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806A -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806A
KR20180099806A KR1020187021804A KR20187021804A KR20180099806A KR 20180099806 A KR20180099806 A KR 20180099806A KR 1020187021804 A KR1020187021804 A KR 1020187021804A KR 20187021804 A KR20187021804 A KR 20187021804A KR 20180099806 A KR20180099806 A KR 2018009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container
container
build
adapter
outle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르난데스 이스마엘 찬클론
포페스코우 에르네스토 알레한드로 조네스
베세로 하비에르 알론소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8009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50Means for feeding of material, e.g. heads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41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 B29C64/153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solid materials using layers of powder being selectively joined, e.g.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70Recycling
    • B22F10/73Recycling of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2/00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uxiliary mea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Combinations of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or devices with other processing apparatus or devices
    • B22F12/90Means for process control, e.g. cameras or sensors
    • B22F2003/105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3D) 프린터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소스 컨테이너는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축조 재료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멍(206)을 구비한다.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도전성 재료 부분은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내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해 접지에 연결 가능하다.

Description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본 발명은 3차원(3D) 프린터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3차원(3D) 프린팅과 같은 적층 가공 기술은 컴퓨터 제어 하에서 3D 물체가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by-layer) 기반으로 생성되는 적층 프로세스를 통해 디지털 3D 모델에서 거의 모든 형상의 3D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축조 재료, 증착 기술 및 3D 물체가 축조 재료로 형성되는 프로세스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적층 가공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광중합체 수지에 자외선을 가하고, 분말 형태의 반결정 열가소성 물질을 용융시키고, 금속 분말을 전자 빔으로 용융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가공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제조될 3D 물체의 디지털 표현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디지털 표현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상으로 층으로 슬라이스되거나, 사전-슬라이스된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층은 소망의 물체의 단면을 나타내며, 일부의 경우에 3D 프린터로 알려져 있는 적층 가공 장치로 보내지며, 여기서 이것은 이전의 축조 층 상에 축조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물체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며, 이에 의해 물체 레이어 바이 레이어를 축조된다. 일부 이용 가능한 기술은 재료를 직접 프린트하는 반면, 다른 기술은 리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물체의 새로운 단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고형화될 수 있는 추가 층을 형성한다.
3D 프린팅 시스템은 종종 분말 재료, 즉 프린팅 프로세스 동안에 함께 융합되는 분말 입자에 의해 형성된 재료를 함유하는 축조 재료(또한 적층 가공 축조 재료로서 공지됨)를 이용한다. 축조 재료는 또한 페이스트 재료, 슬러리 재료 또는 액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분말 재료는 예를 들어 잉여 분말 재료가 프린트된 부품 또는 부분 둘레로부터 제거될 때와 같이 프린팅 프로세스 동안에 그리고 프린팅 프로세스 후 모두에서 이송될 것이다. 잉여 분말은 향후 프린팅 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재활용될 수 있다.
축조 재료는 통상 실제 가공이 이루어지는 적층 가공 장치의 축조 영역 또는 축조 격실로 이송될 필요가 있는 소스 컨테이너에 제공된다. 이러한 재료의 이동은 흡인 기술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인 시스템 내의 미립자 축조 물질의 이동은 고속 입자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축조 재료 컨테이너 내에서 정전기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3차원(3D) 프린터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로서, 상기 소스 컨테이너는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축조 재료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및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도전성 재료 부분은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내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도록 접지에 연결 가능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도 1a는 3차원(3D) 프린팅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재료 관리 스테이션에 결합될 수 있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을 통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유출구 구조체와,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일부분의 다른 도면이다.
3D 물체들은 적층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물체들은 축조 재료의 연적인 층들의 부분들을 응고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축조 재료는 분말-기반일 수 있으며, 생성된 물체들의 특성은 축조 재료의 타입 및 응고 타입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말형 축조 재료의 응고는 액체 융합제를 이용하여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응고는 축조 재료에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융합제 및/또는 결합제는 축조 재료에 도포되며, 여기에서는 융합제는, 적절한 양의 에너지가 축조 재료 및 융합제의 조합에 가해질 경우, 축조 재료가 융합 및 응고되도록 하는 재료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축조 재료 및 다른 응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축조 재료는 페이스트 재료, 슬러리 재료 또는 액체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시는 예시적인 3D 프린팅 시스템의 축조 재료 컨테이너 내에 축적되는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예시적인 3D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시스템(100)(또는 적층 가공 시스템)은 복수의 적층 가공 장치, 예를 들면 트롤리(102), 3D 프린터(104) 및 재료 관리 스테이션(MMS)(106)을 포함한다. MMS(106)는 축조 재료를 관리한다. 프린팅 시스템(100)은 분말 재료를 선택적으로 융합시키도록 응고 장치를 사용하여 3D 프린팅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응고 장치의 타입은 레이저(선택적 레이저 소결: SLS라고 함) 또는 융합제의 증착을 포함할 수 있다. 분말 재료는 축조 재료이며, 다른 타입의 축조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트롤리(102)는 프린터(104)가 트롤리 내에서 3D 물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프린터(104) 내의 도킹 위치에 슬롯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트롤리는 재료 관리 스테이션(106) 내의 도킹 위치(107)에 (상이한 시간에)슬롯을 또한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트롤리(102)는 3D 프린팅 프로세스 이전에 재료 관리 스테이션(106)에 도킹되어 후속 3D 프린팅 프로세스의 준비로 축조 재료로 트롤리를 장전할 수 있다.
트롤리에 장전된 축조 재료는 하나 이상의 이전의 프린팅 프로세스들로부터의 재활용 또는 회수된 축조 재료, 새로운 축조 재료, 또는 새로운 및 재활용 축조 재료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축조 재료들은 재활용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 회수된 축조 재료는 트롤리에 장전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축조 재료는 예를 들어, 분말형 금속 재료, 분말형 합성 재료, 분말 세라믹 재료, 분말형 유리 재료, 분말형 수지 재료, 분말형 중합체 재료 등일 수 있거나 포함할 수 있다. 축조 재료가 분말-기반 축조 재료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분말-기반 재료라는 용어는 건식 및 습식 분말-기반 재료, 미립자 재료, 및 과립 재료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분말-기반 재료로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하다면 적절한 개질과 함께 다른 적당한 축조 재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축조 재료는 펠릿의 형태이거나, 예를 들어 모든 다른 적당한 타입의 축조 재료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트롤리(102)가 도킹되어 있는 도 1a의 실시예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MMS)(106)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관리 스테이션(106)은 MMS(106)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MMS(106)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2개의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또는 카트리지)(114a, 114b)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는 대안적으로 공급 또는 소스 카트리지, 또는 축조 재료 공급 탱크로 불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조 재료는 분말형 반결정 열가소성 재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컨테이너(114a, 11b)는 컨테이너(114a, 114b)로부터의 축조 재료를 수집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 상태에서 적층 가공 시스템에 연결되어야 하는 그리고 고갈후에 축조 재료로 충전된 제 2의 유사한 컨테이너로 대체되도록 제거되어야 하는 교체 가능한 소스 컨테이너이다.
소스 컨테이너(114a, 114b)는 직립 배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조 재료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타입 및/또는 입자 사이즈의 분말이다. 컨테이너(114a, 114b)는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저장소(또는 밀폐체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축조 재료는 저장소의 벽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컨테이너(114a, 114b)는 축조 재료가 저장소 밖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저장소 내로 통과하게 하는 개구부 또는 구멍을 포함하는 유출구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는 30 리터와 50 리터 사이의 용량을 갖고 있다. 2개의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제공은, 트롤리(102)가 적층 가공 프로세스의 준비로 MMS(106)에 의해 축조 재료로 충전되는 경우, 현재 작동 컨테이너가 축조 재료가 비워지거나 거의 비워진다면, 새로운 축조 재료 공급 소스가 2개의 컨테이너 중 다른 하나로 동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핫 스와핑(hot swapping)"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MMS(106)는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 중 하나 이상에서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새로운 축조 재료가 존재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중량 측정 장치(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롤리(102)가 3D 프린팅 생산 실행을 위해 프린터(104)에 설치되기 전에 트롤리(102)에 축조 재료를 장전할 때, 컨테이너(114a, 114b)로부터의 새로운 축조 재료가 소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 컨테이너 내의 축조 재료는 약 5 마이크론과 약 400 마이크론 사이, 약 10 마이크론과 약 200 마이크론 사이, 약 15 마이크론과 약 120 마이크론 사이 또는 약 20 마이크론과 약 70 마이크론 사이의 평균 체적-기반 단면적 입경 사이즈를 갖는 분말이다. 적절한 평균 체적-기반 입경 범위의 다른 예는 약 5 내지 약 70 마이크론, 또는 약 5 내지 약 35 마이크론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체적-기반 입자 사이즈는 분말 입자와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사이즈이다. "평균(average)"은 컨테이너 내의 체적-기반 입자 사이즈의 대부분이 상술한 사이즈 또는 사이즈 범위이지만, 컨테이너는 상술된 범위 외의 직경의 입자를 또한 포함할 수 있음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입자 사이즈는 약 10 마이크론과 약 500 마이크론 사이, 또는 약 10 마이크론과 약 200 마이크론 사이, 또는 약 15 마이크론과 약 15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갖는 축조 재료 층을 용이하게 분배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적층 가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약 40 마이크론과 약 60 마이크론 사이의 평균 체적-기반 입경을 갖는 분말을 포함하는 축조 재료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약 40 마이크론의 축조 재료 층을 분포시키도록 사전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 가공 장치는 상이한 층 두께를 분포시키도록 재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절한 분말-기반 축조 재료는 예를 들어 중합체, 결정 플라스틱, 반결정 플라스틱, 폴리에틸렌(PE), 폴리락트산(PL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아모퍼스 플라스틱 , 폴리비닐 알콜 플라스틱(PVA), 폴리아미드, 열(경화) 수지, 수지, 투명 분말, 착색 분말, 금속 분말, 예를 들어 유리 입자와 같은 세라믹 분말 및/또는 이들 또는 다른 재료의 2 이상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러한 조합은 상이한 재료들 각각의 상이한 입자들, 또는 단일 화합물 입자 내의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혼련된 축조 재료의 예는 알루미늄 및 폴리아미드의 혼련물, 다중-색상 분말, 및 플라스틱/세라믹 혼련물을 포함할 수 있는 알루미드(alumide)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진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스템 내에서 청정도를 증진시키고 연속적인 3D 프린팅 작업 사이에서 축조 재료의 일부분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MMS(106) 내의 주변에서 축조 재료가 이동되며, 사용을 위해 선택된 이러한 타입의 축조 재료는 재활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진공 시스템에 대한 언급은 부분 진공인 진공, 또는 예를 들어 대기압에 대해 감소된 압력을 포함한다. 진공은 대기압에 의해 둘러싸인 회로에서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부압(negative pressure)"에 대응할 수 있다.
트롤리(102)가 재사용되기 전에 3D 물체의 프린팅을 위한 총 트롤리 사용 턴-어라운드 시간(total trolley use turn-around time)은 트롤리가 프린터(104) 내에 있을 때의 프린터(104)의 프린팅 시간과 트롤리(104)의 축조 체적의 내용물의 냉각 시간 양자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진공 시스템은 진공 시스템이 없이 달리 발생하는 것보다 3D 프린트 생산 프로세스에 따른 축조 체적의 내용물의 보다 신속한 냉각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축 공기 시스템과 같은 진공 시스템의 대안은 과잉의 먼지를 발생할 수 있어, 잠재적으로 청소 프로세스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실시예의 MMS(106)는 내부에 위치된 회수된 축조 재료 탱크(108)(도 1b 참조)를 구비하며, 진공 시스템에 의해 프린팅 프로세스로부터 회수된 축조 재료는 적절하다면 후속 재사용을 위해 저장된다. 일부 축조 재료는 재활용 가능하지만, 다른 재료는 재활용 가능하지 않다. 초기의 3D 프린팅 생산 사이클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100 % 새로운 축조 재료가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제 2의 및 후속 프린팅 사이클에서는, 축조 재료 특성 및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프린트 작업에 사용된 축조 재료는 새로운 축조 재료(예를 들면, 20 %)의 비율과 재활용 축조 재료(예를 들면, 80 %)의 부분을 포함할 것이다. 일부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프린트된 물체의 품질을 보호하는 것을 고려하여 제 2의 및 후속 프린팅 사이클에서 주로 또는 독점적으로 새로운 축조 재료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내부 회수된 축조 재료 탱크 또는 컨테이너(108)는, 2회 이상의 사후-생산 청소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에 가득찰 수 있지만 이전에는 가득차지 않을 수 있을지라도, 사후-생산 청소 프로세스 동안에 가득찰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오버플로우 탱크(110)의 형태인 오버플로우 탱크는 MMS(106)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되어, 내부 회수된 축조 재료 탱크(108)가 가득차거나 최대 용량에 근접하면 사용을 위한 회수된 축조 재료에 추가적인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오버플로우 탱크(110)는 제거 가능한 탱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포트가 MMS(106)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되어, 외부 오버플로우 탱크(110)로의 및/또는 외부 오버플로우 탱크(110)로부터의 축조 재료의 유출 또는 축조 재료의 수용을 허용한다. 시브(seive)(116) 또는 대안적인 축조 재료 정제 장치가 내부 회수된 축조 재료 탱크(10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어, 보다 고운 과립을 재활용, 즉 응집(응괴)을 감소시키기 위한 3D 프린팅 생산 프로세스로부터 회수된 비융착된 축조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MMS(106)는, 내부 회수된 축조 재료 탱크(108)로부터의 재활용 축조 재료와, 프린팅 생산 프로세스 이전에 장전될 때 트롤리(102)에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 중 하나로부터의 새로운 축조 재료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혼합 탱크(12)(또는 혼련 탱크)를 구비한다. 2개의 재료의 혼합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트롤리(102)가 그 내부에 도킹될 때의 축조 플랫폼(122)의 위치의 위에서 MMS(106)의 상부에 마련된 혼합 탱크(112)에서 실행된다.
MMS(106)의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 외부 오버플로우 탱크(110) 및 본체는 모듈 방식으로 함께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완전히 조립된 MMS(106)에 대한 다수의 대안적인 기하학적 구성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MMS(106)는 제조 환경에서 상이한 하우징 공간에 끼워맞춰지도록 적용 가능하다.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는 각각의 소스 탱크 연결 유닛(134a, 134b)을 거쳐서 MMS(106)의 본체에 연결되어 컨테이너가 탈착 가능하다. 이들 소스 컨테이너 연결 유닛(134a, 134b)은 보안 시스템을 통합하여 부적합한 축조 재료가 3D 프린팅 시스템에서 사용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절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에는 칩 리더(도시하지 않음), 또는 MMS(106)의 본체 상의 다른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보안 메모리 칩이 마련되어, 설치되어 있는 모든 교체 공급 탱크(카트리지)(114a, 114b)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칩 리더는 소스 컨테이너 연결 유닛(134a, 134b)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를 각각의 연결 유닛(134a, 134b)에 부착시에, 전기적 접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MMS(106)의 프로세싱 회로는 각각의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들)(114a, 114b)에서 결정되게 되는 축조 재료의 측정된 중량을 컨테이너의 보안 메모리 칩 상에 기록하여 그 값을 저장 및/또는 업데이트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트롤리 장전 프로세스의 마지막에서 새로운 축조 재료 공급 컨테이너(들)(114a, 114b)에 남아 있는 허가된 축조 재료의 양이 기록될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로부터의 미립자 축조 재료가 제조자에 의해 충전되는 양을 초과하여 회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예를 들어, 탱크 제조자의 허가된 새로운 축조 재료가 이전에 완전히 회수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의 경우에, 이는 만일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가 대안적인 새로운 축조 재료로 재충전되었다면 프린터 또는 프린트 품질을 손상시킬 수 있는 추가의 축조 재료의 회수를 방지한다.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의 보안 메모리 칩은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축조 재료의 재료 타입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재료 타입은 재료(예를 들어, 세라믹, 유리, 수지 등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료 관리 스테이션(106)은 MMS(106)에 의해 사용될 재료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비용착된 축조 재료, 예를 들어 분말-기반 재료들은 트롤리(102)를 거쳐서 3D 프린터(104)로부터 재료 관리 스테이션(106)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에, MMS(106)는 트롤리(102)로부터의 분말-기반 재료 및 프린트된 부품들과 같은 축조 재료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14a, 114b)와 같은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의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내부의 정적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재료 관리 스테이션(MMS)에 연결 가능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하기의 단락들은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의 특정 구조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의 구조체는 MMS(106) 내의 축조 재료의 추가 컨테이너, 예를 들어 회수된 재료 탱크(108) 내의 잠재적인 정적 축적의 영역 내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a, 114b) 각각은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 및 재료 진입 및 진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멍(206)을 포함한다. 각각의 소스 컨테이너(114)는 도 1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유닛(134a, 134b)과 같은 각각의 연결 유닛(202)을 수용할 수 있는 각각의 유출구 구조체(234)에 의해 MMS(106)의 본체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구 구조체(234)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카본 블랙일 수 있는 도전성 몰딩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임의의 이러한 적절한 몰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분말 유동과 관련되거나 또는 분말 유동을 향하는 유출구 구조체(234)의 부분은 이러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스크류 운동에 의해, 또는 많은 대안적인 고정 장치 중 하나에 의해 소스 컨테이너(114)로부터 삽입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소스 컨테이너(114)를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유출구 구조체(234)를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소스 컨테이너(114)의 저장소(210)의 상부 측면에서 구멍(20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 구조체(234)는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를 MMS(106)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202)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닛(202)은 분말과 같은 축조 재료가 MMS(106)와 소스 컨테이너(114)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내부 채널을 형성하는 튜브 본체(212)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컨테이너(114)의 저장소(210)의 상부 측면 상에 벤트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소스 컨테이너(114) 내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구 구조체(234)는 저장소(210)의 상부에서 유출구 개구부로부터 저장소(210)의 내부 바닥 근처까지 연장되어 소스 컨테이너(114)의 바닥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수집하는 내부 종방향 수집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수집 유닛은 유출구 구조체(234)에서 축조 재료를 유출구 개구부로 안내하며, 여기에서 축조 재료는 진공 힘에 의해 연결 유닛(202)의 튜브 본체(212) 내로 흡입될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이후 도면들과 관련하여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연결 유닛(202)에 대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유출구 구조체(234)와 연결되도록 연결 유닛(202)을 추가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어댑터(20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208)는 유출구 구조체(234)가 연결 유닛(202)의 하부측면의 형상에 일치하는 것을 보장한다.
연결 유닛(202)은 분말과 같은 축조 재료가 튜브(212)의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유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내부 채널을 형성하는 튜브 본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조 재료는 공기 압력에 의해 내부 채널을 통해서 이송될 수 있으며, 진공이 형성되어(예를 들어, 펌프를 이용하여) 분말을 튜브(212)를 통해 끌어당길 수 있어서, 흡입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3은 축조 재료 저장소(210)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와 같은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다른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저장소(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백일 수 있다. 컨테이너(214)는 예를 들어 저장소(210) 둘레에 보강 구조체(223)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소(2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보강 구조체(223)에 부착되거나 점착될 수 있다. 보강 구조체(223)는 예를 들어 판지로부터 제조된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백은 박스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박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는 일회용 또는 교체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몰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유출구 구조체는 박스 및/또는 백에 결합될 수도 있다. 박스는 예를 들어 유출구 구조체가 제거된다면 찌부러질 수 있다.
저장소(210)는 적어도 하나의 상대적으로 직립 벽의 상부 섹션과, 깔때기 형상의 하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직립 섹션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벽은 컨테이너(114a, 114b)의 직립이며 펼쳐지지 않고 충전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수직방향 측면 벽은 적어도 하나의 둥근 벽일 수 있거나, 평면도(도시하지 않음)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 또는 둥근 코너를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많은 체적의 축조 재료를 용이하게 저장하도록 4개의 측면 벽을 갖는 직사각형 버전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소스 컨테이너(114)는 상부 부분(205) 및 하부 부분(207)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부 부분(205)은 비수렴의,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립인 벽(219)을 포함하며, 컨테이너(114)의 높이(H)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컨테이너(114)는 상부 측면에 유출구 개구부(231)를 갖는 유출구 구조체(234)를 포함하여, 축조 재료가 상부 측면(215)으로부터 저장소(210)를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한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진공 흡입에 의해 저장소(210)로부터 축조 재료를 회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진공 소스 또는 펌프와 같은 압력 유닛일 수 있는 외부 연결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2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부분(207)은 중력 및/또는 압력 유닛에 의해 발생된 압력의 영향 하에서 저장소(210)의 바닥(209)에서 중심 수집 영역을 향하여 축조 재료를 안내하도록 깔때기를 이룬다. 깔때기는 경사진 수렴 벽(2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구조체(234)는 저장소(210)의 바닥(209)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수집하기 위해 저장소(210)의 상부(215) 근처의 유출구 개구부(231)로부터 바닥(209)까지 연장되어 있는 내부 종방향 수집 유닛(217)을 포함한다. 수집 유닛(217)은 유출구 구조체(234)의 고정된 또는 탈착 가능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집 유닛(217)은 바닥(209)에서 수집 영역으로부터의 축조 재료를 수집하고 그리고 상부(215)에서 유출구 개구부(231)를 통해 나오는 축조 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유닛(217)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튜브 형상이다. 튜브 형상 유닛은 상부(215)에서 유출구 개구부(231)로부터 저장소(210)의 중앙 바닥(20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수집 유닛(217)은 비수렴의, 예를 들어 직립의 상부 부분(205)을 따라 그리고 깔때기(207) 내로 연장되어, 깔때기(207)의 바닥(209)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수집한다. 수집 유닛(217)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강성 튜브 또는 가요성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유닛(217)은 그 튜브를 통한 진공 흡인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구 구조체(234)의 어댑터 부분(208)은, 가압 유닛이 유출구 구조체(234)에 연결되고 스위치 온될 때, 축조 재료(그리고 공기) 유동이 상방 방향(F)에서 튜브를 통해 설정되도록, 적층 가공 장치의 가압 유닛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컨테이너(114)는 진공 흡인 동안에 저장소(210) 내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출구 구조체(234) 옆에 상부 벽(215) 내에 스루풋 구조체(235)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소(2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며, 이에 의해 상기 진공 흡인 동안에, 특정 벽 부분들은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및/또는 진동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유닛은 예를 들어 저장소(210)를 충전할 때 저장소(210)에 양압을 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벽들은 이러한 양압 하에서 편리하게 굽혀지고 및/또는 진동하여, 축조 재료의 적절한 충전 및 혼합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소(210)는 약 5 리터와 약 60 리터 사이, 예를 들어 약 15 리터와 약 45 리터 사이의 내부 체적을 가지며, 튜브는 유출구 개구부(231)와 원위 단부(241) 사이에 약 40 ㎝와 약 65 ㎝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튜브는 약 10 ㎜와 약 70 ㎜ 사이, 예를 들어 약 25 ㎜와 약 60 ㎜ 사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축조 재료는 튜브의 원위 단부 부분(237)에서 튜브에 유입된다. 단부 부분(237)은 바닥(209) 근처로 연장되어 바닥(209)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추출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부분(237)은 단부(209)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튜브는 예를 들어 보강 구조체(223)에 추가하여 컨테이너(214)에 추가의 구조적인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단부 부분(237)은 적어도 하나의 흡인 개구부(239)를 포함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축조 재료가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부분(237)은 다수의 이러한 흡인 개구부(239)가 그 사이로 연장되는 나사들 또는 표면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부분(237)은 바람직하지 않은 입자가 수집 시스템에 제공되는 것을 제한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의 단부 부분(237)은 측방향 흡입 개구부(239)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작동시에, 축조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L)에서 튜브(233)에 유입된다. 단부 부분(237)은 또한 캡 또는 나사와 같은 원위 단부 구조체(2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위 단부 구조체(241)는 저장소 바닥(209)과 맞물린다. 측방향 개구부(239)는 원위 단부 구조체(241)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그 결과 작동시에 축조 재료는 원위 단부 구조체(241) 위의 측방향으로 튜브(233) 내로 유입된다. 원위 단부 구조체(241)는 바닥 벽 부분이 흡인 개구부(239)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내의 축조 재료의 미립자 물질의 이동 동안에, 미립자 물질 사이의 연속적인 마찰력으로 인해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찰력은 또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구조체와 미립자 물질 사이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려사항은 또한 MMS(106) 내의 다른 곳의 미립자 물질의 이동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와 관련하여 특정 개시가 이뤄졌지만,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컨테이너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동일하게 개시된 접근법이 MMS(106)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분말이 고속으로 이동하고 마찰로 인한 정전기 발생이 마찬가지로 야기되는 MMS(106)의 임의의 부분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유출구 구조체(234), 또는 연결 유닛(202) 내와 같은 임의의 분말 유동 안내 구성부품일 수 있다.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MMS(106) 또는 안내 구성부품의 이러한 부분들은 전기 방전 경로를 제공하도록 접지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말 유동 구성부품을 따라서 컨테이너를 접지시키는 도전성 재료는 튜브(233)의 일부분이거나, 또는 튜브(233)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유입구 개구부 근방으로부터 구멍(206)까지이다. 적합한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입자,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코팅, 필름, 배선, 코일 등을 갖는 플라스틱 화합물을 포함한다. 도전성 재료를 갖는 축조 재료 컨테이너는 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예시적인 축조 재료 컨테이너의 예시적인 유출구 구조체(234)의 어댑터 부분, 및 가압 유닛(259)과 같은 관련 연결 유닛(202)을 통한 MMS(106)에 대한 전방 연결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유출구 구조체(234)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유출구 구조체(234)와 관련된 외부 가압 유닛(259)의 단부 부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구조체(234)는 연결 유닛(202)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208)를 포함한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출구 튜브(233)를 거쳐서 저장소의 내부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그 중앙에 유출구 개구부(231)를 포함하며, 유출구 튜브(233)는 어댑터(208)의 바닥으로부터 저장소 내로 저장소 바닥(209)까지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208)는 튜브(233)보다 넓다. 어댑터(208)는 어댑터(208)의 인터페이스 면(263)의 외부 에지(261)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직립 벽(257)을 포함한다. 직립 벽(257)은 원주방향 벽일 수 있다. 직립 벽(257)은 대응하는 가압 유닛(259)을 상호연결부 내로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튜브(233)는 가압 주둥이(273)를 유출구 구조체(234) 내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안내 특징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직립 벽(257)은 가압 유닛 어댑터(275)를 유출구 구조체(234) 내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안내 특징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직립 벽(257)은 공기/축조 재료 유동 방향(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직립 벽(257)은 예를 들어 압력 유닛(259)의 어댑터(275)와의 어느 정도의 마찰 끼워맞춤을 제공하기 위해서 대응하는 가압 유닛(259)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 어댑터(208)는 인터페이스 면(263)을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면(263)은 환형일 수 있으며, 공기/축조 재료 유동 방향(A)에 수직인 유출구 개구부(231) 둘레로, 유출구 개구부(231)와 직립 벽(257)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부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인터페이스 면(263)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구 구조체(234)로의 가압 유닛의 안내 및 결합을 돕기 위해서, 제 3 안내 특징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디지털 상호연결 포켓(268)과 같은 특정의 추가 안내 특징부가 인터페이스 면(263)에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 어댑터(208)는 인터페이스 면(263) 내의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특징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연결 특징부는 자성이 있을 수 있다. 자성의 상호연결 특징부(255)는, 외부 연결 유닛(202)의 어댑터(275) 내의 대응하는 자성 요소에 끌어당기기 위해 자성 금속 또는 자석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호연결 특징부(255)는 환형 인터페이스 면(263)에 노출될 수 있고 및/또는 환형 인터페이스 면(26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면(263) 상의 자성 상호연결부(255)는 일단 각각의 자성 요소(283)가 유출구 어댑터(208)의 자성 상호연결부(255)에 근접하면 연결 유닛 어댑터(275)를 끌어당겨 최종 상호연결 이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자성 안내 특징부(255)는 주둥이(273)를 최종 상호연결된 상태로 끌어당기며, 이에 의해 자기 안내 특징부(255)의 당김력은 유출구 구조체(234)와 주둥이(273)가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작업자에게 피드백시킬 수 있다. 자기 인력은 또한 상호연결된 주둥이(273)와 유출구 구조체(234)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주둥이(273)와 어댑터(208) 사이의 상호연결부는 가압 유닛으로서의 연결 유닛(202)이 스위치 온될 때 진공 흡인력에 의해 또한 유지될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234)의 다른 안내 특징부는 돌출부, 레일, 노치 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호연결 구조체의 수형 요소 또는 암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릭 핑거, 래치, 노치, 마찰 끼워맞춤 요소 등과 같은 유지 특징부는 가압 유닛을 래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압 유닛이 턴 온되지 않았을 때 어댑터 및 가압 유닛은 예를 들어 후킹, 래칭, 마찰 등에 의해 결합된 채로 유지된다. 즉, 상호연결 특징부(255)는 예를 들어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잘 작동될 수 있는 강건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출구 어댑터(208)는 센서 액티베이터(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티베이터(265)는 인터페이스 면(263)으로부터 돌출되어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 유닛(202)의 센서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어댑터(208)는 데이터 인터페이스(267)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면(263)의 포켓(268) 내에서 인터페이스 면(263)에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267) 자체는 메모리 칩, 마이크로컨트롤러, 집적 회로, 스마트 칩 등의 접촉 패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267)는 연결 유닛(202)의 어댑터(275) 상에 마련된 대응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287)에 연결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전기적 도전성 부분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면(263)은 어댑터의 절연성 플라스틱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 구조체(234)는 유출구 개구부(231)를 커버하기 위한 밸브(2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269)는 튜브(233)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269)는 가압 유닛(259)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분말 먼지와 같은 축조 재료가 저장소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69)는 (ⅰ) 연결 유닛(202)에 의한 유출구 구조체(234) 상으로의 충분한 압력, 및 (ⅱ) 유출구 구조체(234)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이에 의해 밸브(269)를 밀어서 개방시키는 외부 어댑터 튜브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개방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269)는 예를 들어 4개의 가요성 필름의 가요성 필름 밸브이며, 각 필름은 원의 ¼을 형성하며 튜브(233)의 내부 벽으로부터 돌출된다. 필름 밸브(269B)는 주둥이(273)의 삽입에 의해 개방되고, 주둥이(273)가 유출구 구조체(234)로부터 철회될 때 폐쇄 위치로 다시 굴곡된다.
유출구 어댑터(208)는 튜브(233)의 내부 벽으로부터 상방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핑거(2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271)는, 연결 유닛(202) 내의 대응하는 밸브를 푸시-개방하기 위해서 우선 내부 벽으로부터 돌출되며, 다음에 유출구 개구부(231)를 향해 상방을 향한다.
주둥이(273)는 주둥이(273)가 진공 흡인 방향(A)에 대향하는 삽입 방향(I)에서 튜브(233) 내로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튜브(23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부 벽 직경을 갖는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주둥이(273)는 튜브(233)의 상부 부분 내로 어느 정도 삽입시키기 위해서 튜브(233)보다 짧다. 주둥이(273)는 튜브(233)에 끼워맞춰져서 저장소(203)로부터의 축조 재료를 흡인하면서 주둥이(273)의 외부 벽과 튜브(233)의 내부 벽 사이에 축조 재료가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 끼워맞춤은 주둥이(273)와 튜브(2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279)는 예를 들어 가압 유닛(연결 유닛)(202)이 턴 오프될 때 주둥이(273)를 폐쇄하도록 주둥이(273)에 마련될 수 있다. 폐쇄된 밸브(279)는 진공이 턴 오프될 때 축조 재료가 주둥이(273)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주둥이 밸브(279)는 둥근 스위블 밸브이며, 그 외경은 주둥이의 내경과 일치한다. 밸브(279)는 주둥이(273)의 원위 단부에서 유입구 개구부(281) 근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유출구 튜브(233) 내의 핑거(271)는 튜브(233) 내에 주둥이(273)의 삽입시에 밸브(279)와 맞물림으로써, 이에 의해 밸브(279)를 푸시-개방하여 축조 재료가 주둥이(279) 내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유출구 튜브(233) 내의 다른 밸브(269, 269B)는 주둥이(273)에 의해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유닛(259)의 어댑터(275)는 주둥이(273)와 유출구 구조체(234) 사이의 적절한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출구 어댑터(208)의 관련된 자성 상호연결 특징부(255)를 끌어당기도록 자성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특징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유닛(259)이 스위치 온될 때, 진공 자체는 주둥이(273) 및 유출구 구조체(234)를 상호연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어댑터(275)는 유출구 어댑터(251)의 돌출부(265)를 감지하는 센서 회로(28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회로(285)는 예를 들어 가압 유닛(259)을 스위치 온하고 및/또는 가압 유닛(259) 내부의 추가의 내부 밸브 유닛을 개방하도록 적절한 상호연결이 확립된 것을 가압 유닛(259) 또는 적층 가공 장치의 제어기 또는 서보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압 유닛(259)은 축조 재료 컨테이너(114)와의 적절한 기계적 및 전기적 상호연결 동안에 스위치 온된다. 가압 유닛 어댑터(275)는 유출구 어댑터(208)의 컨테이너 데이터 인터페이스(267)와 상호연결되는 호스트 데이터 인터페이스(2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287)는 인증 데이터 및 축조 재료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데이터 인터페이스(267)로부터 수신된 이송 데이터를 가압 유닛(259) 또는 적층 가공 장치의 제어기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는 판독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테이너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유닛(259)은 인증이 확립되면 스위치 온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맞물림 돌출부(265)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267) 양자는 가압 유닛(259)을 스위치 온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상호연결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 상호연결 특징부(255)는 어댑터(208)를 소스 컨테이너의 나머지, 또는 유출구 구조체(234)에 위치시키거나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와 같은 고정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요소(255)는 가압 유닛(259)의 자기 요소에 연결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류(255)는 (ⅰ) 고정 요소, (ⅱ) 자기 안내 특징부, 및 (ⅲ) 접지 연결부 또는 그 이상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로서 작용한다. 고정 및/또는 자기 요소(255)가 집지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가압 유닛(259)의 주둥이(273)는 예를 들어 축조 재료(예를 들어, 분말)가 유동하는 동안에 컨테이너의 유출구 구조체(234)를 방전시키도록 접지에 연결된 대응하는 도전성 및/또는 자성 상호연결 특징부(283)를 구비할 수 있다.
축조 재료 수집 튜브(233)는 그 원위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축조 재료 진공 흡인 개구부(239)를 갖는 단부 부분(237)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시에, 튜브(233)는 저장소의 바닥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수집하기 위해 축조 재료 저장소 내로 연장될 수 있다. 튜브(233)는 그 원위 단부에서 어댑터(208)에 연결되어 외부 가압 유닛(259)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 튜브(233)는 공기 채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공기 채널은 튜브(23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공기 채널은 주위 공기와 연통되는 근위 개구부와, 예를 들어 저장소 내의 바닥 축조 재료 수집 영역 근처에서 저장소의 내측과 연통되는 원위 개구부를 포함한다. 공기 채널은 예를 들어 바닥(209) 부근의 배기에 도움을 주는 것과 같이 바닥(209)으로부터 축조 재료를 쉽게 수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기 채널은 튜브(233)와 일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기 채널은 튜브(233)의 진공 채널에 인접하여 튜브(233) 내의 진공 패널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채널(253)은 튜브(233) 내의 진공 채널에 동심으로, 즉 진공 채널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로 연장되며, 이에 의해 튜브(233)는 중심축 둘레에 2개의 동심 관형 벽을 포함한다.
유출구 구조체(234)의 내부 벽들은 컨테이너(114) 밖으로 축조 재료를 가압 유닛(259)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조 재료의 진공 흡인 동안에, 축조 재료는 원위 유입구 개구부(239), 튜브(233)의 내부 벽, 및 어댑터(208)의 개구부(231) 및 원통형 내부 벽을 따라 컨테이너(114)를 벗어나 유동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축조 재료는 튜브(233)로부터 가압 유닛(259)의 주둥이(273) 내로 직접 유동하며, 이에 의해 어댑터(208)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수집 사건 동안에 축조 재료가 따라서 유동하는 컨테이너(114)의 이들 구성요소는 접지를 위한 도전성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위 단부 부분(237), 튜브(233) 및/또는 어댑터(208)와 같은 부분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의 재료는 도전성 입자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금속은 알루미늄이나, 또는 알루미늄 및/또는 다른 금속을 함유하는 임의의 합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축조 재료가 따라서 유동하는 상기 구성요소에 코팅이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구 튜브(233)는 도전성으로 제조되며, 이에 의해 상호연결 동안에 튜브(233)와 외부 튜브 주둥이(273) 사이에 접지 연결이 이뤄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20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며, 그 결과 축조 재료가 튜브(233)를 통해 유동할 때 튜브(233)로부터 수용되는 전하는 어댑터(208)에 의해 도전될 수 있다. 어댑터(208)는 가압 유닛 주둥이(273)에 연결됨으로써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유닛(259)의 접지 연결부에 대한 연결은 상호연결 특징부(455)와 같은 어댑터(208) 내의 추가의 도전성 구성요소에 의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도 5의 가압 유닛(259)과 같은 연결 유닛(20)의 도전성 요소를 통해서 MMS(106)의 접지된 부분에 도전성 방전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닛(202)은 연결 유닛(20)의 튜브 본체(212)의 길이를 따라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는 연장 도체(2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닛(202)을 위한 정전기 방전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체(204)는 튜브 본체(212)를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길다란 도체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으며, 튜브 본체(2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도체(204)는 튜브 본체의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캡슐화될 수 있어서, 도체(204)는 연결 유닛(202) 내에서 절연된다. 유닛(202)의 본체는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체(204)는 예를 들어 유닛(202) 주위에서 나선형으로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유닛(202)의 제 1 및 제 2 단부는 도체(204)를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해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는 도체(204)의 연결부 상에서 튜브(202)의 제 1 단부에서 주름지게 형성되지만, 다른 연결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체(204)와 연결 와이어 사이의 연결부는 전기적 절연 커버링으로 커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 연결 유닛(202) 및 어댑터(208)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각각의 일부분을 도전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은 비용 및 제조상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의 사용은 소스 컨테이너(114), 어댑터(208) 또는 연결 유닛(202)의 부분들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이동 분말 재료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마찰이 발생하기 쉬운 이들 부분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댑터 및 연결 유닛과 같은 도전성 부품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별개의 인터커넥터(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 사용될 수 없다. 그러나, 인터커넥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를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도전성 재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8)로부터 소스 컨테이너(114) 내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튜브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체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집 유닛(202)의 튜브 본체(212)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의 나머지는 대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재료는 재료의 원가 또는 관련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는 어댑터(208)를 커버하거나 또는 어댑터(208)에 부착되는 도전성 필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어댑터(208)의 특정 표면은 예를 들어 빠르게 이동하는 재료 - 주로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과 같이 덮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컨테이너(114)의 이러한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도전성 재료의 부분은 도전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전성 재료의 이러한 부분은 코팅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사용된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도전성 플라스틱은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화합물일 수 있다. 다른 예들은 이들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금속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플라스틱은 다른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보다 가볍고 저렴할 수 있다. 적절한 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탄소, 니켈, 스테인리스 강 또는 그래파이트 충전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된 충전제는 탄소 섬유, 나노 섬유 또는 금속 섬유이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재료는 전기적 도전성이고 컨테이너의 특정 부분에 대해 적절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재료이다. 유출구 구조체의 부분들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전성 재료는 탄소 또는 대체 도전성 첨가제가 플라스틱에 혼합된 몰딩 플라스틱 성분을 포함한다. 도전성 재료는 축조 재료 유동 경로를 향하는 유출구 구조체의 부분들로 제한될 수 있거나, 실질적으로 전체 유출구 구조체를 포함하거나 커버할 수 있다. 예시적인 도전성 재료는 1×103 내지 1×105 Ω/㎡의 표면 저항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1×105 내지 1×109 Ω/㎡의 표면 저항을 갖는 소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1×109 내지 1×1012 Ω/㎡의 표면 저항을 갖는 적절한 정전기 방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재료는 금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233)는 예를 들어 압출된 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유닛(259)과 같은 연결 유닛(202)과 MMS(106) 사이의 연결부, 일 실시예에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구조체(234), 및 형성된 전기 방전 경로를 보다 상세화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연결 유닛(202)을 유출구 구조체(234)에 연결하기 위해, 연결 유닛(202)의 튜브 형상 주둥이(273)는, 연결 유닛 어댑터(275)의 베이스가 소스 컨테이너의 유출구 어댑터(208)의 상부 측면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까지 컨테이너 유닛의 유출구 어댑터(208)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위치설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둥이(273)를 튜브(233) 내측에 끼워맞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 끼워맞춤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어댑터(208, 275)는 연결 유닛 어댑터(275)를 소스 컨테이너(114)의 어댑터(208)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자기 요소(255, 283) 또는 다른 타입의 인터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인터커넥터는 각각의 어댑터 내의 원통형 분말 유동 채널 둘레의 각각의 어댑터(208, 275)의 환상 인터페이스 면에 노출되거나 또는 환상 인터페이스 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커넥터(283)는 어댑터(208)를 튜브에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고 그리고 전기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기능을 한다. 상호연결된 상태에서, 인터커넥터는, 소스 컨테이너 어댑터(208) 및 유출구 튜브(233)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 포함된 도전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소스 컨테이너(114)의 도전성 재료 부분들 사이에 연속적인 도전성 경로를 제공하며, 이 경로는 MMS(106)의 접지된 부분으로 계속된다. 연결 요소들이 특정 거리 내에 있게 되면, 그 사이의 자기력은 상호연결 부분(283)을 접촉시키며,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자기력은 연결 유닛(202)과 축조 자기 컨테이너(114) 사이의 연결부를 고정시키며,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커넥터 삽입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인터커넥터는 유지력에 추가하여 접지 접촉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인터커넥터 요소들은 저렴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스크류 또는 자석과 같은 금속 고정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 또는 요소들이 적절한 자기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연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인터페이스(287)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인터페이스(287)는 어댑터 또는 유출구 구조체의 도전성 부분으로부터 완전히 절연되지 않을 것이다. 어댑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연결 유닛에 대한 상향 연결이 연결 유닛의 도전성 부분과 전기적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일부의 경우에 별도의 인터커넥터 요소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를 위한 접지 연결부는 연결 유닛(202)과 소스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구조체(234) 사이의 연결부를 통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경로는 예를 들어 어댑터(208, 275) 각각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요소를 통해서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연결 유닛 어댑터(275) 및 유출구 어댑터(208)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 튜브(212)를 통해 MMS(106)를 향해 도전 와이어(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소스 컨테이너를 도전성 와이어 또는 튜브의 다른 도전성 양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많은 대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 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축조 재료를 MMS(208)에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결 유닛(202)의 주둥이(273)를 소스 컨테이너(214)에 연결하는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더 이상의 조치없이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닛(202) 및 유출구 구조체(234)는 예를 들어 주둥이(273)의 적절한 회전을 야기하는 자석의 작용에 의해 전기적 접속을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컨테이너(214)의 도전성 부분은 내부 및 외부 튜브(217, 212)를 각각 결합할 때 항상 전기 접속이 이뤄지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광범위하다. 따라서, 연속적인 정전 방전 경로는 소스 컨테이너(114)의 도전성 재료 부분을 통해 MMS(106)의 접지된 부분에 제공된다.
연결 유닛(202)의 어댑터(275)는 컨테이너(114)에 자기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될 때 핸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114)의 유출구 구조체(234)로부터 멀리 있는 방향으로 핸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언제든지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것은 공급부의 흡입 시스템에서 전기 접지를 보장하기 위해 저렴하고 안전하며 견고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3D 프린터의 MMS(106)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와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스 컨테이너는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벽과, 축조 재료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멍을 구비하며, 연결 유닛의 제 1 단부는 소스 컨테이너로부터의 분말 재료를 이송하기 위해서 소스 컨테이너의 구멍에 연결 가능하다.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유닛은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를 재료 관리 스테이션의 접지된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전기적 도전성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유닛은 축조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튜브 형상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의 전기적 도전성 부분은 튜브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된 기다란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MMS(206)는 튜브 본체의 제 1 단부에 위치되며 튜브를 안내하기 위해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연결 단자와, 분말 재료 공급 탱크로부터 접지로의 전방 연결을 제공하도록 튜브의 제 2 단부에 위치된 제 2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모든 첨부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모든 특징부는 이러한 특징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모든 첨부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각각의 특징부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동등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수행하는 대체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각각의 특징부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징의 일반적인 시리즈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교시는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모든 첨부 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 포함)에 개시된 특징부)에 개시된 특징부의 임의의 신규한 조합이 예상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단지 전술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임의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1)

  1. 3차원(3D) 프린터의 재료 관리 스테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로서, 상기 소스 컨테이너는 축조 재료를 보지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축조 재료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구멍을 구비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며; 및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도전성 재료 부분은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내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도록 접지에 연결 가능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소스 컨테이너로부터 축조 재료를 추출하기 위한 연결 유닛에 연결 가능한 유출구 구조체의 일부분인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구조체는 상기 연결 유닛의 제 1 단부 부분에 결합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전기적 도전성 부분을 상기 연결 유닛의 전기적 도전성 부분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도전성 인터커넥터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에 연결될 때 상기 어댑터는 정전기 방전 경로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인터커넥터는 또한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에 상기 어댑터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인터커넥터는 상기 어댑터를 상기 연결 유닛의 제 1 단부 부분에 연결시키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며; 및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유출구 구조체의 일부분은 상기 연결 유닛의 전기적 도전성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를 접지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상기 어댑터는 상기 연결 유닛의 단부 부분에 배치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전성 인터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전성 인터커넥터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도전성 인터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댑터를 연결 유닛의 단부 부분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도전성 인터커넥터 중 다른 하나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자성을 갖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 2 어댑터 내에 마련된 대응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및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도전성 재료 부분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전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적 도전성 재료는 상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의 구성요소에 적용된 도전성 플라스틱, 도전성 필름 또는 코팅, 배선 또는 다른 회로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기 도전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컨테이너의 축조 재료 유출 경로를 형성하는 유출구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구조체는 구멍으로 멀리 있는 컨테이너의 일부분으로부터의 축조 재료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구멍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폐쇄된 공간 내로 연장되는 내부 튜브를 포함하는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14. 3D 프린터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용 유출구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 연결 유닛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및
    축조 재료가 상기 연결 유닛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유출구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유출구 구조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축조 재료를 수집하고 그리고 상기 축조 재료를 유출구 구멍으로 안내하도록 컨테이너 내로 연장되는 내부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전기적 도전성 재료는 전하를 전도하기 위한 도전성 입자를 갖는 플라스틱 화합물, 또는 전기적 도전성 코팅 또는 필름으로 코팅되거나 커버된 플라스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출구 구조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인터커넥터는 유출구 구조체의 나머지에 대해서 연결 유닛을 위치시키기 위해 유출구 구멍 둘레의 인터페이스 표면 상에 노출된 인터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커넥터는 상기 연결 유닛 상의 대응하는 도전성 요소와 접촉하는 것인
    유출구 구조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외부 가압 유닛을 통해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출구 구조체를 외부 가압 유닛에 결합하여 상기 컨테이너로부터의 축조 재료를 흡입하는
    유출구 구조체.
  18. 제 14 항에 기재된 유출구 구조체를 보지하는 찌부러질 수 있는 저장소를 갖는 교체 가능한 또는 일회용 3D 분말 컨테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내부 튜브가 유출구 구멍으로부터 저장소 내로 연장되어 있는
    교체 가능한 또는 일회용 3D 분말 컨테이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분말 유출 경로를 형성하는 유출구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기적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교체 가능한 또는 일회용 3D 분말 컨테이너.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3D 분말 컨테이너는 저장소를 형성하는 가요성 백과, 상기 백을 지지하는 보강 구조체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또는 일회용 3D 분말 컨테이너.
KR1020187021804A 2016-05-12 2016-05-12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KR20180099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60661 WO2017194112A1 (en) 2016-05-12 2016-05-12 A build material source contai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858A Division KR102229767B1 (ko) 2016-05-12 2016-05-12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806A true KR20180099806A (ko) 2018-09-05

Family

ID=559672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804A KR20180099806A (ko) 2016-05-12 2016-05-12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KR1020207031858A KR102229767B1 (ko) 2016-05-12 2016-05-12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858A KR102229767B1 (ko) 2016-05-12 2016-05-12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23076B2 (ko)
EP (1) EP3455051B1 (ko)
JP (1) JP6740358B2 (ko)
KR (2) KR20180099806A (ko)
CN (1) CN108602256B (ko)
BR (1) BR112018015091A2 (ko)
WO (1) WO2017194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6724A1 (en) * 2016-05-12 2018-10-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units for build material identification in additive manufacturing
EP3330062B1 (de) * 2016-11-30 2022-02-09 Ivoclar Vivadent AG Materialbereitstellungsvorrichtung für ein stereolithographiegerät
CN109834934A (zh) * 2017-11-29 2019-06-04 香港纺织及成衣研发中心有限公司 用于3d打印机的水平控制交错打印系统
US20200139695A1 (en) * 2018-03-07 2020-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ly station for object post-processing
US11534963B2 (en) * 2018-03-27 2022-12-27 Freemelt Ab Radiation method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0046318A1 (en) * 2018-08-30 2020-03-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with mating interface
CN111515339B (zh) * 2020-01-16 2021-08-17 共享智能铸造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3d打印设备
DE102021119306A1 (de) * 2021-07-26 2023-01-26 One Click Metal GmbH Anschluss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Kartuschenbehälters und zur Positionierung in einer Anlage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Bauteil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0983A (en) 1969-12-03 1971-05-25 Nat Catheter Corp Conductive line tube
US3640276A (en) * 1970-01-09 1972-02-08 Allis Chalmers Mfg Co Apparatus for making intravenous or intra-arterial injections
US4182386A (en) 1977-11-30 1980-01-08 Semi-Bulk Systems, Inc. Closed system and container for dust free loading and unloading of powdered materials
JPS6213897A (ja) 1985-07-12 1987-01-22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管フランジ
DE4431046B4 (de) * 1994-09-01 2005-12-29 Empac Verpackungs-Gmbh Kunststoffverpackungsbehälter mit verbesserter elektrostatischer Ableitfähigkeit
US5931510A (en) 1997-06-17 1999-08-03 Teleflex Incorporated Hose end fitting assembly
US5853202A (en) 1997-06-17 1998-12-29 Teleflex Incorporated Hose end fitting assembly
US6283320B1 (en) * 2000-12-20 2001-09-04 Roger Patch Conductive plastic container for volatile liquids
CA2460447A1 (en) 2001-09-27 2003-04-03 Z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printer
DE50301272D1 (de) * 2002-04-23 2006-02-09 Mauser Werke Gmbh & Co Kg Kunststoffbehälter mit elektrischer ableitfähigkeit
EP1574455A1 (de) * 2004-03-12 2005-09-14 Visval AG Entleerungsvorrichtung für einen Schüttgutbehälter und Schüttgutbehälter
JP4854343B2 (ja) 2006-03-10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粉体貯留ユニット、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06020447B4 (de) * 2006-05-03 2008-01-31 Sotralentz Packaging S.A.S. Absperrorgan für einen Behälter, insbesondere Palettenbehälter
EP2450177B1 (en) * 2006-05-26 2013-05-08 3D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materials in a 3-d printer
JP2008254816A (ja) 2007-03-31 2008-10-23 G Cartier Technologies 容器に流体を供給する際のエラーを回避する装置
DE102007029142A1 (de) * 2007-06-25 2009-01-02 3D-Micromac Ag Schichtauftragsvorrichtung zum elektrostatischen Schichtauftrag eines pulverförmigen Werkstoffes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es
ATE469843T1 (de) * 2007-06-28 2010-06-15 Daviplast Servicos De Consulto 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S20090277931A1 (en) * 2008-05-08 2009-11-12 Achim Philipp Zapp Wireless spout and system for free-and pre-measured dispensing
DE102011050131B3 (de) 2011-05-05 2012-08-16 Lpkf Laser & Electronic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allisierungen auf Kunststoffteilen
WO2013083609A1 (de) * 2011-12-09 2013-06-13 Basf Se Entnahmevorrichtung für ein pflanzenschutzmittel
US9050788B2 (en) * 2011-12-22 2015-06-09 Stratasys, Inc. Universal adapter for consumable assembly used with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CN105307955B (zh) * 2013-03-15 2018-02-13 特克斯恩有限责任公司 具有感应控制的柔性中型集装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2256A (zh) 2018-09-28
CN108602256B (zh) 2021-01-15
KR102229767B1 (ko) 2021-03-19
EP3455051B1 (en) 2022-03-30
US20190061250A1 (en) 2019-02-28
JP2019515811A (ja) 2019-06-13
BR112018015091A2 (pt) 2018-12-11
US10723076B2 (en) 2020-07-28
KR20200130483A (ko) 2020-11-18
EP3455051A1 (en) 2019-03-20
JP6740358B2 (ja) 2020-08-12
WO2017194112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767B1 (ko) 축조 재료 소스 컨테이너
US11364682B2 (en) Build material container
EP3389995B1 (en) Additive manufacturing particulate build material management station
US11110659B2 (en) Build material container, and collection tube structure
US10981332B2 (en) Additive manufacturing material management station
JP6659858B2 (ja) 造形材料容器
US10751941B2 (en) Build material container
KR102182752B1 (ko) 3d 프린팅된 물체의 언패킹
US20190084236A1 (en) Guard for oversized p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