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081A - 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081A
KR20180098081A KR1020170025089A KR20170025089A KR20180098081A KR 20180098081 A KR20180098081 A KR 20180098081A KR 1020170025089 A KR1020170025089 A KR 1020170025089A KR 20170025089 A KR20170025089 A KR 20170025089A KR 20180098081 A KR20180098081 A KR 2018009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hield
protrusion
fastening
inser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391B1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7002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의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여러 장의 카드를 결합하여 블럭놀이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변신 완구용 변신 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드 조립체 {Card assembly}
본 발명은 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의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카드가 헤지거나 구겨지지 않고, 내부에 자성체를 내장함으로써 자석에 부착될 수 있으며, 여러 장의 카드를 결합하여 블럭놀이도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두꺼운 종이에 숫자, 문양, 캐릭터 등을 인쇄한 것으로서 다양한 놀이에 이용되어 왔다.
근래에 들어서 어린이들의 변신 완구와 카드가 결합하여, 카드의 접촉에 의해 변신 완구의 변신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장난감이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변신 완구는 로봇 형상 또는 자동차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 완구 몸체를 여러 가지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로봇 또는 자동차 완구로 변신하게 한 것으로 이는 한 가지의 완구로서 다양한 모양을 표현하므로 어린이들이 완구를 직접 조립하면서 변신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변신 완구는 대부분 사용자인 어린이가 변신 완구의 구성품을 접거나, 펼치거나, 결합 또는 해체를 통해 완구를 다른 형태로 변신시키는데, 변신과정이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의 경우 완구 변신을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거나, 변신을 시도하는 도중에 완구에 무리한 힘을 주어 변신 완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어린이에게 더욱 큰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변신이 이루어지는 변신 완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자동 변신 완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신 완구(10)와 카드(20)로 구성된다.
자동차 형태의 변신 완구(10)가 주행하다가 도 1과 같이 바닥에 놓인 카드(20)에 도달하면 변신 완구(10)의 락킹장치가 풀리면서 도 2와 같이 변신 완구(10)가 변신하며 다른 형태로 형태를 변환하거나 뒤집어진다.
변신 완구(10)의 내부에는 자석으로 구성된 락킹장치가 구성되고, 카드(20)의 내부에는 자성체인 금속판이 내재됨으로써, 도 2와 같이 변신완구(10) 하부의 락킹장치(미도시)에 카드(20)가 근접하면, 락킹장치의 자석이 카드(20)의 자성체에 의해 움직이며 락킹장치가 풀려 변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석형태의 락킹장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변신 완구의 변신을 유도하는 카드(10)는 도 3과 같이 여러 장의 종이가 합지된 두꺼운 종이(22)의 내부 양측에 판 형태의 금속 자성체(21)가 삽입되는데, 어린이들이 카드(20)를 오랫동안 사용하다 보면 테두리 부분의 종이(22)가 헤지거나, 카드(20)가 구겨지는 등의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여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신 완구의 변신을 유도하는 카드뿐 아니라, 일반적인 종이로 성형된 카드 역시 내구성이 약해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305호,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400980호, "변신 자동차 완구"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635319호, "변신 완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이를 소재로 성형된 카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카드가 헤지거나 구겨져서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카드가 헤지거나 구겨지지 않는 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는 자성체인 금속패널(107)과, 상기 금속패널(107)의 상,하부에 각각 적층되는 상부커버(103)와 하부커버(104)로 구성된 카드부(110); 상기 카드부(110)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되어 카드부(110)를 보호하는 링 형태의 쉴드(120); 및 상기 카드부(110)와 쉴드(1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카드부(110) 외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02); 상기 결합돌기(102)가 삽입되도록 쉴드(120) 내측에 형성된 돌기 삽입구(124); 및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일 측에 형성되어 카드부(110)의 결합돌기(102)가 삽입되는 슬롯(126);으로 구성됨으로써, 카드부(110)의 결합돌기(102)를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삽입한 후 카드부(110)를 회전시켜 결합돌기(102)가 슬롯(126)에 삽입됨으로써, 카드부(110)와 쉴드(12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부(110)는 중앙에 금속패널(107) 크기의 삽입구(106)가 형성된 링 형태의 엣지링(105)이 형성되고, 상기 엣지링(105)의 삽입구(106)에 금속패널(107)이 삽입된 상태에서 금속패널(107)의 상,하부에 상,하부 커버(103,104)가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엣지링(105)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하부 커버(103,104)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체결돌기(103a,104a)와 동일한 체결돌기(10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하부에는 판 형태로 성형되어 돌기 삽입구(104)로 삽입되는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를 지지하는 지지판(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120)의 테두리에는 방사상으로 다른 쉴드(12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드 조립체는 카드부(110)의 외면에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쉴드(120)가 체결됨으로써,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카드부(110)의 외면이 헤지거나 카드부(120)가 구겨지지 않는다.
또한, 변신 유도 카드(100)를 변신 완구의 변신에만 사용하지 않고, 쉴드(12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홈(122)을 이용하여 다른 변신 유도 카드(100)와 체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블럭을 결합하는 블럭 놀이가 가능하고, 쉴드(120)가 카드부(110)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변신 유도 카드(100)를 멀리 날리기 놀이를 할 때 변신 유도 카드(100)가 벽에 부딪히더라도 카드부(110)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카드 날리기 등의 다양한 놀이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카드를 이용한 종래의 변신 완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카드에 의해 종래의 변신 완구가 변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카드 조립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의 카드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의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카드부와 쉴드를 체결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카드 조립체를 여러 개 결합하여 구성한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조립체(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부(110)와, 카드부(11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카드부(110)의 테두리에 쉴드(120)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부(110)는 상,하부 커버(103,104)의 사이에 자성체인 금속패널(107)과, 링 형태로 성형되어 상기 금속패널(107) 테두리에 체결되는 엣지링(105)으로 구성된다.
상부커버(103)와 하부커버(104)는 각각 두꺼운 종이를 원판 형태로 성형하고, 상,하부 커버(103,104)의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체결돌기(103a,104a)가 소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커버(103,104)는 종이를 소재로 성형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양이나 숫자, 캐릭터를 인쇄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상기 상,하부 커버(103,104)에 인쇄된 여러 가지 문양이나 숫자, 캐릭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카드놀이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커버(103,104)를 인쇄가 용이한 종이를 소재로 설명하였으나, 종이뿐 아니라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커버(103)와 하부커버(104) 사이에는 자석에 반응하는 자성체인 판 형태의 금속패널(107)이 삽입되어 적층된다.
그리고 중앙에 구멍 형태의 삽입구(106)가 형성된 링 형태의 엣지링(105)이 구성되고, 상기 엣지링(105)의 삽입구(106)에 상기 금속패널(107)이 삽입된다.
상기 엣지링(105)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금속패널(107)과 동일한 두께로 성형된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엣지링(105)의 삽입구(106)에 금속패널(107)이 삽입됨으로써, 금속패널(107)의 테두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 또는 물의 접촉에 의해 금속패널(107)이 산화하여 녹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엣지링(105)은 상,하부 커버(103,104)와 동일한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하부 커버(103,104)와 동일한 소재로 엣지링(105)을 성형함으로써 카드부(110)의 외관이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엣지링(105)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하부 커버(103,104)와 동일한 위치 및 크기로 체결돌기(105a)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엣지링(105)의 체결돌기(105a)는 상,하부 커버(103,104)의 체결돌기(103a,104a)와 동일하게 성형됨으로써, 상부커버(103), 금속패널(107)이 체결된 엣지링(105), 하부커버(104)를 적층하였을 때, 도 5와 같이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두께가 얇은 상,하부 커버(103,10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금속패널(107)의 내측을 천공함으로써 카드부(110)의 무게를 줄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드부(110)는 도 4와 같이 쉴드(120)와 체결되어 카드부(110)의 테두리 부분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쉴드(120)는 도 7과 같이 중심에 카드부 체결공(123)이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121)가 형성되고, 체결수단을 구비하여 체결수단으로 쉴드(120)가 카드부(110)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된다.
상기 쉴드(120)는 충격에 강하고,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부(110)와 체결을 위한 쉴드(120)의 체결수단은 도 7과 같이 링 형태의 쉴드(120) 몸체(121) 내면에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마다 돌기 삽입구(124)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일 측에는 홈 형태로 슬롯(126)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 삽입구(124)는 카드부(1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체결돌기(10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쉴드(120)의 몸체(121)에 형성되고,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102)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일 측에는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홈 형태의 슬롯(126)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126)의 홈 두께는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억지 끼움 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쉴드(120)를 카드부(110) 테두리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카드부(110)의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후, 쉴드(120)의 카드부 체결공(123)에 카드부(110)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카드부(110)가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카드부(110)를 회전시키면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슬롯(126)에 삽입됨으로써, 카드부(110)와 쉴드(120)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의 하부에 판 형태의 지지판(126)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부(110)에 쉴드(120)를 체결하기 위해 가드부(110)의 체결돌기(102)를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일치시켜 삽입할 때,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슬롯(126) 위치에 다다르지 못하거나 지나치면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슬롯(126)에 삽입하지 못한다.
도 7과 같이 돌기 삽입구(124)의 하부에 판 형태의 지지판(12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25)의 일측에 슬롯(126)을 형성함으로써, 카드부(110)를 쉴드(120)에 체결할 때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지지판(125)에 밀착된 상태에서 카드부(110)를 회전시키면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스롯(126)에 삽입되므로 체결이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쉴드(120)와 카드(110)를 분리할 때는 카드부(110)를 체결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카드부(110)를 회전시키면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가 쉴드(120)의 슬롯(126)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카드부(110)를 쉴드(120)의 카드부 체결공(123)에서 빼내면 카드부(110)와 쉴드(120)가 간편하게 분리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쉴드(120)의 외면 테두리에 방사항으로 홈 형태의 결합홈(122)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홈(122)에 다른 변신 유도 카드(100)(카드부와 쉴드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홈(122) 또는 쉴드(120)를 결합함으로써 도 9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블럭놀이가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122)의 폭은 쉴드(120)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어느 한 쉴드(120)의 결합홈(122)에 다른 쉴드(120)의 결합홈(122)이 삽입될 때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결합 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드 조립체(100)는 테두리 부분에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쉴드(120)가 구성됨으로써,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카드 조립체(100)의 외면이 헤지거나 구겨지지 않는다.
또한, 쉴드(12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홈(122)을 이용하여 다른 변신 유도 카드(100)와 체결하여 다양한 형태로 블럭을 결합하는 블럭 놀이가 가능하고, 쉴드(120)가 카드부(110)를 보호하고 있으므로 카드 조립체(100)를 멀리 날리기 놀이를 할 때 변신 유도 카드(100)가 벽에 부딪히더라도 파손되지 않으므로 카드 날리기 등의 다양한 놀이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변신 유도 카드
101 : 몸체
102 : 체결돌기
103 : 상부커버
103a : 체결돌기
104 : 하부커버
104a : 체결돌기
105 : 엣지링
105a : 체결돌기
106 : 삽입구
107 : 금속패널
110 : 카드부
120 : 쉴드
121 : 몸체
122 : 결합홈
123 : 카드부 체결공
124 : 돌기 삽입구
125 : 지지판
126 : 슬롯

Claims (6)

  1. 자성체인 금속패널(107)과, 상기 금속패널(107)의 상,하부에 각각 적층되는 상부커버(103)와 하부커버(104)로 구성된 카드부(110);
    상기 카드부(110)의 테두리 부분에 체결되어 카드부(110)를 보호하는 링 형태의 쉴드(120); 및
    상기 카드부(110)와 쉴드(1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카드부(110) 외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02);
    상기 결합돌기(102)가 삽입되도록 쉴드(120) 내측에 형성된 돌기 삽입구(124); 및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일 측에 형성되어 카드부(110)의 결합돌기(102)가 삽입되는 슬롯(126);으로 구성됨으로써,
    카드부(110)의 결합돌기(102)를 쉴드(120)의 돌기 삽입구(124)에 삽입한 후 카드부(110)를 회전시켜 결합돌기(102)가 슬롯(126)에 삽입됨으로써, 카드부(110)와 쉴드(12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부(110)는,
    중앙에 금속패널(107) 크기의 삽입구(106)가 형성된 링 형태의 엣지링(105)이 형성되고, 상기 엣지링(105)의 삽입구(106)에 금속패널(107)이 삽입된 상태에서 금속패널(107)의 상,하부에 상,하부 커버(103,104)가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링(105)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하부 커버(103,104)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체결돌기(103a,104a)와 동일한 체결돌기(10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삽입구(124)의 하부에는 판 형태로 성형되어 돌기 삽입구(104)로 삽입되는 카드부(110)의 체결돌기(102)를 지지하는 지지판(1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120)의 테두리에는 방사상으로 다른 쉴드(12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립체.
KR1020170025089A 2017-02-24 2017-02-24 카드 조립체 KR10191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89A KR101918391B1 (ko) 2017-02-24 2017-02-24 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89A KR101918391B1 (ko) 2017-02-24 2017-02-24 카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81A true KR20180098081A (ko) 2018-09-03
KR101918391B1 KR101918391B1 (ko) 2019-01-29

Family

ID=6360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89A KR101918391B1 (ko) 2017-02-24 2017-02-24 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3U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헬로긱스 조립식 블록
KR20220016590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가능한 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신 가능한 완구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0968Y (zh) * 1995-04-13 1996-07-10 茵得有限公司 音乐盒
KR200167981Y1 (ko) * 1999-08-11 2000-02-15 강설구 게임용 칩
KR20040052997A (ko) * 2004-05-25 2004-06-23 손영근 학습용 완구
KR100759528B1 (ko) * 2006-12-28 2007-09-18 주식회사 민코엘에스 자석 부착식 메모지 홀더
KR101327305B1 (ko)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400980B1 (ko) 2013-04-03 2014-05-29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KR20150097324A (ko) * 2014-02-18 2015-08-26 최종일 카드 조립체
KR101635319B1 (ko)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30968Y (zh) * 1995-04-13 1996-07-10 茵得有限公司 音乐盒
KR200167981Y1 (ko) * 1999-08-11 2000-02-15 강설구 게임용 칩
KR20040052997A (ko) * 2004-05-25 2004-06-23 손영근 학습용 완구
KR100759528B1 (ko) * 2006-12-28 2007-09-18 주식회사 민코엘에스 자석 부착식 메모지 홀더
KR101327305B1 (ko) 2012-02-24 2013-11-11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KR101400980B1 (ko) 2013-04-03 2014-05-29 최신규 변신 자동차 완구
KR20150097324A (ko) * 2014-02-18 2015-08-26 최종일 카드 조립체
KR101635319B1 (ko) 2015-06-12 2016-06-30 최종일 변신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3U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헬로긱스 조립식 블록
KR20220016590A (ko) *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영실업 변신 가능한 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신 가능한 완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391B1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3631B1 (ja) コマ玩具
EP3207969B1 (en) Game table for spinning top
KR101918391B1 (ko) 카드 조립체
JP5990354B1 (ja) コマ玩具
US3256635A (en) Tethered aerial top
US20020135125A1 (en) Global jigsaw puzzle
EP3308841A1 (en) Transforming toy
US5825271A (en) Magnet assembly
KR20140086376A (ko) 유아 학습용 블록
CN210963902U (zh) 陀螺玩具以及陀螺玩具组件
JP3082505U (ja) コレクションホルダー
JP3199933U (ja) コマ玩具遊戯台
US9095781B2 (en) Invertible pop action toy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68823Y1 (ko)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2016185318A (ja) コマ玩具
CN207101892U (zh) 一种儿童拼装玩具拐角组合体
EP3950082B1 (en) Magnet-type plate toy
US20040032080A1 (en) Child's magnetic puzzle
KR200427056Y1 (ko) 데코 패널
US3861687A (en) Weight indexed drum chance apparatus
KR101965498B1 (ko) 변신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완구
JP2584312Y2 (ja) 遊技機における回転電動役物装置
JPH031665U (ko)
KR20150097324A (ko) 카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