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889A - 국부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국부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889A
KR20180096889A KR1020170023237A KR20170023237A KR20180096889A KR 20180096889 A KR20180096889 A KR 20180096889A KR 1020170023237 A KR1020170023237 A KR 1020170023237A KR 20170023237 A KR20170023237 A KR 20170023237A KR 20180096889 A KR20180096889 A KR 2018009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air
cooling
preventing member
cold
dew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807B1 (ko
Inventor
안형준
안지준
Original Assignee
안형준
안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준, 안지준 filed Critical 안형준
Priority to KR102017002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45Sprayers; Atomiz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2Condensation elimin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공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냉각공기 공급부;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받은 냉각공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 상기 냉기분사부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부는 밀착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결로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결로에 의한 회로부품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냉기의 분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국부 냉각장치{local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전반과 같은 제어장치의 내부에 대한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결로에 의한 회로부품 손상을 방지하며, 냉기의 분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기 장비의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제어장치나 전원 케이블 등은 강전반 내에 설치되면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강전반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된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로써, 외부에 존재하는 각종 먼지나 이물질 혹은, 수분 등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조선소 등에 사용되는 강전반의 경우 다양한 작업(예컨대, 용접 작업 등)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미세 금속물질에 대한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외부 환경과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강전반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회로부품 등의 동작시 발생되는 다량의 열로 인한 각종 회로부품의 열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열 구조가 추가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317451호, 등록특허 제10-043176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768호, 등록특허 제10-1541852호, 등록특허 제10-105142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 중 강전반 내의 열기 배출 혹은, 강전반 내로의 냉각 공기 제공을 통한 직접 냉각 방식의 경우는 냉각 장치의 비 동작시 방열팬 등의 설치 위치로부터의 외부 이물질 유입이 야기될 우려가 있고, 히트 싱크를 이용한 간접 냉각 방식의 경우는 그 냉각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직접 냉각 방식 중 이물질이 필터링된 상태의 저온의 압축공기를 강전반 내로 제공하는 기술의 경우는 외부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상기 저온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분사노즐이 주변 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발생된 수분은 해당 강전반 내의 각종 회로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이나 화재 발생 혹은, 오작동을 야기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저온 압축공기로 강전반 내를 냉각하는 방식은 강전반 내로의 분사시 소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제어장치의 오동작 여부나 경고음 등의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오동작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317451호 등록특허 제10-0431762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768호 등록특허 제10-1541852호 등록특허 제10-1051423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강전반과 같은 제어장치의 내부에 대한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결로에 의한 전자부품 손상을 방지하며, 냉기의 분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에 따르면 냉각공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냉각공기 공급부;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받은 냉각공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 상기 냉기분사부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부는 밀착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열전도율이 낮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결로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냉기분사부의 둘레면을 감싸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끝단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이 수용되면서 상기 냉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획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에는 상기 냉기분사부를 통해 냉각공기가 분사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가 더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은 상기 소음기의 일측 끝단 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소음기의 둘레면을 감싸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끝단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소음기의 냉각공기 배출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소음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각공기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획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부재의 구획결합단 외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된 상태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냉각공기가 분사되는 돌출연장관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목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냉각 방식으로써 강전반 내의 각종 회로부품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강전반 내부로의 외부 이물질(예컨대, 쇳가루 등)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전반 내로의 냉기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목재로 이루어진 결로방지부재가 냉기분사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공되며, 이러한 결로방지부재는 그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열전도율이 극히 낮으면서도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로방지부재를 통과하는 냉기로 인한 온도 저하는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부의 결로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해당 결로방지부재에 흡수됨으로써 강전반 내로 공급되는 냉기 내의 수분 함류량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해당 강전반 내의 각종 회로부품에 대한 손상이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소음기의 추가 제공을 통해 냉기가 강전반 내로 분사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소음기의 추가 제공에도 불구하고 결로방지부재는 상기 소음기를 감싸도록 설치함에 따른 결로 발생의 방지 및 응축수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에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에 소음기가 추가로 구비된 상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조선소 등에 제공되는 강전반(10) 내부의 회로부품(도시는 생략됨)에 대한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임을 그 예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에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에 설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는 크게 냉각공기 공급부(100)와, 냉기분사부(200) 및 결로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는 냉각공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가 볼텍스 튜브임을 예로하나, 여타 구조의 냉각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볼텍스 튜브는 기계적 구동부가 전혀 없으면서도 압축기로부터 제공받은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볼텍스 원리로 냉기를 생성하는 장치로써,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하우징(110)의 주입구(111)로 강제 주입된 압축공기를 냉온기 분리관(120)에서 고속 회전되도록 유도함과 더불어 이러한 고속 회전의 소용돌이 현상에 의한 에너지 분리현상으로써 고온의 온기와 저온의 냉기로 분리한 후 이를 통해 얻어진 냉기는 냉기배출관(130)으로 배출하여 냉각 대상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공기로 사용하고, 고온의 온기는 온기배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기분사부(200)는 냉각공기를 분사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냉기분사부(200)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의 끝단에 직결되게 설치되는 노즐임을 제시한다. 물론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냉기분사부(200)는 냉기 안내를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안내관(혹은, 안내호스)(101)의 끝단에 결합되는 노즐로 구성되면서 상기 안내관(101)의 또 다른 끝단에 연결되는 냉각공기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기분사부(200)가 강전반(10)의 어느 한 측 벽면에 형성된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상기 강전반(10) 내부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해당 벽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냉기분사부(200)는 후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강전반(10)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됨과 더불어 그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의 끝단 내로 수용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결합단(210)과, 중앙측 부위를 이루면서 여타 부위에 비해 큰 외경의 너트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해당 냉기분사부(200)의 과도한 외부 노출을 방지하는 너트단(220)과, 선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여타 부위에 비해 작은 외경을 갖는 노즐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기분사부(200)는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에 연결되는 전술된 안내관(101)이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안내관(101)으로 이루어진 냉기분사부(200)는 그 일부가 상기 강전반(10)의 어느 한 측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강전반(10)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로방지부재(300)는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로 인해 상기 냉기분사부(200)의 끝단에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로방지부재(300)는 열전도율이 낮으면서도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특정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냉기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로방지부재(300)가 목재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 목재의 경우 열전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냉기분사부(200)로부터 분사되는 냉기에 의한 열전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이로써 목재로 이루어진 결로방지부재(300)와 외부 공기 간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이 방지되며, 만일 결로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해당 결로방지부재(300)에 흡수되기 때문에 수분이 강전반(10) 내의 회로부품에 분사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결로방지부재(300)는 상기 강전반(10) 내에 위치된 냉기분사부(20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된 몸체단(310)과,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이루는 노즐단(230)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는 구획결합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결합단(320)은 상기 몸체단(310)의 끝단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노즐단(230)의 끝단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321)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노즐단(230)의 끝단 부위와 상기 배출공(321)은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노즐단(230)의 외주면 및 배출공(321)의 내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결로방지부재(300)의 회전 조작을 통해 해당 결로방지부재(300)가 냉기분사부(2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로방지부재(300)를 이루는 구획결합단(320)의 외면에는 상기 배출공(321)과 연통된 상태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냉각공기가 분사되는 돌출연장관(330)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연장관(330)의 추가적인 연장 형성을 통해 분사되는 냉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증대시킴에 따라 상기 냉기분사부(200)의 끝단에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생성된다 하더라도 이 수분은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에 충분히 흡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돌출연장관(330)은 상기 수분의 흡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절곡 혹은, 라운드진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결로방지부재(300)의 외표면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표피부(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금속재질의 표피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로방지부재(3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혹은, 오랜 사용에 의한 깨짐으로 인해 부스러기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의 설치 과정 및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냉각공기 공급부(100)와 냉기분사부(200) 및 결로방지부재(300)를 각각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냉기분사부(200)를 강전반(10)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냉기분사부(200)의 후단측 끝단이 상기 강전반(10)의 어느 한 측 벽면에 형성된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냉기분사부(200)는 그의 둘레면에 형성된 너트단(220)으로 인해 이 너트단(220)의 후단측 부위인 나사결합단(210)만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강전반(10)의 외부로 노출된 냉기분사부(200)의 나사결합단(210)에 냉각공기 공급부(100)를 결합한다.
즉,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의 끝단 내부로 상기 냉기분사부(200)의 나사결합단(210)을 삽입한 상태로 너트단(220)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와의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와 냉기분사부(200) 간의 결합시에는 서로 간의 사이에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102)를 개재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냉기분사부(200)에 결로방지부재(300)를 결합한다. 즉,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의 구획결합단(320)에 형성된 배출공(321)을 강전반(10) 내에 위치된 냉기분사부(200)의 노즐단(230)에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결로방지부재(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냉기분사부(200)와 결로방지부재(300) 간의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냉각공기 공급부(100)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와 냉기분사부(200)를 우선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냉기분사부(200)를 냉각공기 공급부(100)에 나사식으로 체결할 때 사용되는 너트단(220)이 결로방지부재(300) 내에 감춰지기 때문에 상기한 나사식 체결시의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냉각공기 공급부(100)에 우선적으로 결합한 후 상기 냉기분사부(200)에 상기 결로방지부(300)를 추가로 결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된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부 냉각장치는 강전반(10)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국부 냉각장치가 강전반(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국부 냉각장치의 냉각공기 공급부(100)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고압의 압축공기가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기와 온기가 서로 분리되고, 이를 통해 생성된 냉기는 냉기분사부(200)로 제공되며, 계속해서 이 냉기분사부(200)에 연결된 결로방지부재(300)를 통과하여 분사된다.
하지만, 상기 냉기가 실질적으로 토출되는 결로방지부재(300)는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냉기가 결로방지부재(300)로 열전도됨은 극히 미미하게 이루어지며, 이로써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의 급격한 온도 저하 현상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 결로방지부재(300)와 외부 공기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냉기분사부(200)의 경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냉기분사부(200)를 저온의 냉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기분사부(200)에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기분사부(200)는 결로방지부재(300)에 감싸여진 상태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게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공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현상이 극히 미미하게만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수분은 상기 결로방지부재(300)가 흡수하기 때문에 사실상 상기 수분이 강전반(10) 내의 회로부품에 분사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의 배출공(321)에는 돌출연장관(330)이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노즐단(230)을 통해 배출되는 냉기 중에 일부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돌출연장관(330)에 흡수됨으로써 강전반(10) 내로 공급되는 냉기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강전반(10) 내의 각종 회로부품은 고온의 열기뿐만 아니라 수분으로부터도 안전한 상태로 그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상기 냉기분사부(200)를 통해 냉각공기가 분사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냉기분사부(200)를 이루는 노즐단(230)에 상기 소음기(400)를 추가로 설치함과 더불어 결로방지부재(300)는 상기 소음기(400)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냉기분사부(200)를 이루는 노즐단(230)은 상기 소음기(400) 내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결로방지부재(300)의 몸체단(310)은 상기 소음기(400)의 둘레면을 감싸는 빈 관체로 형성함과 더불어 결로방지부재(300)의 구획결합단(320)에 형성되는 배출공(321)에는 상기 소음기(400)의 냉각공기 배출측 부위가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강전반(10) 내로 공급되는 냉기의 배출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음에 의한 회로부품의 오동작 발생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변 사용자의 불편함이 방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냉각 방식으로써 강전반(10) 내의 각종 회로부품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강전반(10) 내부로의 외부 이물질(예컨대, 쇳가루 등)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강전반(10) 내로의 냉기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목재로 이루어진 결로방지부재(300)가 냉기분사부(20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제공되며, 이러한 결로방지부재(300)는 그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열전도율이 극히 낮으면서도 수분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로방지부재(300)를 통과하는 냉기로 인한 온도 저하는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일부의 결로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해당 결로방지부재(300)에 흡수됨으로써 강전반(10) 내로 공급되는 냉기 내의 수분 함류량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해당 강전반(10) 내의 각종 회로부품에 대한 손상이나 오작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국부 냉각장치는 소음기(4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냉기가 강전반(10) 내로 분사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소음기(400)의 추가 제공에도 불구하고 결로방지부재(300)는 상기 소음기(400)를 감싸도록 설치함에 따른 결로 발생의 방지 및 수분 제거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강전반 11. 체결공
100. 냉각공기 공급부 101. 안내관
102. 패킹부재 110. 메인하우징
111. 주입구 120. 냉온기 분리관
130. 냉기배출관 140. 온기배출관
200. 냉기분사부 210. 나사결합단
220. 너트단 230. 노즐단
300. 결로방지부재 301. 표피부
310. 몸체단 320. 구획결합단
321. 배출공 330. 돌출연장관
400. 소음기

Claims (5)

  1. 냉각공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냉각공기 공급부;
    상기 냉각공기 공급부로부터 제공받은 냉각공기를 분사하는 냉기분사부;
    상기 냉기분사부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적어도 일부는 밀착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열전도율이 낮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결로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냉기분사부의 둘레면을 감싸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끝단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이 수용되면서 상기 냉기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획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에는 상기 냉기분사부를 통해 냉각공기가 분사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기가 더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냉기분사부의 끝단은 상기 소음기의 일측 끝단 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소음기의 둘레면을 감싸는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끝단을 가로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소음기의 냉각공기 배출측 부위가 수용되면서 상기 소음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각공기의 외부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획결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부재의 구획결합단 외면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통된 상태로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냉각공기가 분사되는 돌출연장관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방지부재는 목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부 냉각장치.
KR1020170023237A 2017-02-22 2017-02-22 국부 냉각장치 KR10192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37A KR101920807B1 (ko) 2017-02-22 2017-02-22 국부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37A KR101920807B1 (ko) 2017-02-22 2017-02-22 국부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89A true KR20180096889A (ko) 2018-08-30
KR101920807B1 KR101920807B1 (ko) 2018-11-21

Family

ID=6345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37A KR101920807B1 (ko) 2017-02-22 2017-02-22 국부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7097A1 (en) * 2019-01-15 2022-04-14 Safran Electrical & Power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cabine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768Y1 (ko) 1999-12-07 2000-04-15 주식회사코팬 열전냉각모듈을 이용한 제어반용 냉각장치
KR100317451B1 (ko) 1998-11-04 2001-12-22 이태랑 전자기기 냉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냉각장치
KR100431762B1 (ko) 2002-07-31 2004-05-17 한국과학기술원 히트싱크
KR101051423B1 (ko) 2009-03-03 2011-07-22 한양전공주식회사 압축공기식 부식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41852B1 (ko) 2014-07-31 2015-08-05 주식회사 동남종합중전기 제습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변전설비용 보호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451B1 (ko) 1998-11-04 2001-12-22 이태랑 전자기기 냉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냉각장치
KR200179768Y1 (ko) 1999-12-07 2000-04-15 주식회사코팬 열전냉각모듈을 이용한 제어반용 냉각장치
KR100431762B1 (ko) 2002-07-31 2004-05-17 한국과학기술원 히트싱크
KR101051423B1 (ko) 2009-03-03 2011-07-22 한양전공주식회사 압축공기식 부식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41852B1 (ko) 2014-07-31 2015-08-05 주식회사 동남종합중전기 제습 및 냉각장치가 구비된 변전설비용 보호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7097A1 (en) * 2019-01-15 2022-04-14 Safran Electrical & Power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cabinet
US11910547B2 (en) * 2019-01-15 2024-02-20 Safran Electrical & Power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cabinet in airc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807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807B1 (ko) 국부 냉각장치
JP2012157705A (ja) ガス消火設備および消音装置
KR101420235B1 (ko) 쿨링하우징
WO2013091386A1 (zh) 一种固定式灭火装置
CN209592740U (zh) 一种环保节能的高低压成套设备
JP5161664B2 (ja) 閉鎖型泡消火ヘッド
KR20150001498U (ko) 소화설비가 구비된 실외기
CN210725786U (zh) 一种高安全性能的数据营销信息数据库
KR100457646B1 (ko) 하이브리드 노즐
KR101905680B1 (ko) 소방용 분무노즐
CN205108840U (zh) 水冷却消防车
CN114251248A (zh) 一种高安全性能天然气压缩机及其工作方法
CN211375528U (zh) 一种低噪音计算机机箱
CN210602315U (zh) 一种高压氮气风冷式除湿机组
CN105169602A (zh) 水冷却消防车
KR100457651B1 (ko) 스월노즐
CA3148276A1 (en) Vortex tube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8887829U (zh) 一种电力工程用防火保护装置
KR100954032B1 (ko) 고효율 냉각기
CN216818224U (zh) 一种具有灭弧防护功能的节电型交流接触器
CN219390254U (zh) 一种制冷设备用散热机构
CN214100358U (zh) 一种应用于小区内的减噪配电柜
CN213717411U (zh) 一种安全性高的配电箱
CN216775245U (zh) 一种具有防爆结构的电气仪表
CN213670901U (zh) 智能等离子表面处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