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72A -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 Google Patents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172A
KR20180099172A KR1020170026258A KR20170026258A KR20180099172A KR 20180099172 A KR20180099172 A KR 20180099172A KR 1020170026258 A KR1020170026258 A KR 1020170026258A KR 20170026258 A KR20170026258 A KR 20170026258A KR 20180099172 A KR20180099172 A KR 20180099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spray liquid
terminal case
portab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172A/ko
Publication of KR2018009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9/00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 F41B9/0087Liquid ejecting guns, e.g. water pistols, devices ejecting electrically charged liquid jets, devices ejecting liquid jets by explosive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e.g. for self-defence, law-enforcement, industrial use, military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 케이스는, 휴대 단말을 장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내부에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 수용부; 상기 분사액 수용부로부터 상기 분사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분사액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MOBILE TERMINAL CASE FOR SELF PROTECTION}
본 발명은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형 호신용구가 구비된 휴대 단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범죄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일어나기 때문에 현대인들은 항상 신변의 위험을 느끼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돌발적인 상황에 대응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호신용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감전에 의한 일시적 충격을 주는 전기 충격기, 최루성이나 마취성 물질을 고압의 가스로 분사시켜 의식을 분산시키는 가스 분사기 또는 강한 빛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시력을 무력화시키는 플래시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호신용구들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거나, 가방 등에 넣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항상 휴대할 수 없고 실제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꺼내어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며, 대처가 늦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종래의 호신용구들이 권총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도 또는 절도범에게 호신용 장비의 사용이 인지되어 사용 효력을 극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호신용구가 구비된 휴대 단말 케이스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며 위급한 상황에서 호신용 스프레이를 즉시 분사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 단말 케이스는, 휴대 단말을 장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내부에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 수용부; 상기 분사액 수용부로부터 상기 분사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분사액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상기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출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카메라 렌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액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외부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고 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사액은 최루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 케이스에 호신용 스프레이를 장착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며, 위급한 상황에서 호신용 스프레이를 즉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 케이스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범죄자가 호신 용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휴대 단말 케이스에서 호신용 스프레이를 착탈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신용 스프레이의 분사 시 경고음 및 경고등이 출력되어, 주변에 구조를 요청함으로써 범죄자의 가해 행위를 막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케이스(100)는 하우징부(110), 분사액 수용부(120), 토출부(130) 및 버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의 일 면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을 장착 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고, 이 외에도 크기를 달리하여 태블릿 PC나 PDA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이 하우징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10)는 휴대 단말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서, 충격완화를 위한 우레탄, 합성 수지, 실리콘 및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액 수용부(120)는 내부에 분사액을 저장하여 하우징부(110)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액 수용부(120)는 하우징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액체 혹은 겔의 형태로 된 분사액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액은 바람직하게는, 최루액일 수 있다.
토출부(130)는 분사액 수용부(120)로부터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10)의 타 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일면 또는 측면에 통공으로 형성되어 분사액을 외부로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보고 있는 것과 유사한 상태에서 사용자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사액이 분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토출부(120)는 카메라 렌즈의 외관과 유사한 형태로 구현하여 범죄자가 방심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140)는 토출부(130) 및/또는 분사액 수용부(120)와 연통하여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140)는 하우징부(110)의 적어도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140)와 연결된 분사액 수용부(120) 및/또는 토출부(130)에 압력이 전달됨으로써, 분사액 수용부(120)에 저장된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사액을 분사하고자 의도하는 경우, 버튼부(140)를 신속하게 가압함으로써, 분사액을 분사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케이스(200)는 하우징부(210)에 분사액 수용부(220)를 착탈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210)의 적어도 일 면에는 분사액 수용부(220)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분사액 수용부(220)를 착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케이스(200)의 분사액 수용부(220)는 결합부(212) 상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구현되어 분사액 수용부(220)를 하우징부(210)에 쉽게 장착하거나, 하우징부(210)로부터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분사액 수용부(220)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액이 모두 소진된 이후 새로운 분사액 수용부(220)를 하우징부(210)에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분사액 수용부(220)는 분사액을 리필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2b에는 하우징부(210)의 결합부(212)와 분사액 수용부(220)가 각각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부(210)의 결합부(212) 및 분사액 수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액 수용부(220)는 토출부(230) 및 버튼부 (2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액 수용부(220)의 다른 일 영역에 토출부(230) 및 버튼부(240)가 서로 연계되도록 형성되어 버튼부(240)를 가압함으로써, 분사액 수용부(220)에 저장된 분사액을 토출부(230)를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2b에서 동일한 구성을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로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2b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케이스(300)는 적어도 하나의 경보 발생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 발생부(350)는 버튼부(240)의 작동에 따라, 외부로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 발생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352) 및/또는 후레쉬(35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210)의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스피커(352) 및/또는 후레쉬(354)를 장착할 수 있으며, 버튼부(240)의 작동에 의해 분사액이 외부로 분사되는 경우, 경고음 및/또는 경고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의를 환기시킴과 동시에 주변에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이 장착된 휴대 단말 케이스(300)를 사용하다가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케이스(300)를 범죄자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다음, 버튼부(24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사액 수용부(220)에 저장된 분사액이 토출부(230)를 거쳐 사용자와 대향하는 외부로 분사됨으로써, 사용자는 범죄자 등을 퇴치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분사액이 외부로 분사될 경우, 휴대 단말 케이스(300)의 일 영역에 구비된 스피커(352) 및/또는 후레쉬(354)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여 경고음 및/또는 경고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 휴대 단말 케이스 110, 210 하우징부
120, 220 분사액 수용부 130, 230 토출부
140, 240 버튼부 212 결합부
350 경고 발생부 352 스피커
354 후레쉬

Claims (6)

  1.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 단말을 장착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내부에 분사액을 수용하는 분사액 수용부;
    상기 분사액 수용부로부터 상기 분사액이 분사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 및 상기 분사액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되어, 상기 분사액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버튼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카메라 렌즈의 형태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액 수용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 단말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작동에 따라, 외부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는 경고음 및 경고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액은 최루액인, 휴대 단말 케이스.
KR1020170026258A 2017-02-28 2017-02-28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KR20180099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58A KR20180099172A (ko) 2017-02-28 2017-02-28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58A KR20180099172A (ko) 2017-02-28 2017-02-28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72A true KR20180099172A (ko) 2018-09-05

Family

ID=6359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58A KR20180099172A (ko) 2017-02-28 2017-02-28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1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2184A1 (en) Emergency personal protection system integrated with mobile devices
KR100986421B1 (ko) 복합기능 방범 및 호신 장치
KR102133947B1 (ko) 방범 및 호신용 안전방패
US9698590B1 (en) Personal electronic injury protection device
KR20180099172A (ko) 호신용 휴대 단말 케이스
JP2016050703A (ja) 護身ユニット及び護身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US20200217625A1 (en) Smart personal safety device
KR102133412B1 (ko) 휴대용 접이식 드론
KR20140053486A (ko) 휴대폰 케이스용 범죄 예방장치
US10605575B2 (en) Self-defense devi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60119033A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20180061780A (ko) 호신용 스프레이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30303237A1 (en) Electric shocker
KR200344627Y1 (ko) 휴대용 호신 경보기
KR102464987B1 (ko) 칸막이 겸용 호신용 안전방패
KR20170095427A (ko) 호신용 경보 분사 장치
KR100751491B1 (ko) 호신용 반지
KR20210068695A (ko) 호신 장치 겸용 보조 배터리
KR20110013880A (ko) 휴대용 호신용구
KR101615958B1 (ko) 모바일 단말 케이스
KR101550134B1 (ko) 호신용 스프레이가 구비된 도난방지 가방용 리모컨
KR20160063189A (ko) 휴대폰용 호신장치
KR101675526B1 (ko) 최루가스 분사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이어캡
KR20110042783A (ko) 가스총 기능을 갖는 호신용 경보기
KR101341381B1 (ko) 호신용 음파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