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340A -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340A
KR20180096340A KR1020170022928A KR20170022928A KR20180096340A KR 20180096340 A KR20180096340 A KR 20180096340A KR 1020170022928 A KR1020170022928 A KR 1020170022928A KR 20170022928 A KR20170022928 A KR 20170022928A KR 20180096340 A KR20180096340 A KR 2018009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information
application
study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49578B1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7002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78B1/en
Publication of KR2018009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3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udy management system of a stud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udy management system of a student. The study management system of a student manages class schedule, homework, attendance, announcement, grade, etc. of a student who attends a private institute (or school) so that the student and parents of the student can manage study of the student. The study management system links an application (App) and a private institute web site (Web) to enable the student to easily manage study of the student. The stud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n operation interface, a database, a private institute introducing part, and a comment input part.

Description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본 발명은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original study management system.

구체적으로는, 학원(또는 학교) 등에 등원하는 원생의 수업일정, 숙제, 출결, 공지, 성적 등을 관리함으로써, 원생과 원생의 학부모가 원생의 공부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App)과 학원 웹 홈페이지(Web)를 연동시켜 원생의 공부관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it manages the homework schedule, homework, attendance, announcement, grades, etc. of aboriginal students who come to the academy (or school), so that the parents of aboriginal and aboriginal parents can easily manage the study of aboriginal person, ) And the web site of the institute web (Web) so as to make it easier for the students to manage the study.

불과 10년 전만 해도, 학생이 공부를 하는 학교 또는 학원에서 강사 또는 선생님이 일일이 모든 학생을 챙기며 진도와 숙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학생의 공부 관리가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학생을 케어해야 하는 강사 또는 선생님에게는 상당한 무리가 있었고, 실제로도 모든 학생을 케어하지 못함에 따라 또래 친구들에 비해 학습적인 면으로 뒤쳐지는 학생들이 많았다.Only ten years ago, the student's study management was done by a system in which the lecturer or teacher took care of all the students and managed the progress and homework in the school or school where the student was studying. However, such a system has had considerable difficulties for teachers or teachers who have to care for all students, and many students are lagging behind their peers because of the inability to care for all students.

한편,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근래에는, 학생이 공부를 하는 학교 또는 학원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숙제, 진도관리 등을 관리하여 공부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echnology has developed, schools and academies where students are studying have been using smart terminals to electronically manage homework and progress manage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tudy.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629호에 학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As a technique related to this,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institute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102629.

상기 기술은, 출석 입력 장치 및 복수의 단말과 연동하는 학원 관리 시스템이 출결을 관리하기 위하여, 출석 입력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 임의의 학생에 대한 기본 정보와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임의의 학생에 대한 식별 정보와 수신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만약 인증에 성공하면, 시간 정보를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석 시간으로 반영하고, 출석 시간을 포함하는 학생에 대한 학생 수업 정보를 관리하여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 수업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을 참조하면, "출석 입력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과 연동하는 학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When the attendance input device and the school management system linked with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ceive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certain student from the attendance input device in order to manage the attendance,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rbitrary student wit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time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attendance time for an arbitrary student, and the class information is provided to any one of the terminals by managing the student class information for the student including the attendance time, According to claim 1 of the claims, "in a school manage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an attendance input device and one or more terminals,

복수의 학생들의 사진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각각 저장하는 학생 정보 저장부; 상기 출석 입력 장치로부터 임의의 학생에 대한 기본 정보,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임의의 학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학생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상기 수신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임의의 학생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시간 정보를 상기 임의의 학생에 대한 출석 시간으로 처리하는 식별 정보 확인부; 학생 수업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업 정보 저장부; 및 학부모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요청이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수업 정보 저장부에 저장한 학생 수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A stud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basic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s of a plurality of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rbitrary student is received from the attendance input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udent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unit which processes the time information as an attendance time for the arbitrary student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class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tudent class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delivering, in real time, the student le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lecture information storing unit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terminal of either the parent terminal or the manager terminal or in accordance with preset setting information " .

정리하면, 위 기술은 학생 또는 원생의 수업일정과 출결상태를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학생 또는 원생이 학교 또는 학원 이외의 밖의 장소(예를 들면, 집, 도서관, 독서실 등)에서 수행하는 공부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student or the student is outside the school or school (for example, a house, a library, a reading room, etc.), the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the management of the study performed by the user.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629호(2015.09.07.)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102629 (2015.09.07.)

본 발명의 목적은, 학원(또는 학교) 등에 등원하는 원생의 수업일정, 숙제, 출결, 공지, 성적 등을 관리함으로써, 원생과 원생의 학부모가 원생의 공부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App)과 학원 웹 홈페이지(Web)를 연동시켜 원생의 공부관리를 더욱 쉽게할 수 있도록 한,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ier for the parents of the novice parents and the novice parents to manage the study of the novice parents by managing the class schedule, homework, attendance, notice, grades, etc. of the parents who attend the school (or school) (App) and the web site of the institute web (Web) so that the student can manage the study of the student more easily.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원생의 공부를 관리하되, 애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되어 단말기에 설치되고,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시스템에 잇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을 위한 조작인터페이스; 학원정보, 사용자의 정보, 과목정보, 강사정보 및 수업일정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인사말, 연혁, 사업분야, CI소개, 공지사항 및 지점안내를 포함하는 학원소개를 표시하는 학원소개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댓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댓글입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managing a study of a student who is authenticated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e system comprising an application and installed in a terminal, An operating interface for operating the application; A database storing school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subject information, instructor information, and class schedule information; A school introduction section sh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e including greetings, history, business fields, CI introduction, announcements and branch office guidance; And a comment input unit for enabling comment input in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수업일정을 관리하고 날자별로 표시하는 일정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애플리케이션이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어 원생의 수업일정을 날자별로 표시하는 경우, 달력형태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schedul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schedule of the aboriginal person and displaying the schedule on a date-by-date basis. When the application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aboriginal person by date in cooperation with the school homepage, the application is output in the form of a calendar.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등원 및 하원시간을 관리하는 출결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n attenda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visit of the aboriginal and the time of the house.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자료를 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자료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인자료관리부는 연동되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상기 단말기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자료가 저장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 of the aboriginal person, wherein the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stores photograph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interlocked terminal or dat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이 사진 또는 음성으로 된 학습내용을 일기형태로 저장관리하는 공부일기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study diary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photo or voice by the diary in a diary form.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수업일정정보, 과목정보 및 강사정보를 기반으로 수업의 진도를 관리하는 진도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progress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progress of the lesson on the basis of the lesson schedule information, the subjec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or information.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학원의 공지를 알리는 공지알림부; 원생의 성적을 조회할 수 있는 성적조회부; 및 원생의 숙제를 관리할 수 있는 숙제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 notification unit informing the school of the notification; A grading inquiry part for inquiring the grades of the aboriginal students; And a homework management unit that can manage the homework of the homestay.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적립된 마일리지로 상품을 제공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학생편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마일리지의 적립은 (a)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적립되거나 또는 (b)관리자의 적립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student convenience unit for accumulating mileage of the student and providing a convenience of providing the product with the accumulated mileage, wherein the mileage accumulation is automatically accumulated (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standard Or (b) the accumulation of managers.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원생의 공부를 관리하되,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study of authentic native students through user authentication,

애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되어 단말기에 설치되고,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시스템에 잇어서,In a system that is composed of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in a terminal, and linked to a school homepage,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을 위한 조작인터페이스;An operatio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application;

학원정보, 사용자의 정보, 과목정보, 강사정보 및 수업일정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storing school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subject information, instructor information, and class schedule information;

인사말, 연혁, 사업분야, CI소개, 공지사항 및 지점안내를 포함하는 학원소개를 표시하는 학원소개부; 및A school introduction section sh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e including greetings, history, business fields, CI introduction, announcements and branch office guidance; And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댓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댓글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comment input unit for enabling comment input in th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원생의 수업일정을 관리하고 날자별로 표시하는 일정관리부를 더 포함하되,A schedul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schedule of the student and displaying the schedule for each date,

애플리케이션이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어 원생의 수업일정을 날자별로 표시하는 경우, 달력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calendar when it is linked with the institute homepage and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aboriginal student on a date-by-date basi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원생의 등원 및 하원시간을 관리하는 출결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attenda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ttendance of the aboriginal person and the time of the house, and a study management system for the aboriginal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원생의 자료를 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자료관리부를 더 포함하되,And a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 of the aboriginal person,

상기 개인자료관리부는,The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연동되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A photograph taken with the camera of the terminal being interlocked or

상기 단말기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자료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is stor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원생이 사진 또는 음성으로 된 학습내용을 일기형태로 저장관리하는 공부일기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study diary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native person as a photo or voice in a diary for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수업일정정보, 과목정보 및 강사정보를 기반으로 수업의 진도를 관리하는 진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progress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progress of the class based on the class schedule information, the subjec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or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학원의 공지를 알리는 공지알림부;Announcement notifying the school of the notice;

원생의 성적을 조회할 수 있는 성적조회부; 및A grading inquiry part for inquiring the grades of the aboriginal students; And

원생의 숙제를 관리할 수 있는 숙제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homework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homework of the aboriginal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원생의 마일리지를 적립하고, 적립된 마일리지로 상품을 제공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학생편의부를 더 포함하되,And a student convenience department tha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earning mileage of the aboriginal mileage and providing the product with the accumulated mileage,

상기 마일리지의 적립은,The earning of the mileage

(a)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적립되거나 또는(a) automatically earned in accordance with certain criteria; or

(b)관리자의 적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b) an accumulation of a manager.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원생 또는 학생이 학원 또는 학교를 다니면서 공부하는데 있어서 학업의 진도나 숙제, 예습/복습을 수행하는 것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으며, 웹(Web)과의 연동을 통해 보호자의 입장에서도 원생의 공부관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udent's 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easier for the student or the student to carry out the progress of the study, homework, examination / review in studying at a school or a school, It is possible to easily manage the study of the aboriginal person in the position of the guardia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이 실제 화면에 출력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udy management system of a stud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15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tudy management system of the Aboriginal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an actual scree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original study management system.

구체적으로는, 학원(또는 학교) 등에 등원하는 원생의 수업일정, 숙제, 출결, 공지, 성적 등을 관리함으로써, 원생과 원생의 학부모가 원생의 공부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App)과 학원 웹 홈페이지(Web)를 연동시켜 원생의 공부관리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it manages the homework schedule, homework, attendance, announcement, grades, etc. of aboriginal students who come to the academy (or school), so that the parents of aboriginal and aboriginal parents can easily manage the study of aboriginal person, ) And the web site of the institute web (Web) so as to make it easier for the students to manage the stud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고, 도 2 내지 도 15를 부가하여 실제 본 발명에 화면에 구현되는 일예를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2 to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이 실제 화면에 출력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udy management system for a stud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15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tudy management system of the Aboriginal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an actual scree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되거나,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형태의 애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되되, 웹(Web)과 연동되는 형태의 애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된다.First, a study management system of a stud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pplication program type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or installed in a computer terminal, and an application (App ).

이러한 애플리케이션(App)은, 사용자인증부, 조작인터페이스, 학원홈페이지 연동부, 데이터베이스, 학원소개부, 댓글입력부, 일정관리부, 출결관리부, 개인자료관리부, 공부일지관리부, 진도관리부, 공지알림부, 성적조회부, 숙제관리부 및 학생편의부를 주요하게 포함한다.This application (App) is composed of a user authentication unit, an operation interface, a database linkage unit, a database, a school introduction unit, a comment input unit, a schedule management unit, a attendance management unit, a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a study log management unit, a progress management unit, An inquiry unit, a homework management unit, and a student convenience unit.

사용자인증부는, 본 발명에 따른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인증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재학 중인 학교, 주소, 보호자(부모) 등의 모든 인적정보일 수 있다.The user authenticating unit has a function of authenticating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n application (App) by the student's 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ser's information may be all th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name, age, sex, school, address, guardian (parent), etc.

즉, 사용자인증부는 상술된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ID 및 PW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한 이유는 원생의 공부관리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원생의 정보임을 분별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원생의 관리되는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That is,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can authenticate the user through the ID and PW generat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of the user. Such user authentication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the information of the aboriginal person in performing the function for the study of the aboriginal person, but also to prevent the information of the aboriginal pers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ther person.

그러나, 상술된 방식의 사용자 인증의 경우, 근래 사용되는 자동저장방식 등이나, 사용자 실수 또는 고의나, 혹은 악의적인 해킹 등에 의해 ID 및 PW가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보안을 강화하려면 다른 방식의 사용자 인증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case of user authentication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since the ID and the PW are easily exposed by an automatic storing method or the like used recently, a user mistake, intention or malicious hacking, etc., .

따라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원생 또는 원생의 학부모(보호자)가 원생의 공부관리를 위한 정보를 조회하려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반하된 어느 하나의 정보를 랜덤하게 입력하도록 하는 질문창을 출력함으로써, 기존의 보안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when a parent (protector) of a novice or aboriginal person wants to inquire information for study management of a novice, a question window for randomly inputting any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xisting security.

예를 들면, "ooo원생 아버지 성함은?" 이란 질문창을 출력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ooo father father's name?" Quot; can be displayed by outputting a question window.

이러한 상기 기능은 사용자인증부에 의해 가능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별도의 구성(예를 들면, 사용자인증강화부 등)을 더 마련함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다.Such a function may be enabled by the user authentication unit or may be realized by providing another configuration (for example, a user authentication enhancement unit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조작인터페이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App)의 조작을 위한 모든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말기 화면상에서 애플리케이션(App)의 구동과 조작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요소를 제공한다.The operation interface means all the interfaces f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App), and provides an interface element so that the application (App) can be driven and operated on the terminal screen.

학원홈페이지 연동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App)이 Web 기반의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도록 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App)을 관리하는 서버(Server)와 홈페이지를 관리하는 웹 서버(Web Server)를 연동시킴으로써 가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애플리케이션(App)에는 서버와 통신을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됨이 당연하다.The institute homepage interworking department enables the application (App) to be linked with the web-based institute homepage. This may be achieved by interworking a server for managing an application and a web server for managing a homepage.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pplication (App) It is natural that there is more.

데이터베이스는, 학원정보, 사용자의 정보, 과목정보, 강사정보, 수업일정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The database stores the school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subject information, instructor information, and class schedule information.

학원정보는 후술되는 학원소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의미하고, 사용자의 정보는 상술된 인력정보를 의미하며, 과목정보는 학원(또는 학교)에서 취급하는 과목의 정보를 의미하고, 강사정보는 강사(또는 선생님)의 인적정보와 상기 과목정보에 기반하여 강사가 담당하고 있는 과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수업일정정보는 과목정보와 강사정보에 기반한 수업 시간에 대한 정보(시간표)를 의미한다.The school information means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introduction section of the school,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eans the information of the above mentioned personnel, the information of the course means the information of the courses handled by the school (or school) (Or a teacher), and information on a subject in charge of the instructor based on the subject information, and the class schedul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time table) about the class time based on the subjec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or information.

학원소개부는, 학원장의 인사말, 연혁, 사업분야, BI/CI소개, 공지사항 및 지점안내 등이 가능하도록 단말기 화면 상에 소개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The institute introduction department displays the introduction on the terminal screen so that the greeting, history, business field, BI / CI introduction, announcement and branch office guidance of the president of the institute are available.

그리고 댓글입력부는, 단말기 화면 상의 각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댓글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comment input unit functions to enable comment input on each interface screen on the terminal screen.

일정관리부는, 애플리케이션(App)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수업일정을 관리하고 날자별로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일측에는 댓글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는데, 이를 클릭함으로써 도 4와 같이 댓글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댓글입력부를 통해 가능하다.The schedule management unit manages the lecture schedule of the user logged into the application (App) and displays the schedule on a date-by-date basis. Specifically,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can refer to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a comment inte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FIG. 3, and a comment can be input as shown in FIG. 4 by clicking the comment interface. This is possible through the comment input unit.

한편, 도 2는 애플리케이션(App)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 2 shows an initial screen of the application (App).

그리고 일정관리부를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의 수업일정은, 웹의 학원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컴퓨터 단말기의 화면은 스마트 단말기보다 넓은 장점을 이용하여 달력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The schedule of the user output through the schedule management unit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website of the web site. In this case, the screen of the computer terminal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 calendar using a wider advantage than the smart terminal (refer to FIG. 5 ).

출결관리부는, 원생의 등원 및 하원 시간을 관리하여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attendance management unit can manage the visit of the aboriginal and the time of the house and display it on the terminal screen (refer to Fig. 6).

이때 등원 및 하원 시간은 관리자(선생님 및/또는 강사)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으나, 원생의 출석을 인지할 수 있는 전자적 수단(카드 등)을 통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만약 등원시간의 입력이 없으면 해당 원생이 결석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ntertainer and the house time may be inputted directly by the manager (teacher and / or instructor), but may be automatically inputted through electronic means (card or the like) capable of recognizing attendance of the student. If there is no entry time, it means that the student is absent.

개인자료관리부는, 원생이 자료를 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도록 하거나, 단말기의 저장공간과 연동되어 저장공간에 저장된 자료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 of the protector. For this purpose, the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captures an image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stores the image in a database and manages the data, To manage the stored data.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App)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말기의 카메라와 연동 가능하도록 하는 카메라연동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pplication (App) may be provided with a camera interlocking unit for interlocking with a camera of the terminal.

이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데, 도 8과 같이 사진으로 등록되도록 할 수 있고, 화면 일측에는 선택삭제, 촬영 및 업로드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삭제기능, 신규 촬영 및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is can be referred to FIG. 7 and FIG. 8. It can be registered as a picture as shown in FIG. 8, and a selection delete, a photographing and uploading interfa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creen so that a delete function, .

특히, 관리되는 사진(자료) 중에서 일측에 특정무늬(별무늬)가 표시되기도 하는데, 이는 애플리케이션(App)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이 업로드 한 파일이 무엇인지 헷갈리지 않으며, 특히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동일한 사진이어도 저장시간에 따라 로그(log) 기록이 변경되어 중복 저장이 흔히 발생되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articularly, a certain pattern (monochrome)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managed photo (material), which means that it is uploaded to the database of the application (App). Therefore, it is not confused with the user's uploaded file, and especially in the smart terminal, even if the same picture is used, the log record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do.

공부일기관리부는, 특정 과목(특히, 수학이나 영어 등)을 학습한 뒤 해당 학습내용을 사진 또는 음성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기능을 한다.The study diary management department manages a specific subject (in particular, mathematics, English, etc.) and then manages the learning contents to be stored as a photograph or voice.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카메라와 연동되거나, 또는 녹음기능연동부(도면부호 미도시)를 더 마련함으로써 가능하고, 이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데,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영어와 같이 읽기 학습이 수행된 경우에는 음성파일로 녹음하여 이를 일기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can be realized by interlocking with a camera of the terminal or by providing a recording function interlocking unit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be referred to FIG. 9 and FIG. 10, , And if reading learning is performed as in English, it can be recorded as a voice file and stored in a diary format.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풀이 등의 시각적 학습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진으로 촬영하여 일기형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원생)는 본인이 언제 어떤 학습을 수행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강사(선생님) 또는 학부모의 입장에서도 애플리케이션(App) 또는 웹(Web)을 통해 해당 원생이 언제 어떤 학습을 수행하였는지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일자별로 학습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when visual learning such as solving is required, photographing can be taken and stored in a diary format. As a result, the user (aboriginal person) can easily know when and when the person has performed the learning, and can easily understand when the student has performed the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App) or the web (Web) You will know.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contents of learning can be confirmed on a daily basis.

또한, 일기형식으로 저장되므로 인해 원생이 해야 할 학습을 특정일자에 몰아서 수행하는 것도 어렵게 되므로, 원생이 정해진 일자에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stored in a diary forma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perform the learning to be done on a specific date, so that it can provide a basis for the student to perform faithfully on the appointed date.

이때,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녹음 및 촬영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업로드 및 삭제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화면상에 마련되도록 한다.9 and 10, an interface for recording and shooting, and an interface for uploading and deleting are provided on the screen.

진도관리부는 특정 과목의 수업일정에 대한 수업일정정보와, 과목정보 및 강사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수업의 진도를 출력관리하는 기능을 하고(도 11 참조), 공지알림부는 학원의 공지알림을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도 12 참조), 성적조회부는 해당 원생이 수행한 시험의 결과를 출력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도 13 참조).The progress management section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and managing the progress of the class using the class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class schedule of a specific course, the course information and the instructor information (see FIG. 11), and the announcement notification section outputs a notice of the institute (See FIG. 12), and the grading inquiry unit outputs the result of the test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student, so that it can be inquired (see FIG. 13).

그리고 숙제관리부는 수업별 숙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도 14 참조), 학생편의부는 해당 원생의 학원(또는 학교)에서의 생활을 마일리지 제도로 변환하여 별도의 상품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homework management unit allows homework information for each class to be checked (refer to FIG. 14), and the student convenience department converts the life of the corresponding student school (or school) into a mileage system, do.

이때 상기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것으로는 해당 원생이 수행한 숙제와, 대회에서 획득한 경험 및 수상내역과, 시험점수, 출결상태, 지인추천 등일 수 있는데, 이들은 미리 정해지는 기준에 따라 숙제 X점, 출석 X점 등으로 미리 기준을 설정한 뒤, 예를 들어 출석을 한 경우 자동으로 적립되도록 하는 등 자동으로 적립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강사(선생님, 관리자 또는 학부모)가 직접 적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자동 적립과 직접 적립이 병행되어도 무관하다.In this case, the mileage accumulation may be homework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student, experience and awards acquired at the competition, test scores, attendance status,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etc., It is possible to have the teacher automatically set the criteria such as the X point, etc., and automatically accumulate it if, for example, attendance is made. However, it can be automatically booked by the lecturer (teacher, manager or parent).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accumulation and direct accumulation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설계 조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인 원생이 소정의 정보를 저장할 때, 다시 말하면 개인자료관리부, 공부일지관리부 등으로 관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려고 할 때 학원홈페이지에 연동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not to be linked to the institute homepage when storing a predetermine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to be managed by a personal data manager, a study journal manager, .

이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학원홈페이지 미연동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부일지라던지 자료를 업로드(저장)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학원홈페이지 미연동 인터페이스에 의해 화면에 체크박스를 표시하고, 이를 체크하고 저장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는 저장이 되더라도 학원홈페이지에는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t may be possible by including a non-interworking interface of a school homepage. For example, when a student wants to upload (save) a material such as a study book, Display, check and store it, even if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it is not linked to the institute homepage.

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되 학원홈페이지에 연동되지 않도록 체크박스에 체크가 수행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체크박스가 출력되어 있도록 하고, 체크박스 상에 체크된 체크를 해제함으로써 해제된 시점에서 학원홈페이지에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but checked in the check box so as not to be linked to the institute homepage can be used to make the check box be output when inquiring information, It can be linked to the website of the institute.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항이 요구되는 이유로는, 첫째 원생이 앱을 통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학부모가 웹을 통해 수시로 확인하는 것을 원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생의 학습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the above technical requirement is that the first student can save the information through the app by allowing the student to select from time to time to confirm the parent through the web, thereby reducing the learning burden of the student.

또한, 둘째 동일한 일자에 복수의 학습을 하는 경우, 원생은 학부모가 모든 학습이 완료된 후에 학원홈페이지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의 학습이 완료될 때마다 학원홈페이즈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원생의 경우 대부분이 사춘기를 겪는 학생일 것이고, 개인마다 성격 및 특성이 상이하여 원하는 공부방식이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Secondly, if a student is learning a plurality of times on the same day, he or she may be allowed to view the homepage through the homepage after all the learning has been completed, And the lik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students who us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puberty, and the individuals will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and the desired study methods will be different.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1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1 to 15 described above only describe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15 It is self-evident.

Claims (4)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증된 원생의 공부를 관리하되,
애플리케이션(App)으로 구성되어 단말기에 설치되고,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는 시스템에 잇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을 위한 조작인터페이스;
학원정보, 사용자의 정보, 과목정보, 강사정보 및 수업일정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인사말, 연혁, 사업분야, CI소개, 공지사항 및 지점안내를 포함하는 학원소개를 표시하는 학원소개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에 댓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댓글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
Manage authentic student study through user authentication,
In a system that is composed of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in a terminal, and linked to a school homepage,
An operatio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application;
A database storing school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subject information, instructor information, and class schedule information;
A school introduction section that displays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e including greetings, history, business field, CI introduction, announcement and branch guidance; And
And a comment input unit for allowing comments to be entered in the appl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수업일정을 관리하고 날자별로 표시하는 일정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애플리케이션이 학원홈페이지와 연동되어 원생의 수업일정을 날자별로 표시하는 경우, 달력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 schedul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schedule of the student and displaying the schedule for each date,
Wherein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calendar when it is linked with the homepage of the institute and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student on a date-by-date bas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등원 및 하원시간을 관리하는 출결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a attendance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attendance of the aboriginal person and the time of the hou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원생의 자료를 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자료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인자료관리부는,
연동되는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상기 단말기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자료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생의 공부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comprises:
And a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 of the aboriginal person,
The personal data management unit,
A photograph taken with the camera of the terminal being interlocked or
Wherein data stored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is stored.
KR1020170022928A 2017-02-21 2017-02-21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KR101949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28A KR101949578B1 (en) 2017-02-21 2017-02-21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28A KR101949578B1 (en) 2017-02-21 2017-02-21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40A true KR20180096340A (en) 2018-08-29
KR101949578B1 KR101949578B1 (en) 2019-05-10

Family

ID=6343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28A KR101949578B1 (en) 2017-02-21 2017-02-21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57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777A (en) * 2019-06-26 2020-12-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operation reminding device and method
KR102535345B1 (en) * 2022-11-18 2023-05-26 개근상 주식회사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Technolog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979A (en) *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유니북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Training Service by Us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70110701A (en) * 2006-05-15 2007-11-20 이승언 Online education method using reward
KR20130107434A (en) * 2012-03-22 2013-10-02 신승렬 Method for offering information preschool education using integration application of smart phone
KR20130141232A (en) * 2012-06-15 2013-12-26 주이스 주식회사 An integrated study management system
KR101413972B1 (en) * 2013-09-13 2014-07-04 (주)칼라원 Supporting service system for educational institutes
KR20140146776A (en) * 2013-06-18 2014-12-29 안재석 Method for learning motivation by using scholarship providing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50102629A (en) 2014-02-28 2015-09-07 서원배 Academ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979A (en) * 2002-11-08 2004-05-13 주식회사 유니북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Training Service by Us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70110701A (en) * 2006-05-15 2007-11-20 이승언 Online education method using reward
KR20130107434A (en) * 2012-03-22 2013-10-02 신승렬 Method for offering information preschool education using integration application of smart phone
KR20130141232A (en) * 2012-06-15 2013-12-26 주이스 주식회사 An integrated study management system
KR20140146776A (en) * 2013-06-18 2014-12-29 안재석 Method for learning motivation by using scholarship providing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413972B1 (en) * 2013-09-13 2014-07-04 (주)칼라원 Supporting service system for educational institutes
KR20150102629A (en) 2014-02-28 2015-09-07 서원배 Academ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777A (en) * 2019-06-26 2020-12-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operation reminding device and method
CN112150777B (en) * 2019-06-26 2022-05-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operation reminding device and method
KR102535345B1 (en) * 2022-11-18 2023-05-26 개근상 주식회사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Location-based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578B1 (en)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cker et al. Business communication: Building critical skills
Hicks et al. Seeing information: Visual methods as entry points to information practices
Fuller et al. Does digital video enhance student learning in field-based experiments and develop graduate attributes beyond the classroom?
Morse The construction of grievable death: Towar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mediatized death
Rubin Transitional justice against the state: lessons from Spanish civil society-led forensic exhumations
CN112330507A (en) Big data platform and device of wisdom education AIOT student growth ability model
KR102422510B1 (en) AI-based interactive feedback bot for clinical training education
Fengler et al. Effective assessment: a key knowledge and skill for a sustainable profession
Hafford-Letchfield et al. Contemporary practices in social work supervision: time for new paradigms?
KR101949578B1 (en) System for managing study of student
Sultana Career education: past, present… but what prospects?
McIntosh Working in partnership: the role of Peer Assisted Study Sessions in engaging the Citizen Scholar
Gammonley et al. Beyond study abroad: A human rights delegation to teach policy advocacy
Gugino Using Google Docs to enhance the teacher work sample: Building e-portfolios for learning and practice
Abe-Hiraishi et al. Increasing cultural competence: implementation of study away/abroad in an athletic training program
Mammadov Current policies and policy efforts for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in Turkey
Roberts et al. Developing shared vision: A case study documenting a STEM general education change process at a small liberal arts school
Gomila et al. The audio check: A method for improving data quality and detecting data fabrication
Dymond et al. Body-worn cameras, use of force and police-civilian interactions
Roy et al. Public library services for veterans: Selected brief case studies
Boardman Early Years Teachers as leaders of change through reflexivity praxis?
JP6158617B2 (en) Education support system
KR20150111679A (en) Document writ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nursery facilities
US20130218832A1 (en) Automated Collection and Aggregation of cross-platform and live event or in-person training records to support the conduct of clinical trials
Hayes Customization in schooling mar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