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263A - 텀블러 뚜껑 - Google Patents

텀블러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263A
KR20180096263A KR1020170022739A KR20170022739A KR20180096263A KR 20180096263 A KR20180096263 A KR 20180096263A KR 1020170022739 A KR1020170022739 A KR 1020170022739A KR 20170022739 A KR20170022739 A KR 20170022739A KR 20180096263 A KR20180096263 A KR 2018009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groove
rotation
tumbler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558B1 (ko
Inventor
최운환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17002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5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텀블러 상부에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을 회전개폐타입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을 별도의 폐쇄마개부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충격 또는 임의적인 힘에 의해 토출공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텀블러를 가방 또는 핸드백에 보관하여 외출하는 경우, 용기본체 내에 저장된 내용물의 긴밀한 밀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텀블러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텀블러 뚜껑{Tumbler lid}
본 발명은 텀블러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내측에 함몰형성된 공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11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둘레에 경사진 경사레일홈부(130)이 형성되는 고정커버부재(100);와,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홈(2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에 삽입되는 안내돌기(220)가 형성되는 회전커버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보통의 컵과 같은 장축방향을 긴 원통형상의 손잡이가 없는 밑면이 편평한 잔을 말한다.
이러한 텀블러는 물, 맥주, 주스 등의 액상의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하는 것 외에도 하이볼, 진 피즈 등 롱드링크류를 마실 때도 사용된다.
한편, 텀블러의 크기는 6온스 텀블러(180mℓ 들이), 8온스 텀블러(240mℓ 들이), 10온스 텀블러(300mℓ 들이) 등이 있는데, 8온스가 표준이며, 기본형 외에 온더록스(on the rocks)에 쓰이는 주둥이가 넓으며 키가 낮은 올드패션이란 텀블러와 주스 같은 것을 마실 때 쓰이는 키가 높고 원통형인 좀비 등이 있다.
또한, 텀블러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재료는 유리가 가장 많고, 도자기, 금속, 플라스틱도 있으며, 간편하게는 종이로 만든 것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텀블러를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고, 이로 인하여, 가방, 핸드백 등에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도록 텀블러 상부에 캡이 결합된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텀블러 및 텀블러 캡은 사용의 효율성,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그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68648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는 상부가 개방되고,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내부공간(44)이 형성되고, 상부 내주면에 압입식 뚜껑(10) 및 나선형 뚜껑(20) 하부에 형성된 패킹홈(11)(21)에 마련된 패킹(30)을 가압하여 내부공간(44)을 밀폐하기 위해 형성된 패킹 가압부(41)와, 상기 패킹 가압부(41)와 연결형성된 고정부(42)와, 상기 패킹 가압부(41) 하부 내주면에 나선형 뚜껑(20)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22)와 상호 대응하여 형성된 나사 체결부(43)와, 상기 패킹 가압부(41)와 나사 체결부(43) 사이에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안착면(45)을 더 포함하는 내통(40)과, 상기 내통(40)의 고정부(42)에 고정되는 외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나선형 뚜껑(20)의 나사부(22) 상부 외주면에는 내통(40)의 안착면(45)에 안착되어 내부공간(44)을 밀폐하기 위해 단턱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23)의 직경은 나선형 뚜껑(20)의 나사부(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로 인하여, 사무실이나 가정같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압입식 뚜껑을 사용하여 각종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동시에, 공원을 산책하거나 외출시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하여 가방에 넣어 휴대할 수 있음으로써, 언제는 원하는 장소에서 각종 음료를 음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는 나선형 뚜껑이 결합된 텀블러를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보관하여 외출하는 경우, 수직개폐타입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뚜껑에 형성된 오픈부가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 가방 내부 또는 가방 내의 소지품에 걸려 쉽게 개방됨으로써, 텀블러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어 내용물을 마실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가방 또는 소지품에 내용물에 내용물이 쏟아져 가방 또는 소지품 사용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686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 상부에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을 회전개폐타입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을 별도의 폐쇄마개부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충격 또는 임의적인 힘에 의해 토출공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텀블러를 가방 또는 핸드백에 보관하여 외출하는 경우, 용기본체 내에 저장된 내용물의 긴밀한 밀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텀블러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 뚜껑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내측에 함몰형성된 공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11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둘레에 경사진 경사레일홈부(130)이 형성되는 고정커버부재(100);와,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홈(2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에 삽입되는 안내돌기(220)가 형성되는 회전커버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레일홈(130)은,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상승위치에 안착되는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하강위치에 안착되는 하부수평홈(132)과, 상기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홈(1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홈(210)은,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상부수평홈(13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개방하고,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시키는 폐쇄마개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마개부(230)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폐쇄마개부(230)가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몰공간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는 걸림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턱(140)을 타고 넘어가는 회전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토출공(120) 및 상기 배출홈(21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흐르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내용물이동안내부(1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밀 수 있도록 핸들부재(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텀블러 상부에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을 회전개폐타입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을 별도의 폐쇄마개부로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충격 또는 임의적인 힘에 의해 토출공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텀블러를 가방 또는 핸드백에 보관하여 외출하는 경우, 용기본체 내에 저장된 내용물의 긴밀한 밀폐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A-A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의 구성중 회전커버부재가 토출공을 개방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B-B의 단면도 및 상부수평홈에 안착된 회전돌기의 위치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의 구성중 회전커버부재가 토출공을 폐쇄하였을 경우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C-C의 단면도 및 회전돌기가 경사홈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과 하부수평홈에 안착된 회전돌기의 위치를 보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1)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 뚜껑(1)는 크게 고정커버부재(100) 및 회전커버부재(200)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커버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커버부재(100)는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300)의 상부에 나사결합방식 또는 억지끼움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공간부(110), 토출공(120), 경사레일홈부(130), 걸림턱(140), 내용물이동안내부(1500), 완경사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110)는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내측에 소정의 높이만큼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일종의 공간으로서, 상기 공간부(110)는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과 동시에 승, 하강되는 회전커버부재(200)의 수직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토출공(120)은 상기 공간부(110)의 상부에 타공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30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후술할 내용물이동안내부(150) 측으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레일홈부(130)는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 둘레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후술할 안내돌기(220)의 이동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승, 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경사레일홈부(13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상승위치에 안착되는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하강위치에 안착되는 하부수평홈(132)과 상기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2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홈(13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경사레일홈부(130)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의 치수, 형상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1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20˚로 분할한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턱(140)은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로서, 상기 걸림턱(140)은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후술할 회전돌기(240)가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회전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손의 감각으로 인지하여 상기 토출공(120)의 개폐를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140)은 상기 토출공(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임의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회전돌기(240)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임의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내용물이동안내부(150)는 상기 토출공(120)이 형성된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120) 및 상기 배출홈(21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흐르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내용물이동안내부(150)는 내측이 완곡된 곡면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내용물을 흡입시, 내용물이 다른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내용물이동안내부(150)를 통해 내용물을 쉽게 흡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완경사부(160)는 상기 토출공(120)이 형성된 주변에 소정의 각도로 움푹 패인 함몰구간으로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를 회전시켜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할 경우, 상기 토출공(120)을 밀폐시키는 후술할 폐쇄마개부(230)가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사선방향으로 하강이동시, 상기 폐쇄마개부(230)와 상기 공간부(110) 상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용기본체(300)와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가스켓(4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커버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토출공(120)을 개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배출홈(210), 안내돌기(220), 폐쇄마개부(230), 회전돌기(240), 핸들부재(250) 및 표시부(260)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홈(210)은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측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토출공(120)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사용자가 마실 수 있도록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배출홈(210)은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상부수평홈(13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개방하고,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돌기(22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안내돌기(22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되는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220)의 개수는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쇄마개부(23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폐쇄마개부(230)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마찰에 의한 변형이 어느 정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내측에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함몰공간홈(231)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폐쇄마개부(230)가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돌기(24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림턱(140)을 넘어가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돌기(24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회전각도에 따라 사용자가 이를 손의 감각으로 인지하여 상기 토출공(120)의 개폐를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토출공(1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임의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걸림턱(14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임의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핸들부재(25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일종의 손잡이로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을 회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표시부(260)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상면에 상기 토출공(120)의 개폐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자물쇠의 잠금 및 잠금해제 모양 또는 “OPEN” 및 “CLOSE”글자체 등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공(120)의 폐쇄시, 텀블러 뚜껑(1)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상기 토출공(12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홈(210)와 상기 토출공(120)이 연통된 상태를 이루고, 이때, 상기 안내돌기(22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수평홈(131)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상부수평홈(131)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는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1)만큼 올라와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핸들부재(250)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220)는 상기 상부수평홈(131)을 벗어나 상기 경사홈(133)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돌기(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는 회전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폐쇄마개부(230) 및 상기 회전돌기(240) 또한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고, 계속하여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되면, 1차적으로 상기 회전돌기(240)가 걸림턱(140)을 넘게 되고, 이후 상기 폐쇄마개부(230)가 상기 토출공(120)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안내돌기(220)는 상기 경사홈(133)을 지나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커버부재(200)는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H2)만큼 내려와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안착되면, 상기 폐쇄마개부(230)는 상기 토출공(120)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공(120)을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공(120)을 개방하는 방법은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시키는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텀블러 뚜껑
100: 고정커버부재
110: 공간부 120: 토출공
130: 경사레일홈부 131: 상부수평홈
132: 하부수평홈 133: 경사홈
140: 걸림턱 150: 내용물이동안내부
160: 완경사부
200: 회전커버부재
210: 배출홈 220: 안내돌기
230: 폐쇄마개부 231: 함몰공간홈
240: 회전돌기 250: 핸들부재
260: 표시부
300: 용기본체
400: 가스켓

Claims (9)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본체(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텀블러 뚜껑(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내측에 함몰형성된 공간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110)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둘레에 경사진 경사레일홈부(130)이 형성되는 고정커버부재(100);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홈(210)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경사레일홈부(130)에 삽입되는 안내돌기(220)가 형성되는 회전커버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레일홈(130)은,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상승위치에 안착되는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안내돌기(220)가 최대 하강위치에 안착되는 하부수평홈(132)과
    상기 상부수평홈(131)과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안내돌기(2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홈(1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210)은,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상부수평홈(13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개방하고,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돌기(220)가 상기 하부수평홈(13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120)을 폐쇄시키는 폐쇄마개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마개부(230)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폐쇄마개부(230)가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폐쇄마개부(230)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몰공간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10)의 상면에는 걸림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턱(140)을 타고 넘어가는 회전돌기(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부재(10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토출공(120) 및 상기 배출홈(210)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흐르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내용물이동안내부(1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9.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재(200)의 회전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밀 수 있도록 핸들부재(2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뚜껑(1).
KR1020170022739A 2017-02-21 2017-02-21 텀블러 뚜껑 KR10190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9A KR101903558B1 (ko) 2017-02-21 2017-02-21 텀블러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739A KR101903558B1 (ko) 2017-02-21 2017-02-21 텀블러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63A true KR20180096263A (ko) 2018-08-29
KR101903558B1 KR101903558B1 (ko) 2018-10-02

Family

ID=6343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739A KR101903558B1 (ko) 2017-02-21 2017-02-21 텀블러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14A (ko) 2019-04-25 2020-11-04 정원찬 거치식 텀블러 캡
WO2022114278A1 (ko) * 2020-11-25 2022-06-02 김민곤 빨대 텀블러
KR20230162761A (ko) 2022-05-21 2023-11-28 신예지 다양한 크기의 취식홀과 슬라이드 뚜껑 기능을 갖는 텀블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48B1 (ko) 2013-04-25 2014-12-03 주식회사 한주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2498B2 (ja) * 2011-09-21 2015-10-28 中井紙器工業株式会社 振出容器
JP5953346B2 (ja) * 2014-09-02 2016-07-20 オルゴ株式会社 飲料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48B1 (ko) 2013-04-25 2014-12-03 주식회사 한주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014A (ko) 2019-04-25 2020-11-04 정원찬 거치식 텀블러 캡
WO2022114278A1 (ko) * 2020-11-25 2022-06-02 김민곤 빨대 텀블러
KR20230162761A (ko) 2022-05-21 2023-11-28 신예지 다양한 크기의 취식홀과 슬라이드 뚜껑 기능을 갖는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558B1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20B2 (en)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KR101903558B1 (ko) 텀블러 뚜껑
US20170107030A1 (en) Admixer-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8919595B2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losure
KR20060057309A (ko) 첨가제 첨가용 위조방지 이중캡
RU2673763C2 (ru) Крышк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тия
US20170181556A1 (en) Snack and beverage container set
CN104755386A (zh) 双液式饮料容器
CN109562869A (zh) 盖子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US10654626B2 (en) Lid-to-container locking combination and method
KR101875498B1 (ko) 텀블러 뚜껑
KR200469736Y1 (ko) 병의 개폐 조절이 가능한 병뚜껑 캡
CN201249925Y (zh) 一种旋转出水瓶盖
CN208491585U (zh) 一种旋转杯盖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CN219289172U (zh) 一种具有上盖开合结构的杯盖及杯子
JP6593926B2 (ja) ねじ込み式連結容器
KR200363544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CN218074406U (zh) 阻尼翻转式畅饮杯盖
KR20050109017A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
CN214987317U (zh) 储物瓶盖及瓶
KR102548724B1 (ko) 기능성 보충제가 수용된 음료용기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