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403A -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403A
KR20180094403A KR1020170020669A KR20170020669A KR20180094403A KR 20180094403 A KR20180094403 A KR 20180094403A KR 1020170020669 A KR1020170020669 A KR 1020170020669A KR 20170020669 A KR20170020669 A KR 20170020669A KR 20180094403 A KR20180094403 A KR 2018009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ssel
heat
hydrogen storag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017B1 (ko
Inventor
장준호
남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017B1/ko
Priority to DE102017112830.1A priority patent/DE102017112830B4/de
Priority to US15/624,270 priority patent/US10468693B2/en
Priority to CN201710616839.1A priority patent/CN108428910B/zh
Publication of KR2018009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403A/ko
Priority to US16/559,378 priority patent/US108260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52Storage of heat in the fuel cel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B60L11/1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4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37Electrical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01M8/04074Heat exchange unit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35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7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08Temperature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by dissolution of metals or alloys; by dehydriding metall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B60L2230/2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8Fuel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과 고체 수소 저장장치 및 수소 공급관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한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1 용기와,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2 용기와, 열전달 매체를 수용하는 제3 용기와, 제1 용기와 제2 용기 및 제3 용기에 연결 설치되며 열전달 매체의 순환을 위한 배관부를 포함한다. 수소 공급관은 제1 용기와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 설치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HEAT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 자동차를 위한 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순수한 물을 배출하는 친환경 발전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연료전지는 고체 수소 저장용기로부터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용기는 특정 온도에서 수소를 방출하는 수소 저장물질을 포함하며, 부피 저장 밀도를 높이기 위해 수소 저장물질로서 금속수소화물 기반의 복합 수소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복합 수소화물이 수소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열 공급이 필요하며, 일정 크기의 열교환기로부터 열공급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요구된다. 그런데 열공급 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부분의 연구 개발은 고체 수소 저장용기 내부의 구조 개선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고온에서 반응하는 금속수소화물의 특성상 전기 자동차에 적용 시 냉(冷)시동 성능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수소 연소장치(heat combustor)를 장착하거나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고체 수소 저장용기를 가열하는 등 추가적인 보조 설비(balance of plant, BOP)가 요구된다. 그런데 보조 설비를 이용하는 기술은 시스템 부피 증가 및 에너지 손실로 인해 연비 저하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고체 수소 저장용기에 지속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고, 그 결과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온전히 차량 구동에 사용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과 고체 수소 저장장치 및 수소 공급관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한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1 용기와,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2 용기와, 열전달 매체를 수용하는 제3 용기와, 제1 용기와 제2 용기 및 제3 용기에 연결 설치되며 열전달 매체의 순환을 위한 배관부를 포함한다. 수소 공급관은 제1 용기와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 설치된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수소 흡장 시 발열하고, 열 공급 시 수소를 방출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촉매제 공급 시 발열하고, 열 공급 시 금속산화물과 촉매제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매체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의 수소 흡장 시 제1 용기의 열량을 제2 용기로 전달할 수 있고,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촉매제 공급 시 제2 용기의 열량을 제1 용기로 전달할 수 있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화학적 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촉매제는 물일 수 있고,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Mg(OH)2 및 Ca(OH)2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촉매제를 수용하는 제4 용기와, 제4 용기와 제2 용기에 연결 설치된 촉매제 공급관 및 촉매제 배출관과, 촉매제 배출관에 설치된 제1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제4 용기에 연결된 제1 배출 포트와,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2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과 제4 용기에 연결 설치된 물 공급관과, 물 공급관에 설치된 제3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제4 용기에 연결된 제5 배출 포트와,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6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촉매제는 산소일 수 있고,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Co3O4 및 Mn2O3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제2 용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와, 제2 용기에 설치되며 열에너지 저장 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과, 제2 용기에 설치되며 열 방출 시 잔여 공기를 배출하는 압력 조절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관에 제2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3 배출 포트와, 제3 용기를 경유하여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4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관으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제3 용기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3 배출 포트가 개방될 수 있다. 압력 조절관으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제3 용기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4 배출 포트가 개방될 수 있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과 공기 공급장치에 연결 설치된 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제1 용기와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하는 보조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용기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으며, 초기 화학반응 시작 또는 긴급 상황 발생 시 보조 히터를 잠시 가동하는 것 이외에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전지 스택에서 생산한 전력을 온전히 차량 구동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역성이 우수한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충전 및 방전 시 열 손실이 적고, 촉매제(H2O 또는 O2)를 이용하여 열 방출을 제어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을 가동하지 않고 제2 용기에 촉매제를 공급하면 제2 용기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로 난방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1 용기(10)와,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2 용기(20)와, 열전달 매체를 수용하는 제3 용기(30)와, 열전달 매체의 순환을 위한 배관부를 포함한다.
배관부는 제1 용기(10)와 제3 용기(30)에 연결 설치된 제1 배관(D1) 및 제2 배관(D2)과,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에 연결 설치된 제3 배관(D3) 및 제4 배관(D4)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매체는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 및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로 열을 전달하는 매체일 뿐 이들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1 배관(D1)과 제2 배관(D2) 사이에 제1 용기(10)의 외측을 둘러싸거나 밀봉 상태로 제1 용기(1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 열교환관(H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배관(D3)과 제4 배관(D4) 사이에 제2 용기(20)의 외측을 둘러싸거나 밀봉 상태로 제2 용기(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 열교환관(H2)이 위치할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는 촉매제를 수용하는 제4 용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용기(40)는 제5 배관(D5) 및 제6 배관(D6)에 의해 제2 용기(20)에 연결된다. 제5 배관(D5)은 촉매제 공급관일 수 있고, 제6 배관(D6)은 촉매제 배출관일 수 있다.
제6 배관(D6)에는 하나의 유입 포트(P1)와 두 개의 배출 포트(P2, P3)를 가지는 제1 밸브(V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밸브(V1)의 제1 배출 포트(P2)는 제4 용기(40)와 연결되고, 제2 배출 포트(P3)는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는 보조 히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히터(50)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추가적인 열 공급이 필요한 경우 가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열을 공급한다.
제1 용기(10)에 저장되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수소 충전 시 발열하고, 열 공급에 의해 반응 온도에 도달 시 수소를 방출하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화학적 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서 금속착수소화물은 M1AlH4, M2(AlH4)2, M3BH4, M4(BH4)2, M5(BH4)3, M6NH2, M7(NH2)2, Li2NH, MgNH, 리튬-마그네슘 아마이드(Lithium-Magnesium amide), 및 리튬-마그네슘 이미드(Lithium-Magnesium 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1은 Li, Na, 또는 Al이고, M2는 Mg 또는 Ca이고, M3는 Li, Na, 또는 K이고, M4는 Mg 또는 Ca이고, M5는 Al 또는 Ti이고, M6는 Li 또는 Na이고, M7은 Mg, 또는 Ca이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서 금속수소화물은 M8H, 및 M9H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8은 Li, Na, K, Rb, 또는 Cs이고, M9은 Mg, Ca, Sc, Ti, 또는 V이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서 화학적 수소화물은 AlH3, NH3BH3, NH4B3H8, NH2B2H5, 및 NaBP2H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서 수소저장합금은 Ti-Cr-V 합금, TiFe, Pd-M10, Li-M11, Mg-Co 합금, 및 La-Ni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10 은 Ba, Y, 또는 La이고, M11은 Ti, V, Zr, Nb, 또는 Hf이다.
제1 용기(10)에 저장되는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소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하기 표 1에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의 예시를 나타내었다.
화학 반응 반응 온도(℃)
1기압
열량(kJ/kg)
Mg + H2 ↔ MgH2 259 2,831
NaH + Al + 1.5H2 ↔ NaAlH4 120~180 1,472
Al + 1.5H2 ↔ AlH3 125~175 380
MgH2 + 2B + 3H2 ↔ Mg(BH4)2 200~300 2,615
TiV0 . 62Mn1 .5 + H2 ↔ TiV0 . 62Mn1 . 5H2 -6 308
제2 용기(20)에 저장되는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촉매제 공급 시 촉매제와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열하고, 열 공급 시 화학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과 촉매제로 분리되는 물질이다. 제1 실시예에서 촉매제는 물(H2O)이고, 제4 용기(40)는 물을 저장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용기(20)에 저장되는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g(OH)2) 및 칼슘 하이드록사이드(Ca(OH)2)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g(OH)2는 열 공급 시 화학반응에 의해 MgO와 H2O(수증기)로 분리되며, 이때의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반대로 MgO에 물이 공급되면 화학반응에 의해 Mg(OH)2가 되며, 이때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마찬가지로 Ca(OH)2는 열 공급 시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CaO와 H2O(수증기)로 분리되고, 반대로 CaO에 물이 공급되면 화학반응(발열 반응)에 의해 Ca(OH)2가 된다. 하기 표 2에 Mg(OH)2 및 Ca(OH)2의 반응식과 반응 온도(열저장 온도) 및 열량을 나타내었다.
화학 반응 반응 온도(℃)
1기압
열량(kJ/kg)
Mg(OH)2 ↔ MgO + H2O 259 1,396
Ca(OH)2 ↔ CaO + H2O 479 1,288
이와 같이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가역적인 화학반응을 이용하므로 열 손실이 적고, 현열(sensible heat) 및 잠열(latent heat)을 이용하는 열에너지 저장물질보다 열에너지 저장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주차와 같은 장시간 미사용 시에도 열에너지 보관이 가능하다.
제3 용기(30)에 저장되는 열전달 매체는 물, 공기, 및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용기(10)에 수소가 충전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수소와 화학반응하며 발열한다. 제1 용기(1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2 용기(20)로 전달되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과 촉매제(H2O)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한다.
수소 충전 과정에서, 열전달 매체는 제2 배관(D2)과 제3 배관(D3)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기(20)의 촉매제(H2O, 수증기)는 제6 배관(D6)과 제1 밸브(V1)에 의해 제4 용기(40)로 공급되어 제4 용기(40)에 물로 저장되거나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용기(20)의 열에너지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4 용기(40)에서 제2 용기(20)로 촉매제(H2O)가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이 촉매제(H2O)와 화학반응하며 열을 방출한다. 제2 용기(2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1 용기(10)로 전달되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여 수소를 방출한다.
수소 방출 과정에서, 제4 용기(40)에 저장된 촉매제(H2O)는 제5 배관(D5)을 통해 제2 용기(20)로 공급되며, 열전달 매체는 제4 배관(D4)과 제1 배관(D1)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기 전 제2 용기(20)의 열 저장량이 고갈되거나 초기 냉시동 시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에서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의 촉매제는 산소(O2)이고, 공기 공급장치(41)가 제1 실시예의 제4 용기를 대체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2 용기(20)에 저장되는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코발트 산화물(Co3O4) 및 망간 산화물(Mn2O3)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2Co3O4는 열 공급 시 화학반응에 의해 6CoO와 O2로 분리되며, 이때의 반응은 흡열 반응이다. 반대로 6CoO에 산소가 공급되면 화학반응에 의해 2Co3O4가 되며, 이때의 반응은 발열 반응이다. 마찬가지로 5Mn2O3는 열 공급 시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5Mn3O4와 O2로 분리되고, 반대로 5Mn3O4에 산소가 공급되면 화학반응(발열 반응)에 의해 5Mn2O3가 된다. 하기 표 3에 Co3O4 및 Mn2O3의 반응식과 반응 온도(열저장 온도) 및 열량을 나타내었다.
화학 반응 반응 온도(℃)
1기압
열량(kJ/kg)
2Co3O4 ↔ 6CoO + O2 870 1,703
5Mn2O3 ↔ 5Mn3O4 + O2 1,586 1,237
공기 공급장치(41)는 제7 배관(D7)에 의해 제2 용기(20)와 연결되어 제2 용기(20)로 촉매제(O2)를 공급한다. 제2 용기(20)에는 열에너지 저장 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8 배관(D8)(공기 배출관)과, 열 방출 시 잔여 공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9 배관(D9)(압력 조절관)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9 배관(D9)에는 하나의 입력 포트(P4)와 두 개의 배출 포트(P5, P6)를 가지는 제2 밸브(V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밸브(V2)의 제3 배출 포트(P5)는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고, 제4 배출 포트(P6)는 제3 용기(30)를 경유하여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의 외부로 개방된 제10 배관(D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는 전술한 구성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용기(10)에 수소가 충전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수소와 화학반응하며 발열한다. 제1 용기(1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2 용기(20)로 전달되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과 촉매제(O2)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한다.
수소 충전 과정에서, 열전달 매체는 제2 배관(D2)과 제3 배관(D3)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기(20)의 촉매제(O2)는 제8 배관에 의해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용기(20)의 열에너지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공기 공급장치(41)에서 제2 용기(20)로 촉매제(O2)가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이 촉매제(O2)와 화학반응하며 열을 방출한다. 제2 용기(2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1 용기(10)로 전달되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여 수소를 방출한다.
수소 방출 과정에서, 제4 용기(40)에 저장된 촉매제(O2)는 제7 배관(D7)을 통해 제2 용기(20)로 공급되며, 열전달 매체는 제4 배관(D4)과 제1 배관(D1)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기(20)의 압력 조절을 위해 제2 용기(20)의 잔여 공기가 제9 배관(D9)과 제2 밸브(V2)에 의해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기(20)에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제3 용기(30)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3 배출 포트(P5)가 개방될 수 있고, 제2 용기(20)에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제3 용기(30)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4 배출 포트(P6)가 개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잔여 공기는 제3 용기(30)의 열전달 매체로 열량을 공급한 후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 외부로 배출된다.
제9 배관(D9)에는 제2 용기(20)에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온도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제3 배출 포트(P5)와 제4 배출 포트(P6)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의 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기 전 제2 용기(20)의 열 저장량이 고갈되거나 초기 냉시동 시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7에서는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8에서는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7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300)은 연료전지 스택(60)과,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와,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의 제1 용기(10)와 연료전지 스택(60)에 연결 설치된 수소 공급관(71)과, 연료전지 스택(60)과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의 제4 용기(40)에 연결 설치된 물 공급관(72)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60)은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순수한 물을 배출하는 수소 연료전지 스택일 수 있다. 수소 공급관(71)은 제1 용기(10)의 수소 배출구와 연료전지 스택(60)의 연료 투입구를 연결하며, 물 공급관(72)은 연료전지 스택(60)의 물 배출구와 제4 용기(40)를 연결한다.
물 공급관(72)에는 하나의 유입 포트(P7)와 두 개의 배출 포트(P8, P9)를 가지는 제3 밸브(V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밸브(V3)의 제5 배출 포트(P8)는 제4 용기(40)에 연결될 수 있고, 제6 배출 포트(P9)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300)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용기(10)에 수소가 충전되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수소와 화학반응하며 발열한다. 제1 용기(1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2 용기(20)로 전달되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과 촉매제(H2O)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한다.
수소 충전 과정에서, 제2 용기(20)의 촉매제(H2O, 수증기)는 제6 배관(D6)과 제1 밸브(V1)에 의해 제4 용기(40)로 공급되어 제4 용기(40)에 물로 저장되거나 고체 수소 저장장치(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용기(20)의 열에너지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4 용기(40)에서 제2 용기(20)로 촉매제(H2O)가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이 촉매제(H2O)와 화학반응하며 열을 방출한다. 제2 용기(2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1 용기(10)로 전달되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수소는 수소 공급관(71)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60)으로 공급된다. 연료전지 스택(60)은 수소와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며 반응 부산물로서 물을 배출한다. 배출된 물은 물 공급관(72)과 제3 밸브(V3)에 의해 제4 용기(40)로 전달되어 제4 용기(40)에 저장되거나,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소 방출 과정에서,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기 전 제2 용기(20)의 열 저장량이 고갈되거나 초기 냉시동 시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은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9에서는 수소 충전 과정을 도시하였고, 도 10에서는 수소 방출 과정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9를 참고하면, 제4 실시예의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400)은 연료전지 스택(60)과,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와,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의 제1 용기(10)와 연료전지 스택(60)에 연결 설치된 수소 공급관(71)과,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의 공기 공급장치(41)와 연료전지 스택(60)에 연결 설치된 공기 공급관(73)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60)과 수소 공급관(71)은 제3 실시예와 동일하며, 공기 공급관(73)은 공기 공급장치(41)와 연료전지 스택(60)의 공기 투입관을 연결한다.
제1 용기(10)에 수소가 충전되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수소와 화학반응하며 발열한다. 제1 용기(1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2 용기(20)로 전달되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화학반응(흡열 반응)에 의해 금속산화물과 촉매제(O2)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한다.
수소 충전 과정에서, 제2 용기(20)의 촉매제(O2)는 제8 배관(D8)을 통해 고체 수소 저장장치(20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 용기(20)의 열에너지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공기 공급장치(41)에서 제7 배관(D7)을 통해 제2 용기(20)로 촉매제(O2)가 공급된다. 그러면 제2 용기(20)의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이 촉매제(O2)와 화학반응하며 열을 방출한다. 제2 용기(20)에서 발생한 열량은 열전달 매체에 의해 제3 용기(30)로 전달되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제1 용기(10)로 전달되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에 열을 공급한다.
그러면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수소는 수소 공급관(71)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60)으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공기 공급장치(41)에서 공기 공급관(73)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60)의 공기 투입구로 공기를 공급한다. 연료전지 스택(60)은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며 반응 부산물로서 물을 배출한다.
수소 방출 과정에서, 제1 용기(10)의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이 반응 온도에 도달하기 전 제2 용기(20)의 열 저장량이 고갈되거나 초기 냉시동 시 보조 히터(50)가 작동하여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300, 400)에 따르면, 수소 방출을 위한 주 열원으로서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을 사용하므로 제1 용기(10)로의 열 공급을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으며, 초기 화학반응 시작 또는 긴급 상황 발생 시 보조 히터(50)를 잠시 가동하는 것 이외에 전력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전지 스택(60)에서 생산한 전력을 온전히 차량 구동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역성이 우수한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충전 및 방전 시 열 손실이 적고, 촉매제(H2O 또는 O2)를 이용하여 열 방출을 제어하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난방이 필요한 경우 연료전지 스택(60)을 가동하지 않고 제2 용기(20)에 촉매제를 공급하면 제2 용기(2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로 난방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고체 수소 저장장치
300, 400: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0: 제1 용기 20: 제2 용기
30: 제3 용기 40: 제4 용기
41: 공기 공급장치 50: 보조 히터
60: 연료전지 스택 71: 수소 공급관
72: 물 공급관 73: 공기 공급관
V1: 제1 밸브 V2: 제2 밸브
V3: 제3 밸브

Claims (15)

  1. 수소와 공기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하는 연료전지 스택;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1 용기와,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을 수용하는 제2 용기와, 열전달 매체를 수용하는 제3 용기와,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및 상기 제3 용기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열전달 매체의 순환을 위한 배관부를 포함하는 고체 수소 저장장치; 및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연료전지 스택에 연결 설치된 수소 공급관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수소 흡장 시 발열하고, 열 공급 시 수소를 방출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촉매제 공급 시 발열하고, 열 공급 시 금속산화물과 촉매제로 분리되며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는 상기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의 수소 흡장 시 상기 제1 용기의 열량을 상기 제2 용기로 전달하고, 상기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에 상기 촉매제 공급 시 상기 제2 용기의 열량을 상기 제1 용기로 전달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상 수소 저장물질은 금속착수소화물, 금속수소화물, 화학적 수소화물, 및 수소저장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제는 물이고,
    상기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Mg(OH)2 및 Ca(OH)2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상기 촉매제를 수용하는 제4 용기;
    상기 제4 용기와 상기 제2 용기에 연결 설치된 촉매제 공급관 및 촉매제 배출관; 및
    상기 촉매제 배출관에 설치된 제1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상기 제4 용기에 연결된 제1 배출 포트와,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2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제4 용기에 연결 설치된 물 공급관, 및
    상기 물 공급관에 설치된 제3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상기 제4 용기에 연결된 제5 배출 포트와,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6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제는 산소이고,
    상기 열화학적 열에너지 저장물질은 Co3O4 및 Mn2O3 가운데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상기 제2 용기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장치;
    상기 제2 용기에 설치되며 열에너지 저장 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 및
    상기 제2 용기에 설치되며 열 방출 시 잔여 공기를 배출하는 압력 조절관
    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관에 제2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밸브는 하나의 유입 포트와,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3 배출 포트와, 상기 제3 용기를 경유하여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의 외부와 연결된 제4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관으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3 용기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3 배출 포트가 개방되고,
    상기 압력 조절관으로 배출되는 잔여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제3 용기의 열전달 매체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4 배출 포트가 개방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상기 공기 공급장치에 연결 설치된 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수소 저장장치는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공급하는 보조 히터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KR1020170020669A 2017-02-15 2017-02-15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KR10227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69A KR102274017B1 (ko) 2017-02-15 2017-02-15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DE102017112830.1A DE102017112830B4 (de) 2017-02-15 2017-06-12 Wärmemanagementsystem für ein Brennstoffzellenfahrzeug
US15/624,270 US10468693B2 (en) 2017-02-15 2017-06-15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vehicle
CN201710616839.1A CN108428910B (zh) 2017-02-15 2017-07-26 用于燃料电池车辆的热管理系统
US16/559,378 US10826086B2 (en) 2017-02-15 2019-09-03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fuel cel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69A KR102274017B1 (ko) 2017-02-15 2017-02-15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403A true KR20180094403A (ko) 2018-08-23
KR102274017B1 KR102274017B1 (ko) 2021-07-06

Family

ID=6298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69A KR102274017B1 (ko) 2017-02-15 2017-02-15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68693B2 (ko)
KR (1) KR102274017B1 (ko)
CN (1) CN108428910B (ko)
DE (1) DE10201711283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160A (ko) * 2022-02-25 2023-09-04 김지원 수소전기차의 충전노즐 및 물배출구 결빙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9204T3 (es) * 2019-12-23 2022-11-25 Helmholtz Zentrum Hereon Gmbh Dispositiv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consumidor de hidrógeno exotérmico con acumulador de hidruro metálico
KR20230000793A (ko) * 2021-06-25 2023-0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료 전지 온도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 시스템
CN113525176B (zh) * 2021-07-12 2022-07-12 深圳氢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车的热管理系统、方法和设备
CN113561824B (zh) * 2021-08-09 2023-04-18 四川帝威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加氢充电一体桩及余热回收系统
CN114725452A (zh) * 2022-04-18 2022-07-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基于金属氢化物固态储氢技术的燃料电池助力自行车
CN117012999A (zh) * 2023-09-27 2023-11-07 有研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低温储供氢装置与燃料电池一体化电源系统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202A (ja) * 2000-07-03 2002-03-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燃料ガスの生成システム
JP2008189538A (ja) * 2007-02-08 2008-08-21 Nissan Motor Co Ltd 水素発生システム、水素発生システムの運転方法及び水素燃料車両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9234A (en) * 1979-10-01 1983-01-18 Solomon Zaromb Electrochemical power generation
US5512145A (en) * 1994-10-07 1996-04-30 The Cooper Un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Art Energy conversion system
US6459231B1 (en) * 1999-05-03 2002-10-01 Takeo Kagatani Power device
US6368735B1 (en) * 1999-10-19 2002-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n electric vehicle
JP4608753B2 (ja) * 2000-09-18 2011-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水素貯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燃料電池システム並びに移動体
WO2002103833A1 (en) * 2001-06-15 2002-12-27 Ztek Corporation Zero/low emission and co-production energy supply station
US7316718B2 (en) * 2001-07-11 2008-01-08 Millennium Cell, Inc. Differential pressure-driven borohydride based generator
US6834623B2 (en) * 2001-08-07 2004-12-28 Christopher T. Cheng Portable hydrogen generation using metal emulsions
US20030033991A1 (en) * 2001-08-07 2003-02-20 Cheng Christopher T. Portable hydrogen generation using metal emulsions
CN1405911A (zh) * 2001-08-16 2003-03-26 亚太燃料电池科技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发电系统及其废热循环冷却系统
US6737184B2 (en) * 2001-11-09 2004-05-18 Hydrogenics Corporation Chemical hydride hydrogen generation system and an energy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6770186B2 (en) * 2001-11-13 2004-08-03 Eldat Communication Ltd. Rechargeable hydrogen-fueled motor vehicle
US7169489B2 (en) * 2002-03-15 2007-01-30 Fuelsell Technologies, Inc. Hydrogen storage, distribution, and recovery system
US6811764B2 (en) * 2002-09-12 2004-11-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ogen generation system using stabilized borohydrides for hydrogen storage
US7524342B2 (en) * 2002-10-29 2009-04-28 William J. Brinkley, III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gas on demand from water with recovery of water and complete recycling of consumable material
US7105033B2 (en) * 2003-02-05 2006-09-12 Millennium Cell, Inc. Hydrogen gas generation system
US20040205997A1 (en) * 2003-04-15 2004-10-21 David Youngblood Portable heat and gaseous fuel generator that does not require electrical power input or electrical control
US7115244B2 (en) * 2003-09-30 2006-10-03 General Electric Company Hydrogen storag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7665328B2 (en) * 2004-02-13 2010-02-23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and rendering a contaminated biomass inert
US7153489B2 (en) * 2004-02-13 2006-12-26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US7601329B2 (en) * 2004-02-26 2009-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generation of hydrogen storag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including hydrides and hydroxides
US7521036B2 (en) * 2004-02-26 2009-04-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ogen storage materials and methods including hydrides and hydroxides
US7405013B2 (en) * 2004-06-07 2008-07-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hermoelectric conversion of heat released during use of a power-plant or hydrogen storage material
US7410714B1 (en) * 2004-07-15 2008-08-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ion Of Nasa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system
US20070020175A1 (en) * 2005-07-25 2007-01-25 Graham David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hazardous materials in hydrogen generation processes
WO2007035512A2 (en) * 2005-09-16 2007-03-29 Millennium Cell, Inc. Hydrogen gas generation system
WO2007102026A2 (en) * 2006-03-07 2007-09-13 Afc Energy Plc Electrodes of a fuel cell
US7651542B2 (en) * 2006-07-27 2010-01-26 Thulite, Inc System for generating hydrogen from a chemical hydride
DE102006042456A1 (de) 2006-09-09 2008-03-27 Volkswagen Ag Metallhydridspeicher
CN101152956A (zh) * 2006-09-29 2008-04-02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氢制造装置、燃料电池系统及电子设备
CN101162782B (zh) * 2006-10-09 2010-08-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储氢装置以及储氢和充氢系统
FR2924787B1 (fr) 2007-12-10 2010-02-12 Centre Nat Rech Scient Reservoir de stockage d'hydrogene.
KR101042299B1 (ko) 2007-12-13 2011-06-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저장 시스템
CA2720533C (en) * 2008-04-02 2016-02-16 Cedar Ridge Research, Llc Aluminum-alkali hydroxide recyclable hydrogen generator
US20130236393A1 (en) * 2008-06-25 2013-09-12 Unither Developpement Hydrogen-generating colloidal suspension
AU2010281658A1 (en) * 2009-08-07 2012-02-02 Blacklight Power, Inc. Heterogeneous hydrogen-catalyst power system
CN102195056A (zh) * 2010-03-05 2011-09-21 苏州氢洁电源科技有限公司 带金属氢化物储氢单元的燃料电池便携式手提电源
US20130084474A1 (en) * 2010-03-18 2013-04-04 Randell L. Mills Electrochemical hydrogen-catalyst power system
US20120052001A1 (en) * 2010-08-26 2012-03-01 Woodall Jerry M Energy storage and generation of hydrogen and heat on demand
CN107190275A (zh) * 2011-04-05 2017-09-22 辉光能源公司 以水为主的电化学氢催化剂动力系统
US8951312B2 (en) * 2011-11-09 2015-02-10 Alvin Gabriel Stern Compact, safe and portable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for hydrogen on-demand applications
KR102022331B1 (ko) * 2011-12-15 2019-09-18 유니버시티 오브 싸우스 웨일즈 커머셜 서비시스 리미티드 신규 금속 수소화물 및 수소 저장 응용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CN103420335B (zh) * 2012-10-12 2015-05-06 太仓克莱普沙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产生氢气的组合物、反应器、装置及生产氢气的方法
GB201223264D0 (en) * 2012-12-21 2013-02-06 Cella Energy Ltd A hydrogen-storage-material
WO2014152403A2 (en) * 2013-03-15 2014-09-25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joule-thompson cooling and heating of combustion chamber ev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apparatus
US9624103B1 (en) * 2013-04-25 2017-04-18 Jerry M Woodall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producing hydrogen, heat and aluminum oxides on-demand
US9731967B1 (en) * 2013-10-15 2017-08-15 Jerry M Woodall System for continuously producing hydrogen, heat and aluminum oxides on demand
EP2869377A1 (en) * 2013-10-29 2015-05-06 Total Marketing Services Power generation system
CN203617394U (zh) * 2013-11-01 2014-05-28 南京双登科技发展研究院有限公司 便携式质子交换膜燃料电池电源系统
DE102013223589B4 (de) 2013-11-19 2016-11-17 Hydrogenious Technologies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Speichern von Energie
US9470111B2 (en) * 2014-02-14 2016-10-18 Serdar Firkan Air independent propulsion and power generation system based on exothermic reaction sourced thermal cycle
US20170187057A1 (en) * 2014-03-25 2017-06-29 Arizona Board Of Regent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Hydrogen generator and fuel cell system and method
US9985308B2 (en) * 2015-06-12 2018-05-2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rolled hydrogen production from hydrolysable hydride gels
DE102015222695B4 (de) 2015-11-17 2021-07-22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Energiesystem und Verfahren zum Speichern und/oder Bereitstellen von Wasserstoff
CN105651091B (zh) * 2016-02-19 2017-08-15 上海交通大学 传热增强型化学蓄热装置及应用该蓄热装置的蓄热系统
US10361442B2 (en) * 2016-11-08 2019-07-23 Bloom Energy Corporation SOFC system and method which maintain a reducing anode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202A (ja) * 2000-07-03 2002-03-19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燃料ガスの生成システム
JP2008189538A (ja) * 2007-02-08 2008-08-21 Nissan Motor Co Ltd 水素発生システム、水素発生システムの運転方法及び水素燃料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160A (ko) * 2022-02-25 2023-09-04 김지원 수소전기차의 충전노즐 및 물배출구 결빙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12830A1 (de) 2018-08-16
DE102017112830B4 (de) 2024-05-29
US20190393520A1 (en) 2019-12-26
US20180233753A1 (en) 2018-08-16
CN108428910B (zh) 2021-09-17
CN108428910A (zh) 2018-08-21
US10826086B2 (en) 2020-11-03
KR102274017B1 (ko) 2021-07-06
US10468693B2 (en)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017B1 (ko) 연료전지 자동차용 열관리 시스템
US6195999B1 (en) Electrochemical engine
EP0917225B1 (en) Portable fuel cell apparatus containing hydrogen storage tank
US20120255637A1 (en) Hydrogen supplies and related methods
WO2019156627A1 (en) A portable fuel cell apparatus and system
US20100167132A1 (en) Hydrogen fuel delivery systems
US20070207085A1 (en) Power Systems Utilizing Hydrolytically Generated Hydrogen
EP3208877B1 (en) Solid state hydrogen storage device
WO2003041188A3 (en) Chemical hydride hydrogen generation system and fuel cell stack incorporating a common heat transfer circuit
CN102460797A (zh) 用于潜艇的包含燃料电池的发电设备
US9845918B2 (en) Gas storage/supply system
WO2006017449A2 (en) Pressurized hydrogen delivery system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1875633B1 (ko) 고체 수소저장 장치, 및 고체 수소저장 시스템
KR20120111037A (ko) 친환경적 마그네슘 수소화물을 사용한 잠수함용 연료전지 시스템
CA2701648C (en) Hydrogen production method, hydrogen production system, and fuel cell system
CN105593051A (zh) 具有多级氧气压缩的金属/氧气电池组
KR102169149B1 (ko) 연료전지용 저압 메탈하이브리드 수소 충방전 시스템
JP3942983B2 (ja) 熱自立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27316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7112382B2 (en) Fuel cell hydrogen recovery system
JP2002154807A (ja) 改質システム
CN107787532A (zh) 电池的加热装置
JP2000340242A (ja) 燃料電池の排熱利用ヒートポンプ式水素精製装置
JP2004161554A (ja) 水素を必要とする機器への水素供給方法
WO2024014365A1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