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304A -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304A
KR20180097304A KR1020170024132A KR20170024132A KR20180097304A KR 20180097304 A KR20180097304 A KR 20180097304A KR 1020170024132 A KR1020170024132 A KR 1020170024132A KR 20170024132 A KR20170024132 A KR 20170024132A KR 20180097304 A KR20180097304 A KR 2018009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lock
wearable electronic
wear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058B1 (ko
Inventor
장천순
신주필
윤범식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02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0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7File encryp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잠금 기능을 구비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잠금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착용자가 임의로 전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잠금 해제를 제한함으로써,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보안성과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잠금 기능을 구비하여 착용자가 임의로 잠금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행정자치부가 최근 발표한 2016년 12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3.5%까지 치솟았다.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지 17년 만에 14%가 기준인 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셈이다. 오는 2050 년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40% 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많은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함께 저출산, 핵가족을 넘어 1인 가족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실버 산업 중에서도 노인층의 건강 관리 및 요양을 위한 시설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양 시설의 수나 요양 시설에서 노인층을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장비나 기술, 인력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층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요양 관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고령화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필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03568 호(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는 착용자의 상반신 피부에 밀착되는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에 의해 생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관리용 서버에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의 착용자가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354625 호(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는 착용자의 체온과 운동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착용자의 위급상황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생체 특징 인식 기반 웨어러블 사용자 인증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 인식 기술,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 및 IoT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융합기술로서 다른 산업 분야로의 파급 효과 및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자가 요양 시설과 같은 보호시설 내에서 안전하게 거주하며 요양이나 치료를 받는 노약자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요양시설 등에서 거주하는 노인층이 주로 겪게 되는 인지 장애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이와 같이,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층이나 인지 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를 포함하여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혈압이나 심박수 등의 생체(vital) 신호를 체크하여 위험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임의로 분리하거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 의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몸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보안성 확보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웨어러블 장치는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0694 호(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손목 착용용 웨어러블 기기)는 끝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형태의 플러그를 형성하고 이러한 플러그가 삽입되는 홀(hole)을 구비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반면에,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잠금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303037 호 (광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잠금 팔찌와 그의 제어방법)는 광센서와 함께 DC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전자 팔찌의 잠금을 제어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센서 및 기구적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슬림화 되어가고 있는 웨어러블 장치의 추세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인지 장애가 있는 노인층이나 인지 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이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타겟층을 고려하여,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이용하면서도 착용자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103568 호 (2015.09.11) 등록특허공보 제 10-1354625 호 (2014.01.1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0694 호 (2016.06.20) 등록특허공보 제 10-1303037 호 (2013.08.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를 대상으로 평상시에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착용자가 임의로 잠금을 해제할 수 없도록 관리자의 잠금키를 이용해서만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비상시에는 잠금 해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잠금 기능을 구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착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특정 구조의 잠금 키를 통하여 착용자의 신체 일부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특정한 형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상기 잠금부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자성체로 형성된 잠금쇠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상기 잠금부의 잠금쇠를 이동시켜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잠금쇠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은 자성을 유지하고, 전류가 차단된 경우에는 자성을 상실하는 소재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스트랩 내부에 이어지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랩을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조그 셔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버클 돌기와, 상기 버클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과, 상기 홈의 인접 영역에 구비되어 삽입된 버클 돌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키는 관리자의 펜 또는 의료용 장비에 부착가능한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키는 펜 또는 의료용 장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통신부를 통하여 원격지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을 해제할 수 없도록 제어하는 보안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는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무선 중계 시설은 기지국,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 신호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심박,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 액정표시장치 또는 전자 잉크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잠금부를 통하여 착용자의 일부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메모리 및 표시부를 구비하되,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을 해제할 수 없도록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 상태를 관리자 인식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착용자가 임의로 전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고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잠금 해제를 제한함으로써, 인지 능력이 부족한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보안성과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자성체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체온계에 잠금 키가 부착된 경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보안용 볼트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리락 방식을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버클 방식을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밴드 형태의 장치로 제공된다. 웨어러블 밴드 형태의 전자 장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트랩(Strap)(120)을 포함한다. 스트랩(120)은 착용자의 손목을 감싸면서 체결될 수 있는데, 본체부(110)의 일측에서 잠금부(160)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본체부(110)의 배면이 착용자의 손목 일부의 피부에 대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잠금부(16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펜이나 의료용 장비에 부착하거나 결합된 잠금 키를 이용해서만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스트랩(120)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폴리 클로로프렌으로 된 합성 고무로서 미국의 듀퐁사가 개발한 네오프렌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네오프렌은 2-크롬-1, 3-브타젠(클로로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스틸렌, 이소플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서로 중합시켜 만든다. 내유성, 내마모성, 난연성이 뛰어나다. 본체부(110)에는 후술할 각종 부품이 탑재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웨어러블 밴드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손목 이외에 필요에 따라 머리나 발목 등에 착용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치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형태 및 착용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는 관리가 필요한 노약자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착용자는 인지 장애를 가지는 노약자나 인지 능력이 부족한 영유아 및 어린이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착용자는 관리를 위해서 병원, 요양병원 및 요양원 등이 수용된 환자 및 학교,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수용된 영유아 및 어린이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30), 표시부(140), 생체 신호 측정부(150), 잠금부(160), GPS 장치(170), 통신부(180), 배터리(190), 및 제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에는 착용자의 비상 정보, 안전 영역 정보, 및 그 밖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0)가 저장하는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13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메인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130)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표시부(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전자 페이퍼(e-paper)와 같이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표시부(140)는 스피커와 같은 변환기(transducer)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40)를 전자 페이퍼로 구성할 경우 전력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표시부(140)를 곡면으로 형성하기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 페이퍼는 전자 잉크(e-ink)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전자 잉크는 입자의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해서 만든 잉크로서, 둥근 모양의 소형 캡슐 수백만 개로 구성된다. 소형 캡슐은 투명한 외피 속에 푸른 염료와 소형의 칩이 들어 있으며 두 겹의 전도체 사이에 위치한다. 투명한 전도체 사이에 있는 소형 캡슐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전기 신호를 받으면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생체 신호 측정부(150)는 착용자의 생체 신호(vital sign)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50)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심박수,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및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150)는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 신호에 따라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형 센서일 수도 있지만, 필요할 때마다 탈착이 가능한 탈착식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잠금부(160)는 착용자의 신체에 웨어러블 전자 장지(100)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본체부(110)나 스트랩(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트랩(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잠금부(160)는 착용자가 임의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신체에서 분리하거나 떼어낼 수 없고, 보호 시설의 관리자에게 지급되는 별도의 잠금 키(200)를 이용해서만 착용자의 신체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추가하여, 착용자가 보호 시설의 안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주변의 제3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착용자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잠금부(160)의 잠금 기능 해제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잠금부(160)는 자석을 이용하는 구조, 특수한 모양의 잠금 키(200), 조그 셔틀을 이용하는 구조, 및 버클 형식의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GPS 장치(170)는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 장치로, 위성을 이용하여 GPS 장치(170)가 위치하고 있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GPS 장치(170)는 현재의 위치를 구체적인 좌표로 감지할 수 있다. GPS 장치(170)를 이용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다. 통신부(18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처리하는 각종 데이터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생체 신호 측정부(150)가 측정한 데이터를 환자 관리 서버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잠금부(160)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8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이동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Bluetooth)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로라(LoRa) 또는 NB-IoT(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대규모 저전력 장거리 무선통신 기술은 대기 전력이 적고 모듈 가격이 저렴하여 스마트 시티와 옥외 등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초고속, 광대역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기존 스마트 기기의 연결 환경과는 다르게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가 없이도 단말기에 칩을 내장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소규모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로라(LoRa) 기술은 통신 거리가 넓고(가시거리가 확보된 환경에서 최대 21Km), 전력 소모가 적기 때문에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이 수 년간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많은 AP(Access Point)와 리피터(Repeater)가 필요 없어서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메모리(130), 표시부(140), 생체 신호 측정부(150), 잠금부(160), GPS 장치(170) 및 통신부(18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1)와 이들이 동작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상술한 전자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9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GPS 장치(170) 또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잠금부(160)의 잠금 해제를 제한하고,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던 비상 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게 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자성체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본체부(110)와 스트랩(120)을 결합하기 위한 잠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잠금부(160)의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다만 잠금부(160)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는 보호 시설의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특수한 잠금 키(200)만을 이용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는 잠금부(160)가 사각형 형태의 홈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잠금 키(200)를 잠금부(160)의 홈에 삽입함으로써 본체부(110)와 스트랩(120)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이러한 잠금부(160)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스트랩(120)에 구비된 홈의 내부에 탄성체에 연결되며 자성을 가지는 잠금쇠(162)가 삽입됨으로써 본체부(110)와 결합, 즉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잠금부(160)가 구성된다. 본체부(110)와 이어지는 잠금쇠(162)가 스트랩(120)의 홈에 삽입된 상황에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착용자의 손목에 결착된 상태이므로, 착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임의로 분리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잠금 해제를 위해서는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보관하고 있는 잠금 키(200)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잠금 키(200)의 하단부 역시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스트랩(120)의 홈에 잠금 키(200)를 가까이 가져가면 잠금부(160)의 잠금쇠(162)가 잠금 키(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트랩(120)의 홈에서 빠져나오는 순간에 본체부(110)와 스트랩(1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보호 시설에 거주하는 노약자 등과 같이 인지 능력이 저하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심박수,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및 혈압과 같은 생체 신호(Vital Sign)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과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형 센서 또는 필요할 때마다 탈착이 가능한 탈착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착용자의 손목에 부착되기 때문에, 측정된 생체 신호와 같은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호 시설의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는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를 이용하여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를 내장하여 정밀한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확인 기능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착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신체에서 분리하거나 분실하지 않도록 잠금 해제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손목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트랩(120)의 홈에 삽입되는 잠금쇠(162)를 전류가 흐르는 도전성 물질로 이용해서 구성하되,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만 자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전자석의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때, 스트랩(120)의 홈에 삽입되는 잠금쇠(162)가 스트랩(120) 내부의 도선(122)에 접촉되도록 하고 착용자가 안전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경우에만 전류를 인가하면, 안전 영역 내에서는 잠금 키(200)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가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스트랩(120) 내부의 도선(122)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스트랩(120)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잠금쇠(16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잠금쇠(162)는 자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잠금 키(200)를 홈에 접촉시키더라도 잠금쇠(162)를 부착할 수 없어서 스트랩(120)과 본체부(110)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인지 능력이 낮은 착용자가 보호 시설의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임의로 분리하거나 신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착용자의 위치 파악 및 안전 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는 자성을 가지는 잠금쇠(162)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착용자에게 부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잠금 키(200)를 이용해서만 가능하도록 하되, 착용자가 지정된 안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제한하도록 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잠금 해제를 위하여 관리자가 소지하는 잠금 키(200)는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펜이나 의료용 장비에 부착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4는 그 예로써, 체온계에 잠금 키(200)가 부착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보안용 볼트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스트랩(120) 부분에 특정 모양(예를 들어, 별 모양)의 볼트로 이루어진 잠금 키(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특정 모양의 너트 형태의 잠금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트랩(120)의 일측면과 반대편 스트랩(120)의 일측면이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하고,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소지하는 특정 모양의 잠금 키(200)를 잠금부(160)의 너트 형태 홈에 삽입하여, 잠금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은 일반적인 일자 드라이버나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보호 시설의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특정한 잠금 키(200)를 이용해서만 잠금을 해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 키(200)를 이용해서 잠금 설정이 이루어진 후,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정된 안전 영역 내에서는 잠금 키(200)를 이용한 잠금 해제가 가능하지만,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잠금 키(200)를 이용하더라도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전자적 또는 기구적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리락 방식을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스트랩(120) 내부에 와이어(124)가 내장되고 이들 와이어는 조그 셔틀(164)의 일 측면에 결합되도록 잠금부(160)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조그 셔틀(164)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트랩(120) 내부의 와이어(124)가 조그 셔틀(164)의 안쪽 몸통에 감기게 되어 스트랩(120)이 신축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어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조그 셔틀(164)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그 셔틀(164)의 안쪽 몸통에 감겨져 있던 와이어(124)가 느슨하게 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밀착되었던 스트랩(120)이 이완되어 잠금 설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그 셔틀(164)의 형태로 잠금부(16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10)를 조그 셔틀(164)에 결합할 수 있는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본체부(110)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조그 셔틀(164)의 측면에 돌기와 같은 고정용 구조를 마련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안전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 고정용 구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조그 셔틀(164)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잠금 해제를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버클 방식을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랩(120)의 일 측면에 버클 돌기(126)가 구비되고, 버클 돌기(126)가 본체부(110)의 홈에 삽입되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도록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본체부(110)에 삽입된 버클 돌기(126)는 본체부(110)에 부착된 분리 버튼(166)을 누르는 경우에 본체부(110)에서 버클 돌기(126)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분리 버튼(166)은 전자적 또는 기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안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분리 버튼(166)이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클 돌기(126)가 본체부(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01)는 GPS 장치(170) 또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안전 영역(S1)이란 착용자가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안전 영역(S1)은 기본적으로 물리적인 특정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영역(S1)은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수용된 요양병원 및 그 주변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영역(S1)에 관한 정보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안전 영역(S1)에 관한 정보는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적절한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01)에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40)를 통해 비상 정보를 표시하고, 잠금부(160)의 잠금 해제를 제한할 수 있다.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및 착용자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비상 정보는 수용된 요양 병원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담당 간호사 또는 간병인의 연락처 및 보호자의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정보는 착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 정보는 착용자의 성명, 나이, 성별, 및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증상 및 이에 따라 유의해야할 사항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가 안전 영역(S1)을 벗어나게 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표시부(140)에는 비상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표시된 비상 정보는 착용자에게 상황을 알리기 보다는 주변에 있는 제3자가 이를 쉽게 인식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이고 착용자가 병원을 무단으로 이탈하여 배회할 경우, 착용자를 발견한 제3자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표시부(140)에 표시된 비상 정보를 통해서 착용자가 수용된 요양 병원 등에 인계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착용자가 안전 영역(S1)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제어부(101)는 잠금 키(20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잠금부(16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없도록 잠금부(160)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을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170)를 이용하여 안전 영역(S1)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GPS 장치(170)는 현재의 위치를 구체적인 좌표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 영역(S1) 정보는 위치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 정보는 구체적인 좌표로 표시되는 공간을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전 영역(S1)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일 수 있는데, 시설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영역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요양 병원에 수용된 환자인 경우, 안전 영역(S1) 정보는 수용된 요양 병원 주변의 특정한 공간에 해당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GPS 장치(170)가 감지한 위치 좌표와 메모리(130)에 저장된 안전 영역(S1) 정보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1)가 GPS 장치(170)에 의해 감지된 위치를 기반으로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의 판단이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GPS 장치(170)를 이용할 경우, GPS 장치(170)가 소모하는 전력으로 인해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전체적인 소비 전력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GPS 장치(170)를 탑재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통신부(180)의 연결 여부를 통해 안전 영역(S1)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80)는 무선 중계 시설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GPS 장치(170)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안전 영역(S1) 정보는 통신부(180)가 연결되는 제1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무선 중계 시설은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에 설치되는 무선 중계 시설일 수 있다. 제1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는 설정하고자 하는 안전 영역(S1)과 최대한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통신부(180)의 무선 중계 시설 별 연결 조건 및 무선 중계 시설의 출력 파워 등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 무선 중계 시설 및 무선 중계 시설의 제어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에 들어와 있는 경우에, 통신부(18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에서 벗어나는 경우 통신부(18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외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다면, 통신부(18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는 것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바깥 부분은 외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통신부(18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된 경우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S1) 안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통신부(180)가 내부 무선 중계 시설과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외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상기 안전 영역(S1)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GPS 장치(170)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통신부(180)의 무선 중계 시설 연결 상태에 따라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전력 소모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GPS 장치(170)가 위치를 감지하기 어려운 실내 공간 또는 지하 공간에서도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를 설정하고자 하는 안전 영역(S1)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라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형적인 형태가 아닌 특수한 형태로 안전 영역을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서 안전 영역을 고려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내용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잠금부의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을 위한 전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안전 영역 정보 및 비상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GPS 장치(170)가 감지한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통신부(180)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된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및 통신부(180)가 무선 중계 시설과 연결된 상태를 기반으로 1차로 판단하고 GPS 장치(170)가 감지한 위치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잠금부의 보안을 설정하는 단계(S3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1)에서 잠금부(160)의 잠금 해제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이다. 이 때, 잠금 해제를 제한하는 보안 설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을 가지는 잠금쇠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잠금 해제를 위한 조그 셔틀을 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비상 정보를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정보는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의 이름, 위치, 전화번호, 기타 연락처 및 착용자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가 안전 영역을 이탈했다고 판단하기 전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S80)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S90)가 수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생체 신호 측정부(150)를 포함하고, 생체 신호 측정부(150)는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통신부(180)를 통해 환자 관리 서버 또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1: 제어부
110: 본체부 120: 스트랩
122: 도선 124: 와이어
130: 메모리 140: 표시부
150: 생체신호 측정부 160: 잠금부
162: 잠금쇠 164: 조그 셔틀
166: 분리 버튼 170: GPS 장치
180: 통신부 190: 배터리
200: 잠금 키

Claims (19)

  1. 신체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부와, 상기 생체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착용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스트랩에 형성되어, 특정 구조의 잠금 키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특정한 형상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상기 잠금부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돌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자성체로 형성된 잠금쇠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키는 상기 잠금쇠를 이동시켜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은 자성을 유지하고, 전류가 차단된 경우에는 자성을 상실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스트랩 내부에 이어지는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트랩을 조이거나 이완시키는 조그 셔틀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버클 돌기;
    상기 버클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및
    상기 홈의 인접 영역에 구비되어 삽입된 버클 돌기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버튼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는 펜 또는 의료용 장비에 부착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키는 펜 또는 의료용 장비에 일체로 형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통신부를 통하여 원격지의 단말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를 감지하는 GPS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안전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가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보안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영역 정보는 상기 착용자가 거주하는 시설 및 상기 시설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의 범위를 가지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가 연결되는 내부 무선 중계 시설의 커버리지에 관한 정보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 시설은 기지국, 중계기 또는 게이트웨이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심박, 산소 포화도, 보행 걸음 수, 체온, 심전도,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 액정표시장치 또는 전자 잉크 소자로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7. 잠금부를 통하여 착용자의 일부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메모리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안전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안전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가 불가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잠금 설정 상태를 관리자 인식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24132A 2017-02-23 2017-02-23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9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32A KR101898058B1 (ko) 2017-02-23 2017-02-23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32A KR101898058B1 (ko) 2017-02-23 2017-02-23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304A true KR20180097304A (ko) 2018-08-31
KR101898058B1 KR101898058B1 (ko) 2018-09-12

Family

ID=6340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132A KR101898058B1 (ko) 2017-02-23 2017-02-23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05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032A (ko) * 2004-09-21 2004-10-20 최세환 미아방지알에프팔찌
KR20100000054U (ko) * 2008-06-25 2010-01-06 한국하이테크공업(주) 잠금용 솔레노이드 장치
KR20100129278A (ko) * 2008-01-18 2010-12-0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클로저 시스템
KR101303037B1 (ko) 2012-07-23 2013-09-26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광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잠금 팔찌와 그의 제어방법
KR101354625B1 (ko)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KR20150070705A (ko) * 2013-12-17 2015-06-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 감지 밴드
KR20150103568A (ko)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200480694Y1 (ko) 2015-01-16 2016-06-28 주식회사 인바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손목 착용용 웨어러블 기기
KR20170000123A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032A (ko) * 2004-09-21 2004-10-20 최세환 미아방지알에프팔찌
KR20100129278A (ko) * 2008-01-18 2010-12-08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클로저 시스템
KR20100000054U (ko) * 2008-06-25 2010-01-06 한국하이테크공업(주) 잠금용 솔레노이드 장치
KR101303037B1 (ko) 2012-07-23 2013-09-26 주식회사 오성미디컴 광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잠금 팔찌와 그의 제어방법
KR101354625B1 (ko)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KR20150070705A (ko) * 2013-12-17 2015-06-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 감지 밴드
KR20150103568A (ko)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200480694Y1 (ko) 2015-01-16 2016-06-28 주식회사 인바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손목 착용용 웨어러블 기기
KR20170000123A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치매 환자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058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9554A1 (en) Modular wireless physiological parameter system
AU2013348506B2 (en) A medical monitoring system
US92591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6082404A1 (zh) 一种智能安全识别装置及系统
GB2505981A (en) Tracking arrangement comprising wearable transmitter and locator units
KR101920537B1 (ko)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BR112020008863A2 (pt) cinto de segurança, equipamento de segurança compreendendo o referido cinto e método de proteção
US10734110B2 (en) Caregiver locating tag having advanced functionality
KR101859399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98058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CN213634781U (zh) 一种医用报警装置
CN211402746U (zh) 一种智能定位腕带
US8576088B2 (en) Sensor system for an alarm security device
US10028118B2 (en) Intelligent security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system
US20110148638A1 (en) Security monitor method utilizing a rfid tag and the monitor apparatus for the same
KR102412922B1 (ko)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CN213664016U (zh) 一种医用儿童手环以及医用智能系统
CN216315850U (zh) 一种微型智能颏托装置、头戴设备及其检测系统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CN110731765A (zh) 一种智能医疗远程监护手环
CN212877996U (zh) 一种带有监测身体状态的老人看护手环
KR20180135673A (ko) 패치형 센서모듈
CN212816589U (zh) 医用腕带和医用腕带系统
KR101694757B1 (ko) 웨어러블 산소포화도 측정 시스템
CN204839757U (zh) 一种用于灾害救援的具有识别功能的医用腕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