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062A - 용기용 폐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기용 폐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062A
KR20180095062A KR1020187020729A KR20187020729A KR20180095062A KR 20180095062 A KR20180095062 A KR 20180095062A KR 1020187020729 A KR1020187020729 A KR 1020187020729A KR 20187020729 A KR20187020729 A KR 20187020729A KR 20180095062 A KR20180095062 A KR 2018009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ring
tamper
collar
retaining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스라엘 코멧
알랭 룰레
Original Assignee
스바린 캡 시스템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바린 캡 시스템즈 아게 filed Critical 스바린 캡 시스템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9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65D41/343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with drive means between closure and tamper element
    • B65D2101/0023
    • B65D2101/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20Frangible elements completely enclosed in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25Non-metallic tear-of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35Vertical or axial lines of weakness

Abstract

용기용 폐쇄 시스템(2)은, 용기에 체결되고 가요성 유지 칼라(7)가 제공되어 있는 목부(4)를 포하는 목 요소(3); 목부(4)에 나사 결합되고 폐쇄 벽(15) 및 체결 스커트(16)를 포함하는 폐쇄 마개(14); 및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에 의해 체결 스커트(16)에 연결되는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포함한다.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유지 칼라와 결합하는 가요성 유지 요소(23)를 포함한다. 마개가 나사 결합되면, 유지 칼라(7)는 유지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환형 훅킹 하우징(11)을 형성한다. 유지 칼라는, 처음으로 개봉된 후에 마개가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할 때, 체결 스커트(16)와 부정 사용 방지 링(19)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폐쇄 시스템
본 발명은 용기용 폐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폐쇄 시스템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 용기에 체결되고, 스탑면이 제공되어 있는 유지 칼라를 포함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목 요소;
- 상기 목부에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며, 폐쇄 벽 및 체결 스커트를 포함하는 폐쇄 마개; 및
- 복수의 부서지기 쉬운 요소에 의해 체결 스커트에 연결되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을 포함하고,
부정 사용 방지 링은 폐쇄 마개의 나사 풀림 동안에 유지 칼라의 스탑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요성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유지 칼라 및 유지 요소의 이러한 구성으로, 폐쇄 마개의 나사 풀림 동안에, 부정 사용 방지 링을 못 움직이게 할 수 있고 그리하여 체결 스커트와 부정 사용 방지 링을 연결하는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을 일으킬 수 있다.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이러한 파단에 의해, 위에서 언급한 폐쇄 시스템을 구비하는 용기의 사전 개봉을 쉽게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유지 요소의 가요성 면에서, 드문 경우이지만, 폐쇄 마개의 나사 풀림 동안에 유지 요소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유지 칼라를 우회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부정 사용 방지 링이 중력에 의해 컨테이너(폐쇄 시스템을 구비하는 용기의 내용물이 그 컨테이너 안으로 부어지게 됨) 안으로 떨어질 수 있고 그래서 소비자에 의해 먹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을 목부에 신뢰적으로 유지시키면서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를 갖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기용 폐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쇄 시스템은,
- 상기 용기에 체결되는 목 요소(상기 목 요소는 가요성 유지 칼라가 제공되어 있는 목부를 포함함);
- 상기 목부에 나사 결합되고, 폐쇄 벽 및 체결 스커트를 포함하는 폐쇄 마개; 및
- 복수의 부서지기 쉬운 요소에 의해 상기 체결 스커트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목부 및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상기 폐쇄 마개가 목부에 체결될 때 또한 적어도 상기 깨지지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는 환형 훅킹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칼라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상기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체결 스커트와 부정 사용 방지 링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 칼라의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시스템을 구비하는 용기의 최초 개봉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가 훅킹 하우징 안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유지 칼라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 사이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걸림에 의해, 부정 사용 방지 링이 우발적으로 제거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고, 그래서 부정 사용 방지 링이 목부 상에 신뢰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이렇게 유지 칼라가 체결 스커트와 부정 사용 방지 링 사이에 연장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시스템을 구비하는 용기의 사전 개봉을 쉽게 검사할 수 있다.
폐쇄 시스템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다음과 같은 특징적 사항 중의 하나 이상을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목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목부 및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상기 깨지지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적어도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처음으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할 때까지 유지 칼라가 환형 훅킹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유지 칼라가 상기 목부의 연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 위치와, 상기 유지 칼라가 휘어지고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을 한정하게 되는 유지 위치 사이에서 예컨대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예컨대 상기 깨지지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적어도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처음으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할 때까지, 상기 유지 칼라를 변형시켜 그의 유지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예컨대 상기 깨지지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적어도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처음으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할 때까지, 상기 유지 칼라 주위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훅킹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훅킹 표면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훅킹 표면은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휘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목부의 외측 표면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 1 표면, 및 제 1 표면의 반대편에 있고 유지 칼라의 훅킹 표면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제 2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의 주변 가장자리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 안으로 이어져 있는 삽입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상기 삽입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개구는 폐쇄 마개의 반대편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에 의해 상기 체결 스커트에 연결되는 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는 환형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환형부는, 폐쇄 마개가 목부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유리하게 유지 칼라 주위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의 주변 가장자리는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환형부의 내측 표면과 대향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상기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에 반경 방향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부는 스탑면을 포함하고,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부정 사용 방지 링이 그 스탑면에 지지될 수 있고, 초기 위치에 있는 유지 칼라와 스탑면 사이의 거리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의 폭 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환형 훅킹 하우징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의 환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의 반경 방향 치수는 유지 칼라의 축방향 치수 보다 크다. 다시 말해, 유지 칼라의 폭은 유지 칼라의 두께 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의 주변 가장자리가 유지 칼라와 목부의 외측 표면 사이의 연결 영역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가요성 유지 플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그의 내주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가요성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유지 요소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의 내주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상기 체결 스커트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마개는 부정 사용 방지 링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와 상호 작용하여, 부정 사용 방지 링을 상기 체결 스커트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체결 스커트와 부정 사용 방지 링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봉 검사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의 환형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는 체결 스커트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는 제 1 캠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는 제 2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캠면은 제 1 캠면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을 상기 체결 스커트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캠면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가 목부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제 1 캠면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의 환형부를 체결 스커트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2 캠면은 제 1 캠면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 각각은 파형 또는 잔물결형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은 환형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폐쇄 마개는 체결 스커트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구동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적어도 하나의 개봉 검사 공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쇄 마개는 목부의 내측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환형 밀봉 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체결 요소를 포함하고, 체결 스커트는 목부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체결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결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측 체결 요소는 외측 나사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내측 체결 요소는 내측 나사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 특히 환형부는 체결 스커트의 연장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폐쇄 마개의 반대쪽으로 배향되는 초기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폐쇄 마개 쪽으로 배향되는 훅킹 위치 사이에서 예컨대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 요소는, 목부에 고정되고 용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체결 요소와 체결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개구는 체결부 쪽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는, 폐쇄 마개가 목부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시까지 우산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쇄 마개 및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목부는 환형 스탑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마개가 최초로 나사 풀림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는 상기 환형스탑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으로, 폐쇄 마개의 최초 나사 풀림 동안에 부정 사용 방지 링의 변위량을 제한할 수 있고(이러한 스탑 요소가 없으면 유지 칼라의 가요성 때문에 그 변위량은 더 크게 될 것임), 따라서 적어도 부서지기 쉬운 요소가 파단될 때까지 폐쇄 시스템의 밀봉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형 스탑 요소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탑 요소는 유지 칼라와 목부의 외측 표면 사이의 연결 영역 근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탑 요소는 목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다.
어떤 경우든, 본 폐쇄 시스템의 두 실시 형태를 비한정적인 예로 나타내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폐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폐쇄 마개 및 부정 사용 방지 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조립 상태에 있는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부분 절취 사시도로, 나사 풀림 중에 있는, 하지만 폐쇄 마개와 부정 사용 방지 링을 연결하는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전의 폐쇄 마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부분 절취 사시도로, 나사 풀림 중에 있는 그리고 부서지기 쉬운 요소의 파단 후의 폐쇄 마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부분 절취 사시도로, 폐쇄 시스템의 목부 상에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폐쇄 마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의 폐쇄 시스템의 부분 절취 사시도로, 도 8에 나타나 있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부정 사용 방지 링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폐쇄 시스템의 사시도로, 폐쇄 시스템의 목부 상에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폐쇄 마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예컨대, 포장 브릭 또는 포장 상자)용 폐쇄 시스템(2)을 나타낸다. 폐쇄 시스템(2)은 용기에 체결되는 목 요소(3)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목 요소(3)는 일체형이고,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특히 도 1 및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목 요소(3)는 연장 축선(A)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관형 목부(4), 및 목부(4)에 고정되어 있고 예컨대 초음파 용접으로 용기에 체결되는 체결부(5)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체결부(5)는 환형이고, 목부(4)의 연장 축선(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목부(4)는 그의 외측 표면에서 외측 나사산(6) 및 유지 칼라(7)를 포함한다. 유지 칼라(7)는 환형이고 가요적이며, 유리하게 외측 나사산(6)과 체결부(5) 사이에 배치된다. 유지 칼라(7)는 외측 나사산(6)과 대향하는 제 1 환형 표면(8) 및 제 1 환형 표면(8)의 반대편에 있고 체결부(5)와 대향하는 제 2 환형 표면(9)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칼라(7)는, 휴지(rest) 위치라고 하는 초기 위치(도 1)(이 위치에서 유지 칼라(7)는 목부(4)의 연장 축선(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와 유지 위치(도 4)(이 위치에서 유지 칼라(7)는 휘어지고 제 2 환형 표면(9)이 환형 훅킹 하우징(11)을 한정하게 됨) 사이에서 예컨대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칼라(7)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유지 칼라(7)의 주변 가장자리(12)는 유지 칼라(7)와 목부(4)의 외측 표면 사이의 연결 영역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체결부(5) 쪽으로 변이된다. 또한, 지지 칼라(7)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주변 가장자리(12)는 삽입 개구(13)를 한정하고, 이 삽입 개구는 훅킹 하우징(11) 안으로 이어져 있고 또한 체결부(5) 쪽으로 배향되어 있다.
폐쇄 시스템(2)은 목부(4)에 제거 가능하게 체결되는 폐쇄 마개(14)를 또한 포함한다. 이 폐쇄 마개(14)는 폐쇄 벽(15) 및 이 폐쇄 벽(15)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체결 스커트(16)를 포함한다. 체결 스커트(16)는 그의 내측 표면에서, 목부(4)의 외측 나사산(6)과 상호 작용하도록 된 내측 나사산(17)을 포함한다.
폐쇄 마개(14)는 목부(4)의 내측 표면과 상호 작용하도록 된 환형 밀봉 립(18)을 또한 포함한다.
폐쇄 시스템(2)은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더 포함하는데, 이 링은 체결 스커트(16)의 연장부에 위치되는 환형부(21)를 포함한다. 환형부(21)는 이 환형부(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부서지기 쉬운 연결부(22)에 의해 체결 스커트(16)에 연결된다. 폐쇄 마개(14), 부정 사용 방지 링(19) 및 부서지기 쉬운 연결부(22)는 유리하게 사출 성형으로 동시에 만들어진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형부(21)는 유지 칼라(7)의 외경 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부정 사용 방지 링(19)의 환형부(21)의 내측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가요성 유지 플랩(23)을 또한 포함하고, 이 유지 플랩은 유지 칼라(7)의 제 2 환형 표면(9)과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각 유지 플랩(23)은 휴지 위치라고 하는 초기 위치(도 3)(이 위치에서 각 유지 플랩(23)은 폐쇄 마개(14)의 반대쪽으로 배향됨)와 훅킹 위치(도 4)(이 위치에서 각 유지 플랩(23)은 폐쇄 마개(14) 쪽으로 배향되고 삽입 개구(13)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훅킹 하우징(11) 안에 수용될 수 있음) 사이에서 예컨대 탄성적으로 또는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유지 플랩(23)은 사용 위치에서 유지 칼라(7)에 걸릴 수 있다.
부정 사용 방지 링(19) 및 유지 칼라(7)는, 부정 사용 방지 링(19)이 목부(4)에 장착되면 한편으로 환형부(21)가 유지 칼라(7) 주위에 연장되고 유지 칼라(7)를 변형시켜 그의 유지 위치에 유지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플랩(23)이 그의 훅킹 위치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조건에서, 유지 칼라(7)는 부정 사용 방지 링(19) 및 특히 환형부(21)의 내측 표면에 반경 방향 힘을 가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요소(24)를 더 포함하고, 이 구동 요소는 환형부(2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체결 스커트(16)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폐쇄 마개(14)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요소(25)를 더 포함하고, 이 구동 요소는 체결 스커트(16)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부정 사용 방지 링(19)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동 요소(24)는 캠면(26)을 포함하고, 구동 요소(25)는, 캠면(26)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캠면(27)을 포함하고,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및 폐쇄 시스템(2)을 구비하는 용기의 최초 개봉 후에 폐쇄 마개(14)가 목부(4)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캠면(27)은 캠면(26)과 상호 작용하여, 부정 사용 방지 링(19)의 환형부(21)가 체결 스커트(16) 및 유지 칼라(7)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다(도 7 및 8 참조).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구동 요소(24, 25)는 파형 또는 잔물결형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환형부(21)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요소(24)를 포함할 수 있고 폐쇄 마개(14)는 체결 스커트(16)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요소(25)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시스템(2)의 작동을 특히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폐쇄 마개(14)가 목부(4)에 체결되고 부정 사용 방지 링(19)이 부서지기 쉬운 연결부(22)에 의해 체결 스커트(16)에 연결되면, 유지 플랩(23)은 훅킹 하우징(11)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사용자가 나사 풀림 방향으로 폐쇄 마개(14)를 회전 구동시키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플랩(23)이 훅킹 하우징(11) 안으로 들어가 유지 칼라(7)의 제 2 환형 표면(9)(훅킹 표면이라고 함)에 지지될 때까지, 부정 사용 방지 링(19)(폐쇄 마개(14)에 연결되어 있음)이 폐쇄 마개(14)에 의해 나선 운동에 따라 유지 칼라(7) 쪽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폐쇄 마개(14)가 나사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서지기 쉬운 연결부(22)가 파단되어, 도 부정 사용 방지 링(19)과 체결 스커트(14)가 분리된다. 유지 칼라(7)에 의해 환형부(21)의 내측 표면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 힘 때문에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유지됨을 유의해야 한다.
폐쇄 마개(14)가 목부(4)에 재위치되어 나사 결합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구동 요소(25)의 캠면(27)이 구동 요소(24)의 캠면(26)과 상호 작용하여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체결 스커트(16)로부터 멀어지게 체결부(5) 쪽으로 변위시킬 때까지, 체결 스커트(16)가 점진적으로 부정 사용 방지 링(19)에 가까워진다 폐쇄 마개(14)의 나사 결합 끝에서,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도 8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체결 스커트(16)와 부정 사용 방지 링(19)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봉 검사 공간(28)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요소(24, 25)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시스템(2)을 구비하는 용기의 사전 개봉을 쉽게 검사할 수 있다.
유지 칼라(7)에 의해 환형부(21)의 내측 표면에 가해지는 반경 방향 힘 때문에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도 8에 나타나 있는 위치에 유지됨을 유의해야 한다.
유리하게, 목부(4)는, 유지 칼라(7)와 목부(4)의 외측 표면 사이의 연결 영역 근처에서 목부(4)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고 훅킹 하우징(11) 안으로 연장되는 환형 스탑 요소(29)(예컨대, 환형 스탑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유지 플랩(23), 특히 가요성 유지 플랩(23)의 자유 단부는 폐쇄 마개(14)의 최초 나사 풀림 동안에 환형 스탑 요소(29)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폐쇄 마개(14)의 최초 나사 풀림 동안에 부정 사용 방지 링(19)의 변위량을 제한할 수 있고(이러한 스탑 요소가 없으면 유지 칼라(7)의 가요성 때문에 그 변위량은 더 크게 될 것임) 따라서 적어도 부서지기 쉬운 요소(22)가 파단될 때까지 특히 밀봉 립(18)의 레벨에서 폐쇄 시스템의 밀봉이 보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개봉 시스템(2)을 나타내며, 이 개봉 시스템이 도 1 내지 9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와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다음과 같은데, 즉,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특히, 캠면(26, 27)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정 사용 방지 링(19)이 체결 스커트(16)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 후에, 목부(4) 상에서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유지 칼라(7)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체결 스커트(16)와 부정 사용 방지 링(19)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칼라(7)는 목부(4) 상에서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개봉 검사 공간(28) 안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폐쇄 시스템(2)을 구비하는 용기의 사전 개봉을 쉽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 칼라(7)는, 적어도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특히,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목부(4) 상에서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될 때까지, 환형 훅킹 하우징(11)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적어도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특히,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목부(4) 상에서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될 때까지, 유지 칼라(7)를 변형시키고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목부(4) 상에서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된 후에, 유지 칼라(7)의 일부분은 부정 사용 방지 링(19)이 의해 여전히 둘러싸여 있을 수 있고, 그래서 부정 사용 방지 링을 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부정 사용 방지 링(19)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폐쇄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와는 달리 폐쇄 시스템의 모든 변형예도 포함한다.

Claims (11)

  1. 용기용 폐쇄 시스템(2)으로서,
    상기 용기에 체결되는 목 요소(3) - 상기 목 요소(3)는 가요성 유지 칼라(7)가 제공되어 있는 목부(4)를 포함함 -;
    상기 목부(4)에 나사 결합되고, 폐쇄 벽(15) 및 체결 스커트(16)를 포함하는 폐쇄 마개(14); 및
    복수의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에 의해 상기 체결 스커트(16)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23)를 포함하는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포함하고,
    상기 목부(4) 및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상기 폐쇄 마개(14)가 목부(4)에 체결될 때 또한 적어도 상기 깨지지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7)는 환형 훅킹 하우징(1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23)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11)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칼라(7)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상기 폐쇄 마개(14)가 목부(4)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체결 스커트(16)와 부정 사용 방지 링(19)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7)는, 유지 칼라(7)가 상기 목부(4)의 연장 축선(A)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초기 위치와, 상기 유지 칼라(7)가 휘어지고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11)을 한정하게 되는 유지 위치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9)은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7)를 변형시켜 그의 유지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은 상기 유지 칼라 주위에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마개(14)가 목부(4) 상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상기 유지 칼라(7)의 주변 가장자리(12)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11)에 나타나는 삽입 개구(13)를 한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23)는 상기 삽입 개구(13)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에 의해 상기 체결 스커트(16)에 연결되는 환형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칼라(7)는 환형부(21)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칼라(7)는, 상기 폐쇄 마개(14)가 목부(4) 상에 체결될 때 그리고 적어도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시까지,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19)에 반경 방향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19)은 상기 체결 스커트(16)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24)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마개(14)는 부정 사용 방지 링(19)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25)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25)는,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16)가 목부(4)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24)와 상호 작용하여,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상기 체결 스커트(16)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체결 스커트(16)와 부정 사용 방지 링(19)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봉 검사 공간(28)을 형성하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요소(24)는 제 1 캠면(26)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요소(25)는 제 2 캠면(27)을 포함하며, 상기 부서지기 쉬운 요소(22)의 파단 후에 폐쇄 마개(14)가 목부(4) 상에서 최초로 역방향으로 나사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제 2 캠면은 제 1 캠면(26)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부정 사용 방지 링(19)을 상기 체결 스커트(16)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키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4)는 환형 스탑 요소(29)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마개(14)가 최초로 나사 풀림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유지 요소(23)는 상기 환형 스탑 요소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스탑 요소(29)는 상기 환형 훅킹 하우징(11)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용기용 폐쇄 시스템.
KR1020187020729A 2015-12-22 2016-12-14 용기용 폐쇄 시스템 KR20180095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3042 2015-12-22
FR1563042A FR3045574A1 (fr) 2015-12-22 2015-12-22 Systeme d’obturation pour recipient
FR1653875 2016-04-29
FR1653875A FR3045573B1 (fr) 2015-12-22 2016-04-29 Systeme d’obturation pour recipient
PCT/EP2016/080919 WO2017108514A1 (fr) 2015-12-22 2016-12-14 Système d'obturation pour récip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062A true KR20180095062A (ko) 2018-08-24

Family

ID=5536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29A KR20180095062A (ko) 2015-12-22 2016-12-14 용기용 폐쇄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90009943A1 (ko)
EP (1) EP3393924B1 (ko)
JP (1) JP6914936B2 (ko)
KR (1) KR20180095062A (ko)
AU (1) AU2016378896B2 (ko)
BR (1) BR112018012799B1 (ko)
CA (1) CA3007388C (ko)
DK (1) DK3393924T3 (ko)
ES (1) ES2893523T3 (ko)
FR (2) FR3045574A1 (ko)
MA (1) MA42751B1 (ko)
RU (1) RU2730702C2 (ko)
WO (1) WO2017108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1017754A2 (pt) * 2019-03-11 2021-11-16 Alpla Werke Alwin Lehner Gmbh & Co Kg Tampa de fechamento, e, recipiente
FR3104144B1 (fr) * 2019-12-04 2021-12-03 Soc Lorraine De Capsules Metalliques Manufacture De Bouchage Dispositif de bouchage à vis destiné à rester attaché à un récipient après ouverture du récipient.
GB202000444D0 (en) 2020-01-13 2020-02-26 Gbuk Group Ltd Tamper evident cap
WO2021204360A1 (en) * 2020-04-07 2021-10-14 Aptar Freyung Gmbh Clos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such a closure
RU202592U1 (ru) * 2020-12-01 2021-02-26 Дмит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инев Горловина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IT202100029978A1 (it) * 2021-11-26 2023-05-26 Guala Pack Spa Chiusura per una cannuccia di un imballo flessibile a pareti sottil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162A (en) * 1971-09-20 1973-02-13 A Botkin Tamper-proof closure arrangement
DE3233805A1 (de) * 1982-09-11 1984-03-15 Hans 8801 Schillingsfürst Heinlein Verschlusskappe, insbesondere fuer flaschenartige behaelter, mit einem orginalitaetssicherungselement
US4579241A (en) * 1984-11-29 1986-04-01 Anchor Hocking Corporation Tamper evident plastic closure
DE3677102D1 (de) * 1985-07-31 1991-02-28 A C I Australia Ltd Garantieverschluss fuer behaelter.
GB8705040D0 (en) * 1987-03-04 1987-04-08 Cope Allman Plastics Ltd Tamper-evident closures
US5033632A (en) * 1990-06-08 1991-07-23 Lincoln Mold And Die Corporation Tamper-evident closure with angled breakaway tabs
GB9018854D0 (en) * 1990-08-29 1990-10-10 Montgomery Daniel & Son Ltd Tamper-evident closure cap
US5484071A (en) * 1994-05-23 1996-01-16 Zumbuhl; Bruno Tamper indicating ring construction for closures
US5540342A (en) * 1994-12-22 1996-07-30 Rathbun Family Real Estate Group Tamper resistant lid
US6938787B2 (en) * 2001-04-13 2005-09-06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resin screw cap
US7413097B1 (en) * 2003-08-01 2008-08-19 Portola Packaging, Inc. Tamper-evident clos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0318767U1 (de) * 2003-12-04 2004-02-19 G.E. Habich's Söhne GmbH & Co. KG Farbflasche
GB0711838D0 (en) * 2007-06-19 2007-07-25 Mavin Gerry A moulded closure system
WO2014057054A1 (de) * 2012-10-11 2014-04-17 Capartis Ag Verschlusskappe, behälterhals, garantieverschlus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arantieverschlu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42751B1 (fr) 2019-05-31
BR112018012799B1 (pt) 2022-08-09
AU2016378896A1 (en) 2018-07-05
RU2018124504A3 (ko) 2020-03-27
JP2018538209A (ja) 2018-12-27
RU2730702C2 (ru) 2020-08-25
ES2893523T3 (es) 2022-02-09
CA3007388C (fr) 2023-10-03
JP6914936B2 (ja) 2021-08-04
FR3045574A1 (fr) 2017-06-23
CA3007388A1 (fr) 2017-06-29
US20190009943A1 (en) 2019-01-10
BR112018012799A2 (pt) 2018-12-04
AU2016378896B2 (en) 2022-02-17
EP3393924B1 (fr) 2021-07-07
MA42751A1 (fr) 2019-01-31
RU2018124504A (ru) 2020-01-23
FR3045573B1 (fr) 2019-04-26
FR3045573A1 (fr) 2017-06-23
DK3393924T3 (da) 2021-10-11
EP3393924A1 (fr) 2018-10-31
WO2017108514A1 (fr)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062A (ko) 용기용 폐쇄 시스템
US10934063B2 (en) Tamper-evident closures
US11492179B2 (en) Tamper-evident closures
US9776779B2 (en) Closure with spring loaded tether docking
EP2782841B1 (en) Tamper evident closure
RU2701589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скрытия
TWI345541B (en) Tamper-evident closure
EP3321207B1 (en) Container with cap
RU2407683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JP4801444B2 (ja) 蓋手段
EP3303166B1 (en) A closure
US20150129534A1 (en) Closure capsule for containers
CN110678400B (zh) 带有用于防提取的条带的安全盖组件
JP2017507086A (ja) 開栓明示機能を有するクロージャ
JP2011173631A (ja) 注出キャップ
JP6045195B2 (ja) 容器用キャップ
US20130119079A1 (en) Closure
JP6259072B2 (ja) 容器
JP2007126192A (ja) 詰め替え防止キャップ
EP2763910B1 (en) Tamper evident closure
JP7247528B2 (ja) キャップ
JP7118609B2 (ja) ねじキャップ
JP5714386B2 (ja) 開封履歴明示バンドを備えたラチェット式螺子キャップ
RU114672U1 (ru) Узел закупоривания бутылки
JP2020193011A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