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340A -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340A
KR20180097340A KR1020170024206A KR20170024206A KR20180097340A KR 20180097340 A KR20180097340 A KR 20180097340A KR 1020170024206 A KR1020170024206 A KR 1020170024206A KR 20170024206 A KR20170024206 A KR 20170024206A KR 20180097340 A KR20180097340 A KR 20180097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linearly polarized
polarized light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권오진
김동욱
류주혁
이경일
여상옥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340A/ko
Publication of KR2018009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02B2027/01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comprising dichro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3Adaptation to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motion of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제1방향의 선편광을 출사하는 영상 소스; 차량의 윈드 쉴드로 이미지 광을 반사하며, 상기 제1방향의 선편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의 선편광을 반사하는 편광반사미러; 및 상기 편광반사미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편광반사미러를 투과한 제1방향의 선편광을 제2방향의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편광반사미러로 반사하는 위상지연 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소스, 편광반사미러 및 위상지연 미러부는 전후방향에 대해 일렬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드 쉴드로 이미지 광을 출사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는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윈드 쉴드를 향해 이미지 광을 출사하는 기기이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 중에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이미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생성된 이미지 광이 반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생성된 이미지 광은 미러에 의해 차량의 윈드 쉴드로 입사될 수 있고, 운전자는 윈드 쉴드 전방 위치의 허상을 인식할 수 있다.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하여 상기 허상과 실체 물체 및 공간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고,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계를 통하여 구현된 허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내 광 부품의 크기가 충분히 커야 하고, 광경로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크기가 큰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제한된 차량 내부 공간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들은 복수개의 반사 거울 또는 광학 렌즈를 이용하여 광경로를 확보하고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반사 거울 또는 광학 렌즈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부피 저감에 명백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KR 10-2015-0066534 A (2015.06.1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본 발명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컴팩트화가 가능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높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제1방향의 선편광을 출사하는 영상 소스; 차량의 윈드 쉴드로 이미지 광을 반사하며, 상기 제1방향의 선편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의 선편광을 반사하는 편광반사미러; 및 상기 편광반사미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편광반사미러를 투과한 제1방향의 선편광을 제2방향의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편광반사미러로 반사하는 위상지연 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소스, 편광반사미러 및 위상지연 미러부는 전후방향에 대해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반사미러; 및 상기 반사미러와 상기 편광반사미러 사이에 배치된 1/4파장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미러와 상기 1/4파장 위상지연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소스는 상기 편광반사미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상기 편광반사미러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양면 중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에서 출사된 선편광을 반사하는 면이 후방 상측을 향하게 경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소스는, 이미지 광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사된 이미지 광을 상기 제1방향으로 선형 편광시키는 선형 편광기(Linear 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양면 중 상기 선형 편광기에서 출사된 선편광이 입사되는 면이 상기 선형 편광기의 광출사면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의 전방에 배치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이고,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를 향하게 배치된 오목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소스 및 편광반사미러는, 전후방향에 대해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편광반사미러의 선택적 투과 및 반사에 의해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전후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소스와, 편광반사미러와, 위상지연 미러부의 일렬 배치를 통해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소스와, 편광반사미러와, 위상지연 미러부가 일렬 배치됨에 따라 각 광학 부품 사이의 전후방향 거리만을 변경하여 광경로를 조절 가능하므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서로 다른 차량에 적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광 경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하 방향은 수직한 방향뿐만 아니라 소정 각도 후방 방향으로 경사진 상하 방향과 소정 각도 전방 방향으로 경사진 상하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후 방향은 수평한 방향뿐만 아니라 소정 각도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전후 방향과 소정 각도 하측 방향으로 경사진 전후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영상소스(11)와, 편광반사미러(20)와, 위상지연 미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차량(1)의 윈드 쉴드(6)를 향해 이미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윈드 쉴드(6)는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윈도우일 수 있다. 운전자는 윈드 쉴드(6)를 통해 차량의 전방 외부를 주시할 수 있고, 헤드 업 디스플레이에 의해 윈드 쉴드(6)의 전방에 형성된 허상(K)을 바라볼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차량(1)의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9)에 수용되거나 인스트루먼트 패널(9) 위에 올려질 수 있고, 상측 방향으로 이미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차량(1)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소스(11)는 제1방향의 선편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영상 소스(11)는 후방을 향해 제1방향의 선편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영상 소스(11)는 이미지 광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와, 디스플레이 패널(13)에서 출사된 이미지 광을 제1방향으로 선형 편광시키는 선형 편광기(14, Linear 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디스플레이 소자(15)와, 디스플레이 소자(15)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선형 편광기(14)을 향해 이미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3)은 후방을 향해 이미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이미지 생성 유닛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패널, 오엘이디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과 같이 전기신호를 컨트롤하여 이미지 광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다.
광원(16)은 디스플레이 소자(15)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BLU)일 수 있다. 광원(16)은 LED, OLE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 Linear Polarizer)는 디스플레이 패널(13)에서 출사된 이미지 광 중 제1방향의 선편광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에서는 편광되지 않은 무편광(Non Polarized Light)이 출사될 수 있고, 무편광은 선형 편광기(14)에서 제1방향으로 편광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에서는 P파 선편광(P) 또는 S파 선편광(S)이 출사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은 디스플레이 소자(15)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소자(15) 에서는 선형 편광기(14)에 의해 편광된 선편광이 출사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는 디스플레이 소자(15) 외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소자(15) 에서 출사된 무편광은 선형 편광기(14)로 입사될 수 있고 선형 편광기(14)에서는 제1방향으로 편광된 선평광이 출사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가 디스플레이 소자(15) 외부에 배치될 경우, 선형 편광기(14)는 편광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의 일면(14A)과 타면(14B)은, 선형 편광기(14)의 외면 중 상대적으로 넓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의 일면(14A)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 전면일 수 있고, 타면(14B)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배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에서 출사되는 제1방향의 선편광은 선형 편광기(14)의 일면(14A)으로 입사될 수 있고, 타면(14B)으로 출사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의 전면(14A)은 디스플레이 소자(15) 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선형 편광기(14)의 배면(14B)은 편광반사미러(20)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의 배면(14B)은 편광반사미러(20)의 전면(21)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는 디스플레이 패널(13)를 마주보는 전면(14A)이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일 수 있고, 배면(14B)이 광출사면일 수 있다.
선형 편광기(14)은 디스플레이 소자(15)의 광 출사면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차량(1)의 윈드 쉴드(6)로 선편광을 반사시켜 허상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된 선편광과 동일방향의 선편광이 투과하고,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된 선편광과 직교한 방향의 선편광이 반사되는 광분리기(Beam Splitter)일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일면(21)과 타면(22)은, 편광반사미러(20)의 외면 중 상대적으로 넓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일면(2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 전면일 수 있고, 타면(22)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배면일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로 입사되는 제1방향의 선편광은, 편광반사미러(20)의 일면(21) 및 타면(22)을 통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편광반사미러(20)로 입사되는 제2방향의 선편광은, 편광반사미러(20)의 타면(22)에서 반사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소스(11)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제1방향의 선편광이 투과하고 제2방향의 선편광을 반사하는 선택적 편광소자일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의 후방에 배치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Wire Gride Polarizer: WGP)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는 그 편광 투과축과 직교한 선평관을 반사하고,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의 편광 투과축과 일치하는 선편광은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를 투과한다.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인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와 위상지연 미러부(30)의 사이에서 광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고, 영상 소스(11) 및 위상지연 미러부(30) 각각에서 입사되는 광을 넓은 입사각으로 입사 받으면서 그 선택적 투과/반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방향의 선편광이 S파 선평광일 경우, 편광반사미러(20)는 S파 선편광(S)이 투과할 수 있고, P파 선편광(P)을 반사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방향의 선편광이 P파 선평광(P)일 경우, 편광반사미러(20)는 P파 선편광(P)이 투과할 수 있고, S파 선편광(S)을 반사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와 위상지연 미러부(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위상지연 미러부(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된 제1방향의 선편광을 투과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를 투과한 제1방향의 선편광은 위상지연 미러부(30)로 입사되어 위상지연 미러부(30)에서 편광반사미러(20)의 배면(22)을 향해 반사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배면(22)을 향해 반사된 제2방향의 선편광은 편광반사미러(20)에서 반사되어 윈드 쉴드(6)로 향할 수 있다.
선택적 편광소자인 편광반사미러(20)는 하프 미러(Half Mirror) 보다 광의 소실을 최소화하면서 허상을 구현할 수 있고, 광의 소실이 적기 때문에, 영상 소스(11)의 밝기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영상 소스(11)를 방열시키는 방열부(미도시)의 크기를 줄이거나, 방열부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방향 선편광의 전방 투과와 제2방향 선편광의 상방 반사를 위해,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와 위상지연 미러부(30)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가 영상 소스(11)와 위상지연 미러부(30) 사이에서 선편광을 선택적 투과/반사하기 때문에, 허상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 광학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전체 크기를 보다 컴팩트화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그 전면(21)이 전방 하측을 향하고, 그 배면(22)이 후방 상측을 향하게 경사 배치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배면(22)은 상하 방향에 대해 차량(1)의 윈드 쉴드(6)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에 대해 위상지연 미러부(30)의 전면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편광반사미러(20)의 배면(22)은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전면(41)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위상지연 미러부(30)의 전면은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전면(41)을 의미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전면(21)은 전후 방향에 대해 영상 소스(11)의 광출사면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편광반사미러(20)의 전면(21)은 선형편광기(14)의 배면(14B)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영상 소스(11)의 광출사면은 선형 편광기(14)의 배면(14B)을 의미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는 영상 소스(11)를 마주보는 전면(21)에 형성된 반사 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 방지 코팅층은 편광반사미러(20)에서 영상 소스(11)를 마주보는 전면(21)의 표면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고, 투과광의 원하지 않는 반사광에 의한 광손실을 줄일 수 있다.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되어 편광반사미러(20)로 입사되는 제1방향의 선편광은 상기 안티 반사 코팅층에 의해 표면반사가 최소화되면서 편광반사미러(20)로 입사될 수 있다.
즉, 편광반사미러(20)는 상기 반사 방지 코팅층에 의해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되어 편광반사미러(20)를 투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위상지연 미러부(30)는 편광반사미러(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위상지연 미러부(30)는 편광반사미러(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상지연 미러부(30)는 편광반사미러(20)를 투과한 제1방향의 선편광을 제2방향의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편광반사미러(20)로 반사할 수 있다.
위상지연 미러부(30)는 반사미러(50)와 1/4파장 위상지연자(4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미러(50)는 오목 거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미러(50)는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 출사된 광을 다시 1/4파장 위상지연자(40)로 반사할 수 있다.
반사미러(50)은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후방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미러(3)의 전면(51)은 전후 방향으로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배면(42)을 마주볼 수 있다. 반사미러(3)의 전면(51)은 반사면일 수 있다.
제1반사미러(3)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전방에서부터 입사된 광을 다시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1/4 파장 위상지연자(40, Retarder)는 통과하는 빛의 편광상태를 변환하는 광학 소자로서, 1/4 파장판(quarter wave plate)일 수 있다.
1/4 파장 위상지연자(40)의 일면(41)과 타면(42)은, 1/4 파장 위상지연자(40)의 외면 중 상대적으로 넓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면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1/4 파장 위상지연자(40)의 일면(4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 전면일 수 있고, 타면(42)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된 배면일 수 있다.
1/4 파장 위상지연자(40)는 원형 편광기(Circular Polarizer)로 구성될 수 있다.
1/4 파장 위상지연자(40)는 편광반사미러(20)에서 출사되어 입사된 선편광의 위상을 1/4파장 지연시킬 수 있고, 반사미러(50)에서 반사된 선편광의 위상을 1/4 파장 지연시킬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편광반사미러(20)와 반사미러(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반사미러(50)의 전면(5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반사미러(50)는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반사미러(5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전면(41)은 편광반사미러(20)를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배면(42)은 반사미러(5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가 반사미러(50)와 접하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반사미러(50)의 전면(51)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배면(42)이 반사미러(50)의 전면(51)에 부착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배면(42)과 반사미러(50) 전면(51) 사이에 투명한 접착층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형상은 반사미러(50)의 전면(51)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미러(50)가 오목 거울이면,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전면(41)은 오목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의 전면(41)은 편광반사미러(20)의 배면(22)을 바라볼 있고, 배면(42)은 반사미러(50)의 전면(51)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편광반사미러(20)에서 입사된 제1방향의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1/4 파장 변환시킬 수 있다.
반사미러(50)는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 입사된 원편광을 1/4파장 위상지연자(40)로 반사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는 반사미러(50)에서 반사된 원편광을 1/4파장만큼 변환시킬 수 있고,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는 제2방향의 선편광이 편광반시미러(20)를 향해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소스(11), 편광반사미러(20), 위상지연 미러부(30)는 전후방향에 대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영상 소스(11), 편광반사미러(20), 위상지연 미러부(30)는 전후방향에 대해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소스(11) 및 편광반사미러(20)는, 전후방향에 대해 위상지연 미러부(30)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의 전체 높이가 줄어들 수 있고, 상하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의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광 경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윈드 쉴드(6)의 전방에 허상(K)을 형성할 수 있다.
허상(K)은 영상 소스(11), 편광반사미러(20), 위상지연 미러부(30), 편광반사미러(20)로 이어지는 광 경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광경로는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된 제1방향의 선편광이 편광반사미러(20)으로 입사되는 제1경로(T1)와, 편광반사미러(20)에서 출사된 제1방향의 선편광이 1/4파장 위상지연자(40)로 입사되는 제2경로(T2)와,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 출사된 원편광이 반사미러(50)으로 입사되는 제3경로(T3)와, 반사미러(20)에서 반사된 원편광이 1/4파장 위상지연자(40)로 입사되는 제4경로(T4)와,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 출사된 제2방향의 선편광이 편광반사미러(20)로 입사되는 제5경로(T5)와, 편광반사미러(20)에서 반사된 제2방향의 선편광이 윈드 쉴드(6)로 입사되는 제6경로(T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소스(11), 편광반사미러(20), 위상지연 미러부(30)가 전후 방향에 대해 일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광학 부품들 사이의 전후 방향 거리가 조절되면 광경로의 길이나, 허상(K)의 형성 위치, 초점 거리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가 서로 다른 차량에 장착될 때, 허상의 초점 거리는 각 차량이 갖는 형상 조건등에 맞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10)는 각 광학 부품들 간의 전후 거리만 조절하면 되므로, 다양한 차량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광경로를 조정함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 소스(11)에서 S파 선편광(S)이 출사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소스(11)에서 출사된 S파 선편광(S)은 편광반사미러(20)로 향할 수 있다.
편광반사미러(20)의 전면(21)으로 입사된 S파 선편광(S)은 편광반사미러(20)를 투과하여 위상지연 미러부(30)로 향할 수 있고,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 의해 원편광으로 파장이 변환되어 반사미러(50)로 입사될 수 있다.
반사미러(50)로 입사된 원편광은 반사미러(50)에 의해 1/4파장 위상지연자(40)로 반사될 수 있고,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 의해 P파 선편광(P)으로 파장 변환될 수 있다.
1/4파장 위상지연자(40)에서 파장 변환된 P파 선편광(P)은 편광 반사미러(20)로 향할 수 있고, 편광 반사미러(20)에서 윈드 쉴드(6)로 반사될 수 있다.
운전자는 광 경로에 의해 형성된 허상(K)을 윈드 쉴드(6)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6)의 전방에 허상(K)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허상(K)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눈(J)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소스(11)에서 P파 선편광(P)이 출사된 예는 영상 소스(11)에서 S파 선편광(S)이 출사된 예와 선편광의 종류만 상이하고, 그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영상 소스 13: 디스플레이 패널
14: 선형 편광기 20: 편광반사미러
30: 위상지연 미러부 40: 1/4파장 위상지연자
50: 반사미러

Claims (8)

  1. 제1방향의 선편광을 출사하는 영상 소스;
    차량의 윈드 쉴드로 이미지 광을 반사하며, 상기 제1방향의 선편광을 투과하고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의 선편광을 반사하는 편광반사미러; 및
    상기 편광반사미러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편광반사미러를 투과한 제1방향의 선편광을 제2방향의 선편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편광반사미러로 반사하는 위상지연 미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소스, 편광반사미러 및 위상지연 미러부는 전후방향에 대해 일렬 배치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반사미러; 및
    상기 반사미러와 상기 편광반사미러 사이에 배치된 1/4파장 위상지연자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미러와 상기 1/4파장 위상지연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는 상기 편광반사미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상기 편광반사미러의 후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양면 중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에서 출사된 선편광을 반사하는 면이 후방 상측을 향하게 경사 배치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는,
    이미지 광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사된 이미지 광을 상기 제1방향으로 선형 편광시키는 선형 편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양면 중 상기 선형 편광기에서 출사된 선편광이 입사되는 면이 상기 선형 편광기의 광출사면을 바라보게 배치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반사미러는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의 전방에 배치된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이고,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는 상기 와이어 그리드 편광기를 향하게 배치된 오목 미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및 편광반사미러는, 전후방향에 대해 상기 위상지연 미러부와 오버랩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1020170024206A 2017-02-23 2017-02-2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20180097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06A KR20180097340A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06A KR20180097340A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340A true KR20180097340A (ko) 2018-08-31

Family

ID=6340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06A KR20180097340A (ko) 2017-02-23 2017-02-2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3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8379A (zh) * 2021-05-19 2021-08-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抬头显示系统、抬头显示系统的驱动方法及交通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534A (ko) 2012-10-09 2015-06-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534A (ko) 2012-10-09 2015-06-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8379A (zh) * 2021-05-19 2021-08-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抬头显示系统、抬头显示系统的驱动方法及交通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374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CN107422477B (zh) 车辆用平视显示器
JP6027727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6890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422365B2 (en) Head up display for vehicle
US10393935B2 (en) Head-up display for a motor vehicle
TWI604225B (zh) 抬頭顯示器光學架構
CN110770635B (zh) 平视显示装置
KR101872089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102436559B1 (ko) 표시 모듈 및 접안 렌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18047522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とそのための映像表示装置
JP7195454B2 (ja) 光源装置、それを利用した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363828B2 (ja) 光学システム
JP6946925B2 (ja) 虚像表示装置
JP2006091489A (ja) 表示装置
KR101912499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20180097340A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101902689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EP3451047B1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ular head-up display
JP2017037304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映像ユニット、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および、映像ユニットを用いて立体視のための対画像を生成する方法
KR101917021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102585207B1 (ko) 헤드 업 디스플레이
KR20150098943A (ko) 고화질 디스플레이용 광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