
문헌 WO2015041106은 특히 2개의 글레이징의 내부 면들 사이에 아몰레드(능동형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제안하고, 화면은 면(F2) 상에서 즉, 최외측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에서 주변에 배열되고 에나멜 처리된(enameled) 경계 내에서 마스킹된다. 수평으로 배치된 아몰레드 화면은 - 통상적으로 거울 형태인 - 차량의 후방을 보기 위한 내부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바람직하게 윈드실드의 상단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서 중앙 부분 내에 위치된다. 이는 차량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카메라에 커플링된다.
수직으로 배치된 제2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좌측 측면 상의 차를 보기 위한 좌측 측방향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윈드실드의 좌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하단 부분 내에 위치되고, 에나멜로 만들어진, 외부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의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다.
수직으로 배치된 제3 아몰레드 화면은 우측 측방향 후사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고, 윈드실드의 우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하단 부분 내에 위치되고, 에나멜로 만들어진, 외부 글레이징의 내부 면 상의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이러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차량 특히 도로 차량의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으로서:
-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바람직하게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착색된, 제1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두께(E1)가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5 mm 이하, 심지어 2 mm 이하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1.3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인, 제1 글레이징,
- 특히 제2 글레이징의 립(lip)으로부터 (5 mm 이하 만큼 또는 심지어 2 mm 이하 만큼 또는 1 mm 이하 만큼) 후퇴된, 예를 들어 몇 개의 플라이(ply), 예를 들어 3개의 플라이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2.2 mm 이하, 보다 양호하게 2 mm 이하, 1.5 mm 이하 또는 심지어 0.76 mm 이하의 (전체) 두께(E2)의,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투명, 매우 투명),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물질의 적층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
- 두께(E'1)가 바람직하게 E1 미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심지어 2.2 mm 이하 - 특히 1.9 mm, 1.8 mm, 1.6 mm 및 1.4 mm - 또는 심지어 1.3 mm 이하 또는 1 mm 이하인, 적층 중간층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을 가지는, 선택적으로 착색되는(또는 투명하거나 심지어 면(F3 또는 심지어 F4) 상에서 전기전도 층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제1 글레이징과 마찬가지로) 휘어진, 바람직하게 광물 유리의 제2 글레이징으로서, 글레이징의 전체 두께(E1+E'1)는 바람직하게 (특히 자동차의, 도로 분야에서) 엄격하게 4.4 mm 미만, 심지어 3.7 mm 미만이고,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 - 그리고 더 양호하게 둘 모두 - 가 유리로 제조되고, 다른 하나는 선택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 중합체 물질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
- 면(F2)과 면(F3) 사이의,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제1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의 (중앙) 구역을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은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유기 발광 시스템(들)을 지지하는 제1 가요성 지지부(바람직하게 중합체 물질, 또는 유리, 또는 사실상 심지어 금속)를 포함하고 -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E3)는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고 심지어 0.5 mm 이하이고, 아몰레드 화면은 F3를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 및 F2를 향해서 배향된 후방 주 면을 가지고, -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 그에 따라, 후방 면과 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21) 및/또는 전방 면과 F3 사이의 영이 아닌 두께(E22)를 가지고, E2는 아몰레드 화면의 측면 상의 두께에 상응하며(특히 E2 > E21+E22이고, 실질적으로 E3와 같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을 가지는, E2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E4)의, 면(F2)과 면(F3) 사이의 소위 연결 부분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심지어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과 마찬가지로) 적층 중간층 내의 연결 부분은 후방 면과 면(F2) 사이의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E41) 및 전방 면과 면(F3) 사이의 (바람직하게 두께(E3)와 동일한) 영이 아닌 두께(E42)를 갖는,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바람직하게 영구적인 연계) 아몰레드 화면을 (직접적으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소위 외측부 부분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결 요소는 특히 전력 공급 그리고 (바람직하게)/또는 (동시적 또는 순차적)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고, 특히 전기 연결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 트랙(또는 "공급 라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랙(또는 "데이터 라인"), 및 (선택적으로 특히 연결 부분 내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은 가요성을 가지고 소위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위치되고, 단독적이거나 면(F2)과 면(F3) 사이의 다른 또는 몇 개의 다른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각각의 두께(E3)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의 구역을 포함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들))에 인접하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은 전술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모여 있고 적층 중간층의 영이 아닌 두께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단독적으로 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과 함께, 동적으로, 특히 서로 독립적으로 복수의 정보의 항목을, 특히 하나의 같은 시간에 차량의 후방(가장 중앙)의 그리고 좌측 측면(글레이징의 가장 좌측) 상에서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그리고 심지어 차량의 우측 측면(글레이징의 가장 우측) 상에서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의 정보 구역의 그리고 심지어 아몰레드 화면의 그룹화(grouping)는 보다 인체공학적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도로 차량(자동차, 트럭)의 윈드실드와 관련하여 매우 특히 유리하다.
운전자 측면 상에서, 정보의 항목은 바람직하게 운전 보조이고,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는, (심지어 운전자가 좌측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우측 측방향 시야를 위해서 그리고 그 반대를 위해서) 머리를 (너무 많이)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없는 운전자의 시계 내에 위치되고, 특히:
- 운전자에 대향하여
- 및/또는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된다.
차량 후방부의 및/또는 차량의 측면 상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파노라마 시야(더 넓은 전체적인 장면)의 형성을 보조할 수 있거나 적어도 단독적인 아몰레드 화면 상에서 사각을 가지지 않거나 양 측면 상에서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을 갖는다.
탑승자 측면 상에서, 정보의 항목이 바람직하게 환경 또는 오락(TV, 영화, 전화 모드)에 관한 것이고, 이들은 특히 보조 운전자의 시계 내에 있고, 그러한 보조 운전자는 특히 보조 운전자의 반대로 그들의 머리를 (너무 많이)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없다.
몇몇 아몰레드 화면을 모으는 것은 또한 그들의 전력 공급과, 그들 사이의 또는 외부와의 데이터 교환을 단순화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마다 하나, 둘, 또는 사실상 기껏해야 3개의 아몰레드 화면이 선호되고, 그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은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이들은 (예를 들어, 10 cm 이하 또는 5 cm만큼) 이격될 수 있거나 인접할 수 있고 특히 상호 적층 전에 (적층 구역 내의 그들의 측면에 의해서) 심지어 함께 연계될 수 있다. 각각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일한 연부 상에서 하나 이상의 전기 연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하부 또는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후방부에서 마스킹되거나 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지는) 아몰레드 화면의 폭(수평방향 치수)이 150 mm 초과일 수 있다.
(후방부에서 마스킹되거나 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지는) 아몰레드 화면이 바람직하게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위치에서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중앙 위치 내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에도 적용되고, 그에 따라 폭을 부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이 투명 창 영역 내에 더 위치되거나 아몰레드 화면이 면(F2)과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 사이의 (바람직하게 면(F2) 및 에나멜 층 상의) 불투명한, 소위 외부 주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연결 부분은 또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마스킹된다(심지어 아몰레드 화면이 투명 창 영역 내에 있을 때, 연결 부분이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가 없는 경우에, 투명 아몰레드 화면이라는 용어는 이하의 2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제1 상황에서,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윈드실드의, 바람직하게 그리고 심지어 도로 차량의) 적층된 글레이징의 구역의 루미너스 투과(luminous transmission)(LT)는 70% 미만, 특히 10% 이하(채색된…) 그리고 심지어 5% 이하 그리고 0% 초과이고, 이는 아몰레드 화면이 적은 광의 통과를 허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수용 가능한 주변 구역(구체적으로 후술됨)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구역은 바람직하게 소위 외부 마스킹 층(구체적으로 후술됨)에 의해서 (후방부를 통해서) 마스킹된다.
제2 상황에서,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윈드실드의, 바람직하게 그리고 심지어 도로 차량의) 적층된 글레이징의 구역의 루미너스 투과(LT)는 7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적층된 글레이징의 이러한 구역 내의 혼탁도(haze)는 2% 이하 및 심지어 1% 이하 또는 1% 미만, 또는 0.5% 미만이다. 그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은 중앙 구역(제한된 구역(B), 심지어 구역(A)) 내에서, 투명 창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충분히 투명하다. 이는 마찬가지로, 소위 외부 마스킹 층(구체적으로 후술됨)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후방부를 통해서) 마스킹할 필요 없이,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보다 주변 구역에 양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화면이 불투명하다면,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자동차 윈드실드, 바람직하게 그리고 심지어 도로 차량의) 적층형 글레이징의 구역의 루미너스 투과(LT)는 심지어 0% 이다(불투명 구역). 이러한 상황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수용 가능한 주변 구역(구체적으로 후술됨) 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구역은 바람직하게 소위 외부 마스킹 층(구체적으로 후술됨)에 의해서 (후방부를 통해서) 마스킹된다.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일 수 있고 글레이징(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글레이징의 중앙 구역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바람직하게 길이(W3)가, 바람직하게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은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거나,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하나의 또는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이 상당히 투명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역(A)으로부터 멀리) 상당한 주변 구역 내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하나의 구성에서, 글레이징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서 3개의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고, 그러한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차선 내의 차(및/또는 포장도로, 도로 가드레일, 차고의 벽, 주차장, 등)를 볼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글레이징(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서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고;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에서:
- 아몰레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단독적으로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의 길이(W3)이고, 다시 적어도, 특히 차량의 후방의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선택적으로 아몰레드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수평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바람직하게 가장 긴, 하나 또는 둘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중앙) 장면을 위한 것이고, 양 측면 상의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좌측 및 우측) 장면을 위한 것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 (및 다른 하나 또는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소위 (그리고 주변 구역 내의)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거나,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하나의 또는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이 상당히 투명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역(A)으로부터 멀리) 상당한 주변 구역 내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의 길이의 운전자 측면(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상에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글레이징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단독으로 배열되고, 특히 차량의 후방의 (중앙)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하나 또는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및 심지어 적어도 80 mm 또는 100 mm의 길이의 운전자의 측면 상의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글레이징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리고 아몰레드 화면은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단독으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특히 후방의 (중앙) 장면을 위한 것이고, 그리고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좌측 및 우측)을 위한 것이고, 특히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은 그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서 아몰레드 화면의 측방향으로 오프셋된다(수평을 따라 오프셋된다)(가장 긴 것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150 mm 초과이다).
특히, 아몰레드 화면 (및 다른 하나 또는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거나,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하나의 또는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이 상당히 투명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역(A)으로부터 멀리) 상당한 주변 구역 내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이고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더 넓은, (수직 치수), 외부 마스킹 층을 가지는 구역 내의 면(F2) 상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마스킹되고, 그리고:
-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으로 배열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하나만 있고 바람직하게 길이(W3)가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150 mm 초과이며, 특히 차량의 후방의 장면 그리고 또한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아몰레드 화면은, 선택적으로 (적어도 수직 치수의 높이(H)가) 더 작은 크기의, 특히 가장 중앙의 및/또는 가장 긴, 수평으로 배열된 하나의 또는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에 인접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양 측면 상의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이고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더 넓은, 외부 마스킹 층을 가지는 구역 내의 면(F2) 상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마스킹되고, 그리고
-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과다폭(overwidth)(하부)의 그 표면의 일부를 가지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H3)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심지어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2개는,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서, 특히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서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배열되고,
- 또는 특히 후방의 장면을 위한 아몰레드 화면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 이하의 높이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과 함께 과다폭의 그 표면의 일부를 가지고,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심지어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특히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서 수직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적층형 글레이징은, 아몰레드 화면 뒤쪽의 면(F2)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 상에서,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을 포함한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 구역은 후방부에 더하여 마스킹 구역과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 층(특히, 면(F2) 상의 에나멜)의 컬러의 적응(adapt)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된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경우에 - 투명 중앙 시야 지역의 연부까지, 그리고 더 정확하게 이하까지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운전자(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에 의해서 보일 수 있는 전체 주변 구역 이하를 커버한다: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운전자의 (또는 탑승자의) 측면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있는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서 수평 방식으로 하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하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식으로 상단에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연부까지,
- 아몰레드 화면이, 바람직하게 더 넓어지도록 하단 부분 (측방향 연부의 하부 절반) 내에서, 좌측 측방향 연부를 따라 좌측의 바람직하게 운전자의 측면 (각각 우측의 바람직하게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직 방식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좌측 (각각 우측) 연부까지.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불투명하게 또는 약간 투명하게 마스킹된 경우에 -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 아몰레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단독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100 mm의 길이(W3)이며, 차량의 후방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평으로 배열되거나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 또는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평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으로 배열된, 선택적으로 아몰레드 화면 보다 작은 크기의, 운전자의 측면 상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가장 긴, 하나 또는 2개에 인접하고,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2개의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고,
- 또는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된 경우에 수평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가장 긴, 2개에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으로 배열된 경우에 수직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2개에 인접하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더 작은 크기이고,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2개의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하부, 측방향(좌측 및 우측) 연부(또는 한계)는 특히 규제 표준에 의해서 규정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의 경우에, 이는 유럽 표준 UN-ECE R43 첨부 18, 특히 133 쪽 및 § 2.4에 따라 규정된 제한된 구역(B)을 포함한다. 투명 중앙 시야 구역의 상부 한계는 바람직하게 수평선과 기준 지점으로부터 7°사이의 각도를 기초로 규정된다(운전자의 눈, 키가 큰 운전자의 경우에 Z= 665 mm 또는 키가 작은 운전자의 경우에 Z=589 mm인 차량의 좌석과 관련된 높이(Z)의 눈).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로부터,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 및 심지어 적어도 50 또는 90 mm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00 또는 200 mm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1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 및 심지어 적어도 20 또는 40 mm의,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4 거리.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의) 구역으로부터 멀리,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바와 같이 2 cm 이하 만큼 (미리 결정된) 시야 구역을 넘어서 돌출하면서, 립으로부터 h1, h'1, h4까지, 에나멜과 같은 (면(F2) 상의) 외부 주변 마스킹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그리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외부 마스킹 층의 폭을 어느 정도 그리고 최대로 중앙 투명 구역의 한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마스킹은 제한된 시야 구역(B)의 한계로부터 (제1)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존재할 수 있다.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와 관련된 연부의 함수로서, 이하의 거리가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200 mm 또는 2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중앙의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초과 또는 30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250 mm 또는 30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위치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중앙 부분 내의 중앙의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Ha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초과 또는 150 mm의,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연부와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아몰레드 화면의 경우에, 보조 운전자의 측면) 중앙의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h5 거리.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 중앙의 구역(A) 사이의) 상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상승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높다.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과 가장-중앙의 구역(A) 사이의) 하단 위치 내의 제한된 구역(B)의 높이(h'6)는 60 mm 내지 90 mm일 수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불투명한 구역 내로 하강될 수 있는) (상당히) 투명한 아몰레드 화면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외부 마스킹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낮다.
외부 마스킹 층 구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아몰레드 화면의 표면 만큼 크고, 바람직하게 이하 만큼 약간 더 크다:
-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적어도 5 mm 만큼,
- 및/또는 예를 들어 가장 중앙의 연부(아몰레드 화면의 상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몰레드 화면의 하단의 위치인 경우에 하단 연부) 아래에서 적어도 5 mm 만큼.
외부 마스킹 층은, 적층형 글레이징(윈드실드)의 중심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패턴(기하형태적 패턴, 둥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상 등)의 네트워크 형태로 불연속적인 구역에 의해서 연장되는 중실형 구역(solid zone)(편평한 패치)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폭이 15 mm 이하 및 심지어 10 mm 이하 및 적어도 3 또는 5 mm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은 30 mm 이하 및 심지어 25 mm 이하 및 적어도 10 또는 15 mm 폭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의 구역 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이 그라데이션 뒤에 위치되지 않고 중실형 구역 뒤에 위치된다. 한계에서만, 그라데이션이 아몰레드 화면을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적층형 글레이징 특히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는:
- 적어도 1200 mm 및 185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1350 내지 1550 mm의 폭(수평 치수)(Lp),
- 적어도 800 mm 및 1,400 mm 이하 및 바람직하게 950 내지 1050 mm의 높이(수직 치수)(Hp)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적어도 80 mm x 120 mm이다.
바람직하게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및 W3)는 강제되는 표준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특히,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제1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 구역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상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상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특히,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및 심지어 200 mm 초과, 350 mm 초과, 그리고 심지어 500 mm 이상, 특히 또는 가시적 측방향 연부 및 중간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운전자의 측면 구역 또는 제2 가시적 측방향 연부와 하단 중앙 구역(그리고 심지어 하단 중앙 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됨) 사이의 전체 보조 운전자의 측면 구역 초과이다.
바람직하게 하단 위치(하부 연부) 내에 수평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는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폭(W3)은 적어도 10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20 mm 내지 280 mm 또는 심지어 300 mm이다.
바람직하게 중앙 구역 내의 상단 위치(상부 연부) 내에 수직으로 배열된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은 적어도 80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50 mm 내지 200 mm이다.
연결 요소가 "무선"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편평한)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전력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하나 이상의 유도-기반 또는 용량형 등의 무선 연결부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의 그리고 제2 글레이징(그에 따라 외부 부분)의 립을 넘어서는 E4 미만의 두께(E'4)의 전기 연결 요소가 바람직하게 곡선형이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역만큼 멀리 연신되지 않고, 면(F4)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더 양호하게 접착에 의해서 면(F4)에 고정된다. 외부 부분은 바람직하게 곡선형이고, 외부 부분은 면(F4) 측면을 따라 연신되고, 디스플레이 구역만큼 멀리 연신되지 않고, 면(F4)에 대해서 위치되거나 더 양호하게 접착에 의해서 면(F4)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는 유리하게, 적절한 경우에, 임의 재료로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이고, 그에 따라 그 두께를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킨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많은 수의 화소에 어드레스할 수 있다.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의 폭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아몰레드 화면의 폭 미만이거나 실질적으로 그와 동일할 수 있고, 전형적으로,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150 mm 초과의 아몰레드 폭(수평 치수)의 경우에 50 mm의 폭이다. 큰 (넓은) 화면은,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연부 상에서 몇 개의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연결 요소의 종료부와 제2 글레이징의 립 사이의 거리는, 장착 또는 해체 중에 이러한 종료부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제2 글레이징 주위로 접히고 면(F4) 상에 고정되도록 연결 요소의 (접히지 않은)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내부 유리의 출구로부터, 20 내지 150 mm의 거리가 바람직하게 예상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요소(특히 연결 부분)는:
- 제1 전방 면 및 제1 후방 면, 와이어 또는 바람직하게 전방 또는 후방 측면 상의 전도 트랙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중합체의, 투명한 또는 다른(예를 들어, PET 등) 가요성 지지부,
- 선택적으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구성요소,
수지 또는 바니시(varnish)(액체 침착 등)의 층 또는 예를 들어 접착-코팅된 투명 또는 불투명 보호 막(PET,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전기 절연 물질에 의해서 커버된 와이어 또는 트랙(및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임의 공지된 수단: 클립핑, 플러그-인에 의해서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분 및 아몰레드 화면은 하나 이상의 영구적인 (고체) 연계부에 의해서 연계된다. 연결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연계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 상에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아크릴레이트가 가요성 중합체 막으로서 선택된다:
- 아몰레드 화면(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정면 막(facade film) 등),
- 전기 연결 요소, 특히 연결 부분(기재, 후방 또는 전방 보호 막).
제2 글레이징은 바람직하게 국소적인 노치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연결 요소의 폭 그리고 바람직하게 기껏해야 아몰레드 화면의 폭과 같은 폭(피팅의 반경은 포함하지 않음)의 노치를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빠져 나온다.
그에 따라 노치의 치수는 이하로 구성된다:
- 연결 요소의 폭 이상인 노치의 폭;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연결 요소의 두께 이상인 노치의 깊이.
실질적으로, 노치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1.5 mm 내지 3 또는 심지어 2 mm이다.
노치 구역은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적층 중간층을 가지지 않는다.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은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 -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 폴리우레탄 또는 수지로부터, 단독적으로 또는 그 중 하나의 몇몇 변형물 및/또는 그 중 몇몇의 혼합물로, 선택되고; "변형물"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 가소제의, 분지(branching)/선형성의 양, 분자의 평균 분자량의 변형을 지칭한다.
양호한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는, 사실상 심지어 편평한 연결부 유형의 전기 연결 요소의 아몰레드 화면(테두리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면)을 둘러싸고 그와 접촉된다.
적층 중간층 자체는, 예를 들어 두께가 0.2 mm 내지 1.1 mm인, 하나 이상의 막으로 형성된,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우레탄(P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로 제조될 수 있다.
적층 중간층의 표면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표면보다 작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홈(프레임-유사 또는 배너(banner)-유사)을 남길 수 있고, 이는 자유롭고 그에 따라 적층되지 않는다.
제2 글레이징과 같은 제1 글레이징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주 면 또는 시트 또는 심지어 임의의 다른 형상(둥근형, 타원형, 다각형)을 가지는, 평행6면체형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은 (미적 결과, 또는 희망하는 광학적 효과에 따라) 투명 유리(4 mm 두께에서 90% 이상의 루미너스 투과(LT)의),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사로부터의 Planilux®과 같은 소다-석회 표준 조성 유리, 또는 엑스트라-투명 유리(4 mm 두께에서 91.5% 이상의 LT), 예를 들어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Diamant® 유리와 같이 0.05% 미만의 Fe III 또는 Fe2O3 를 가지는 소다-석회-실리카 유리, 또는 Pilkington로부터의 Optiwhite® 유리, 또는 Schott로부터의 B270®, 또는, 문헌 WO04/025334에서 설명된 다른 조성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는 중성(채색 없음)일 수 있거나, 또는 Saint-Gobain Glass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이, 특히 회색 또는 녹색으로, (약간) 착색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글레이징의 유리에 (특히 더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서) 강화, 어닐링 유형 또는 템퍼링 처리와 같은 화학적 또는 열적 처리를 가할 수 있거나 반-템퍼링할 수 있다.
루미너스 투과(LT)는 루미넌트 D65를 이용하여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직접적인 투과 및 가능한 확산 투과 모두를 고려한, (특히 가시광선 영역 내에 통합되고 인간 눈의 감도 곡선에 의해서 가중된) 총 투과이며, 그러한 측정은, 예를 들어, 적분구를 구비한 분광 광도계의 도움으로 이루어지고, 주어진 두께에서의 측정은 그 후에, 적절한 경우에, ISO 표준 9050:2003에 따라 4 mm의 기준 두께로 변환되었다.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 또는 측방향 글레이징의 경우에, LT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5% 또는 8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글레이징은 광물 유리로 제조되고, 제2 글레이징은 유기 유리(예를 들어, (면(F4) 상에서)) 코팅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보호된 PC, PMMA, 환형-올레핀 공중합체(COC) 또는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조된다.
외부 글레이징은 그 면(F1 및 F2)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기능적인 얇은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면(F1) 상의 광촉매 자가-세정 또는 소수성 층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층형 글레이징은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글레이징(윈드실드)의 휘어짐은 예를 들어 문헌 WO20101367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 및 심지어 적어도 0.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유기 발광 시스템의 소위 하부 전극(종종 양극) 및 상부 전극을 지지하는 가요성 지지부(중합체, 유리, 또는 사실상 금속)를 포함하는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다른 기능적 요소 또는 층은 특히:
- 지지부와 하부 전극 사이의 그리고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의: (산소, 수분 등에 대한) 장벽 층,
- 상부 전극 및 침착물 또는 막의 형태: (산소, 수분 등에 대한) 보호 층, 예를 들어 침착물(바니시, 외장, 수지 등) 및/또는 전방 막(투명 중합체 막: PET 등)일 수 있다.
더 정확하게, 화소는 바람직하게 이하의 시스템 중 둘 또는 셋을 나란히 포함한다:
- "R"로 지칭되는 적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G"로 지칭되는 녹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B"로 지칭되는 청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 "W"로 지칭되는 백색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시스템;
특히 RGB,RWB,WBG,RWB,W,BG.
화소의 수는 적어도 64x128이다. 방출은 상단 방출 유형(기재로부터 먼 쪽의 방출)이다. 전방 면은 관찰 면을 의미한다.
적어도 2개의 구성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을 변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4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야간 시야를 위한 구성 및 휘도가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500 Cd/m2가 되도록 아몰레드 화면의 전력이 조정되는 주간 시야를 위한 구성. 주간 시야에서, 외부 조명의 함수로서 아몰레드 화면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모든 정보가 아몰레드 화면(특히 윈드실드)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대기 조건, 후방 환경의 시야, (이미 표시한 바와 같은) 좌측 및 우측 측방향 환경의 시야, 운전 조건에 관한 정보, 및 이정표, 운송 차량에 관한 기술적 정보.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통합될 수 있는) 이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후방부의 중앙 시야,
- 운전 보조 정보, 특히 경고, 장애물 검출의 디스플레이,
- 특히 (요청되는 정지와 함께) 경고의 경우에, 차량의 특성(엔진, 바퀴, 브레이크, 헤드라이트 등)에 관한 정보(레벨, 동작 상태, 마모 상태 등)의 디스플레이,
- 외부 환경: 기후, 주유소까지(전기 충전소 까지 등), 도시 까지, 고속도로 출구 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연결성: 네트워크(소셜 네트워크, 인터넷 등) 에 대한 접속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
- 전화 모드의 동작: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
아몰레드 화면 및/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또한 보조 운전자측 TV로서, 또는 전화 모드 동작으로서: 스피커의, 비상 및/또는 사고 또는 위험 상황의 경우에 사람(경찰, 의료 시설)의 디스플레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은 텔레비전에서와 같이 이하의 몇몇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 주 화상(후방부의 중앙 시야 등),
- 인레이드(inlaid) 이미지(들)(차량의 측방향 시야 등).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다.
전방 면 측면 상에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로 지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밴드(디스플레이를 위한, 활성 구역으로부터 구분되는 구역)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 층,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및/또는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전방 표면은, 면(F3 또는 F4) 상의,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동일한) 소위 내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또는 전방 표면 상의 마스킹 요소(불투명 막)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을 보여주는 그리고 외부 마스킹 층의 폭 이하인 폭의 개구부를 가지는 편평한 패치이다.
내부 마스킹 층은: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글레이징 특히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형성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는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지지 막 및/또는 보호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연결 부분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마스킹 요소(불투명한 막 등)는:
- 심지어, 불규칙부 또는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적층 중간층 및 아몰레드 화면 사이의 접합부의, (그리고 심지어 적층 중간층과 연결 부분 사이의 접합부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을 넘어서 돌출되는 것에 의해서,
-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 연결 부분의 마스킹뿐만 아니라,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연결 부분을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 또는 마스킹 요소(불투명 막)는 적어도 0.1 mm 및 심지어 5 mm 이하 또는 2 mm 만큼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돌출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마스킹 요소를 가지는 2개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제1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요소(연결 부분)의 마스킹, 또는 양 실시예에 따른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또는 연결 요소의 이중 마스킹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마스킹의 기능은, 장치의 유용한 부분이 내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유지하도록, 장치의 유용하지 않고 흉한 부분을 은폐하는 것이고;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재의 성질에 적합한 임의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면(F2) 상에서의 잉크 젯, 실크-스크린, 에나멜과 같은 인쇄.
내부 마스킹 층은 그 자체를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및 (연결 부분의) 전기 연결 요소의 부분 (적어도 가시적인 부분)의 마스킹으로 한정할 수 있거나, 심지어 선택적으로 1 내지 2 cm 이하만큼 작게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은, 외부 마스킹이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의 투과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역 내에서, 외부 마스킹의 폭 이하인 폭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및/또는 외부 마스킹 층은 어두운(흑색) 에나멜 층일 수 있으나, 보다 넓게 불투명한 페인트 또는 잉크의 층, 또는 착색된 또는 인쇄된 중합체 층(예를 들어, 인쇄된 PVB),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 및 면(F3 또는 F4) 상의 내부 마스킹 층이 바람직하게 동일한 재료로 그리고 심지어 에나멜로 구성된다. 적어도 면(F2) 상에서 그리고 심지어 면(F4) 상에서 에나멜 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이,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구역인, 아몰레드 화면 상의 소위 내부 마스킹 요소에 의해서 마스킹될 수 있다.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은,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구역인, 내부 마스킹 요소 또는 특히 다른 인접한 것에 의해서 마스킹된다.
캐빈 내의 가열을 제한하기 위해서 또는 공조의 이용을 제한하기 위해서,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바람직하게 적어도 제1 글레이징)이 바람직하게 착색된다.
적층형 글레이징은, 태양 제어 층으로 지칭되는 태양 복사선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층을,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투명한) 제2 글레이징의 면(F3) 상에 또는 사실상 면(F2)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전도 층은 투명한데, 이는 그러한 층이 투명한 창 영역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태양 제어 층은 또한 주변에서 공급되는 전류로 가열 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 버스 바에 연결된 가열 구역은, 가열 전류를 위한 전류 경로가 그 사이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전압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의 폭은 바람직하게 2 mm 내지 30 mm,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4 mm 내지 20 mm 및 특히 10 mm 내지 20 mm이다.
인쇄된 버스바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금속, 금속 합금, 금속 및/또는 탄소 화합물, 특히 바람직하게 귀금속 및, 특히, 은을 포함한다. 인쇄 페이스트는 바람직하게 금속 입자, 금속 및/또는 탄소 입자 그리고 특히 은 입자와 같은 귀금속 입자를 포함한다. 인쇄된 버스바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 내지 40 ㎛,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8 ㎛ 내지 20 ㎛ 그리고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 8 ㎛ 내지 12 ㎛일 수 있다.
그러나, 변형예로서, 버스바가 또한 전기 전도 시트의 스트립의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버스바는, 예를 들어, 적어도 알루미늄, 구리, 주석 도금 구리, 금, 은, 아연, 텅스텐, 및/또는 주석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한다.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0 ㎛,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30 ㎛ 내지 300 ㎛의 두께를 갖는다.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은 (F2 또는 바람직하게 F3 상의) 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 기능성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의 스택(stack)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기능성 층(은)이 유전체 층들 사이에 배치된다.
기능성 층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금속, 예를 들어, 은, 금, 구리, 니켈, 및는 크롬,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하게 적어도 90 중량%의 금속, 특히 적어도 99.9 중량%의 금속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금속 합금을 위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층은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은 또는 은을 함유하는 합금을 포함한다. 기능성 층(은 등)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5 nm 내지 50 nm, 더 바람직하게 8 nm 내지 25 nm이다. 유전체 층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층을 포함한다. 그러나, 유전체 층은 또한 복수의 개별적인 층, 예를 들어, 차단 층, 및/또는 반사방지 층에 상응하는, 유전체 재료의 개별적인 층, 층, 평활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nm 내지 200 nm이다. 이러한 층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지지되는, 자기 음극 스퍼터링과 같은 진공 방법에 의해서 실시되는 연속적인 침착 작업을 통해서 얻어진다.
전기 전도 층은 바람직하게 2 ㎛ 이하의,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1 ㎛ 이하의 전체 두께의 층(단일층 또는 다중층 및 그에 따른 스택)이다.
전기 전도 층은, 전형적으로 12 V 내지 48 V의 온보드 전압 또는, 전기 차량의 경우에, 전형적으로 500 V까지의 온보드 전압으로, 시트의 0.4 ohms/square 내지 10 ohms/square의 저항 그리고 심지어 0.5 ohms/square 내지 1 ohm/square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 층(은 등의)을 면(F2 및/또는 F3) 상에 모을 수 있다. 면(F3) 상의 전기 전도 층은 예를 들어 Climacoat라는 명칭으로 출원인 회사가 판매하는 스택이다. 예를 들어, 이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아몰레드 화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의 및/또는 연결 부분의 마스킹으로 직접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버스바를 특히 가지는) 태양 제어, 선택적으로 가열, 층이 되도록, (바람직하게 접착되지 않고 중간층에 의해서 적층된) 면(F2)과 면(F3)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가요성 투명 중합체(PET로 지칭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인, 지지부 상의 전기 전도 층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글레이징 (바람직하게, 특히 도로, 차량 윈드실드)은 면(F2)과 면(F4) 사이에서, 특히 면(F3) 상에서 또는 면(F4) 상에서, 바람직하게 투명한 전기 전도 층 또는 바람직하게 투명하거나 보이지 않는 전기 전도 와이어(바람직하게 금속)의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에 대향하여,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의 크기의 개구부에 의해서 전기 전도 층이 존재하지 않고(레이저 삭마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 등에 의해서 제거되고), 또는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의 크기의 개구부(제거)에 의해서 전도 와이어의 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제거된다).
전기 전도 와이어는 유리하게 매우 얇게, 특히 0.1 mm 이하,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02 mm 내지 0.04 mm, 그리고 특히 0.024 mm 내지 0.029 mm의 두께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이들은 투명도에 단지 약간만 유해하거나 결코 유해하지 않다. 금속 와이어는 바람직하게 구리, 텅스텐, 금, 은, 또는 알루미늄 또는 이러한 금속 중 적어도 2개의 합금을 포함한다. 합금은 또한 몰리브덴, 레늄,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또는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전도 층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주 면의 적어도 50% 그리고 심지어 적어도 70% 또는 80% 또는 적어도 90%를 커버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은 (아몰레드 화면보다 면(F3)에 더 근접하여,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서) 면(F3) 상에 또는 면(F3) 측면 상의 가요성의 투명 중합체 막 상에 있을 수 있고, 심지어 특히 면(F3)의 적어도 50% 및 심지어 적어도 70% 또는 80% 또는 적어도 90%를 커버하는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일 수 있다.
개구부(전기 전도 층 또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부재)는, 전기 전도 층의 반사로 인한 채색(coloration)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이러한 구역 내의(에나멜과 같은 마스킹 배경을 가지지 않는, 특히 구역(A), 제한된 구역(B) 또는 주변 구역) 루미너스 투과(LT)를 증가시킨다.
이는, 예를 들어 (특히 구역의 한계로 규정되는 전술한 구역 내의) 하부 또는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투명 중앙 구역(특히 제한된 구역(B)) 내에 배치된 아몰레드 화면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는(개구부는), 아몰레드 화면(단독 또는 단독이 아닌)이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위치되거나 위치되지 않는 및/또는 복수의 정보의 항목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하지 않는, 본 발명을 자체적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태양 제어 및/또는 심지어 가열을 위한, 선택적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을 가지는 제2 글레이징 클래드(clad)는, 출원 회사의 Planiclear와 같이 투명하거나 매우 투명한 유리이다(그리고 제1 글레이징은 채색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고 이하의 도면에 의해서 도시된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의 예로부터, 본 발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내용 및 유리한 특성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내측에서 본, 각각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도 9a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명료성을 위해서, 제시된 대상의 여러 요소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재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분명하다. 간결함을 위해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의 이러한 곡률 또는 이러한 곡률들(2차원적)에 적응하면서 곡선화된 것으로 제시된 적층에서, 휘어진 것으로 제시되지 않았고 가요성 요소도 아니다.
도 1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1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윈드실드(100)는 투명 관찰 중앙 구역(내부 글레이징(1')의 중앙 부분 그에 따라 면(F4) 측면(14)) 및 외부 마스킹 주변 프레임(5), 하단 길이방향 연부(15a) 및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 좌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c) 및 우측 측방향 길이방향 연부(15d), 여기에서 불투명한 또는 약간 투명한(특히 가장 중앙의 투명 창 영역 내에 위치될 정도로 투명하지 않은) 아몰레드 화면(3)의 후방부를 마스킹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면(F2) 상의, 외부 마스킹 층(5)은 차량의 외부의 관찰로부터 아몰레드 화면(3)(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층 내의,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그 연결부)을 은폐한다. 에나멜(5)의 기능은 첫 번째로, 면(F1)으로부터 볼 때, 최종 적층형 글레이징을 바디워크 베이(bodywork bay)에 체결하는 접착 비드를 은폐하는 것이다.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 방식으로 상단 길이방향 연부(15b)의 중앙 위치 내에 배열되고 직사각형이다. 이는(전부 또는 부분이), 통상적인 그리고 심지어 보조 운전자 측면 마스킹을 위한 역할을 하는, 에나멜의 폭(수직 치수)(L1)이 (예를 들어 좌측의) 운전자의 측면 폭(L0)보다 넓은, 소위 확장된 구역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치수 또는 폭(W3)은 적어도 120 mm 그리고 심지어 250 mm 까지이다. 수직 치수 또는 높이(H3)는 적어도 75 mm 그리고 더 양호하게 적어도 100 mm 그리고 심지어 200 mm 이하이다.
여기에서 아몰레드 화면(3)은, 에나멜의 확장된 주변 구역의 최하단에서, 중앙 측면 상부 길이방향 연부 아래이다. 그 하단 연부(34)는 예를 들어 폭이 15 mm 이하인 에나멜 패턴을 가지는 선택적인 구역의 경계가 아니라 에나멜 편평 패치(51)(중실 구역)의 경계 상에 있거나 그에 근접한다. 그 상단 연부(34')는 (캐빈 내의 시야 구역의 한계까지), 전형적으로 적어도 15 mm 및 더 양호하게 적어도 70 mm만큼 높을 수 있다. 이는 윈드실드의 설계(크기, 경사, 제조자가 요구하는 투명 장면)에 따라 달라진다.
확장된 에나멜 구역(50)의 연부(53, 53')(인접한 하부 연부(51)보다 낮은 중앙 하부 연부(51))는 예를 들어 2 cm 이하 또는 심지어 1 또는 0.5 cm(중실형 구역의 한계)만큼 측방향 연부(33 및 33')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아몰레드 화면은 어둡고 심지어 (측면 위로 돌출되는) 에나멜 배경(5)과 거의 구분될 수 없거나 전혀 구분될 수 없다. 그에 따라 에나멜 컬러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나멜은 불투명하고 어둡다.
아몰레드 화면(3)은 구역(A ZA)로 지칭되는 투명 중앙 구역(가장 중앙 및 2 부분, 사변형-유사) 또는 제한된 구역(B Zb)(점선)과 구분되는 주변 구역 내에 위치된다.
조명되는 아몰레드 화면(3) 상에서, 이하의 3개의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서 정보를 동시에(또는 동시가 아니게) 볼 수 있다:
- 주 구역: 차량의 후방의 중앙 시야
- 측방향 구역(3a 및 3b): 차량의 측방향 시야(외부).
도 1a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1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직사각형인 3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는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 수평으로 배열된, 길이방향 상단 연부(15b)를 따른, 상단의 그리고 운전자에 대향된 제1의 다른 화면(3')
- 수평으로 배열된, 길이방향 하단 연부(15a)를 따른, 하단의 그리고 운전자에 대향된 제2의 다른 화면(3a)
수직으로 배열된, 운전자의 측면의 측방향 연부(15c)를 따른 하단에서의 제3의 다른 화면(3b). 이러한 3개의 다른 화면은 투명 창 영역 내에서 예를 들어 투명하고(외부 에나멜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지 않고) 또는 외부 에나멜 층에 의해서 (예를 들어 중앙 투명 구역까지) 마스킹된다.
이러한 도 1a는 운전자(또는 보조 운전자)의 그리고 구역(A ZA)의 또는 제한된 구역(B ZB)의 시야 구역의 한계를 규정하는 거리를 보여준다.
이하의 거리의 쌍이 규정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3')은 전술한 한계들(F 및 F') 사이에 위치될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의,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2 거리, 아몰레드 화면(3a)은 전술한 한계들(F1 및 F'1)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4 거리, 및 적어도 80 mm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3b)은 전술한 한계들(F2 및 F'2)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4 거리 및 h5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8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전술한 한계들(F3 및 F'3)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이러한 구역 내의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a 거리이다.
에나멜의 한계(L1, L1a, L1b)는 각각 h2, h'2, h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3)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단 중앙 구역의 폭(wa)은 280 mm 이하이고, 중앙 구역의 폭(w'a)은 (h2의 레벨에서) 300 mm이다.
직사각형 형상의 (자동차) 도로 차량 윈드실드는:
- 1350 내지 1550 mm의 폭(수평 치수)(Lp).
- 950 내지 1050 mm의 높이(수직 치수)(Hp)이다.
예로서, h1= 70 mm; h2=195 mm; Ha=270 mm; wa=280 mm; w'a=300 mm; h6=75 mm; h'6=75 mm; h'=85 mm; h=125 mm이다.
도 2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2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3)이 중앙에 있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은 특히 인접하여 또는 밀접하게 이격되어 양 측면 상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200)는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따라서, 각각은 (가장 낮은 곳에서) 상단 중앙 구역 내에 서있도록 수직으로(폭보다 높게) 배열된다. 주변 화면은 예를 들어 중앙 아몰레드 화면의 폭보다 좁은 폭(w3a) 및 그와 동일한 높이(H3)이다.
예를 들어, 중앙 화면(3)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은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도 3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3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3)이 중앙(높이(H3))에 있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H3 미만인 높이(H3a)의,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이 특히 인접하여 또는 밀접하게 이격되어 양 측면 상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300)는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이러한 2개의 다른 화면(3a 및 3b)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에 따라 높이보다 더 넓다. 중앙 아몰레드 화면은 중앙 구역에서 더 낮게 하강된다. 에나멜(5)은 곡선형 부분(53a)을 가지는 노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중앙 아몰레드 화면(3)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는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도 4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4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3)이 운전자에 대향 배치되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예를 들어 동일한 높이(H3)이고 W3 만큼 길지 않은,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이 특히 인접하여 또는 밀접하게 이격되어 양 측면 상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400)는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이들 모두는 운전자에 대향된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15b)를 따라서 수평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중앙 아몰레드 화면(3)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는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이다. 에나멜은 화면을 마스킹한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도 5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5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아몰레드 화면(3)이, 예를 들어 동일한 높이(H3)이고 W3 만큼 길지 않은 길이(W3a)인, 특히 중앙 구역 내의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15b)를 따라 수평으로 모두가 배열되고 인접하는,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 사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500)는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중앙 아몰레드 화면(3)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는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글레이징의 상단 연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이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도 6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6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윈드실드(600)는, 아몰레드 화면(3)이 운전자의 측면 상의 상단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W3은 적어도 300 mm 또는 500 mm 더 넓고, 그리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3)(TV 등)이 보조 운전자의 측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적어도 300 mm 또는 500 mm 폭이라는 점에서,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 뒤쪽에 있다.
변형예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매우 투명한 경우에, 후방부(더 좁은 에나멜 스트립)를 통해서 마스킹되지 않는다.
도 7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7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윈드실드(700)는, (수평으로 배열된, 직사각형의) 아몰레드 화면(3)이 상단에서 운전자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수평으로 배열된, 직사각형의) 특히 높지 않은(H3보다 낮은 H3a 및 H3b)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은,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의 중심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운전자의 측면 상의 하단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 뒤쪽에 있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글레이징의 하단 연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이다.
도 8은,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적층형 윈드실드(800)의 정면 개략도이다.
윈드실드(800)는, 아몰레드 화면(3) 및 양 측면 상의 (수평으로 배열된, 직사각형의)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3a 및 3b)이 운전자의 측면 상의 하단 연부(15a)를 따른다는 점에서, 윈드실드(100)와 상이하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아몰레드 화면 뒤쪽에 있다.
에나멜(5)은 예를 들어 글레이징의 하단 연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이다.
도 9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단면적 및 부분적 개략도이다.
윈드실드(900)는:
-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의 대향 주 면(12)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5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2.1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바람직하게 착색된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1 글레이징(1),
- 폴리비닐부티랄(PVB)과 같은, 바람직하게 두께(E2)가 적어도 0.76 mm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F4로 지칭되는 제4의 대향 주 면(14)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두께(E'1)가 2.2 mm 이하이고, 출원인의 회사로부터의 TSA 유리와 같은, 예를 들어 착색된, 1.6 mm 두께의 유리를 가지는, 특히 소다-석회-실리카 플로트 유리 시트인, 제2 글레이징(1'),
-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그리고 적층 중간층 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E2 미만의 그리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의 두께(E3)의,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며, 아몰레드 화면이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적층 중간층 내의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아몰레드 화면(3)은 외부 유리 시트(1)와 내부 유리 시트(1') 사이에 개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폭이 적어도 0.5 mm인(그리고 바람직하게 1 cm 미만인) 좁은 주변 밴드(34, 34') 내의 하나 이상의 기술적 연부(1, 2, 3, 또는 4개)에 의해서 측면 가공된(flanked)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나타낸다. 아몰레드 화면(3)은 가요성을 가지고, 연계되고 적층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요소(4)에 의해서, 글레이징의 연부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연장된다.
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전기 연결 요소(4)를 통해서 공급을 받으며, 전기 연결 요소는:
-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1')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적층 중간층의 E2보다 얇은 두께(E4)의,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적층 중간층 내의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포함하고,
-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곡선형이고, 장착/해체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는 구역 내의 그 연결부(8)에 의해서 종료되는 부분(47)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구역(32')까지 멀리 연신되지 않고, 접착에 의해서 면(F4) 상에 고정된다.
연결 요소(4)는 2560 x 1600 화소(아몰레드 화면)의 구성에 적합한 가요성 인쇄 회로(FPC)이다. FPC(4)는 유리하게 아몰레드 화면(3)과 동일한 폭일 수 있고, 그에 따라 2개의 요소를 (글레이징 연부에 대해서 약간 후퇴되게) 적층 중간층 내로 삽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유리(1')는 노치(11')를 포함한다. 노치(11')의 치수가 FPC(4)에 맞춰 구성된다:
- 노치(11')의 폭은 FPC(4)의 폭보다 크거나 그와 같고;
- 연부가 눈에 보이는 경우에 FPC(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노치(1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FPC(4)의 두께 이상이다.
실제적으로, 노치(11')의 깊이는 1.5 mm 내지 2 mm이다. 노치(11')의 구역은 적층 중간층을 실질적으로 가지지 않는다.
아몰레드 화면(3)은 예를 들어 두께(E3)를 갖는다. 연결 부분(40)이 얇은 두께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두께(E4)를 E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것이 임의의 재료로 선택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인다. 만약 E4가 0.4 mm와 같다면, E3는 0.38 내지 0.40 mm이다. 0.38 mm의 중앙 플라이(22)가 예를 들어 적층을 위해서 이용되고, 아몰레드 화면 및 연결 부분 및 0.17 mm 또는 0.38 mm의 2개의 외부 플라이(22, 23)를 수용하기 위한 예약부(reserve)를 갖는다. 외부 플라이 중 하나가 예를 들어 0.76 mm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3개 초과의 플라이(PET 등과 같은 중합체 막의 삽입의 경우) 또는 추가적인 기계적 보호를 가질 수 있다.
아몰레드 화면이 0.15 mm 이하 또는 심지어 0.2 mm의 두께일 때, 조립 중에 중앙 플라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글레이징(외부)(1)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외부 마스킹 층(5)을 면(F2) 상에 포함하고, 이는,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51)
- 및 예를 들어 립(15)으로부터 3 mm 이하 또는 1 mm의 거리에서 글레이징의 립 측면(15) 상의 연부(52)를 갖는다.
이는 트림(7")의 접착제 비드(7')뿐만 아니라 아몰레드 화면(3)(불투명 또는 약간 투명), 연결 부분(40) 및 FPC의 오프-글레이징 부분(45) 및 부분(47) 그리고 그 연결부(8)를 은폐한다.
외부 마스킹 층(5)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5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립(15)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심지어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글레이징(1')(내부)은, 바람직하게 흑색 에나멜의, 불투명한, 면(F4)(또는 변형예로서 F3) 상에서 내부 마스킹 층(6)을 면(F4) 상에 포함하고, 이는
- 윈드실드의 중심을 향한 연부(61)
- 노치 측면 상의 연부(65)를 갖는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6)은, 특히 (트림 또는 선택적인 케이싱을 가지는 구역으로부터 멀리) 시야 구역 내에 있는 연결 부분(40)의 전체 표면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연결 부분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마스킹 층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34, 34')를 내부로부터 마스킹한다. 이는, 적층 결함을 마스킹하기 위해서, 기술적 연부의 둘레 위에서 적층 중간층에 대향되어 예를 들어 10 mm 이하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 마스킹 층(6)이 아몰레드 화면(3)의 둘레 상에 위치될 때, 그에 따라 개구부(63)가 형성되어(마스킹 또는 층의 사후 제조) 디스플레이 구역(32')을 노출시킨다.
그 폭이 아몰레드 화면의(및/또는 연결 부분의) 양 측면 상에서 외부 마스킹 층(5)의 폭이 되도록(거의 같도록), 이는 또한 기술적 연부를 넘어서 더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마스킹 층(6)은 바람직하게, 패턴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중실형 구역(편평한 패치)이다. 연부(61)를 넘어서, 이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된) 패턴의 네트워크에 의해서, 15 mm 이하 및 심지어 5 mm 그리고 노치(11')의 립이 하부 길이방향 연부인 경우에 심지어 더 넓은 폭에 걸쳐, 예를 들어 그라데이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층(6)이 면(F3) 상에 있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로서, 내부 마스킹 층(6)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불투명한(불투명화된) 막으로 대체될 수 있고, 그러한 불투명한 막은, 저장의 관점에서 미리 장착되자 마자,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FPC의 전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이러한 미리 장착된 조립체에 부착된 막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윈드실드의 조립 전에 미리 절단된 바람직하지 못한 부분이 그러한 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 여기에서 불투명하거나 약간 투명한, 그리고 PVB(22)(중앙 부분)과 아몰레드 화면(3) 사이의 접합부의, 불규칙부 및 결함을 포함할 수 있는, FPC의 마스킹,
- 또한, 윈드실드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보이는, 아몰레드 화면(3)의 기술적 연부(34)의 마스킹을 구성한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아몰레드 화면을 커버하는 투명 중합체 재료의 불투명화된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불투명한 막은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FPC를 커버하는 중합체 재료의 연장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변형예로서, 면(F3)은 전기 전도 층 그리고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 층에 대한 전류 공급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층은 태양 복사선을 반사하는, 은 또는 기타의,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그 전류 공급부를 구비하는 가열 코팅/스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전술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의 마스킹으로 직접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 층으로 커버되는 제2 글레이징은, 출원인 회사의 Planiclear와 같이 투명하거나 매우 투명한 유리이다(그리고 제1 글레이징은 착색된다).
미적 이유로, 적어도 디스플레이 구역에 대향되는 구역에, 전기 전도 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는, 이러한 층의 반사로 인한 착색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주변 구역 내에 또는 제한된 구역(B) 내에 또는 심지어 구역(A) 내에)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마스킹이 없는 경우에 LT를 증가시킨다.
도 9a는, 내측에서 본, 자동차 차량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윈드실드의 정면적 및 구체적 개략도이다.
이는, 여기에서, 중앙 또는 비-중앙 위치에서,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의 기술적 연부(33, 33', 34, 34')의 양 측면 상의 내부 마스킹 층(6)의 가능한 범위를 도시한다.
- 바람직하게 적어도 3 mm만큼 돌출된 측방향 연부(64, 및 64') 및
- 바람직하게 적어도 3 mm 만큼 돌출되는 하단 연부(61).

Claims (23)

  1.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900a) 바람직하게 도로 차량 윈드실드로서:
    - 특히 차량의 외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1으로 지칭되는 제1 주 면(11), 및 F2로 지칭되는 제2 대향 주 면(12)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5 mm 이하의 두께(E1)의, 제1 글레이징(1),
    - 바람직하게 두께(E2)가 2.2 mm 이하인, 면(F2) 측면 상의, 중합체 물질의 적층 중간층(2),
    - 적층 중간층(2) 측면 상의 F3로 지칭되는 제3 주 면(13) 및, 특히 차량의 내측면 상에 있도록 의도된, F4로 지칭되는 제4 대향 주 면(14)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2.2 mm 이하의 두께(E'1)의, 제2 글레이징(1')으로서, 제1 및 제2 글레이징 중 적어도 하나가 광물 유리로 제조되는, 제2 글레이징(1'),
    - 아몰레드 화면(3)으로 지칭되는, 화소의 세트를 포함하는, 면(F2)과 면(F3) 사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으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동적 정보 디스플레이(32')의 구역을 포함하고, 두께(E3)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은 면(F3)을 향해서 배향된 전방 주 면(32) 및 면(F2)을 향해서 배향된 후방 면(31)을 가지고, 아몰레드 화면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주변에 배열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기반의 관찰 화면,
    - 면(F3) 측면 상의 전방 표면(42) 및 면(F2) 측면 상의 후방 표면(41)을 가지는, 면(F2)과 면(F3) 사이의 가요성의 소위 연결 부분(40)을 가지는,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전기 연결 요소(4)로서, 가요성 연결 부분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두께(E4)가 E2 미만이고 바람직하게 센티미터 이하이며, 아몰레드 화면에 연계되고 아몰레드 화면을 제2 글레이징의 립의 방향으로 연장시키고, 가요성 전기 연결 요소는 소위 외부 부분(45)을 통해서 제2 글레이징의 립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기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이 가요성을 가지고 소위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50) 내에 위치되며, 면(F2)과 면(F3) 사이에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또한 모여진 다른 또는 몇 개의 다른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에 인접하여 또는 단독적으로 위치되고,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은 영이 아닌 두께의 적층 중간층에 의해서 커버되고 바람직하게 적층 중간층 내에 있고, 그리고
    아몰레드 화면은, 단독적으로 또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과 함께, 특히 서로 독립적으로, 복수의 정보의 항목을 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900a).
  2. 제1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이, 면(F2)과 아몰레드 화면의 후방 면(41)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불투명한, 소위 외부 주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연결 부분은 또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또는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창 영역 내에 있고, 연결 부분이 바람직하게, 면(F2)과 연결 부분 사이에서,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불투명한, 소위 외부 주변 마스킹 층(5)에 의해서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의 아몰레드 화면이 10 cm 이하만큼 이격되거나 인접하거나 심지어 함께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바람직하게 주변에, 아몰레드 화면 및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고, 3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상부의 특히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운전자의 측면 상에 위치되거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 장면을 위한 것이고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위치되고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이고 글레이징의 측방향 연부와 글레이징의 중앙 구역 사이에 위치되며,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의 길이(W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400, 600, 700, 8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아몰레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단독으로 위치되고 적어도 100 mm의 길이(W3)이며, 차량의 후방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아몰레드 화면은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평으로 배열되거나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고,
    - 또는 운전자의 측면 상에 수평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으로 배열된, 선택적으로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 보다 작은 크기의, 운전자의 측면 상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하나 또는 2개에 인접하고, 특히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는 다른 2개의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이고,
    - 또는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된 경우에 수평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2개에 또는 아몰레드 화면이 수직으로 배열된 경우에 수직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2개에 인접하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보다 더 작은 크기이고, 특히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는 다른 2개의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운전자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 측면 상에서,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서 수평으로 배열되고:
    - 아몰레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단독적으로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의 길이(W3)이고, 특히 차량의 후방의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바람직하게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선택적으로 아몰레드 화면보다 작은 크기의, 수평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하나 또는 둘에 인접하고, 특히 가장 긴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 있는 다른 2개의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100 내지 900a).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의 길이(W3)의 운전자 측면 글레이징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단독으로 배열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후방의 장면 및 하나의 측방향 장면 또는 측방향 장면들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하나의 또는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60 mm 및 심지어 적어도 80 mm의 길이(W3)의 운전자의 측면 글레이징의 하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수평으로 배열되며, 특히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8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이고 글레이징의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더 넓은, 외부 마스킹 층을 가지는 구역 내의 면(F2) 상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마스킹되고, 그리고:
    - 아몰레드 화면은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 내에 하나만 위치되고 수평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100 mm 및 심지어 적어도 120 mm 또는 150 mm 초과의 길이(W3)이고, 특히 차량의 후방의 장면 및 측방향 장면을 위한 역할을 하고
    - 또는, 선택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수평으로 배열된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하나 또는 둘에 인접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은 후방의 장면을 위한 것이고, 양 측면 상의 다른 2개의 아몰레드 화면은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역은 주변부이고 상부 길이방향 연부의 중앙 구역 내에 위치되고, 아몰레드 화면은, 바람직하게 더 넓은, 외부 마스킹 층을 가지는 구역 내의 면(F2) 상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마스킹되고, 그리고:
    - 아몰레드 화면은 수평으로 배열되고 특히 과다폭의 그 표면의 일부를 가지고, 바람직하게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보다 낮은 높이로 수평으로 배열되고, 심지어 다른 아몰레드 화면 중 2개는, 아몰레드 화면의 양 측면 상에서, 특히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서 바람직하게 수평으로 배열되고,
    - 또는 특히 후방의 장면을 위한 아몰레드 화면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특히 아몰레드 화면의 높이(H3) 이하의 높이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다른 아몰레드 화면과 함께 과다폭의 그 표면의 일부를 가지고, 심지어 2개의 다른 아몰레드 화면은 특히 차량의 측방향 장면을 위해서 양 측면 상에서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 뒤쪽의 면(F2)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 또는 화면들 상에서, 바람직하게 에나멜의, 소위 외부 마스킹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면(F2) 상에서 외부 마스킹 층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마스킹된, 아몰레드 화면은, 투명 중앙 시야 구역 특히 표준에 의해서 규정된 제한된 구역(B)으로 지칭되는 구역의 연부까지, 도로 차량 윈드실드 내에서 운전자에 의해서 보여질 수 있는 전체 주변 구역 이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의 그리고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이, 특히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구역인, 아몰레드 화면 상의 소위 내부 마스킹 요소에 의해서 마스킹되고
    - 및/또는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은, 유전체 보호 층 아래의 또는 유전체 보호 층, 특히 수지의 불투명 구역인, 내부 마스킹 요소 또는 특히 다른 인접한 것에 의해서 마스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E2와 같은 미크론 이하의 두께(E4)의 그리고 제2 글레이징의 립을 넘어선 E4 미만의 두께(E'4)의, 전기 연결 요소가 곡선형이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구역까지 연신되지 않고, 면(F4) 상에 대항하여 위치되거나 접착에 의해서 그에 고정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연결 요소(4)의 폭은 적층형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아몰레드 화면의 폭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연결 요소는, 적절한 경우에, 그 두께를, 적층형 글레이징의 연부까지, 아몰레드 화면의 두께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값까지 증가시키기 위해서, 임의 재료로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커버되거나 덮이는 가요성 인쇄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3) 및/또는 연결 부분이 0.8 mm 이하, 바람직하게 0.7 mm 이하, 및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0.6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글레이징은, 면(F3 또는 F4) 상에서,
    -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하고 적층 중간층과 아몰레드 화면 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의 접합 구역을 심지어 마스킹하기 위한,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기술적 연부 또는 연부들
    - 및/또는 구분된 길이방향 연부 상에 위치되거나 그에 인접하는, 아몰레드 화면 및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의 전기 연결 요소 또는 요소들을, 내부로부터 마스킹할 수 있는 소위 내부 마스킹 층(6)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 차량 윈드실드를 형성하고, 이하의 거리 또는 거리들:
    -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상부 한계 및 심지어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위에 있는, h2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20 mm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하부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아래에 있는, h'2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80 mm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측방향 연부와 측방향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5 거리,
    - 및/또는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 사이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180 mm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연부와 측방향 한계 및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 사이에 있는, Ha 거리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 차량 윈드실드를 형성하고, 이하의 거리의 쌍: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상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 및 F')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및/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40 mm의, 윈드실드의 하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20 mm의, 하부 연부와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하부 한계(F'1) 사이의 h'2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1 및 F'1)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2 거리
    - 및/또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측방향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4 거리, 및 적어도 80 mm의, 측방향 연부와 운전자의 측면 또는 보조 운전자의 측면 상의 중앙 투명 구역의 측방향 한계(F'2) 사이의 h5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2 및 F'2)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4 거리 및 h5 거리
    - 바람직하게 적어도 15 mm의, 윈드실드의 상부 연부와 차량 내의 운전자의 또는 보조 운전자의 시야의 주변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1 거리, 및 적어도 180 mm의, 상부 연부와 중앙 부분 내의 중앙 투명 구역의 상부 한계(F'3) 사이의 Ha 거리로서, 아몰레드 화면은 한계들(F3 및 F'3) 사이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선택적인 다른 아몰레드 화면(들)인, h1 거리 및 Ha 거리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몰레드 화면(3)이, 적어도 70%의, 아몰레드 화면을 가지는 구역 내의 글레이징의 루미너스 투과로 투명하며, 그리고 특히 중앙 투명 구역 및/또는 주변 구역 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외부 마스킹 층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F2)과 면(F4) 사이에, 특히 면(F3) 상에 또는 면(F4) 상에, 바람직하게 투명한 전기 전도 층 또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또는 보이지 않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세트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역(32')에 대향하여, 전기 전도 층 또는 전기 전도 와이어의 세트가, 특히 디스플레이 구역 이상 그리고 심지어 아몰레드 화면 초과의 크기의 개구부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22. 제21항에 있어서,
    특히 개구부를 가지는 전기 전도 층이 면(F3) 상에 위치되고, 또는 면(F3) 측면 상의 가요성 투명 중합체 막 상에 위치되고, 태양 제어 및/또는 가열 층이고, 그리고 면(F3)의 적어도 50% 및 심지어 적어도 70%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휘어진 제1 및 제2 글레이징 그리고 심지어 PVB 적층 중간층을 가지는 자동차, 트럭과 같은 도로 차량의 윈드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차량 글레이징.
KR1020187021477A 2015-12-30 2016-12-22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KR20180100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3466 2015-12-30
FR1563466A FR3046374B1 (fr) 2015-12-30 2015-12-30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PCT/FR2016/053635 WO2017115038A1 (fr) 2015-12-30 2016-12-22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flexi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053A true KR20180100053A (ko) 2018-09-06

Family

ID=5632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77A KR20180100053A (ko) 2015-12-30 2016-12-22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67530B2 (ko)
EP (1) EP3397481B1 (ko)
KR (1) KR20180100053A (ko)
CN (1) CN107148343B (ko)
BR (1) BR112018013324A2 (ko)
FR (1) FR3046374B1 (ko)
MX (1) MX2018008041A (ko)
WO (1) WO2017115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6376B1 (fr) * 2015-12-30 2018-01-19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de vehicule avec ecran amoled
CO2018000469A1 (es) * 2017-11-30 2018-04-30 Agp America Sa Laminado automotriz con capa de compensación de sustrato de borde sólido invisible
CN108518592B (zh) * 2018-04-02 2021-12-07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一种oled车灯
WO2020053901A1 (en) * 2018-09-10 2020-03-19 Saint-Gobain Glass France Intelligent vehicle control system with an integrated glazing
CN111796445B (zh) * 2020-07-14 2023-04-0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挡风玻璃透明度调节系统、方法及汽车
CN116141775A (zh) * 2021-10-08 2023-05-23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夹层玻璃及抬头显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579B1 (ko) * 1986-08-20 1995-09-20 리비-오웬스-포드 캄파니 태양에너지의 투과를 억제시키는 유리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R2844364B1 (fr) 2002-09-11 2004-12-17 Saint Gobain Substrat diffusant
BE1015302A3 (fr) 2003-01-10 2005-01-11 Glaverbel Vitrage comportant des composants electroniques.
BE1016680A3 (fr) 2005-07-13 2007-04-03 Glaverbel Vitrage comportant un detecteur de pluie capacitif.
US8425061B2 (en) * 2008-01-03 2013-04-23 Smr Patents S.A.R.L.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DE102008004049A1 (de) 2008-01-11 2009-07-16 Audi Ag Verbundglaseinheit
FR2945985B1 (fr) 2009-05-27 2011-05-20 Saint Gobain Vitrage a faible niveau de double image.
US20110025584A1 (en) * 2009-07-29 2011-0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ght-emitting diode heads-up display for a vehicle
EA022935B1 (ru) * 2009-12-31 2016-03-31 Сэн-Гобэн Гласс Франс Стекло с низким уровнем двой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CN202503691U (zh) 2012-01-20 2012-10-24 法国圣戈班玻璃厂 发光玻璃及具有该玻璃的车辆和建筑
CN202806307U (zh) 2012-07-23 2013-03-20 长春光景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柔性显示屏的汽车前风挡玻璃
US8890408B2 (en) 2013-01-18 2014-11-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ctive display portion and substrate
CN203293862U (zh) 2013-06-27 2013-11-20 陈子铭 一种基于高透明度柔性触摸屏的车窗显示系统装置
CN105555567A (zh) * 2013-09-18 2016-05-04 旭硝子株式会社 夹层玻璃及车用显示装置
ES2586254T3 (es) * 2014-06-13 2020-04-14 Isoclima Spa Cristal de venta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46374B1 (fr) 2018-01-19
CN107148343B (zh) 2020-07-17
MX2018008041A (es) 2018-11-12
WO2017115038A1 (fr) 2017-07-06
US11167530B2 (en) 2021-11-09
FR3046374A1 (fr) 2017-07-07
CN107148343A (zh) 2017-09-08
EP3397481B1 (fr) 2020-07-01
US20190009502A1 (en) 2019-01-10
EP3397481A1 (fr) 2018-11-07
BR112018013324A2 (pt)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054A (ko)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RU2722551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amoled-дисплеем
KR20180099773A (ko) 가요성 아몰레드 화면 및 전자기 차폐를 가지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KR20180100053A (ko) 아몰레드 화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적층형 글레이징
CN107148346B (zh) 具有amoled屏幕的层压车窗玻璃
US10647092B2 (en) Vehicle luminous glazing, vehicle incorporating it
US10471897B2 (en) Laminated vehicle glazing with AMOLED screen
JP2019510666A (ja) 内部発光サインを有する積層型乗物風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