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719A -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719A
KR20180094719A KR1020170021217A KR20170021217A KR20180094719A KR 20180094719 A KR20180094719 A KR 20180094719A KR 1020170021217 A KR1020170021217 A KR 1020170021217A KR 20170021217 A KR20170021217 A KR 20170021217A KR 20180094719 A KR20180094719 A KR 20180094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crew
wire
nozz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철민
Original Assignee
백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철민 filed Critical 백철민
Priority to KR102017002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4719A/ko
Publication of KR2018009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의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이송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피치홈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3D 프린터의 원료를 요구되는 양만큼 정확하고 균일한 상태로 압출할 수 있도록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APPARATUS}
본 발명은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의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이송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피치홈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3D 프린터의 원료를 요구되는 양만큼 정확하고 균일한 상태로 압출할 수 있도록 한 3D 와이어 미끄럼 방지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구조물을 형성하는 기술에는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가 담긴 수조 안에 레이저 빔을 투사하고 수조 안에 있는 조형물이 한 층씩 만들어질 때마다 수조가 층 두께만큼 하강하고 다시 레이저를 주사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액체 상태의 광경화성 수지에 조형하고자 하는 모양의 빛을 투사하면서 수지를 층층이 굳혀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잉크젯 프린터 원리를 이용하여 프린터 헤드의 노즐에서 액체 상태의 컬러 잉크와 경화물질 바인더를 분말 원료에 압출하여 입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열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식은 하나의 동일한 액화 원료인 플라스틱, 왁스, 금속을 지정 목표된 범위에 적층시켜 입체 구조물을 완성시킨다.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로 불리는 이러한 기술 방식에서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원료가 노즐로 공급되고, 높은 열에 의해 원료가 녹아 압출된다. 고체 상태인 원료가 녹아 액체가 되면 원료의 물성 및 온도에 따라 노즐에서 압출되는 원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방법에 의하면 생성된 입체 구조물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원료를 회전롤러의 제어부를 이용해서 노즐 액화기에 밀어 넣는 방법으로 압출하여 적층하기 때문에 제한적 보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의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압축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피치홈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3D 프린터의 원료를 요구되는 양만큼 정확하고 균일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터축 상에 이송스크류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모터에 연결된 모터축에 3D 와이어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상부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 원료 이송 장치는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이송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피치홈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의 이송스크류와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3D 와이어가 압축될 때 3D 원료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의 나사산에 피치홈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3D 프린터의 원료를 요구되는 양만큼 정확하고 균일한 상태로 압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모터(140)에 연결된 모터축(142)에 3D 와이어(200)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130)가 고정볼트(144)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압축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상부에 가이드롤러(150)가 설치되어 있어 스크류 압출 방식을 이용하는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압축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나사산(132)에 피치홈(136)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와이어 미끄럼 방지용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스크류는 피치홈이 한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모터(140)에 연결된 모터축(142)에 3D 와이어(200)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130)가 고정볼트(144)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압축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상부에 가이드롤러(150)가 설치되어 있어 스크류 압출 방식을 이용하는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는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압축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나사산(132)에 피치홈(136)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3D 프린터의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또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에서는 가소성 플라스틱류를 용융하고 압출하여 원료를 한 방울씩 떨어 뜨려 적층한다. 3D 프린터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원료가 노즐로 공급된다. 원료는 노즐에서 가열되어 액화 되고 롤러의 회전에 의해 액화된 원료가 한 방울씩 노즐로부터 압출된다. 이때, 노즐에서 압출되는 원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3D 프린터는 노즐에서 압출되는 원료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결과물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 스크류를 이용하여 원료를 요구되는 만큼 정확하고 균일한 상태로 압출할 수 있는 스크류 압출 방식을 이용하는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에서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100)는 원료를 압출하는 노즐, 노즐을 가열하는 노즐 가열부, 노즐로 원료를 공급하는 스크류(130),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140), 원료가 스크류의 나사 골에 위치되도록 원료를 가이드하는 원료 가이드 롤러(150) 및 스크류를 수용하는 스크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100)는 원료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는 PLA, ABS, HDPE, 나일론, 래이우드(Laywoo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료는 필라멘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노즐은 액화된 원료를 압출한다. 노즐의 구경은 0.25mm 내지 0.4mm 구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원료의 종류 및 원료를 액화하는 온도에 따라 원료의 점성은 변화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즐의 구경은 적절히 변형 실시 가능하다.
노즐 가열부는 원료를 액화하여 압출하기 위하여 노즐을 가열한다. 원료가 액화되는 온도로 가열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노즐 가열부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이 움직이면 관성에 의해 원료 압출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원료가 압출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가열부)는 노즐의 압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노즐의 온도를 원료의 액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고 원료 압출 상태인 경우에만 순간적으로 노즐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 가열부는 방열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130)는 노즐로 원료를 공급한다. 필라멘트 형태로 공급되는 원료는 스크류(130)의 나사골에 감기어 노즐로 공급된다. 원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원료가 나사골에 위치 되도록 하는 원료 가이드롤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40)는 스크류(130)를 회전시킨다. 원료는 스크류(130)의 회전에 따라 노즐로 진행하게 되는데 원료가 나사골에 밀착되어 진행 되도록 스크류(130)는 스크류에 결합되는 보조스크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원료가 나사골에 밀착되어 진행 되도록 스크류(130)을 수용하는 스
크류 하우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원료는 스크류(130)에 감긴 형태로 진행되므로 스크류(130)의 회전에 따라 원료 공급량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종래에는 원료가 회전롤러와 한 점에서 접하여 공급되므로 롤러가 헛돌 경우 원료의 공급량이 정확하게 유지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원료가 스크류에 완전히 감긴 상태에서 공급되므로 스크류가 헛도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140)는 스크류(130)의 나사골의 피치를 고려하여 스크류(130)를 회전시킨다. 종래에 비해 보다 정교하게 원료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는 스크류와 스크류 하우징에 의해 밀폐되어 노즐로 진행되는데 노즐 가열부의 배치에 따라 스크류 하우징의 하부를 미리 가열해 둘 수 있다. 원료를 대량 압출해야 하는 경우 스크류(130)에 감겨있는 원료를 미리 액화 해둘 수 있으므로 3D 프린터 원료 압출장치(100)의 원료 압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3D 프린터 원료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130)는 이송 스크류의 기어가 마모되거나 장시간 사용 후에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형성하고 특히 원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모터축(142)상에 고정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모터축(142)에 고정되도록 관통구(131)와 이송 스크류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150);
상기 돌출부(150)는 외부면에 나사산(151)이 형성되고 절취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고정너트(160)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너트를 풀어서 이동하고, 모터축상의 어느 위치에도 고정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에서 압출되는 원료의 양이 균일하므로 결과물이 품질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200: 3D 와이어

Claims (3)

  1. 모터(140)에 연결된 모터축(142)에 3D 와이어(200)를 공급하는 이송스크류(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상부에 가이드롤러(150)가 설치되어 있는 3D 와이어 미끄럼 방지용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130)와 가이드롤러(150) 사이에서 3D 와이어(200)가 이송될 때 3D 와이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130)의 나사산(132)에 피치홈(136)이 나사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피치홈이 한 개 또는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모터축에 고정되도록 관통구와 이송스크류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150);
    상기 돌출부(150)는 외부면에 나사산(151)이 형성되고 절취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고정너트(1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KR1020170021217A 2017-02-16 2017-02-16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KR20180094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17A KR20180094719A (ko) 2017-02-16 2017-02-16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217A KR20180094719A (ko) 2017-02-16 2017-02-16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719A true KR20180094719A (ko) 2018-08-24

Family

ID=6345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217A KR20180094719A (ko) 2017-02-16 2017-02-16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4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54A (ko) * 2019-12-20 2021-06-3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CN116080075A (zh) * 2022-10-28 2023-05-09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适用于柔性丝材熔融沉积增材制造的进丝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54A (ko) * 2019-12-20 2021-06-30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와이어 3d 프린터
CN116080075A (zh) * 2022-10-28 2023-05-09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适用于柔性丝材熔融沉积增材制造的进丝机构
CN116080075B (zh) * 2022-10-28 2024-02-2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适用于柔性丝材熔融沉积增材制造的进丝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342B1 (ko) 스크류 압출 방식을 이용하는 3d 프린터 원료 압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3d 프린터
US11000995B2 (en) Three-dimensional model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EP3322579B1 (de) 3d-druckvorrichtung
CN106660267B (zh) 用于熔融丝材制造3d打印机的挤出机
CN110891787B (zh) 利用力反馈以打印非均匀丝的fdm打印机和方法
KR101665531B1 (ko) 3d프린터용 익스트루더 및 이를 포함하는 3d프린터
EP3002108B1 (e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KR20210008157A (ko) 사출 몰딩 시스템 및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53431B1 (ko) 3d프린터용 익스트루더
KR20180094719A (ko) 3d 프린트용 원료 와이어 이송장치
KR101720672B1 (ko) 일체형 노즐을 포함하는 3d 프린터 압출기
KR101885175B1 (ko) 다종소재 3차원 프린팅 시스템
CN104890243B (zh) 打印头、三维打印机及三维打印方法
CN204712470U (zh) 打印头及三维打印机
KR20160125614A (ko) 3d 프린터용 압출기의 온도조절장치
KR20170093431A (ko) 3차원 프린터용 멀티 압출기
KR20170056836A (ko) 3d 프린터용 익스트루더 및 이를 구비하는 멀티 컬러 3d 프린터
KR20170132410A (ko) 노즐 교체형 3차원 프린터
JP2018108721A (ja) 3d印刷装置
KR101878298B1 (ko)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 장비
KR20170033791A (ko) 3d 프린터의 플렉서블 필라멘트 피딩장치
KR101867757B1 (ko) 3d 프린터용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된 원료공급장치
JPH047686B2 (ko)
JP6740595B2 (ja) ゴム押出装置
JP2010058278A (ja) 押し出し機および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