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22A -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22A
KR20180096122A KR1020170022387A KR20170022387A KR20180096122A KR 20180096122 A KR20180096122 A KR 20180096122A KR 1020170022387 A KR1020170022387 A KR 1020170022387A KR 20170022387 A KR20170022387 A KR 20170022387A KR 20180096122 A KR20180096122 A KR 2018009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xtrusion
extrusion panel
upper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17002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122A/ko
Publication of KR2018009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압출 패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평행하고,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벽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Extruding panel and assembly type furniture}
본 발명은 압출 패널 및 상기 압출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 방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조 가능한 압출 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은 조립식 수납함 등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조립식 수납함은 복수의 패널과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었다. 상기 연결 파이프는 대체로 사각형 단면구조의 각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을 형성하고, 이 절개홈에는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패널과 연결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조여서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이 수평 및 수직으로 다단 연장되는 책장이나 진열장 등의 수납가구를 제작하게 된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281525호).
그런데 조립식 수납함을 구성하는 상기 패널은 사출 등의 방법을 형성해야 하며, 조립식 수납함을 구성하는 별도의 연결 파이프가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패널의 강도가 낮고, 무게가 무거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525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무게가 가벼우며 강도가 높은 압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압출 패널을 포함하고 구조가 단순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평행하고,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벽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개의 상기 제1 연결벽들 사이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압출 패널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내에는 이웃하는 두 제1 연결벽들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상기 제1 연결벽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제1 결합 개구 및 상기 제1 결합 개구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결합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제1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제2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결합 개구와 상기 제2 결합 개구 사이의 중간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은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프로파일이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은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연결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벽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벽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외면 및/또는 상기 하판의 외면 상에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복수의 압출 패널들, 및 상기 복수의 압출 패널들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패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벽들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상판,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하판을 관통하고, 이웃하는 압출 패널의 제1 연결벽의 결합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압출 패널과 상기 이웃하는 압출 패널을 서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압출 패널들을 연결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첩은 무보링 경첩(surface mounted concealed spring hing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구는 상기 압출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구는 상기 압출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닥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 및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결합 개구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1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중공부 내에는 이웃하는 두 제1 연결벽들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은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프로파일이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구는 배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외면 및/또는 상기 하판의 외면 상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면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압출 패널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방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압출 패널은 상판, 하판 및 연결벽에 의해 구성되고, 중공부, 하부 개구, 상부 개구 및 결합 개구가 형성되므로,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된 조립식 가구는 구조가 간단한 압출 패널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9는 결합부재와 압출 패널들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조립식 가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판(102), 하판(104) 및 복수의 연결벽들(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2)은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이 이루는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판(104)은 상기 상판(102)과 평행하게 상기 상판(102)에 대해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2) 및 상기 하판(104)을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벽(106)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벽(106)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기 상판(102) 및 상기 하판(104)을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벽(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벽(108)은 상기 제1 연결벽(106)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웃하는 두개의 제1 연결벽들(106) 사이에 적절한 개수의 제2 연결벽(108)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두개의 제1 연결벽(106)들 사이에 3개의 제2 연결벽(108)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상기 상판(102), 상기 하판(104) 및 상기 제2 연결벽(108)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벽(106)은 이들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판(102), 상기 하판(104) 및 상기 제2 연결벽(108)은 0.5 mm(밀리미터)의 제1 두께(t1)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연결벽(106)의 각 구성 부분들은 1mm의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출 패널(100)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 지면서도 강도가 높으며, 후술할 결합부재(도 7의 200 참조)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제1 및/또는 제2 연결벽(106, 108)들 사이에는 중공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1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공부(11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10)는 서로 이웃하는 두 연결벽들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벽들(106, 108)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의 중공부(11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10)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사각 기둥의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도 있으며, 상기 중공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연결벽(106)에는 하부 개구(120), 결합 개구(130) 및 상부 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102)으로부터 상기 상판(104) 방향, 즉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하부 개구(120), 상기 결합 개구(130) 및 상기 상부 개구(140)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12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개구(12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14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개구(14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개구(13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개구(13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개구(130)는 도 7에서 후술할 나사(screw) 등의 결합 부재의 나사산이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개구(130)는 상기 상판(102)과 상기 하판(104)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개구(13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의 측면 상의 상기 상판(102)과 상기 하판(104) 사이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개구(130)가 상기 중심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압출 패널(100)을 이용하여 조립식 가구 등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나사 등의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하고, 상기 압출 패널(1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에서 후술한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기 제2 방향(D2)에 수직한 단면의 프로파일이 일정하므로, 상기 제2 방향(D2)으로 압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합성 수지, 금속 등을 원료로 하여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 패널(100)의 상기 상판(102)의 외면 및/또는 상기 하판(104)의 외면 상에는 가이드 홈(10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03)에는 배면판(도 7의 10 참조)의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03)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제2 방향(D2)의 수직한 단면은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일정하므로, 상기 가이드 홈(103)의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압출 패널(100)은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따르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방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기 상판(102), 상기 하판(104) 및 상기 제1 연결벽(106)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110), 상기 하부 개구(120), 상기 상부 개구(140) 및 상기 결합 개구(130)가 형성되므로,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하부 개구(120)의 형상, 결합 개구(130)의 형상 및 상부 개구(140)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1 및 2의 압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판(102), 하판(104) 및 복수의 연결벽들(106)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제1 및/또는 제2 연결벽들(106, 108) 사이에는 중공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벽(106)에는 하부 개구(120), 결합 개구(130) 및 상부 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개구(130)는 제1 방향(D1) 및 제3 방향(D3)과 수직한 제2 방향(도 1 의 D2 참조)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개구(12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 개구(130)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개구(130)는 도 7에서 후술할 나사(screw) 등의 결합 부재의 나사산이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폭이 상기 나사의 바깥 지름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중간 개구(150)를 제외하고 도 1 및 2의 압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판(102), 하판(104) 및 복수의 연결벽들(106)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제1 및/또는 제2 연결벽들(106, 108) 사이에는 중공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벽(106)에는 하부 개구(120), 제1 결합 개구(132), 중간 개구(150), 제2 결합 개구(134) 및 상부 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102)으로부터 상기 상판(104) 방향, 즉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하부 개구(120), 상기 제1 결합 개구(132), 상기 중간 개구(150), 상기 제2 결합 개구(134) 및 상기 상부 개구(140)가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개구(150)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개구(15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개구(132)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 개구(132)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개구(134)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합 개구(134)는 상기 압출 패널(10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결합 개구(132, 134)는 도 7에서 후술할 나사(screw) 등의 결합 부재의 나사산이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개구(132)와 상기 하판(10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결합 개구(134)와 상기 상판(10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패널의 단면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압출 패널(100)은 중공부 내에 보강벽(112)이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2의 압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상판(102), 하판(104) 및 복수의 연결벽들(106)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제1 및/또는 제2 연결벽들(106, 108) 사이에는 중공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벽(106)에는 하부 개구(120), 결합 개구(130) 및 상부 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110) 내에는 이웃하는 두 제1 및/또는 제2 연결벽들(106, 108)을 제1 방향(D1)으로 연결하도록 보강벽(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압출 방법에 의해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102), 상기 하판(104), 상기 제1 및 제2 연결벽(106, 108) 및 상기 보강벽(112) 구조에 의해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벽(112)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웃하는 두 연결벽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압출 패널(1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102) 및 상기 하판(104)을 연결하는 추가 보강벽이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중공부(110) 내에 사선 방향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 보강벽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9는 결합부재와 압출 패널들 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I-I'선 및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조립식 가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식 가구는 복수의 압출 패널들(100), 복수의 결합 부재(200), 복수의 마감캡(300), 복수의 바닥 마감캡(350), 경첩(400), 보강 부재(500) 및 배면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100)은 도 1 및 2의 압출 패널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1 및 2에서 설명된 상기 압출 패널을 복수개 원하는 크기로 구성하여, 상기 조립식 가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10)의 가장자리가 상기 압출 패널(100)의 가이드홈(103)에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배면판(10)과 인접하는 압출 패널들(10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100)과 상기 배면판(10)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상의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 부재(200)는 나사(screw)일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재(200)는 제1 압출 패널(100a)의 상판(도 2의 102 참조), 연결벽(도 2의 106 참조) 및 하판(도 2의 104 참조)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제2 압출 패널(100a)의 측면 상의 결합 개구(130) 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00)는 나사산을 갖는 나사 일 수 있으므로, 상기 나사산이 상기 압출 패널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압출 패널(100a) 및 상기 제2 압출 패널(100b)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출 패널(100)의 상기 상판 또는 하판 상에는 상기 결합 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하는 마커(marker) 또는 홀(hole)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캡(300)은 상기 압출 패널(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출 패널(100)의 측면의 개구들(중공부, 결합 개구, 상부 및 하부 개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300)은 상기 압출 패널(100)의 복수의 중공부들(도 2의 110 참조)내에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 돌출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캡(350)은 상기 압출 패널(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압출 패널(100)의 측면의 개구들(중공부, 결합 개구, 상부 및 하부 개구)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캡(350)은 상기 압출 패널(100)의 복수의 중공부들 내에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 돌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마감캡(350)은 완성된 조립식 가구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바퀴(3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마감캡(350)과 상기 마감캡(350)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켜 상기 조립식 가구를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첩(400)은 이웃하는 두 압출 패널들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조립식 가구의 개폐식 도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첩(400)은 상기 압출 패널들의 상판 또는 하판 상에 결합되기 위해, 무보링 경첩(surface mounted concealed spring hinge)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50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의 상기 중공부(도 1의 110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500)는 상기 압출 패널(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의 중공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500)가 상기 조립식 가구의 하부 패널에 대응하는 압출 패널의 중공부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측벽 패널, 상부 패널 또는 뒷면 패널 등에도 삽입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보강 부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압출 패널(100)이 도 1 및 2에 설명된 압출 패널로 설명되었으나, 도 3 내지 5의 압출 패널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4의 압출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도 4의 압출 패널의 제1 및 제2 결합 개구들에 대응하도록 결합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식 가구가 하나의 수납 공간을 갖고 개폐형 도어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압출 패널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수납 공간을 갖는 조립식 가구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상기 압출 패널을 이용하여, 가구의 일종인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압출 패널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압출 패널은 건축용 또는 인테리어용 판재 등으로 광범위 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식 가구는 복수의 압출 패널들(100)을 이용하여 다단 수납장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가구는 무두 볼트(600)를 더 포함하고, 바퀴대신 높낮이 조절 받침(353)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7의 조립식 가구와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무두 볼트(600)는 원기둥 형상의 끼움부(610)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620)가 상기 압출 패널(100)의 결합 개구(도 1의 130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두 볼트(600)는 상기 끼움부(610)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부(620)를 회전 시켜, 상기 결합 개구 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두 볼트(600)의 상기 끼움부(610)를 이웃하는 압출 패널의 상판 또는 하판에 형성된 홀(H)에 삽입하여, 상기 조립식 가구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 마감캡(350)은 도 7의 조립식 가구에서와 달리 바퀴(도7의 352 참조) 대신 상기 높낮이 조절 받침(3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 받침(35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 받침(353)을 회전시켜 상기 조립식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압출 패널은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방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압출 패널은 상판, 하판 및 연결벽에 의해 구성되고, 중공부, 하부 개구, 상부 개구 및 결합 개구가 형성되므로,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된 조립식 가구는 구조가 간단한 압출 패널 및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압출 패널 102: 상판
104: 하판 106: 연결벽
110: 중공부 120: 하부 개구
130: 결합 개구 140: 상부 개구
200: 결합 부재 300: 마감캡
350: 바닥 마감캡 400: 경첩
500: 보강 부재 10: 배면판

Claims (20)

  1.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평행하고,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벽들을 포함하는 압출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개의 상기 제1 연결벽들 사이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압출 패널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내에는 이웃하는 상기 두 제1 연결벽들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상기 제1 연결벽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개구는 제1 결합 개구 및 상기 제1 결합 개구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 결합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제1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제2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결합 개구와 상기 제2 결합 개구 사이의 중간 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은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프로파일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제1 연결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벽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벽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외면 및/또는 상기 하판의 외면 상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패널.
  12. 복수의 압출 패널들; 및
    상기 복수의 압출 패널들을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출 패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이 이루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연결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상판,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하판을 관통하고, 이웃하는 압출 패널의 제1 연결벽의 결합 개구에 삽입되어 상기 압출 패널과 상기 이웃하는 압출 패널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압출 패널들을 연결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첩은 무보링 경첩(surface mounted concealed spring hin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감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닥 마감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마감캡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 돌출부 및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결합 개구는 원통 형상이고,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1 연결벽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하부 개구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결합 개구 사이의 상부 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중공부 내에는 이웃하는 두 제1 연결벽들 사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패널은 압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프로파일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19. 제12 항에 있어서,
    배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외면 및/또는 상기 하판의 외면 상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면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20. 제12 항에 있어서,
    끼움부 및 나사부를 포함하는 무두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압출 패널의 결합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는 이웃하는 압출 패널의 상판 또는 하판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KR1020170022387A 2017-02-20 2017-02-20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KR2018009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87A KR20180096122A (ko) 2017-02-20 2017-02-20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87A KR20180096122A (ko) 2017-02-20 2017-02-20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22A true KR20180096122A (ko) 2018-08-29

Family

ID=6343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87A KR20180096122A (ko) 2017-02-20 2017-02-20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7603A (zh) * 2020-07-03 2020-11-06 浙江晶雅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置物柜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25B1 (ko) 2013-01-30 2013-07-22 주식회사 두맥스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525B1 (ko) 2013-01-30 2013-07-22 주식회사 두맥스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7603A (zh) * 2020-07-03 2020-11-06 浙江晶雅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置物柜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848B2 (en) Support bracket for sliding doors with side locking and adjustment
US7677535B1 (en) Railing
US3037593A (en) Partition construction
US6550216B1 (en) Storage shed
US5305571A (en) Structural frame assembly
JPS5977809A (ja) フレ−ム構造
US20160095441A1 (en) Bench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20200149273A1 (en) Building assembly
US20100314597A1 (en) Barrier fence system
KR20180096122A (ko) 압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가구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2290321B1 (ko)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
JP3406472B2 (ja) フェンス
KR101359491B1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JP6995565B2 (ja) 室内用間仕切り
US9145671B1 (en) Modular housing framing systems
US11268284B2 (en) Railing system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US20030152421A1 (en) Table corner strengthener
KR102359953B1 (ko) 유골함 안치단 조립구조
US10687621B2 (en) Spacer assembly
KR20090117243A (ko) 조립식 사물함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EP3406833A1 (en) Retainer for fixing a hinge on metal door/window profiles, hinge assembly for metal door/window profiles and method for fixing a hinge on metal door/window profiles
KR102620147B1 (ko) 압출바를 이용하는 개선된 형태의 조립식 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