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385A -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385A
KR20180097385A KR1020170024324A KR20170024324A KR20180097385A KR 20180097385 A KR20180097385 A KR 20180097385A KR 1020170024324 A KR1020170024324 A KR 1020170024324A KR 20170024324 A KR20170024324 A KR 20170024324A KR 20180097385 A KR20180097385 A KR 2018009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ase
inlet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367B1 (ko
Inventor
조성래
Original Assignee
(사)한국재난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재난구호 filed Critical (사)한국재난구호
Priority to KR102017002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5Float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25Driving of pistons coacting within on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상부에 스텐망(1154)으로 형성된 부유필터(1150)를 내부에 구비하는 물통(1140)과, 상기 물통(1140)과 수동펌프(1300)를 연결하는 유입라인(1310) 및 수동펌프(1300)와 정수기본체(1000)을 연결하는 유출라인(1320)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라인(1320)에 정수필터(1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펌프(1300)는 피스톤로드를 수용하느 피스톤케이스(1330)와, 피스톤로드를 제1크랭크부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크랭크부(1360)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는 상부에 유입라인(1310)과 연결된 케이스 유입구(1331)와 유출라인(1320)과 연결된 케이스 배출구(1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의 하부에는 통공(1336)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배출구(1332)의 하부에는 유출라인연계통공(1349)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에 형성된 통공(1336)에는 몸체가 삼각형상으로 된 트로틀 밸브마개(1334)와, 이를 부세하는 스프링(1335) 및 이를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133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의 일측면에는 나선결합부(1339)를 구비하여 고정마개(1352)에 의하여 후단밀폐고정구(1350)를 저지하고 있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의 중앙부에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1343)을 형성한 실린더방(1342a)이 형성되어 작동손잡이(1400)에 의하여 피스톤헤드(1341)가 왕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MANUAL SYSTEM PUMP FOR PURIFIER}
본 발명은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울 상세하게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저개발도상국 등 산간 벽지에서 정수기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처리하는 침전필터(61)와; 상기 침전필터에 이어 설치되어 정수를 행하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자동원수차단밸브(62)와; 상기 자동원수차단밸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압토출하기 위한 승압펌프(63)와; 승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잔류염소나 유해물질을 흡착처리하는 전처리카본필터(64)와; 상기 전처리카본필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미세입자와 미생물을 정화처리하는 멤브레인필터(65)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가스상의 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카본필터(66)와; 상기 후처리카본필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균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음용수를 만드는 자외선살균기(67)와; 그리고, 상기 자외선살균기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69는 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수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이고, 참조부호 70은 배수라인이며, 참조부호 72는 제거수라인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71은 상기 제거수라인에 설치되는 오토 플러싱 밸브(Auto Flushing Valve)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기에 설치되는 멤브레인필터(65)에 내장되는 멤브레인에 의한 정수는 저장탱크(68)로부터 취수를 행하면 자동원수차단밸브(62)가 개방되어 취수된 수량만큼 원수가 침전필터(61), 자동원수차단밸브(62), 승압펌프(63) 및 전처리카본필터(64)를 차례로 거쳐 멤브레인필터(65) 내부로 공급된다.
이 때 원수의 유량이 충분히 방출되기 힘든, 대략 0.7밀리미터 직경의 미세 유로를 형성하여 압력이 멤브레인필터(65) 용기 전체에 작용하고 이 압력에 의하여 멤브레인을 원수가 통과함으로써 정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정수시스템의 경우에는 우선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고,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미개척 지역에서는 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고, 2차로 들어오는 석재나 벌레 등을 걸러 주지 않아 일반 정수기일지라도 정수기 자체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저개발 도상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고, 정수기로 진입되는 가운데 석재나 벌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부유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상부에 스텐망(1154)으로 형성된 부유필터(1150)를 내부에 구비하는 물통(1140)과, 상기 물통(1140)과 수동펌프(1300)를 연결하는 유입라인(1310) 및 수동펌프(1300)와 정수기본체(1000)을 연결하는 유출라인(1320)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라인(1320)에 정수필터(1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펌프(1300)는 피스톤로드를 수용하느 피스톤케이스(1330)와, 피스톤로드를 제1크랭크부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크랭크부(1360)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는 상부에 유입라인(1310)과 연결된 케이스 유입구(1331)와 유출라인(1320)과 연결된 케이스 배출구(1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의 하부에는 통공(1336)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배출구(1332)의 하부에는 유출라인연계통공(1349)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에 형성된 통공(1336)에는 몸체가 삼각형상으로 된 트로틀 밸브마개(1334)와, 이를 부세하는 스프링(1335) 및 이를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133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의 일측면에는 나선결합부(1339)를 구비하여 고정마개(1352)에 의하여 후단밀폐고정구(1350)를 저지하고 있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의 중앙부에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1343)을 형성한 실린더방(1342a)이 형성되어 작동손잡이(1400)에 의하여 피스톤헤드(1341)가 왕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방(1342a)의 일측에는 피스톤로드 유입공(1342)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헤드(1341)에는 피스톤로드 유입로(1343)와 직각으로 유입공(1345)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간격(1347)이 형성된 밸브압력조절판(134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동손잡이를 밀 때 피스톤로드가 전진되면서 실린더방에 있던 물이 유출라인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1320)에 연결된 정수필터(1200)는 2개의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와 2개의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가 교차로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중앙에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과 결합하는 정수필터 결합구(1203)을 구비하며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된 상부마개(1202)와, 상부 바깥쪽에 나사가 형성된 하부마개(1205)와,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빈 원통형으로 구성된 정수기 본체(1201)와, 원통형으로 외부에 제1정수필터(1207a)를 구비하는 정수필터지지통체(1206)를 구비하고, 상기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 내부에 나선결합부(1203a)가 형성된 정수필터 결합구(1203)를 구비하고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된 상부마개(1202)와 유입측구(1208)과 상부 바깥쪽에 나사가 형성된 하부마개(1205),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빈 원통형의 정수기 본체(1201), 상부에 필터보관통 결합구(1204)와 나선결합부(1204a), 하부 중앙부분에 필터지지구(1209)와 상기 필터지지구(1209)의 둘레부분에 정수유입구(1209a), 내부에 제2정수필터(1207b)로 구성된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1320)에 연결된 정수필터(1200)는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를 더 포함하되, 상기C타입의 정수필터(1200e)의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부마개(1202)와 하부마개(1205)를 결합하고, 내부에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각 포장케이스의 층간에는 물순환구멍(1510a)이 형성된 세라믹포자케이스받침판(1510)이 형성되어 이들을 구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타입의 정수필터(1200e) 대신에 D타입의 정수필터로 대체하되, 상기 D타입의 정수필터는 포장케이스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본체(12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와, 상기 본체(12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개는 그 중앙부에 상기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수기 본체(1201)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하부마개는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하면서, 다른 정수기 본체(1201)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수기 본체(1201)의 내부에는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정수기용 펌프(100)는 정수필터(200)에 오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모터펌프(300)를 형성하되,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에는 콘트롤러(400)를 형성하여 태양광전지(500)에 의하여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콘트롤러(400)에 충전배터리(600)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를 가동시키며,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에 좌우측으로 관통연결된 연결호스(130a)(130b)와 물통(140a)(140b) 및 상기 물통(140a)(140b) 내에 부유필터(150)가 형성되어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태양전지를 이용한 펌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의 좌우측으로 연결된 연결호스(130a)의 끝단에는 부유필터(150)가 연결되되, 상기 부유필터(150)는 신주의 재질로 된 호스연결부(151)와 상기 호스연결부(151) 하부에 스텐망연결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텐망연결부(152)의 하부에 스텐망(154)으로 형성된 스텐망연결캡(153)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태양전지를 이용한 펌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는 15W, 12V가 적용되도록 상기 콘트롤러(400)는 10W, 12V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태양광전지(500)는 10W, 12V의 쏠라판 및 상기 충전배터리(600)는 7W, 12V가 되어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를 가동하여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태양전지를 이용한 펌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펌프를 창안하여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저개발 도상국에서도 이를 충전시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정수기로 진입되는 가운데 석재나 벌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부유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정수기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보관상태 및 배출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초기 작동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트로틀밸브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7(b)는 트로틀밸브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8은 피스톤로드가 압착될 경우 실린더방에 있는 물리 정수필터로 이동되는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A”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B”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연결부 결합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 시스템의 개선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의 내부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 대신에 세라믹볼을 형성한 내부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부유필터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실물견본 사진
도 18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 적용되는 단계별을 정수기를 나타낸 실물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보관상태 및 배출상태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초기 작동상태의 개략적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내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 도 7(a)는 트로틀밸브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7(b)는 트로틀밸브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8은 피스톤로드가 압착될 경우 실린더방에 있는 물리 정수필터로 이동되는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A”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B”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연결부 결합의 단면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물통(1140)와 정수기본체(1000), 수동펌프(1300), 작동손잡이(14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는 상부에 물통(1140)을 구비하고, 하부에 수동펌프(1300)와 작동손잡이(1400)가 결합된 정수기본체(1000)를 구비한다.
상기 물통(1140)은 상부에 뚜껑(1141)을 구비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내부에 부유필터(1150)를 구비하여 부유물을 없애는 1차 정수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부유필터(1150)은 바깥부분에 스텐망(1154)으로 되어 있어, 물이나 부유물에 의해 산화하거나 부패하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상기 물통(1140)과 수동펌프(1300)는 연결구(1155)와 유입라인(1310)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동펌프(1300)과 정수기본체(1000)는 유출라인(1320)을 통해 연결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구(1155)와 수동펌프(1300)를 연결하는 유입라인(1310)과 유출라인(1320)에는 각각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방향으로 체크밸브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상기 정수기본체(1000)는 내부에 정수필터(1200)를 구비하고, 외부에 최종으로 정수된 물을 배출하는 유출구(1220)를 구비한다.
도 9,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수필터(1200)은 2개의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와 2개의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가 교차로 형성되고, 부유물이 제거된 1차 정수물을 물속의 염소, 불쾌한 냄새, 나쁜 맛, 가스, 유기합성물질 등을 흡착하고, 물속에 포함되어 있던 박테리아, 대부분의 바이러스, 화학독성물질 및 기카 미세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타입의 정수필터(1200a)는 상기 부유필터(1150)의 연결구(1155)와 유출라인(1320)을 통해 연결되고, A타입의 정수필터(1200a)와 B타입의 정수필터(1200b)는 제 1 연결부(1210a)로 연결되며, B타입의 정수필터(1200b)와 A타입의 정수필터(1200c)가 제2연결부(1210b)로 연결되고, A타입의 정수필터(1200c)와 B타입의 정수필터(1200d)는 제3연결부(1210c)로 연결되며, B타입의 정수필터(1200d)와 유출구(1220)가 제4연결부(1210d)로 연결된다.
상기 수동펌프(1300)와 작동손잡이(14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동펌프(1300)는 내부에 피스톤케이스(1330)와 크랭크부(1360)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는 상부에 유입라인(1310)과 연결된 케이스 유입구(1331)와 유출라인(1320)과 연결된 케이스 배출구(1332), 케이스 유입구(1331)의 하부에 통공(1336), 케이스 배출구(1332)의 하부에 유출라인연계통공(1349)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는 나선결합부(1331a)를 구비하여 유입라인(1310)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배출구(1332)는 나선결합부(1332a)를 구비하여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며,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의 측면에 형성된 피스톤로드유입공(1342)의 측면 하부에는 나선결합부(1338)를 구비하여 스프링고정구(1337)과 결합하고,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의 측면에는 나선결합부(1339)를 구비하여 고정마개(1352)의 나선결합부(1353)과 결합한다.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의 측부에 형성된 통공(1336)에는 트로틀 밸브마개(1334)와 스프링(1335), 스프링고정구(1337)의 순으로 삽입된다.
상기 트로틀 밸브마개(1334)의 하부와 스프링고정구(1337)의 상부에는 통공(도면 부호 미 도시)이 형성되어있어 스프링(1335)가 끼워진다.
상기 트로틀 밸브마개(1334)는 몸체가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공 내에서 볼 때, 3곳에서는 빈공간이 발생되어, 그 공간으로 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7a, 7b 참조).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에는 피스톤헤드(1341)와 고무링(1344), 유출라인의 유압을 조절하고 간극(1347)을 형성하는 밸브압력조절판(1346)이 끼워진 피스톤로드(1340)가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340)의 내부는 피스톤로드 유입로(1343)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1344)과 밸브압력조절판(1346) 사이의 피스톤로드(1340)에 형성된 유입공(1345)이 형성된다.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에는 고무링(1344)을 기준으로 하여 크랭크부(1360)의 방향으로 간격(1347)이 형성되어, 피스톤로드 유입공(1342)과 피스톤로드 유입로(1343), 유입공(1345)으로 나온 물이 상기 간격(1347)을 통해 유출라인(1320)으로 흘러나갈 수 있다.
상기 고무링(1344)과 밸브압력조절판(1346)은 실린더방(1342a) 내에 있는 물을 유입공(1345)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유출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유입공(1345)은 실린더방(1342a) 내에 있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피스톤케이스(1330)의 내부는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이 형성되는 가운데 일측에 단턱(134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턱(1348)은 후단밀폐고정구(1350)의 전진을 제한하고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의 유출라인연계통공(1349) 일측 부분은 후단밀폐 고정구(1350)와 고정마개(1352)로 밀폐된다.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는 중앙부에서 후단밀폐 고무링(1351)이 끼워지고, 상기 피스톤로드(1340)와도 밀봉되면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단밀폐 고무링(1351)과 고정마개(1352)는 1차로 정수된 물이 밖으로 새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는 전방으로 전진해 있다가 작동손잡이를 당겼다 밀경우에 단턱(1348)까지 와 있던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가 후진하여 다소 압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사람이 작동손잡이로 작동하기에 는 처음에 힘이 적게 들어가고,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가 완전히 후진되었을 때부터 초기보다 상대적으로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크랭크부(1360)는 작동손잡이(1400)의 손잡이연결간(1400a)과 제1크랭크부(1361), 크랭크 본체(1368)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로드(1340)은 제1크랭크부(1361)와 제1크랭크 힌지부(1364)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크랭크부(1361)는 작동손잡이(1400)의 손잡이연결간(1400a)과 제1손잡이 힌지부(1366)를 통해 연결되며, 작동손잡이(1400)는 손잡이끼움고정볼트(1367)에 의하여 손잡이연결간(1400a)에 끼워져 고정되어 작동된다.
상기 크랭크 본체(1368)는 제2크랭크 힌지부(1365)에 의하여 작동손잡이(1400)의 손잡이연결간(1400a)과 결합되어 힌지운동되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와 연결결합한다.
다음은 정수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통(1140)의 부유필터(1150)을 통해 부유물이 제거된 물은 상기 유입라인(1310)을 통해 수동펌프(1300)으로 유입되고, 상기 작동손잡이(1400)와 수동펌프(1300)의 피스톤로드(1340)의 운동을 통해 유출라인(1320)으로 유출되어, 정수필터(1200) {A타입의 정수필터(1200a), B타입의 정수필터(1200b), A타입의 정수필터(1200c), B타입의 정수필터(1200d)의 순서, 또는 C타입이 먼저 설치될 수 있다}로 정수되어 제 1,2,3,4 연결부(1210a,1210b,1210c,1210d)를 통해 유출구(1220)로 나온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보관상태 및 배출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로써 정수기에 물을 보관하면서 배출하는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5는 초기 보관상태 및 손잡이를 당겼다가 밀었을 경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초기 작동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수동식 펌프의 개략 단면도로써, 정수기에 물을 유입하여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손잡이(1400)를 수동펌프(1300)의 반대 방향으로 당겼을 경우, 작동손잡이(1400)와 연결된 크랭크부(1360)와 피스톤로드(1340)가 당겨지고, 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트로틀 밸브마개(1334)가 하부로 내려오면서 유입공(1333)이 개방되어 물이 피스톤로드유입공(1342)을 거쳐 실린더방(1342a)으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5로 돌아가 상기와 같이 실린더방(1342a)에 들어온 물은 작동손잡이(1400)를 수동펌프(1300)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밀 경우에 상기 실린더방(1342a)에 들어 있던 물이 상기 트로틀 밸브마개(1334)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막히면서 압력을 받아 피스톤로드 유입로(1343)를 거쳐 유입공(1345)으로 나오게 되고, 그 물이 상기 간격(1347)을 통해 유출라인(1320)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은 정수필터를 거쳐 맑은 물로 바뀌어 음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A”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로써, 아래는 A타입의 정수필터(1200a)를 예로 설명한다.
A타입의 정수필터(1200a)는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정수필터지지통체(1206)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1202), 상기 정수필터지지통체(1206)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1205)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마개(1202)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중앙에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과 결합하는 정수필터 결합구(1203)을 구비하며,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하부마개(1205)는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1202)와 하부마개(1205)와 결합하고, 내부에 원통형의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가 삽입된다.
상기 정수필터지지통체(1206)는 외부에 제1정수필터(1207a)를 구비하고, 정수기필터 결합구(1203)에 끼워진다.
상기 제1정수필터(1207a)는 후술되는 실시예에서 탈취, 정화기능을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되어진다.
상기 상부마개(1202) 및 하부마개(1205)와 정수기 본체(1201)는 쉽게 나사결합을 쉽게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정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상기 부유필터(1150)를 통과한 물은 유출라인(1320)을 통해 들어오고, 유입구(1202a)를 통해 정수기본체(1201)에 들어가 제1정수필터(1207a)로 들어간다. 상기 제1정수필터(1207a)를 통과한 정수는 중앙에 형성된 정수필터 지지통체(1206)로 나와 정수필터 결합구(1203)와 배출구(1202b)를 통해 제1연결부(1210a)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에 적용되는 “B”타입 정수필터의 내부 단면도로써, 아래는 B타입의 정수필터(1200b)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B타입의 정수필터(1200b)는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와 같이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정수필터지지통체(1206)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1202), 상기 정수필터지지통체(1206)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1205)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마개(1202)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 내부에 나선결합부(1203a)가 형성된 정수필터 결합구(1203)를 구비하고,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하부마개(1205)는 유입측구(1208)를 구비하고,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1202)와 하부마개(1205)와 결합하고, 내부에 원통형의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이 삽입된다.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의 사이에는 유입된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간극(1206b)이 형성된다.
상기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은 상부에 필터보관통 결합구(1204)와 나선결합부(1204a)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마개(1202)에 구비된 필터보관통 결합구(1203)에 결합하고, 하부 중앙부분에 필터지지구(1209)와 상기 필터지지구(1209)의 둘레부분에 정수유입구(1209a)를 구비하여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은 내부에 탈취나 정화기능이 있는 제2정수필터(1207b)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마개(1202) 및 하부마개(1205)와 정수기 본체(1201)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쉽게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정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상기 A타입의 정수필터(1200a)를 통과하여 제1연결부(1210a)로 들어온 물은 유입구(1202a)를 통해 정수기본체(1201)로 들어간다. 정수기본체(1201)에 들어온 물은 간극(1206b)을 통해 정수기본체(1201)의 하부로 내려가 정수유입측구(1208)와 정수 유입구(1209a)를 통해 제2정수필터(1207b)로 들어간다.
상기 제2정수필터(1207b)를 통해 정수된 물은 정수필터결합구(1203)와 배출구(1202b)를 통해 제2연결부(1210b)로 배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연결부 결합의 단면도이다.
정수기의 연결부는 연결구(1155)가 물통(1140)에 끼워지고, 너트(1157)를 통해 결합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155)는 물통(1140)을 기준으로 상부에 부유필터(1150)가 끼워져 형성되고, 하부에 볼 베어링(1156)을 구비하여 연결구(1312)와 끼움 결합한다.
상기 연결구(1312)는 내부에 통공(1314)과 내부 테두리에 베어링수용부(1316)를 구비하고, 하부에 유입라인(1310)이 연결된다.
도 12는 도 4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 시스템의 개선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의 내부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9, 10에서의 상기 정수필터(1200)은 2개의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와 2개의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가 교차로 형성되고, 부유물이 제거된 1차 정수물을 물속의 염소, 불쾌한 냄새, 나쁜 맛, 가스, 유기합성물질 등을 흡착하고, 물속에 포함되어 있던 박테리아, 대부분의 바이러스, 화학독성물질 및 기카 미세 오염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4에서 A타입의 정수필터(1200a)는 상기 부유필터(1150)의 연결구(1155)와 유출라인(1320)을 통해 연결되고, A타입의 정수필터(1200a)와 B타입의 정수필터(1200b)는 제 1 연결부(1210a)로 연결되며, B타입의 정수필터(1200b)와 A타입의 정수필터(1200c)가 제2연결부(1210b)로 연결되고, A타입의 정수필터(1200c)와 B타입의 정수필터(1200d)는 제3연결부(1210c)로 연결되며, B타입의 정수필터(1200d)와 유출구(1220)가 제4연결부(1210d)로 연결된다.
도 12, 13에서는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를 개발하여, 초기 단계에서 정수 및 정화 가능을 하는 맥반석 세라믹과, 향균 및 탈취기능을 하는 제오라이트 세라믹과, 정수 및 정화기능을 하는 황토 세라믹과, 아토피 예방기능을 하는 일라이트 세라믹으로 정수할 수 있는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를 정수시스템에 먼저 적용하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1500은 C, D타입의 정수필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는 시스템적으로 먼저 유출라인(1320)을 통해 연결되고, 이어서 연결부(1210e)는 상기 A타입의 정수필터(1200a)의 유입구와 연결되어 가일층 정화기능을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는 각종 포장케이스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본체(12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1202), 상기 본체(12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1205)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마개(1202)는 그 중앙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하부마개(1205)는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하면서,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1202)와 하부마개(1205)와 결합하고, 내부에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각 포장케이스의 층간에는 물순환구멍(1510a)이 형성된 세라믹포자케이스받침판(1510)이 형성되어 이들을 구획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정수 및 정화 가능을 하는 맥반석 세라믹과, 향균 및 탈취기능을 하는 제오라이트 세라믹과, 정수 및 정화기능을 하는 황토 세라믹과, 아토피 예방기능을 하는 일라이트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구성에 의하여 수소수를 발생하는 구조가 되어 인체에 가장 좋은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정수필터 대신에 세라믹볼을 형성한 내부 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이에 대하여는 D타입의 정수필터라 한다.
상기 D타입의 정수필터는 각종 포장케이스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본체(12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부호 미도시), 상기 본체(12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부호 미도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 중 부호가 미도시된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취급한다.
상기 상부마개는 그 중앙부에 상기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하부마개는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하면서, 다른 정수기 본체(1201)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와 하부마개와 결합하고, 내부에 도 14의 상부 1층에서는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도 14의 상부로부터 2층에서는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도 14의 상부로부터 3층에서는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도 14의 상부로부터 4층에서는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가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고, 각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의 세라믹볼을 세척할 경우에는 나사결합된 상부마개나 하부마개를 분리하고, 내부 세라믹포장케이스도 나사결합된 상태를 분리하여 세정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는 상수도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전력공급이 원활치 않은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일반적인 정수기의 단점을 해결하여 전력공급이 원활치 않은 산간오지, 도서지방, 군인의 작전수행지, 전쟁터, 아프리카와 같은 오지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는 물통(1140)과 수동펌프(1300), 유출구(1220), 작동손잡이(1400)를 일체로 형성하여 따로 설치할 필요없고, 이동시 들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부유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을 나타낸 실물견본 사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 적용되는 단계별을 정수기를 나타낸 실물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수기용 펌프(100)는 정수필터(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모터펌프(300)를 형성하되,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에는 콘트롤러(400)를 설치하여 태양광전지(500)를 설치하고 있고, 이어서 콘트롤러(400)에는 충전배터리(600)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를 가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콘트롤러(400)에 LED(450) 전등을 연결하여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에는 좌우측으로 연결된 연결호스(130a)(130b)와, 물통(140a)(140b) 및 부유필터(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연결호스(130a)(130b)와 관통되어질 수 있는 상기 정수모터펌프(300)가 형성되어 이것에 의하여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유필터(150)는 녹이 쓸지 않도록 신주의 재질로된 호스연결부(151)와 상기 호스연결부(151) 하부에 스텐망연결부(152)가 형성되되어 있고, 상기 스텐망연결부(152)에는 하부에 스텐망(154)으로 형성된 스텐망연결캡(153)이 나사결합되어 필요시에 분해하여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텐망(154)은 초입자의 스텐망으로써, 모든 부유물을 1차로 완전히 제거해줌으로써, 정수기통으로 가는데 있어서 부유물이 차단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은 내부에 정수필터가 내장된 것으로서, 정수필터통연결호스(210a)(210b)(210c)(210d)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축차적으로 필터의 종류에 따라 정화되며, 그 정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는 15W, 12V가 적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콘트롤러(400)는 10W, 12V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태양광전지(500)는 10W, 12V 쏠라판을 설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배터리(600)는 7W, 12V가 되어 상기 정수모터펌프(300)를 가동하여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에 대하여 설명한다.
순서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을 1단계에서 4단계로 구분하여 형성되어 있다.
우선, 1단계 필터는 세디멘트 필터(침전필터)로서, 유효 정수량은 약 1800리터(5인 가족 3개월 사용)이고, 1일 물 사용량 20리터 기준 약 90일 동안 사용가능하며(수질에 따라 다소 다름), 1단계 전 처리필터로써 물속에 함유된 녹물, 모래 등 각종 부유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2단계 필터는 프리카본 블록필터로서, 유효 정수량은 약 3600리터(5인 가족 6개월 사용)이고, 1일 물 사용량 20리터 기준 약 180일 동안 사용가능하며(수질에 따라 다소 다름) 2단계 선 카본블럭 필터는 일반 활성탄보다 한 차원 진화된 카본블럭이 유기물질, 잔류염소, 합성세제 등 인체에 해로운 화학성분을 제거해 준다.
또한, 3단계 필터는 CUF엠브레인 필터로서, 유효 정수량은 약 7200리터(5인 가족 1년 사용)이고, 1일 물 사용량 20리터 기준 약 360일 동안 사용가능하며(수질에 따라 다소 다름), 3단계 CUF 엠브레인 필터는 천연소재의 심해규조토와 카본 등을 이용하여 나노미터의 가공으로 물을 통과시켜 각종세균 및 중금속 등을 걸러내고 미네랄을 통과시켜 순수한 자연수와 같은 물로 만들어준다.
그리고, 4단계 필터는 포스트카본 블록필터로서, 유효 정수량은 약 5400리터(5인 가족 9개월 사용)이고, 1일 물 사용량 20리터 기준 약 270일 동안 사용가능하며(수질에 따라 다소 다름), 4단계 후리카본블럭 필터는 일반 활성탄보다 한 차원 진화된 카본블럭이 메일필터를 통해 나온 유해가스 성분 및 냄새까지 완벽하게 제거하여 물맛을 더욱 좋게 해 준다.
상기와 같은 정수필터통(200a)(200b)(200c)(200d)을 통과하여 정수되기 위하여 가해지는 압력은 수도물이 가해지는 압력 정도가 있어야만 이를 통과하여 정수가 되는 것으로, 상기 1~4단계의 필터를 통과할 수 있는 모터가 전술한 상기 정수모터펌프(300)의 용량과 규격으로서, 최소한 15W용 12V가 되는 것이어야 가능함을 상당한 실험을 통하여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정수용량은 통상 1일 5인 가족이 충분히 먹을 수 있는 20L 정도의 물을 정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용 펌프(100)는 케이스(700)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는 정수필터(200) 및 정수필터(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모터펌프(300)와, 콘트롤러(400) 및 충전배터리(600)를 내장하고, 지붕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전선을 구비한 태양광전지(50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700)의 외부에는 LED(450) 전등을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 적용되는 단계별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색상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정수기용 펌프는 태양광전지에 의하여 정수모터펌프가 회전될 수 있고, 이의 가압된 힘에 의하여 물이 정수기 필터를 통과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정수기용 펌프
140a, 140b : 물통
150 : 부유필터
200 : 정수필터통
300 : 정수모터펌프
400 : 콘트롤러
500 : 태양광전지
600 : 배터리
1000: 정수기 본체
1140: 물통
1141: 뚜껑
1150: 부유필터
1154: 스텐망
1155: 연결부
1156: 볼 베어링
1157: 너트
1200: 정수필터
1200a,1200c: A타입의 정수필터
1200b,1200d: B타입의 정수필터
1201: 정수기 본체
1202: 상부마개
1202a: 유입구
1202b: 유출구
1203: 정수필터 결합부
1203a: 나선결합부
1204: 필터보관통 결합구
1204a: 나선결합부
1205: 하부마개
1206: 정수필터 지지통체
1206a: 정수필터 보관통
1206b: 간극
1207a: 제1정수필터
1207b: 제2정수필터
1208: 정수 유입측구
1209: 필터지지구
1209a: 정수 유입구
1210: 연결부
1210a,1210b,1210c,1210d: 제 1,2,3,4 연결부
1220: 유출구
1300: 수동펌프
1310: 유입라인
1312: 연결구
1314: 통공
1316: 베어링 수용부
1320: 유출라인
1330: 피스톤케이스
1331: 케이스 유입구
1331a: 나선결합부
1332: 케이스 배출구
1332a: 나선결합부
1333: 유입공
1334: 트로틀 밸브마개
1335: 스프링
1336: 통공
1337: 스프링고정구
1338,1339: 나선결합부
1340: 피스톤로드
1341: 피스톤헤드
1342: 피스톤로드 유입공
1343: 피스톤로드 유입로
1344: 고무링
1345: 유입공
1346: 밸브압력조절판
1347: 간격
1348: 단턱
1349: 통공
1350: 후단밀폐 고정구
1351: 후단밀폐 고무링
1352: 고정마개
1360: 크랭크부
1361: 제1크랭크부
1364: 제1크랭크 힌지부
1367: 제2손잡이 힌지부
1368: 크랭크 본체
1400: 작동 손잡이

Claims (4)

  1. 상부에 스텐망(1154)으로 형성된 부유필터(1150)를 내부에 구비하는 물통(1140)과, 상기 물통(1140)과 수동펌프(1300)를 연결하는 유입라인(1310) 및 수동펌프(1300)와 정수기본체(1000)을 연결하는 유출라인(1320)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라인(1320)에 정수필터(1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펌프(1300)는 피스톤로드를 수용하느 피스톤케이스(1330)와, 피스톤로드를 제1크랭크부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크랭크부(1360)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는 상부에 유입라인(1310)과 연결된 케이스 유입구(1331)와 유출라인(1320)과 연결된 케이스 배출구(13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의 하부에는 통공(1336)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배출구(1332)의 하부에는 유출라인연계통공(1349)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유입구(1331)에 형성된 통공(1336)에는 몸체가 삼각형상으로 된 트로틀 밸브마개(1334)와, 이를 부세하는 스프링(1335) 및 이를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133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유출라인연계통공(1349)의 일측면에는 나선결합부(1339)를 구비하여 고정마개(1352)에 의하여 후단밀폐고정구(1350)를 저지하고 있고, 상기 피스톤케이스(1330)의 중앙부에 상기 후단밀폐고정구(1350)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1343)을 형성한 실린더방(1342a)이 형성되어 작동손잡이(1400)에 의하여 피스톤헤드(1341)가 왕복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방(1342a)의 일측에는 피스톤로드 유입공(1342)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헤드(1341)에는 피스톤로드 유입로(1343)와 직각으로 유입공(1345)을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간격(1347)이 형성된 밸브압력조절판(134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동손잡이를 밀 때 피스톤로드가 전진되면서 실린더방에 있던 물이 유출라인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1320)에 연결된 정수필터(1200)는 2개의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와 2개의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가 교차로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A타입의 정수필터(1200a,1200c)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중앙에 정수필터지지통체(1206)과 결합하는 정수필터 결합구(1203)을 구비하며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된 상부마개(1202)와, 상부 바깥쪽에 나사가 형성된 하부마개(1205)와,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빈 원통형으로 구성된 정수기 본체(1201)와, 원통형으로 외부에 제1정수필터(1207a)를 구비하는 정수필터지지통체(1206)를 구비하고, 상기 B타입의 정수필터(1200b,1200d)는 상부에 상기 유출라인(1320)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와 제1연결부(1210a)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 내부에 나선결합부(1203a)가 형성된 정수필터 결합구(1203)를 구비하고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된 상부마개(1202)와 유입측구(1208)과 상부 바깥쪽에 나사가 형성된 하부마개(1205),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빈 원통형의 정수기 본체(1201), 상부에 필터보관통 결합구(1204)와 나선결합부(1204a), 하부 중앙부분에 필터지지구(1209)와 상기 필터지지구(1209)의 둘레부분에 정수유입구(1209a), 내부에 제2정수필터(1207b)로 구성된 정수필터 보관통(1206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라인(1320)에 연결된 정수필터(1200)는 C타입의 정수필터(1200e)를 더 포함하되, 상기C타입의 정수필터(1200e)의 정수기 본체(1201)는 상부의 바깥쪽과 하부의 내부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부마개(1202)와 하부마개(1205)를 결합하고, 내부에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가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각 포장케이스의 층간에는 물순환구멍(1510a)이 형성된 세라믹포자케이스받침판(1510)이 형성되어 이들을 구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타입의 정수필터(1200e) 대신에 D타입의 정수필터로 대체하되, 상기 D타입의 정수필터는 포장케이스가 끼워지는 정수기 본체(1201)와 상기 본체(120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와, 상기 본체(12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개는 그 중앙부에 상기 유출라인과 연결되는 통공인 유입구(120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수기 본체(1201)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하부마개는 상부 바깥쪽에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기본체(1201)와 나사결합을 하면서, 다른 정수기 본체(1201)와 연결되는 통공인 유출구(120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정수기 본체(1201)의 내부에는 맥반석세라믹볼(1501)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1a)와, 제오라이트세라믹볼(1502)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2a)와, 황토세라믹볼(1503)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3a)와, 일라이트세라믹볼(1504)이 포장된 상부마개와 나선결합되는 세라믹포장케이스(1504a)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KR1020170024324A 2017-02-23 2017-02-23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KR10199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24A KR101999367B1 (ko) 2017-02-23 2017-02-23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24A KR101999367B1 (ko) 2017-02-23 2017-02-23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385A true KR20180097385A (ko) 2018-08-31
KR101999367B1 KR101999367B1 (ko) 2019-07-11

Family

ID=6340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324A KR101999367B1 (ko) 2017-02-23 2017-02-23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3505A (zh) * 2020-08-11 2020-12-04 孙悦 一种稀土氧化物生产用废水治理池清洗装置及其实施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09A (ko) * 2006-07-21 2008-01-24 홍채형 휴대용 역삼투식 정수장치
KR20100018986A (ko) * 2008-08-08 2010-02-18 김완수 이동식 주방용 정수기
KR20130104645A (ko) * 2012-03-14 2013-09-25 지병욱 정수 샤워기구
JP2013248587A (ja) * 2012-06-01 2013-12-12 Daiichi Consultants Technology Co Ltd 手動式浄水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709A (ko) * 2006-07-21 2008-01-24 홍채형 휴대용 역삼투식 정수장치
KR20100018986A (ko) * 2008-08-08 2010-02-18 김완수 이동식 주방용 정수기
KR20130104645A (ko) * 2012-03-14 2013-09-25 지병욱 정수 샤워기구
JP2013248587A (ja) * 2012-06-01 2013-12-12 Daiichi Consultants Technology Co Ltd 手動式浄水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3505A (zh) * 2020-08-11 2020-12-04 孙悦 一种稀土氧化物生产用废水治理池清洗装置及其实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67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223B1 (en) Self-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
US7413653B2 (en) Portable filtered drinking water system
US7585409B2 (en)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EP0477954B1 (en) Iodine resin/carbo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120808C (zh) 瓶装水的消毒装置
JP2018519150A (ja) ポータブル水処理システム
US7604737B2 (en) Water filter device for use with individual containers
CN101272989A (zh) 人工操作的水净化设备
US5714066A (en) Water purifier having separate sink-mounted discharge faucets for dispensing purified water and discharging waste water
KR101999367B1 (ko) 수동식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
CN100379687C (zh) 水净化系统
WO2016115340A1 (en) Self-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
WO2008013068A1 (fr) Purificateur d'eau
JPH09220558A (ja) 浄水器
RU166084U1 (ru) Носимый сорбционный фильтр для воды
KR20090025019A (ko) 정수기용 감압밸브
WO20160181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01347390Y (zh) 综合过滤结构中设有烧结碳层的野外直饮水壶
JP3308183B2 (ja) 浄水装置及び浄化方法
CN211170236U (zh) 一种家用电解水机
CN214990838U (zh) 一种新型净水器
CN214360845U (zh) 一种市政工程用废水处理设备
KR200327035Y1 (ko) 이온 정수기의 급수개폐장치
KR100539055B1 (ko) 이온 정수기의 알칼리수 냄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