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380A -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 Google Patents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380A
KR20180094380A KR1020170020621A KR20170020621A KR20180094380A KR 20180094380 A KR20180094380 A KR 20180094380A KR 1020170020621 A KR1020170020621 A KR 1020170020621A KR 20170020621 A KR20170020621 A KR 20170020621A KR 20180094380 A KR20180094380 A KR 2018009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guide groove
sliding
do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225B1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연
Priority to KR102017002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2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14Clothes hooks for mounting to a door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78Hook-to-rail connections, with provisions for easy removal of the hoo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개시되는 것으로,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 상단에 연결되어 제1지지체(100)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1걸이체(300);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 상단에 연결되어 제2지지체(200)를 도어 상단에 걸어 고정하는 제2걸이체(400);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의 하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door union type multipurpose rack}
본 발명은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은 도어 공간을 이용하여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하도록 함은 물론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동일 공간에 많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와 같은 행거는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두기 위한 수단으로, 대개 옷이나 넥타이를 걸어 보관하는 행거는 장롱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실내의 벽면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간격으로 걸이구가 구비된 행거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실내의 구석진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워 다수의 옷을 여러 방향에서 걸어 둘 수 있는 기둥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 행거는 옷을 보관하거나 외출시 편리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개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적은 양의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밖에 없어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행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사 또는 행거의 위치를 옮기거나 할 경우 행거를 벽면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벽면에 박힌 못이나 나사를 빼내어야 하고 옮겨진 위치의 벽면에 다시 행거를 고정하기 위해 못이나 나사를 박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행거가 설치된 벽면 주변이 퇴색되거나 또는 구멍이 발생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공간인 도어를 이용하여 옷과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 20-1999-0033044호인 도어용 옷걸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옷걸이에 있어서, 여닫이 도어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일측에 걸림편이 도어의 두께정도에 따라 절곡 형성되고 타측에 소정직경의 연결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와, 등간격으로 소정직경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결합공 및 연결공을 통해 체결부재에 의해 걸이구가 고정 설치되는 걸이대와, 연결공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걸이대의 유동 또는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두께 및 쿠션을 갖는 양면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각 벽을 구획하며 드나들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의 상단에 탈부착가능하게 옷걸이를 걸어 사용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뒷편으로 마련되는 여유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하여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의복이 걸어지는 걸이구가 걸이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복을 걸어 보관하는 공간에 대한 제한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이대를 도어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지지대의 길이에 비해 지지대의 하단에만 걸이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의 길이에 비해 사용하는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의 경우 도어에 걸어지는 걸림편의 두께와 도어의 두께가 서로 다를 경우 지지대가 도어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열고 닫음 동작에 의해 지지대가 흔들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 20-1999-0033044호(1999.08.0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51605(2015.09.02. 등록)
본 발명은 도어에 걸어지는 행거체가 도어에 대해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가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복수개의 좌우이동행거체를 하나의 도어 공간에 구비하여 동일공간에 대해 많은 양의 의복을 걸어 보관하도록 하며 행거체와 옷걸이가 도어와 밀착에 의해 행거체와 옷걸이의 유동거림 및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는,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1지지체;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을 갖는 제2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과 상기 제1결합편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1고정가이드홈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과 상기 제1연장편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을 갖는 제1걸이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과 상기 제2결합편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과 제2고정가이드홈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과 상기 제2연장편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을 갖는 제2걸이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과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의 제1고정가이드홈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고정가이드홈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두께조절구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는, 상기 제1지지체의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돌부와 상기 제1끼움돌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연결돌부를 갖는 제1행거고정구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돌부와 상기 제2끼움돌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연결돌부를 갖는 제2행거고정구와,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행거고정구의 제1연결돌부와 상기 제2행거고정구의 제2연결돌부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끼워지는 연결홈부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옷걸이슬라이딩홈이 구비되는 좌우슬라이딩행거대와, 상기 제1행거고정구가 제1승하강가이드홈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1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는 제3마감덮개와, 상기 제2행거고정구가 제2승하강가이드홈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2승하강가이드홈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는 제4마감덮개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에 끼워지고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옷걸이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일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일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가 상기 제1행거고정구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가 옷걸이슬라이딩홈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제5마감덮개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타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타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가 상기 제2행거고정구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가 옷걸이슬라이딩홈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제6마감덮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의 하부측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보조 슬라이딩옷걸이가 끼워져 보조 슬라이딩옷걸이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옷걸이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끼워지는 슬라이딩돌부와; 상기 슬라이딩돌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지지부와; 상기 옷걸이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제1행거고정구 및 제2행거고정구에는 상기 제1승하강구 및 제2승하강구에는 위치고정홈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홈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행거고정구 및 제2행거고정구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어 상단에 걸어지는 지지체를 따라 옷걸이가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지지체의 하단측에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에 의해 옷걸이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함은 물론 하나의 도어공간에 복수개의 옷걸이를 구비할 수 있어 동일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와의 밀착 지지에 의해 행거체와 옷걸이의 유동거림 및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구성요부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옷걸이가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각각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는,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와,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310)과 상기 제1결합편(3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1고정가이드홈(120)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320)과 상기 제1연장편(3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330)을 갖는 제1걸이체(3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410)과 상기 제2결합편(4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제2고정가이드홈(220)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420)과 상기 제2연장편(4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430)을 갖는 제2걸이체(4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부에는 제1걸이체(300)가 연결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부에는 제2걸이체(400)가 연결되어 이들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에 의해 도어(D)의 상단에 걸어진다.
즉, 상기 제1걸이체(300)의 제1결합편(310)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체(400)의 제2결합편(410)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볼팅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에 의해 도어(D)의 상단에 각각 걸어진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연결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에 의해 옷이나 넥타이와 같은 의복을 걸어 보관한다.
상기 제1걸이체(300)를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 고정하고 제2걸이체(400)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 고정하는 이유는, 상기 제1걸이체(300)와 제2걸이체(400)가 도어(D) 상단에 걸어진 후 제1지지체(100)와 제1걸이체(300) 및 제2지지체(200)와 제2걸이체(40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제1지지체(100), 제2지지체(200), 제1걸이체(300), 제2걸이체(400),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구입하여 직접 조립하여 사용함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포장이나 운반성의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가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대해 승강 및 하강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마감구(60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제2마감구(700)는,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1마감구(600)와 제2마감구(7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끼워지기 때문에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행거체(5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에 의해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제1걸이체(300)의 제1결합편(310)은 물론 제1결합편(310)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볼팅결합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에 의해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 고정되는 제2걸이체(400)의 제2결합편(410)은 물론 제2결합편(410)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볼팅결합하는 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마감구(600)에는,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끼움돌부(6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1마감인입홈(6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마감구(700)에는,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끼움돌부(7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2마감인입홈(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마감구(600)의 후면에 제1마감인입홈(620)을 구비하고 상기 제2마감구(700)의 후면에 제2마감인입홈(720)을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제1결합편(310)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고정하는 볼트 및 상기 제2결합편(410)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고정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마감구(600)가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고 상기 제2마감구(700)가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질 때 볼트에 의해 걸리게 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14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의 두께에 맞추어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의 상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가 걸어지는 도어(D)의 두께가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보다 좁을 경우에는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도어(D)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에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가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가이드홈(120) 및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에 의해 도어(D)에 밀착될 수 있어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142)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242)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두께조절구(140)가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제2두께조절패널(142) 및 제3두께조절패널(143)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가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제5두께조절패널(242) 및 제6두께조절패널(243)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를 도어(D)에 걸었을 때 도어(D)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 및 제2두께조절구(240)와 상기 제1걸이체(300) 및 제2걸이체(4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걸이체(300)의 제1걸이편(330)과 상기 제1지지체(100)의 간격 및 상기 제2걸이체(400)의 제2걸이편(430)과 상기 제2지지체(200)의 간격이 50mm 이고, 상기 도어(D)의 두께가 30mm일 경우에는,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의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5mm 두께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을 상기 제1지지체(100)에 연결하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의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5mm 두께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을 상기 제2지지체(200)에 연결하여 제1두께조절구(140)와 제2두께조절구(240)에 의해 도어(D)에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밀착될 수 있어 의복을 걸거나 할 때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가 덜렁거리거나 흔들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 도어(D)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는, 제1행거고정구(510)와, 제2행거고정구(520),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 제3마감덮개(540), 제4마감덮개(550), 슬라이딩옷걸이(560), 제5마감덮개(570) 및 제6마감덮개(5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돌부(511)와 상기 제1끼움돌부(511)로부터 돌출되는 제1연결돌부(51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는,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돌부(521)와 상기 제2끼움돌부(521)로부터 돌출되는 제2연결돌부(522)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행거고정구(51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져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는 상기 제2지지체(1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져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는,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의 제1연결돌부(512)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의 제2연결돌부(522)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끼워지는 연결홈부(531)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는,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후면측방향으로 호형지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은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측방향으로 호형지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 일측과 타측에 각각 끼워지는 제1연결돌부(512) 및 제2연결돌부(522)는 상기 연결홈부(5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돌부(512) 및 제2연결돌부(522)가 상기 연결홈부(5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홈부(531)에 의해 포설되어 빠짐이 방지된다.
상기 제3마감덮개(540)는,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가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여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가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 또는 하단측으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하고, 상기 제4마감덮개(550)는,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가 제2승하강가이드홈(210)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여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가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 또는 하단측으로 빠져나감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지고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슬라이딩끼워지는 슬라이딩돌부(561)와, 상기 슬라이딩돌부(56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지지부(562)와, 상기 옷걸이지지부(562)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부(56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의 슬라이딩돌부(561)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돌부(561)가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돌부(561)가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포설되어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의 옷걸이부(563)는 일자형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일자형과 하부의 절곡진 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옷걸이(560)의 슬라이딩돌부(561)가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슬라이딩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슬라이딩옷걸이(560)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5마감덮개(57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일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일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가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옷걸이슬라이딩홈(532)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6마감덮개(58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타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타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옷걸이슬라이딩홈(532)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한다.
이 때, 상기 제5마감덮개(57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은 물론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 일측에 모두 끼워짐에 따라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일측으로 빠짐은 물론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가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의 제1연결돌부(512)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6마감덮개(58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은 물론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 타측에 모두 끼워짐에 따라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타측으로 빠짐은 물론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연결홈부(531)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의 제2연결끼움돌부(521)로부터 빠져나감을 방지한다.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 및 제2행거고정구(520)에는 위치고정홈(591)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고정홈(591)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 및 제2행거고정구(520)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5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590)는, 나사방식으로 상기 위치고정홈(591)에 끼워지거나 풀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590)를 조여주면 고정구(590)가 상기 위치고정홈(591)을 지나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의 제1 행거고정구(510)와 제2행거고정구(520)를 각각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가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를 따라 승하강 이동되고 이동 후 고정구(59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를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복수개 끼워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제1지지체(100)와 제2지지체(200)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의 하부측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가 끼워져 슬라이딩옷걸이(56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은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상기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하부측에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이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에 더욱 많은 개수의 슬라이딩옷걸이(560)를 구비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체(100) 및 제2지지체(200)의 하단 또는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 일축에는 도어충격방지체(8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충격방지체(800)는, 상기 제1지지체(100) 및 제2지지체(20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봉(810)과, 상기 고정봉(810)의 내측으로 끼워져 상기 고정봉(810)에 대해 인출입되는 인출입스토퍼봉(820)과,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과 대응되도록 도어(D)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구(830)와, 탄성에 의해 상기 부착구(8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부착구(8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이 닿아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구(840)와, 상기 부착구(8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격흡수구(840)에 탄성을 전달하는 탄성스프링(85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어충격방지체(800)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D)를 여는 과정에서 도어(D)가 벽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충격방지체(800)에 의해 도어(D)에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이 상기 고정봉(810)측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이 상기 고정봉(81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D)와 벽면은 물론 도어(D)에 구비되는 상기 옷걸이 좌우 이동 행거체(500)와의 간격에 따라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의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지지체 110 : 제1승하강가이드홈
120 : 제1고정가이드홈 130 : 제1고정구멍
140 : 제1두께조절구 200 : 제2지지체
210 : 제2승하강가이드홈 220 : 제2고정가이드홈
230 : 제2고정구멍 240 : 제2두께조절구
300 : 제1걸이체 400 : 제2걸이체
500 :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 510 : 제1행거고정구
511 : 제1끼움돌부 512 : 제1연결돌부
513 : 제1체결돌부 520 : 제2행거고정구
521 : 제2끼움돌부 522 : 제2연결돌부
523 : 제2체결돌부 530 : 좌우슬라이딩행거대
531 : 연결홈부 532 : 옷걸이슬라이딩홈
533 :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
540 : 제3마감덮개 550 : 제4마감덮개
560 : 슬라이딩옷걸이 561 : 슬라이딩돌부
562 : 옷걸이지지부 563 : 옷걸이부
570 : 제5마감덮개 580 : 제6마감덮개
600 : 제1마감구 610 : 제1마감끼움돌부
620 : 제1마감인입홈 700 : 제2마감구
710 : 제2마감끼움돌부 720 : 제2마감인입홈
800 : 도어충격방지체 810 : 고정봉
820 : 인출입스토퍼봉 830 : 부착구
840 : 충격흡수구 850 : 탄성스프링

Claims (9)

  1.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1고정가이드홈(120)을 갖는 제1지지체(100);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제2고정가이드홈(220)을 갖는 제2지지체(200);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볼팅결합되는 제1결합편(310)과 상기 제1결합편(3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1고정가이드홈(120)의 상단을 덮는 제1연장편(320)과 상기 제1연장편(3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1걸이편(330)을 갖는 제1걸이체(3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볼팅결합되는 제2결합편(410)과 상기 제2결합편(410)의 상측으로부터 수평절곡연장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과 제2고정가이드홈(220)의 상단을 덮는 제2연장편(420)과 상기 제2연장편(420)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제2걸이편(430)을 갖는 제2걸이체(400)와;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과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1고정구멍(1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제2고정구멍(2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고정가이드홈(120)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구멍(1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체(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두께조절구(14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고정가이드홈(220)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구멍(23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체(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2두께조절구(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두께조절구(1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1두께조절패널(1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2두께조절패널(142)과 15mm를 갖는 제3두께조절패널(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두께조절구(240)는,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고 5mm 두께를 갖는 제4두께조절패널(241)과 10mm 두께를 갖는 제5두께조절패널(242)과 15mm를 갖는 제6두께조절패널(2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는,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1끼움돌부(511)와 상기 제1끼움돌부(511)로부터 돌출되는 제1연결돌부(512)를 갖는 제1행거고정구(51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끼움돌부(521)와 상기 제2끼움돌부(521)로부터 돌출되는 제2연결돌부(522)를 갖는 제2행거고정구(520)와;
    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의 제1연결돌부(512)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의 제2연결돌부(522)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끼워지는 연결홈부(531)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이 구비되는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와;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가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는 제3마감덮개(540)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가 제2승하강가이드홈(210) 상단 또는 하단에 끼워진 후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막아 마감하는 제4마감덮개(550)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지고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옷걸이(560)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일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일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가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옷걸이슬라이딩홈(532)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제5마감덮개(570)와;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타측에 끼워져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타측을 마감하여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가 상기 제2행거고정구(520)로부터 벗어나거나 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끼워진 슬라이딩옷걸이(560)가 옷걸이슬라이딩홈(532)으로부터 벗어남을 방지하는 제6마감덮개(58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의 하부측에는,
    상기 옷걸이슬라이딩홈(5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보조슬라이딩옷걸이(560)가 끼워져 보조슬라이딩옷걸이(560)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보조옷걸이슬라이딩홈(533)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옷걸이(560)는,
    상기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옷걸이슬라이딩홈(532)에 슬라이딩끼워지는 슬라이딩돌부(561)와;
    상기 슬라이딩돌부(56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지지부(562)와;
    상기 옷걸이지지부(562)로부터 연장되는 옷걸이부(56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 및 제2행거고정구(520)에는,
    위치고정홈(591)이 각각 더 구비되고,상기 위치고정홈(591)에 나사방식으로 끼워져 상기 제1행거고정구(510) 및 제2행거고정구(520)가 각각 끼워진 제1승하강가이드홈(110) 및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각각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500)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59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100)의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구(600)와 상기 제2지지체(200)의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구(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마감구(600)에는,
    상기 제1승하강가이드홈(110)에 끼워지는 제1마감끼움돌부(6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1마감인입홈(6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마감구(700)에는,
    상기 제2승하강가이드홈(210)에 끼워지는 제2마감끼움돌부(710)가 양측에 구비되고 후면에는 제2마감인입홈(72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100) 및 제2지지체(200)의 하단 또는 좌우슬라이딩행거대(530)의 옷걸이슬라이딩홈(532) 일축에는 도어충격방지체(8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어충격방지체(800)는,
    상기 제1지지체(100) 및 제2지지체(20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봉(810)과;
    상기 고정봉(810)의 내측으로 끼워져 상기 고정봉(810)에 대해 인출입되는 인출입스토퍼봉(820)과;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과 대응되도록 도어(D)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구(830)와;
    탄성에 의해 상기 부착구(8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부착구(8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인출입스토퍼봉(820)이 닿아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흡수구(840)와;
    상기 부착구(8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격흡수구(840)에 탄성을 전달하는 탄성스프링(85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20170020621A 2017-02-15 2017-02-15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91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21A KR101919225B1 (ko) 2017-02-15 2017-02-15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21A KR101919225B1 (ko) 2017-02-15 2017-02-15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80A true KR20180094380A (ko) 2018-08-23
KR101919225B1 KR101919225B1 (ko) 2018-11-15

Family

ID=6345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21A KR101919225B1 (ko) 2017-02-15 2017-02-15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853A (ko) * 2019-03-18 2020-09-28 최은희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038B1 (ko) * 2019-07-22 2021-07-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하네스 케이블 보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01Y1 (ko) * 2005-09-23 2005-11-30 최승수 도어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853A (ko) * 2019-03-18 2020-09-28 최은희 커튼식 화분 및 장식물 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25B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24B1 (ko) 높낮이 조절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1919225B1 (ko) 옷걸이 좌우이동 행거체를 갖는 도어옷걸이
KR102474192B1 (ko) 냉장고
EP3670727B1 (en) Coupling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appliances
US20160109060A1 (en) Electronic tablet mount
KR101846649B1 (ko) 창틀설치용 다용도 선반
KR20120032186A (ko) 바닥과 천장 사이에 지지되는 행거
KR101701821B1 (ko) 보조 빨래 건조대
CN208104840U (zh) 一种安装和拆卸方便的脏衣篮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GB2509708A (en) Suspending a bin form a structural projection
KR200483955Y1 (ko) 바지 걸이
KR101804754B1 (ko) 폭 조절 가능한 인출식 옷장 집게
CN208228889U (zh) 一种可调式卫浴五金挂件
JP3157573U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CN207136549U (zh) 门后挂式装置
CN208598244U (zh) 一种用于厨卫间的物品摆放台
CN106287876A (zh) 吸油烟机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KR102482909B1 (ko) 중간부위에 조립식 선반 기능이 내재된 파티션
KR102552100B1 (ko) 빌트인 수납장
CN210043906U (zh) 可收缩的毛巾架
KR20180100813A (ko) 도어 거치형 행거
KR20180096195A (ko) 도어 거치형 행거
CN209712069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定制衣柜组装用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