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22B1 -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 Google Patents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22B1
KR102412922B1 KR1020220031706A KR20220031706A KR102412922B1 KR 102412922 B1 KR102412922 B1 KR 102412922B1 KR 1020220031706 A KR1020220031706 A KR 1020220031706A KR 20220031706 A KR20220031706 A KR 20220031706A KR 102412922 B1 KR102412922 B1 KR 102412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biometric
temperature charging
ring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김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완 filed Critical 김태완
Priority to KR102022003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22B1/ko
Priority to PCT/KR2023/001496 priority patent/WO2023177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itical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r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 반지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하여 생체인식신호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통신기기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Body temperature charging biometric emergency ring}
본 발명은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 반지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하여 생체인식신호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통신기기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예로 심전도와 같은 생체인식 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고 웨어러블의 기술 발달로 점차 보급이 되고 있다.
손목형 웨어러블의 문제점은 시계 착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착용의 불편함을 느끼고, 충전 문제로 미착용하는 시간동안 응급 위급상황을 감지할 수 없다.
요즘은 웨어러블이 대세이지만, 손목에 차기 때문에 생체인식 정확도가 떨어지고 시계 착용을 불편해하는 사람은 착용을 하지 않고 충전을 위해 벗어 놨다가 깜박하고 착용을 안 할 확률이 반지보다는 높다.
손목형 웨어러블은 손가락에 착용하는 반지 형의 생체인식장치에 비해 인식률이 낮은 편이다. 이는 병원에서 정확성을 위해 환자의 말초신경이 모여 있는 손가락에 심전도측정기를 물리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세계는 고령화와 독고 사회로 점차 진행되고 있다.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 층 또한 고독사로 수일-수개월만에 발견되는 사건을 자주 볼 수 있고 의도치 않게 사전에 자신의 신체 반응을 모르다가 부정맥 등 돌연사 급사하는 경우는 수없이 많다.
얼마전 해외에서는 지하철에서 자는 줄만 알았던 승객이 이미 죽어 있었다는 충격적인 뉴스가 나왔다. 만약 본 발명의 반지 형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이 있었다면, 사용자의 생체반응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기 때문에 불행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충격감지기능이 있어, 타인이 강제로 빼려하는 충격 강도 및 감도를 측정하고, 뺀 후 떨어뜨리거나 던져지는 충격과 동시에 신체의 급격한- 과격한 반응 등을 AI가 조합 감지하여, 미연에 불미스러운 사건을 막을 수 있고, 본 발명이 보편화 되면 불미스러운 사건사고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체온으로 충전이 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목욕- 로션 등 세신과 화장품 등을 바를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24시간 365일 착용을 할 수 있어, 미착용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며 일정시간 착용을 하지 않으면 알림음이 발생한다.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응급실 입원환자 또는 입원 시 심박측정기, 산소포화도측정기를 중지나 검지 때론 엄지에 물려 놓듯이 손가락에 착용하는 기기로 손목보다는 측정면에서 좀 더 정확성을 요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지부에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 플렉시블 회로기판, 생체인식 단자, 체온충전 단자 등이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체온충전과 체온 측정부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신체활동, 스트레스 등을 감지하는 생체인식신호 취합부, 위치(GPS),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기기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기기에 케이스, 트랜스리시버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지부는, 착용된 손가락이 맞닿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둘레면보다 큰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는 체온에 의해 전력을 충전하는 체온충전 패널, 상기 체온충전 패널과 일체를 이루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부, 상기 체온충전 패널과 상기 상부면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위치GPS, 모바일 통신부, 블루투스 모듈, 생체인식 제어부, 데이터 저장부가 설치된 플렉시블 회로기판, 상기 하부면과 상기 체온충전 패널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면을 향해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수집하는 생체인식 단자, 상기 하부면과 상기 체온충전 패널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인식 단자와 병렬로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상기 체온충전 패널로 체온을 전달하는 체온충전 단자,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일체로 체결 및 고정하는 상하부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면은 생체인식신호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해 LED 및 표시선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체온충전과 체온 측정부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신체활동, 스트레스 등을 감지하는 생체인식신호 취합부, 위치(GPS),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상부면과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 사이 공간에 상기 상하부 체결부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기기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부재, 측면부재, 하면부재를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되는 트랜스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부재의 내면 측단부에는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고정체 홈이 형성되고, 또 다른 측면부재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 홈을 연속하여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된 삽입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체 바디, 상기 고정체 바디 중심에 상기 삽입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체 홈, 상기 삽입체 홈의 하부에는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 홈은, 상기 삽입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후 돌출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체 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면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가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결합을 고정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리시버는, 통신기기가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채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하는 채널 커넥터, 상기 채널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채널 커넥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제 2 채널, 상기 제 1 채널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채널은 송수신기에 의해 전달받은 생체인식신호 데이터를 정렬하고 기저장된 표준 정상 생체인식신호 데이터와 비교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를 통해 제 2 채널로 수신하고, 제 2 채널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렬하고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를 통해 제 1 채널을 거쳐 송수신기로 송신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에 착용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 반지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하여 생체인식신호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는 통신기기가 구비된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 (동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반지부를 통해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송수신하는 통신기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응급 센터 (예: 112/119 등) 에 호출하여 건강 이상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와 통신기기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세부적인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플렉시블 회로기판과 상부면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응급호출센터와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케이스 조립도 및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측면부재의 조립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측면부재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트랜스리시버의 구성 및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와 통신기기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손가락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지부(R)는 착용된 손가락이 맞닿는 하부면(50), 하부면의 둘레면보다 큰 상부면(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50)은, 링(ring)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져 접촉될 수 있다.
상부면(40)과 하부면(50)은, 링(ring)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에폭시 크리스탈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져 접촉될 수 있다.
상부면(40)은, 링(ring)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될 수 있고, 터치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부면(40)은, 링(ring)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태양광 등 광원을 받아 보조 충전을 할 수 있는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상부면(40)과 하부면(50)은, 사이에 마감을 위해 방수기능 기술이 적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세부적인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면(40)과 하부면(50) 사이에는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 플렉시블 회로기판(10), 생체인식 단자(30), 체온충전 단자(20), 상하부 체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온충전 패널(70)은 체온에 의해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전력저장부(70)는 체온충전 패널(70)과 일체를 이루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체온충전패널 및 전력저장부(70)는, 체온충전 단자(20)로부터 전달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체온충전패널 및 전력저장부(70)는, 플렉시블 회로기판(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10)은 체온충전 패널(70)과 상부면(40)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위치GPS, 모바일 통신부, 블루투스 모듈, 생체인식 제어부, 데이터 저장부가 설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10)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는 인쇄회로가 적용될 수 있고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그래핀 또는 신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10)에 적용된 모바일 통신부는, 스마트폰 및 기타 전자 디바이스 사용을 못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적용되며, 24시간 365일 실시간으로 정보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플렉시블 회로기판(10)에 적용된 모바일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부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각기 상황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생체인식 단자(30)는 하부면(50)과 체온충전 패널(70)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하부면(50)을 향해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생체인식 단자(30)는, 하부면(5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활동, 스트레스 등 일체의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인식을 24시간 365일 실시간으로 인체의 활동을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고 위급 응급 시에는 요청 신호를 보내 사용자의 위험한 상황을 알리고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평상 시에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 유지할 수 있다.
체온충전 단자(20)는 하부면(50)과 체온충전 패널(70)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생체인식 단자(30)와 병렬로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체온충전 패널로 체온을 전달할 수 있다.
체온충전 단자(20)와 생체인식 단자(30)는, 충전과 인식이 가능한 전도성 재질이 적용되고, 체온충전 패널과 전력저장부(70)를 연결하며 전도성 전극 및 스프링(80)이 적용될 수 있고 반지 사이즈 조절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체온충전 단자(20)은, 하부면(5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체온을 이용하여 미세전기를 발생시켜 충전이 되며,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체온충전 단자(20)와 생체인식 단자(30)를 직접 손가락에 닿도록 조립함으로써 사용자 마다 상이한 반지의 치수를 전극 및 스프링(80)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체온충전 단자(20)와 생체인식 단자(30)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양호하게 신체와 미세전기를 통할 수 있다.
상하부 체결부(60)는 상부면(40)과 하부면(50)을 일체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플렉시블 회로기판과 상부면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회로기판(10)과 상부면(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실시예의 일부일 뿐 다른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반지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면(40)은 생체인식신호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해 LED 및 표시선(90)을 구비할 수 있다.
LED 및 표시선(90)은, 반지라는 특성 상 손가락에서 돌아 갈 수 있기에 LED가 적용된 부분이 상부이라는 표시를 인지시키고, 응급 위급 상황 시 LED의 강한 빛으로 알림 기능을 할 수 있다.
LED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따르며,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응급호출센터와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후술할 통신기기(100)를 통해 중앙 EDC (응급) 센터로 직접 호출하고, 중앙 응급 센터에서 다시 권역별 EDC (응급) 센터로 각 호출하여 112/119 등으로 응급 호출하여 응급 출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심장이 뛰는 동안은 인체에 미세한 전류가 생성되는데, 그러한 전류는 체온충전 단자(20)를 통해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저장하며, 플렉시블 회로기판(10)에 적용된 통신부, 제어부 등 모듈이 구동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생체인식 단자(30)는 미세전류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인체활동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부로 정보를 보내 저장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는 통신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EDC(응급) 상황실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수집된 미세전류의 변화로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EDC(응급) 상황실에 전송되어 심전도,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 사용자의 생체활동과 건강상태를 분석 가능한 상태로 안전하게 저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통신기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기(100)는 체온충전과 체온 측정부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신체활동, 스트레스 등을 감지하는 생체인식신호 취합부, 위치(GPS),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상부면과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 사이 공간에 상기 상하부 체결부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통신기기(100)는 케이스(110), 트랜스리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케이스 조립도 및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부재(111), 측면부재(112), 하면부재(113)를 이룰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측면부재의 조립도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측면부재(112)의 내면 측단부에는 고정체(112a)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고정체 홈(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부재(112)의 측단부에는 고정체(112a)와 고정체 홈(112b)을 연속하여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된 삽입체(112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측면부재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체(112a)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체 바디(112a-2), 고정체 바디(112a-2) 중심에 삽입체(112c)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체 홈(112a-1), 삽입체 홈(112a-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12a-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 홈(112b)은 삽입체(112c)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112b-1), 삽입홈(112b-1)의 하부에 돌출부(112a-3)가 삽입된 후 돌출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 홈(112b-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들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체(112a)는 고정체 홈(112b)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면서, 삽입체(112c)가 고정체(112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가 상하로 회동하여 측면부재(112)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의 통신기기의 트랜스리시버의 구성 및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랜스리시버(200)는 송수신기(210), 제 1 채널(220), 채널 커넥터(240), 제 2 채널(230), 전원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체온충전과 체온 측정부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신체활동, 스트레스 등을 감지하는 생체인식신호 취합부, 위치(GPS),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채널(220)은 송수신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다.
채널 커넥터(240)는 제 1 채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할 수 있다.
제 2 채널(230)은 채널 커넥터(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채널 커넥터(240)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다.
전원부(250)는 제 1 채널(22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채널(220)은 송수신기(210)에 의해 전달받은 생체인식 신호 데이터를 정렬하고 기저장된 표준 정상 생체인식신호 데이터와 비교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240)를 통해 제 2 채널(230)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채널(230)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렬하고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240)를 통해 제 1 채널(220)을 거쳐 송수신기(2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랜스리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기(21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관계와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에 있어서, 반지부(R)와 통신기기(100)는 서로 네트워크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지부(R)의 세부 구성들로 차례로 하부면(50),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 플렉시블 회로기판(10), 상부면(40)을 이루고,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와 하부면(50)을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체온충전 단자(20) 및 생체인식 단자(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을 참조하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관련된 동작 원리는 상기 기술하였으므로 중복 기술을 피하기 위해 이하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기기(100)의 케이스(110)는 일반적으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또한 크기는 도 2를 참조하여, 상부면(40)과 플렉시블 회로기판(10) 사이 공간에 상하부 체결부(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측면부재(112)는 특히 고정체(112a), 고정체 홈(112b) 및 삽입체(112c)의 결합 관계에 의해 각각 결합되며, 결합 관계 및 동작 원리는 상기 기술하였으므로 중복 기술을 피하기 위해 이하 생략한다.
한편, 상면부재(111) 및 하면부재(113)는 측면부재(112)와 일반적인 결합 형태(예, 본딩 또는 나사 결합 등)을 따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다양한 실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랜시버(200)는 제 1 채널(220)과 제 2 채널(230) 사이에 채널 커넥터(240)가 결합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제 1 채널(220)에 송수신기(210)가 연결된다.
송수신기(210)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지 형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및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본 발명과 유사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많지만, 대부분 사용자의 간단한 생체인식을 체크하는데 목적이 있고 정확한 측정이 되지 않으며, 기기들마다 오차범위가 크게 차이 난다. 본 발명은 평소에는 정확하게 자신의 건강을 돌보면서 사용자가 위급 응급에 처한 상황에서는 생명을 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하기에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본 발명의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와 한 몸처럼 발명이 되어야 한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를 평소 24시간 365일 착용을 하며 자신의 건강상태를 스마트폰, 컴퓨터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 수 있고 응급 위급 상황 시에는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 반지에 내장된 모바일 통신 또는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EDC(응급) 상황실로 신호를 보내 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기 등록된 사용자와 모바일 및 다양한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하며,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수집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기 등록된 사용자와의 계약에 따라 다양한 통신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전자기기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는 기 등록된 유선 방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를 유출할 수 없고 오직 사용 계약을 맺은 사용자 이외에는 민감한 건강정보를 공유할 수 없고, 계약을 통해 사용자가 미리 동의하고 요구할 때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중앙 EDC(응급) 상황실을 두고, 지역별- 권역별 단위로 EDC(응급) 상황실을 구축하며, 중앙과 지역별- 권역별 상황실은 각 지역별- 권역별 소방서, 경찰서, 응급 대응팀에 위급 응급 상황에 따라 구조 지원요청을 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자체 응급 대응팀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이 없는 동안에는 위험요소들을 사전에 점검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응급 전달(동보) 시스템은, 부족한 경찰, 소방 인력을 보충하는 역할과 업무 및 권한을 위임받아 대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반지부(R)
플렉시블 회로기판(10)
체온충전 단자(20)
생체인식 단자(30)
상부면(40)
하부면(50)
상하부 체결부(60)
체온충전 패널 및 전력저장부(70)
LED 및 표시선(90)
통신기기(100)
케이스(110)
상면부재(111)
측면부재(112)
고정체(112a)
삽입체 홈(112a-1)
고정체 바디(112a-2)
돌출부(112a-3)
고정체 홈(112b)
삽입홈(112b-1)
돌출부 홈(112d) -> (112b-2)
삽입체(112c)
하면부재(113)
트랜시버(200)
송수신기(210)
제 1 채널(220)
제 2 채널(230)
채널 커넥터(240)
전원부(250)

Claims (3)

  1. 손가락에 착용하여 착용자의 생체인식신호를 측정하는 반지부;
    를 포함하는,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에 있어서,
    상기 반지부는,
    착용된 손가락이 맞닿는 하부면;
    상기 하부면의 둘레면보다 큰 상부면;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는
    체온에 의해 전력을 충전하는 체온충전 패널;
    상기 체온충전 패널과 일체를 이루며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부;
    상기 체온충전 패널과 상기 상부면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위치GPS, 모바일 통신부, 블루투스 모듈, 생체인식 제어부, 데이터 저장부가 설치된 플렉시블 회로기판;
    상기 하부면과 상기 체온충전 패널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면을 향해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인식신호를 수집하는 생체인식 단자;
    상기 하부면과 상기 체온충전 패널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생체인식 단자와 병렬로 관통 설치되어 손가락과 접촉하여 상기 체온충전 패널로 체온을 전달하는 체온충전 단자;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일체로 체결 및 고정하는 상하부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은 생체인식신호 정보들을 표시하기 위해 LED 및 표시선을 구비하고,
    상기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는,
    체온충전과 체온 측정부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호흡, 혈압, 수면, 인체반응 및 신체활동, 스트레스 등을 감지하는 생체인식신호 취합부, 위치(GPS),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상부면과 상기 플렉시블 회로기판 사이 공간에 상기 상하부 체결부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통신기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기기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부재, 측면부재, 하면부재를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와 네트워크적으로 연통되는 트랜스리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재의 내면 측단부에는 고정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고정체 홈이 형성되고,
    또 다른 측면부재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 홈을 연속하여 삽입될 수 있는 돌출된 삽입체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체 바디;
    상기 고정체 바디 중심에 상기 삽입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체 홈;
    상기 삽입체 홈의 하부에는 돌출 형성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 홈은,
    상기 삽입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형상의 홈이 형성된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하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후 돌출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 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체 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면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고정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체가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측면부재의 결합을 고정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리시버는,
    통신기기가 수신하는 상기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상기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제 1 채널;
    상기 제 1 채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를 네트워크적으로 연통하는 채널 커넥터;
    상기 채널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채널 커넥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제 2 채널;
    상기 제 1 채널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제 1 채널은 송수신기에 의해 전달받은 생체인식신호 데이터를 정렬하고 기저장된 표준 정상 생체인식신호 데이터와 비교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를 통해 제 2 채널로 수신하고,
    제 2 채널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정렬하고 모바일 송수신 통신 모듈(자체 기지국을 통한 송수신과 통신사를 통한 송수신),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 모듈, 반지에 가해지는 충격감지 모듈, 병원심전도- 산소포화측정 장치 연동 모듈, 응급 소리 알람, 진동알림, 전자지갑기능, 보안기능(전자여권 및 주민등록증)이 포함된 데이터를 채널 커넥터를 통해 제 1 채널을 거쳐 송수신기로 송신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2. 삭제
  3. 삭제
KR1020220031706A 2022-03-14 2022-03-14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KR102412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706A KR102412922B1 (ko) 2022-03-14 2022-03-14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PCT/KR2023/001496 WO2023177082A1 (ko) 2022-03-14 2023-02-02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706A KR102412922B1 (ko) 2022-03-14 2022-03-14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22B1 true KR102412922B1 (ko) 2022-06-23

Family

ID=8222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706A KR102412922B1 (ko) 2022-03-14 2022-03-14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2922B1 (ko)
WO (1) WO2023177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82A1 (ko) * 2022-03-14 2023-09-21 김태완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701A (ko) * 2004-06-29 2006-01-06 정동근 반지형 생체신호 감지센서 및 반지형 생체신호 감지센서가구비된 생체신호 측정장치
JP2006247133A (ja) * 2005-03-10 2006-09-21 Sharp Corp 生体信号測定装置、生体信号測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03325A (ko) * 2017-06-30 201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속적인 생체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발전 웨어러블 장치
KR20200124990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반지 형태의 생체신호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020A (ko) * 2014-07-10 2016-01-20 오수영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2412922B1 (ko) * 2022-03-14 2022-06-23 김태완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701A (ko) * 2004-06-29 2006-01-06 정동근 반지형 생체신호 감지센서 및 반지형 생체신호 감지센서가구비된 생체신호 측정장치
JP2006247133A (ja) * 2005-03-10 2006-09-21 Sharp Corp 生体信号測定装置、生体信号測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03325A (ko) * 2017-06-30 201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속적인 생체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발전 웨어러블 장치
KR20200124990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반지 형태의 생체신호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082A1 (ko) * 2022-03-14 2023-09-21 김태완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082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0100A1 (en) Enhance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physiological monitoring, prognosis, and triage
US20160262636A1 (en) Health-abnormal condition alarm system using multi bio-signal
CN101073494B (zh) 非侵入式生命迹象监测设备、系统及方法
US9526433B2 (en) Wrist-mounted electrocardiography device
US20120203076A1 (en) Portable Physiological Data Monitoring Device
US9149577B2 (en) Body-associated receiver and method
AU2013348506B2 (en) A medical monitoring system
JP2018149355A (ja) 監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10224505A1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ve device
KR1023090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WO2012060588A2 (ko) 휴대용 맥박 측정기
CN101330866A (zh) 单次使用脉搏血氧仪
CN101330865A (zh) 单次使用脉博血氧仪
KR102391913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WO2012155151A2 (en) User wearable portable communicative device
US2016005115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enabled wireless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KR20180135694A (ko)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KR102412922B1 (ko) 체온충전 생체인식 응급반지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US20240108290A1 (en)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and artificial-intelligence-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CN106901709A (zh) 一种实时监测人体情况的智能手环
Vashist et al. Wearable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mobile healthcare monitoring and management
US20230004129A1 (en) Watch with band device
CN209074598U (zh) 一种便利的心电监护系统
KR101849857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