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293A - 이어 테라피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 테라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293A
KR20180097293A KR1020170024113A KR20170024113A KR20180097293A KR 20180097293 A KR20180097293 A KR 20180097293A KR 1020170024113 A KR1020170024113 A KR 1020170024113A KR 20170024113 A KR20170024113 A KR 20170024113A KR 20180097293 A KR20180097293 A KR 20180097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acupressure
pressure
therapy device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수
Original Assignee
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수 filed Critical 서종수
Priority to KR102017002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293A/ko
Publication of KR2018009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7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귀의 경혈을 지압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로서, 헤드셋 형상의 케이스; 서로 독립된 각 기능 영역에 상기 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지압 수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지압 구동부; 동작 모드별로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동작 모드 입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지압 구동부를 상기 기능 영역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어 테라피 장치{EAR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이어 테라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어(Ear, 이하 '귀'와 혼용 함)의 경혈을 자극할 수 있는 이어 테라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사지는 피부 및 근육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신체를 주무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마사지는 혈액 / 임파액 / 조직액 등 체액의 흐름을 촉진하여 국소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피로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과학적 치료수단으로서 지체 부자유아, 두개 내 혈관 손상, 신경장애 등 여러가지 운동실조 또는 스포츠나 노동의 피로 회복이나 준비 운동 등에 널리 이용된다. 신체 부위 중 귀의 경우, 귀볼 늘이기, 귀 꾸미기, 귀 마찰하기, 귀 잡아당기기, 귀 꼭꼭 누르기, 귀 걸어당기기 등으로 마사지를 한다.
동양 의학에서 침술이 의료 기술로서 인정받아 치료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침술은 한의학, 중의학 및 일본을 포함한 동양 한방 의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침술은 자극 지역, 즉, 경혈(Meridian point)을 자극하여 다양한 치료 및 예방 효과를 얻는다. 침술의 기전은 특정 경혈에 분포하는 말초신경계 및 주변 장기에 위치하는 연조직(Soft Tissue)을 물리적 운동,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여 자극하는 것이다. 자극된 신경계 또는 연조직은 지역적 생체적 반응(세포신호) 또는 중추신경계를 통하여 신체 전역에 영향을 유도하여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귀 부분은 한의학에서 전신의 각 장부와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그리고 현대 의학에 의하면 귀에는 비교적 많은 신경, 혈관 그리고 림프관이 분포되어 있다. 이에 동양 의학에서는 이혈요법(auricular acupressure)이라고 불리는 귀 테라피를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사용한다. 이혈요법은, 귀에 나타나는 다양한 양성 반응(陽性反應·병 진단을 위한 검사 결과, 특정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해 인체의 건강 상태, 성격, 심리, 체질 등을 파악한 뒤, 귀에 있는 경혈을 자극해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고 면역력을 증강시켜 인체의 항상성을 회복시킨다.
이에 따라 귀를 마사지하거나 귀의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헤드셋 형태의 이어 테라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단순히 귀의 경혈을 무작위적으로 지압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귀는 한의학에서 전신의 각 장부와 연결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적절한 부위에 자극을 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귀의 경혈을 전체적으로 무작위로 지압하고 있어 효과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귀의 적절한 부위를 지압할 수 있는 이어 테라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에 따라 귀의 적절한 부위를 적절한 강도와 적절한 시간 동안 지압할 수 있는 이어 테라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귀의 경혈을 지압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는, 헤드셋 형상의 케이스; 서로 독립된 각 기능 영역에 상기 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지압 수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지압 구동부; 동작 모드별로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동작 모드 입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지압 구동부를 상기 기능 영역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압 구동부의 각 기능 영역은, 독립된 밀폐 공간에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능 영역의 독립된 밀폐 공간의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지압 구동부는,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부; 및 상기 압력 발생부와 상기 독립된 밀폐 공간 사이에서 상기 압력을 상기 독립된 밀폐 공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거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발생부는, 공기 펌프 또는 유압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 영역의 독립된 밀폐 공간은,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 각각을 수용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 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압핀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지압 수단은, 압전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압 구동부는, 상기 귀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의 상기 귀를 향하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동작 모드별로 지압 강도, 지압 시간 및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이어 테라피 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동작 모드별로 소리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 입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귀의 전체 경혈 중 적절한 부위의 경혈을 선택적으로 지압하여 지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귀의 경혈 지압과 음악 등의 소리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물리적 치료 효과 및 정신적 치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귀의 형상에 맞게 지압 수단의 길이를 달리하거나 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귀의 경혈을 지압함으로써 귀의 경혈을 빠짐없이 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할 때 지압 구동부의 기능 영역을 분할하고 각 기능 영역별로 하나의 압력 발생부를 사용하여 압력 발생부의 개수를 줄여 비용, 크기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는, 압전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때 이동 플레이트를 전후 직선 이동시키는 데에만 모터를 사용하고 압전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데 모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어 테라피 장치의 모터 사용 개수를 줄여 비용, 크기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의 경혈을 그룹핑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의 경혈을 그룹핑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압 구동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어느 한 기능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지압 구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츄에이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지압 구동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일 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이동 플레이트의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이동 플레이트의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의 경혈을 그룹핑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귀에는 신체의 전신 각부와 연결된 많은 수의 경혈이 존재한다. 이 경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참조번호 1의 영역은 얼굴과 뇌에 연결된 경혈이 존재하는 영역이고, 참조번호 2의 영역은 신체의 내장에 연결된 경혈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참조번호 3의 영역은 신체의 생식기에 연결된 경혈이 존재하는 영역이고, 참조번호 4의 영역은 등, 팔, 어깨 등의 근육과 연결된 경혈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5의 영역은 손가락, 발 등의 말초신경에 연결된 경혈이 존재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귀의 경혈들은 신체의 각 부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귀의 경혈을 적절한 강도와 적절한 시간 동안 자극하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압 구동부를 복수의 기능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기능 영역이 도 1에 도시된 각 영역에 대응하여 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는, 헤드셋 형태로서, 두 개의 본체부(100)와 이 두 개의 본체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각 본체부(100)는 상기 연결부(200)의 양단 부근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귀에 밀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본체부(1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부품을 수용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귀를 향하는 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쿠션부(120), 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압 구동부(130), 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피커(140), 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50) 및 기능 버튼(16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로 다양한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 공간에 각종 부품들이 내장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외측에는 이어 테라피 장치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동작 모드 정보, 지압 강도, 지압 시간, 배터리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그 디스프레이(150) 주변에는 이어 테라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버튼(160)이 설치된다. 기능 버튼(160)은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버튼, 지압 강도 조절 버튼, 지압 시간 조절 버튼, 시작 버튼, 정지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원형의 도넛 형상으로 케이스(110)의 귀를 향하는 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쿠션부(120)는 귀를 둘러싸며 귀 및/또는 귀 바깥쪽의 머리에 접촉될 수 있다. 쿠션부(120)는 귀 및/또는 귀 바깥쪽의 머리에 밀착되어 외부 소리가 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쿠션부(120)는 소리 차단 및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푹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압 구동부(130)는, 본체부(100)에서 도넛 형태의 쿠션부(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지압 구동부(130)는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의 귀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어 귀의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지압핀(13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지압 구동부(130)의 외곽 형상은 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압 구동부(130)의 내부는 복수의 기능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기능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압핀(131)이 승강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각 기능 영역 단위로 지압핀(131)이 제어되어 귀의 경혈을 지압한다. 지압 구동부(130)의 내부 구조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결부(200)는 아치 형태로서 두 개의 본체부(100)를 연결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본체부(100)를 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고 그 빈 공간에 이어 테라피 장치의 구성부품들을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지압 구동부(1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어 테라피 장치의 지압 구동부(130)는, 원통 형상의 지압핀 수용체(310),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을 덮는 덮개(320) 및 압력 발생부(330)를 포함한다.
지압핀 수용체(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복수의 지압핀(131)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실린더(312)가 설치된다. 실린더(312)는 지압핀(131)의 개수만큼 설치되고, 지압핀(131)은 실린더(312)의 내부에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지압핀 수용체(310)는 케이스(110)의 내부 빈 공간에 실장되는 후면을 나타낸 것으로,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은 복수의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은 격벽(313)으로 서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은 도 1에 도시된 귀의 경혈을 그룹핑한 각 그룹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영역(311a)은 도 1의 참조번호 1의 영역에 대응하고, 기능 영역(311b)은 도 1의 참조번호 2의 영역에 대응하며, 기능 영역(311c)은 도 1의 참조번호 3의 영역에 대응하고, 기능 영역(311e)은 도 1의 참조번호 5의 영역에 대응한다. 그리고 기능 영역(311d)은 도 1의 참조번호 4의 영역에 대응한다.
덮개(320)는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을 덮어 격벽(313)에 결합된다. 따라서 덮개(320)는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의 분할된 각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을 독립된 밀폐 공간으로 만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20)에서 각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의 밸브(321)가 설치된다. 밸브(321)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드와 같이 선택적으로 내부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수단이다. 밸브(321)는 압력 발생부(330)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의 각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에 가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예를 들어, 기능 영역(311a)에 대응하는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모두 차단할 경우, 기능 영역(311a)으로만 압력이 가해지고 그 기능 영역(311a)에 위치하는 지압핀(131)들만이 실린더(312) 안에서 전진한다.
압력 발생부(330)는 공압 또는 유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압력 발생부(330)는 공압 펌프, 또는 유압 펌프, 또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발생부(330)는 상기 덮개(320)에 설치되는 복수의 밸브(321)와 유입관(331)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압력 발생부(330)에서 발생하는 공기 또는 기름은 유입관(331)을 통해 밸브(321)로 공급된다. 유입관(331)은, 탄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내부에 공기 또는 기름이 유동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기능 영역(311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압핀 수용체(310)의 후면에 덮개(320)를 덮으면, 그 덮개(320)는 기능 영역(311a)을 둘러싸는 격벽(313)과 맞닿아 기능 영역(311a)을 다른 기능 영역과 분리하여 독립된 밀폐 공간을 만든다. 따라서 해당 기능 영역(311a)에 대응하는 밸브(321)를 개방하면 압력 발생부(330)에서 발생하는 공기 또는 기름은 유입관(331) 및 밸브(321)를 통과하여 그 밀폐 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지압핀(131)은 T자형이고 실린더(312)의 양 끝단에는 지압핀(131)의 이동시 지압핀(131)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312a, 312b)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압핀(131)이 전후 이동을 할 때 지압핀(131)의 밑단(131b)이 걸림턱(312a, 312b)에 걸려 밖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지압핀(131)의 밑단(131b)의 외경은 걸림턱(312a, 312b)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공기 또는 기름의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압핀(131)의 밑단(131b)의 외경은 실린더(312)의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고 실링 처리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지압 구동부(1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귀의 경혈을 지압하기 전의 지압 구동부(1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귀의 경혈을 지압할 때의 지압 구동부(13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의 경혈을 지압하기 전에는 지압 구동부(130)의 지압핀(131)은 실린더(312)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후 압력 발생부(330)에서 압력이 발생하고 밸브(320)를 개방하면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에 위치하는 지압핀(131)에 압력이 가해져 실린더(312)의 외부로 지압핀(131)이 돌출되어 귀의 경혈을 자극한다. 도 5의 (b)에서는 지압 구동부(130)의 모든 기능 영역(311a, 311b, 311c, 311d, 311e)의 지압핀(131)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기능 영역 단위로 개별적으로 압력을 가해 각 기능 영역 단위로 귀의 경혈을 자극할 수 있다. 한편, 귀는 평면 구조의 피부가 아니라 입체적 구조의 피부이다. 귀의 중심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지압 구동부(130)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지압핀(131)이 외측에 위치하는 지압핀(131)보다 그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지압 구동부(130)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복수의 동심원으로 복수의 지압핀(131)을 설치할 때,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압핀(131)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하고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지압핀(131)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도 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어 테라피 장치는, 압력 발생부(330), 전원(630), 저장부(650), 입력부(660), 제어부(670), 스피커(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저장부(650)는 이어 테라피 장치의 동작 모드별로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테이블에는, 동작 모드별로 지압 강도, 지압 시간이 더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테이블에는 동작 모드별로 소리 정보가 더 기록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저장부(650)에는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저장부(650)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이블은 동작 모드 열, 소리 열, 지압 강도 열, 지압 시간 열, 기능 영역 열을 포함하고, 각 동작 모드의 행에 소리, 지압 강도, 지압 시간,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다. 각 동작 모드의 행에 기록되는 정보 중 소리 정보는, 해당 동작 모드에서 동작시키는 음원을 나타내고, 기능 영역의 정보는 해당 동작 모드에서 구동해야 하는 기능 영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피로회복' 동작 모드에서 나래이션이 스피커(140)로 출력하고, 지압 강도는 '중'이며 지압 시간은 8분이고, 구동할 기능 영역은 1, 3, 5번의 기능 영역이다(도 1의 참조번호 1, 3, 5). 또한 저장부(650)에는 제어부(670)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65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모드는, 하나의 예시이며, 동작 모드를 면역 모드, 순환기 모드, 소화기 모드, 호흡기 모드, 내분비 모드 등으로 구분하고 각 동작 모드별로 도 7의 예시와 같이 소리, 지압 강도, 지압 시간, 기능 영역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660)는 이어 테라피 장치에서 전원 온/오프 선택, 동작 모드의 선택, 지압 강도 조절, 지압 시간 조절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670)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입력부(6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인 버튼(160)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통한 음성 입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5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버튼(160)은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660)는 이어 테라피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입력부(660)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어 테라피 장치는 유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630)은 이어 테라피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충전 가능한 전지를 사용할 경우, 이어 테라피 장치는 충전을 위한 USB 단자 및 USB 통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음원 출력 수단으로서 제어부(670)에서 재생되는 음원 파일의 소리를 출력한다.
제어부(670)는 입력부(66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고,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저장부(65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압력 발생부(330)를 제어하고,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소리를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670)는 프로세서,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CPU)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저장부(650)에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동작 모드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5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의 선택 입력을 입력부(6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7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의 지압 강도나 지압 시간의 수정 입력을 입력부(66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모드에 따라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지압 강도로 특정 기능 영역을 구동하기 위해 압력 발생부(330)를 제어하고, 또한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 및 동작을 포함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지압 구동부(130)는 압력을 이용하여 지압핀(131)을 구동한다. 반면, 도 8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 지압 구동부(830)는 압전 액츄에이터(831)를 구동하여 귀의 경혈을 지압한다. 구체적으로, 지압 구동부(830)는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의 귀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귀의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압전 액츄에이터(831)를 포함한다.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 구동부(830)의 압전 액츄에이터(831)들은 복수의 기능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기능 영역이 도 1에 도시된 각 그룹 영역에 대응한다. 압전 액츄에이터(831)들은 기능 영역 단위로 제어될 수 있고, 또한 기능 영역 단위 내에서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들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 영역은 압전 액츄에이터(831)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8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테라피 장치는, 전원(930), 스위칭 회로(940), 저장부(950), 입력부(960), 제어부(970), 스피커(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스위칭 회로(940)는 제어부(970)의 제어에 따라 전원(930)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압전 액츄에이터(831)로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지압 구동부(830)의 플레이트의 귀를 향하는 표면에 표면 분할되어 복수 개가 설치된다. 스위칭 회로(940)는 복수의 압전 액츄에이터(831)에 개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스위칭 회로(940)는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위상을 달리함으로써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가 교번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고 위상을 동일하게 하여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가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위칭 회로(94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950)는 이어 테라피 장치의 동작 모드별로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테이블에는, 동작 모드별로 지압 강도, 지압 시간이 더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테이블에는 동작 모드별로 소리 정보가 더 기록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저장부(950)에는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테이블의 예는 도 7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기능 영역 열에 기록되는 정보는, 각 기능 영역에 대응하는 압전 액츄에이터(831)들의 식별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950)에는 제어부(970)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95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960)는 이어 테라피 장치에서 전원 온/오프 선택, 동작 모드의 선택, 지압 강도 조절, 지압 시간 조절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970)로 전달하는 수단이다. 입력부(9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인 버튼(160)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통한 음성 입력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5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버튼(160)은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터치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부(960)는 이어 테라피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입력부(960)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어 테라피 장치는 유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930)은 이어 테라피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충전 가능한 전지를 사용할 경우, 이어 테라피 장치는 충전을 위한 USB 단자 및 USB 통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재생되는 음원 파일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 수단이다. 스피커(140)는 제어부(970)에서 재생되는 음원 파일의 소리를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액츄에이터(831)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지압 구동부(830)의 플레이트 표면에 설치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공통 전극(1010), 압전층(1020), 상부 전극(1030), 동력 전달 부재(1040)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공통 전극(1010)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통 전극(1010)은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마다 개별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공통 전극(1010)은 접지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전극(1030)은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 신호가 인가된다. 상부 전극(1030)은 압전 액츄에이터(831)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 전극(103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공통 전극(1010)과 상부 전극(1030) 간에 전압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압전층(1020)은 수직 방향으로 신축된다. 또한 압전층(1020)은 수직 방향으로 신축되면서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신축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1040)는 압전층(1020)이 신축될 때, 구체적으로 압전층(1020)이 늘어날 때 귀의 피부에 맞닿아 피부에 압력을 가한다. 동력 전달 부재(1040)는 절연 및 탄성 소재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각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상시로 공통 전극(1010)에 연결되어 있고 상부 전극(1030)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전극(1030)에 상시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공통 전극(1010)과 접지 간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참조번호의 구성요소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및 기능을 포함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한 본 실시예에서, 지압 구동부(830)는 2단 줌인-줌아웃 기능을 구비하여 귀에 밀착되어 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압 구동부(830)는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즉 전후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는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와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포함한다. 1단 줌아웃 상태일 때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와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는 동일한 거리만큼 귀 방향으로 전진한다. 2단 줌아웃 상태일 때는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는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보다 더 귀 방향으로 전진한다. 즉 2단 줌아웃 상태는 1단 줌아웃 상태에서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가 귀 방향으로 더 전진한 것을 의미한다. 줌인은 줌아웃의 반대 방향의 동작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단 줌인-줌아웃, 또는 2단 줌인-줌아웃을 선택할 수 있고, 또는 2단 줌인-줌아웃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귀는 다른 피부와 달리 평평하지 않고 입체적인 형상으로서 외이는 계단식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지압 구동부(830)는 2단 줌아웃 기능으로 귀의 외이 전체에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압 구동부(830)가 2단 줌인-줌아웃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단 또는 그 이상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지압 구동부(830)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2의 (a)는 1단 줌아웃의 상태도이고, 도 12의 (b)는 2단 줌아웃 상태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1단 줌아웃 상태일 때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와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는 동일한 거리만큼 귀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때 전진 거리는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가 귀의 아우터 컨츠(outer conch)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이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2단 줌아웃 상태일 때는 1단 줌아웃 상태에서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가 귀 방향으로 더 전진한다. 이때의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의 전진 거리는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가 귀의 이너 컨츠(inner conch)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이다. 이와 같이 2단 줌아웃 상태가 되면 지압 구동부(830)의 압전 액츄에이터(831)는 귀의 전체 면적에 대해 밀착된다.
도 13은 도 1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일 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이동 플레이트(830a, 830b)의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도 9와 동일한 참조번호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 및 동작을 포함한다.
이어 테라피 장치는 2단 줌인-줌아웃 기능을 포함하고,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 테라피 장치는, 두 개의 모터(1310, 1320)를 포함한다. 두 개의 모터(1310, 1320)는 구동 수단으로서 제어부(970)의 제어에 따라 전원(930)으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각각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 및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전후진 이동시킨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모터(1310)는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를 전후진 이동하고 제 2 모터(1320)는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전후진 이동한다. 초기 동작시 제어부(970)는 제 1 모터(1310)를 제어하여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를 소정 거리 이동시킨다. 이때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이동시 함께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370)는 제 2 모터(1320)만을 제어하여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만을 조금 더 전진 이동할 수 있다. 후진 이동시 제어부(970)는 제 2 모터(1320)를 제어하여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후진 이동시킨다.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가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면,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후진시킬 때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도 함께 후진 이동한다. 여기서 두 개의 모터(1310, 1320)는 예를 들어, 전자기 리니어 모터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전자기 리니어 모터는 일반적으로 내측 코어와 외측 코어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공극을 두고 가동자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코어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에 의해 가동자가 왕복 운동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 테라피 장치는 하나 또는 이동 플레이트(830a, 830b)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모터만을 이용하므로 종래의 돌기마다 모터를 배치하는 것에 비해 모터의 개수를 줄여 이어 테라피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이어 테라피 장치의 이동 플레이트(830a, 830b)의 구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와 동일한 참조번호의 구성요소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및 기능을 포함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이어 테라피 장치는 하나의 모터(1510)를 포함하고 하나의 모터(1510)로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와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초기 동작시 제어부(970)는 클러치(1520)를 제어하여 모터(1510)와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를 연결하고 모터(1510)를 제어하여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를 소정 거리 전진 이동한다. 이때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이동시 함께 이동한다. 이후 제어부(970)는 클러치(1520)를 제어하여 모터(1510)를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에 연결하고 모터(1510)를 제어하여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만을 조금 더 전진 이동할 수 있다. 후진 이동시 제어부(970)는 클러치(1520)를 제어하여 모터(1510)를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에 연결하고 모터(1510)를 제어하여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를 후진 이동시킨다.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가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의 내측에 삽입 완료되면 서브 이동 플레이트(830b)와 메인 이동 플레이트(830a)는 함께 후진 이동한다. 여기서 모터(1510)는 예를 들어, 전자기 리니어 모터 또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전자기 리니어 모터는, 일반적으로 내측 코어와 외측 코어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공극을 두고 가동자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 코어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에 의해 가동자가 왕복 운동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1510)를 사용하면서 클러치(152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이동 플레이트(830a, 830b)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설명하지만 여기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줌 기어군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터(1510)로 두 개의 이동 플레이트(830a, 830b)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본체부
110 : 쿠션부
200 : 연결부
130 : 지압 구동부
131 : 지압핀
140 : 스피커
150 : 디스플레이
160 : 버튼
311a 내지 311e : 기능 영역
310 : 지압핀 수용체
312 : 실린더
320 : 덮개
321 : 밸브
331 : 유입관

Claims (10)

  1. 귀의 경혈을 지압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에 있어서,
    헤드셋 형상의 케이스;
    서로 독립된 각 기능 영역에 상기 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지압 수단이 설치되는 복수의 기능 영역을 포함하는 지압 구동부;
    동작 모드별로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동작 모드 입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지압 구동부를 상기 기능 영역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 구동부의 각 기능 영역은,
    독립된 밀폐 공간에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능 영역의 독립된 밀폐 공간의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을 이동시키는 이어 테라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 구동부는,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압력 발생부; 및
    상기 압력 발생부와 상기 독립된 밀폐 공간 사이에서 상기 압력을 상기 독립된 밀폐 공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거나 밸브를 포함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발생부는,
    공기 펌프 또는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 영역의 독립된 밀폐 공간은, 상기 복수의 지압 수단 각각을 수용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 영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압핀의 길이는 서로 다른 이어 테라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 수단은, 압전 액츄에이터인 이어 테라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 구동부는,
    상기 귀를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 플레이트의 상기 귀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는 이어 테라피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동작 모드별로 지압 강도, 지압 시간 및 구동해야 할 기능 영역의 정보가 기록되는 이어 테라피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동작 모드별로 소리 정보가 더 기록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동작 모드 입력에 따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이어 테라피 장치.
KR1020170024113A 2017-02-23 2017-02-23 이어 테라피 장치 KR20180097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13A KR20180097293A (ko) 2017-02-23 2017-02-23 이어 테라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13A KR20180097293A (ko) 2017-02-23 2017-02-23 이어 테라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93A true KR20180097293A (ko) 2018-08-31

Family

ID=634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113A KR20180097293A (ko) 2017-02-23 2017-02-23 이어 테라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2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4A (ko) * 2020-10-30 2022-05-09 김병출 휴대용 귀 지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984A (ko) * 2020-10-30 2022-05-09 김병출 휴대용 귀 지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206B1 (ko) 탈모방지용 두피 마사지기
TW201238584A (en) Portable micro-current stimulation device using audio output of mobile phone
CN1775170A (zh) 多功能韩国手治疗仪器以及方法
CN112367957B (zh) 提供松弛疗法按摩的按摩装置
CN111050724B (zh) 解酒或助消化的按摩装置及控制方法
KR102065842B1 (ko) 이어 테라피 장치
JP2021529563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587219B1 (ko) 발모촉진용 머리 마사지기
US20090259168A1 (en) Bandage
JP4855406B2 (ja) 脱毛装置
KR20180097293A (ko) 이어 테라피 장치
KR20180085539A (ko) 이어 테라피 장치
KR100924870B1 (ko) 인체심부온도 상승과 맛사지를 이용한 발모기기
CN202096345U (zh) 一种耳机式全息自疗仪
KR20200091054A (ko) 헤드 마사지 장치
KR20150073345A (ko) 귀 지압 장치
KR20110118602A (ko) 휴대용 복합 비만 및 피부 의료기기
KR20170122475A (ko) 마사지 마스크
US20210236861A1 (en) Portable ultrasonic stimulator
KR100508730B1 (ko) 머리지압장치
KR20040092041A (ko) 음향 및 저주파를 이용하는 복합 마사지 제공 장치 및 그운용 방법
KR100921027B1 (ko) 인체심부온도 상승과 액체백 맛사지를 이용한 발모기기
KR100745190B1 (ko)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마사지기
KR102085459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손 지압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00086416A (ko) 위치 조절 기능을 가진 이어 테라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