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59A - 옵셋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옵셋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59A
KR20180094259A KR1020170020353A KR20170020353A KR20180094259A KR 20180094259 A KR20180094259 A KR 20180094259A KR 1020170020353 A KR1020170020353 A KR 1020170020353A KR 20170020353 A KR20170020353 A KR 20170020353A KR 20180094259 A KR20180094259 A KR 2018009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color
colors
rgb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470B1 (ko
Inventor
정군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원고에 대하여 스캐너에 의해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7색의 분판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셋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은 원본 필름을 CMYK 및 RGB로 각각 분해하여 7가지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Description

옵셋인쇄 방법{METHOD OF OFF-SET PRINTING}
본 발명은 옵셋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 필름을 CMYK 및 RGB로 각각 색분해하여 7가지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조를 구현할 수 있는 옵셋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옵셋인쇄는 현재 인쇄방식의 주류로 사용되는 평판인쇄 중 하나이다. 상업인쇄 및 미술인쇄의 대부분은 이 인쇄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공급되는 인쇄기의 대부분은 옵셋 인쇄기가 차지하고 있다.
옵셋인쇄는 대량 인쇄를 단시간에 마무리할 수 있으며, 대량의 부수를 인쇄할수록 단가가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한편, 옵셋인쇄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인쇄할 문양이나 그림을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로 색분해하고, 이를 4가지 색상으로 제판하여 CMYK 4색의 인쇄용 안료로 인쇄를 수행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라 옵셋인쇄한 인쇄물의 사진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사람이 느끼는 색조와 인쇄된 색조가 인쇄기술상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차이가 생기고, 높은 채도나 명도인 경우 색조 표현에 어려움이 있으며 미세한 색상을 표현하는 데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색채의 재현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색상들의 보정인쇄를 위하여 보정 인쇄판을 추가로 만들어 인쇄된 문양이나 그림 위에 덧칠하듯 색상을 보정인쇄하고 있다.
도 2는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라 도 1의 인쇄물을 보정 인쇄한 인쇄물의 사진이다. 그러나 도 2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CMYK를 2번 인쇄하여도 인쇄물이 진하게는 되나 선명하게 구현되지는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색조의 들뜸 현상이 없고 미세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며, 자연색에 가깝게 보다 선명한 인쇄가 가능한 옵셋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향상은, 인쇄 원고(원본필름)에 대하여 스캐너에 의해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7색의 분판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셋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RGB 분해 단계는 인쇄 원고의 일부 분분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는 단계는 염료의 인쇄 순서를 기준으로 CMYK 분판에 이어 RGB 분판의 순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컴튜터 상에서의 이미지 처리 단계, 프로그램에 의한 7색의 분판 처리 단계 및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의 출력 전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 전환 단계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프로그램에 의한 7색의 분판 처리 단계 후 7색 분해된 색상의 리터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먼저 필름을 출력한 후 상기 필름을 기초로 인쇄판에 소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인쇄판에 직접 소부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은, 원본 필름을 CMYK 및 RGB로 각각 색분해하여 7가지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색조의 들뜸 현상이 없고 미세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며, 자연색에 가깝게 보다 선명한 인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옵셋인쇄한 인쇄물의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도 1의 인쇄물을 보정 인쇄한 인쇄물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GB 색분해 결과의 이미지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옵셋인쇄 방법에 따라 인쇄한 인쇄물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가 되는 색의 혼합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색의 혼합이란 색과 색을 혼합하여 다른 색을 만드는 것을 말하며, 혼합방식은 크게 감색혼합과 가색혼합으로 나뉜다. 이러한 개념은 최근 컴퓨터 상에서의 그래픽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좀 더 정확한 색채를 재현하려는 최근의 노력에 의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감색혼합은 인쇄상의 3원색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시안(Cyan, 이하 C라 약칭함), 마젠타(Margenta, 이하 M이라 약칭함), 옐로우(Yellow, 이하 Y라 약칭함), 시안(Cyan, 이하 C라 약칭함) 3종류의 색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색을 혼합하며 색을 섞을수록 어두워지기 때문에 '감색혼합'이라고 한다. 이들 3개의 기본색을 CMY라 하며 CM이 혼합될 경우 블루(Blue, 이하 B라 약칭함)가 표현되며 MY가 혼합될 경우 레드(Red, 이하 R이라 약칭함)가 나타나고 CY가 혼합될 경우 그린(Green, 이하 G라 약칭함)이 표현된다. CMY가 모두 혼합될 경우 블랙(black, 이하 K라 약칭함)이 나타나는데 이들 색은 혼합될수록 채도가 낮아지게 된다.
실제 인쇄상에서는 CMY의 혼합으로 색을 발현시키며, K의 경우 CMY의 혼합으로 실제상의 블랙이 발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K판을 별도로 마련하여 인쇄하므로 결국 인쇄상으로는 CMYK의 4개의 판이 필요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인쇄공정은 이들 4색을 기본으로 한 4색분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가색혼합은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세 종류의 광원(光源)을 이용하여 색을 혼합하며 색을 섞을수록 밝아지기 때문에 '가색혼합'이라고 한다. 이들 3개의 기본색을 RGB라하며 RB의 혼합의 경우 마젠타(Margenta)가 발현되며 RG의 혼합의 경우 엘로우(Yellow)가 발현되고 GB의 혼합의 경우 시안(Cyan)이 발현된다. 이들 3원색 RGB가 모두 혼합되면 화이트(White, 이하 W라 약칭함)가 나타나며 이들 색은 혼합될수록 채도가 높아지게 된다.
한편 이들 색은 상기 CMY와 서로 보색관계에 있다. 즉, RGB는 동일한 순서로 CMY와 서로 보색관계를 이룬다. CRT화면상으로 이미지의 구현은 이러한 3원색과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스캐너에서 이미지의 분해의 경우 RGB분해 또는 이들과 보색관계에 있는 어떠한 CMY의 분해로도 가능하다. 필름출력의 경우 원색 슬라이드 상태의 원고가 만들어지면 원색 분해집에 의하여 빛의 3원색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본 발명은 CMYK 에 RGB를 추가하여 7가지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조를 구현할 수 있는 옵셋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은, 인쇄 원고에 대하여 스캐너에 의해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7색의 분판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인쇄 원고에 대하여 스캐너에 의해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
본 단계는 인쇄 원고(원본 필름)에 대하여 스캐너를 사용하여 색분해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스캐너에 의한 필름 분해는 CMY나 RGB 어떤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종래방식은 인쇄가 실제로 CMYK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스캐너에 의한 원본 필름의 분해는 CMYK로만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필름에 대하여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병행하여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RGB 분해는 원본 필름에서 강조할 부분을 선택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원본을 RGB 분해한 이미지 사진이다.
2. 색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7색의 분판을 제작하는 단계:
본 단계는 상기 색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실제 실제 옵셋 인쇄기에 장착될 인쇄판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먼저, 스캐너에 의하여 CMYK 방식 및 RGB 방식으로 분해된 원본의 색분해 데이터는 스캐너와 연결된 컴퓨터로 송신되며 상기 컴퓨터상에서 이미지가 처리된다. 이미지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예를 들면 어도비(Adobe)社의 포토샵(photoshop)프로그램이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에 의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단계에서도 RGB나 CMYK 어떤 방식으로든지 가능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RGB방식 및 CMYK 방식 각각에 의하여 이미지를 처리한다.
다음으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미지를 분판 처리하게 된다. 종래방식에 의하면 분판 처리는 CMYK 4개의 색으로 분판 처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CMYK 및 RGB 7개의 색으로 분판 처리한다. 분판 처리하는 방식은 프로그램상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7개의 색으로 분판 처리된 데이터를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 방식의 출력 모드로 전환한다, 일반적으로 인쇄시의 원색구현은 필름의 망점들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망점의 구성은 컬러 인쇄물의 계조 재현과 관련된다. 선수는 단위인치당 존재하는 일련의 망점 열의 개수를 말하며, 각도(angle)는 상기 망점열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선수는 작업한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짓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망점에 색조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진폭변조방식(AM변조)과 주파수변조방식(FM변조)이 있다. 상기 AM변조 방식은 망점의 대소로 계조를 표현하며 주기와 방향이 일정한 진동이며 크기만의 달라진다. 또한 계조를 면적으로 표현하며 색마다 각도가 필요하다.
이에 비하여 상기 FM변조 방식은 랜덤 도트(random dot)라고도 불리며 주기와 방향이 변하며 진폭이 일정한 진동을 말하며 계조가 단위면적 내 도트의 개수로 표현되고 색판마다의 각도가 필요없다. 인쇄물을 루페(Lupe)를 통하여 보면 기본적인 망점 모임의 집합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로제트(Rosette)(작은 장미꽃 무늬)라고 하며 종종 이러한 무늬가 육안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모아레(moires)현상이라 하고 이는 인쇄물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진폭변조의 경우 이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각 분해 필름상의 망점 간의 각도를 일정값 이상으로 떨어지게 놓아야 한다. 예를 들어 시각상 가장 구분이 잘되는 K를 45도로 한 경우 나머지 색상의 경우 C는 15도, M은 75도, Y는 0도로 두는 방법이다.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인쇄망점 간에는 일정 각 이상 이격시켜야 하며 이상적인 이격 각도는 15도 이상이다. 인쇄시의 기본색상간에 15도 이하의 망점각으로 이격된다면 인쇄망정들이 서로 겹쳐서 무슨 색상인지 알 수 없게 되거나 심한 모아레 현상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색상으로 7개의 색을 선택하고 이를 기초로 7개의 색으로 분판하였으므로 15도 이상으로 7개의 분판 또는 인쇄필름상의 망점들을 이격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인쇄하고자 할 때 진폭변조를 시킨다면 심한 모아레 현상으로 인쇄물은 질이 낮아지게 되며 색조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변조방식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옵셋인쇄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에 의한 7색의 분판 처리 단계 후 7색 분해된 색상의 보정을 위한 수정, 보완하기 위한 리터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7개의 색으로 분판되어 출력된 인쇄 필름을 인쇄기에 붙여 소부 과정을 거쳐 7개 색상의 인쇄판을 각각 제작한다. 소부란 현상액을 바른 얇은 알루미늄판에 이미지를 고착시켜 인쇄기계에 걸어 인쇄할 수 있도록 판을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의 옵셋인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쇄 필름의 출력과정을 생략하고 직접 인쇄판에 출력하고 소부함으로써 인쇄판을 제작할 수도 있다(CTP, computer to plate).
3.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 7색의 분판을 각각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이때 본발명의 옵셋인쇄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쇄판의 장착 순서는 CMYK 판에 이어서 RGB 판을 장착하는 것이 보다 선명한 화질을 얻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먼저, 스캐너(종류 - 마그너 스캐너, 제작사 - 크로스필드(영국))를 사용하여 원본을 CMYK 및 RGB로 각각 색분해하였다. 이어서, 상기 색분해 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신하여 상기 컴퓨터 상에서 이미지 처리한 후 7개의 색으로 분판처리하였다(컴퓨터 종류 - 매킨토시, 제작사 - 애플(미국), 분해 프로그램 종류 - 칼라 다색 분해, 제작사 - 스페셜 칼라(영국))
이어서, 7개의 색으로 분판처리된 색상을 리터치하였다(망점 프로그램 종류 - FAM 망점, 제작사 - 알티즌(한국)). 이어서 상기 리터치된 각각의 색상을 주파수 변조 방식의 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인쇄판에 직접 출력한 후 소부 과정을 거쳐 7개의 인쇄판을 제작하였다(출력기 종류 - CTP(Computer to Plate) 출력기, 제작사 - 알티즌(한국), 인쇄판 종류 - 써멀 CtP판, 제작사 - 코닥(미국)).
이어서 상기 7개의 인쇄판을 CMYK 및 RGB의 순서로 인쇄기에 장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물을 인쇄하였다(인쇄기 종류 - 옵셋인쇄기, 제작사 - 시노하라(일본), 잉크 종류 - 옵셋잉크, 제작사 - 한국 특수 잉크(한국))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 방법은 원본 필름을 CMYK 및 RGB로 각각 분해하여 7가지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인쇄 원고에 대하여 스캐너에 의해 CMYK 분해 및 RGB 분해를 각각 수행하는 단계;
    상기 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7색의 분판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여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옵셋인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GB 분해 단계는 인쇄 원고의 일부 분분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색의 분판을 옵셋 인쇄기에 장착하는 단계는 염료의 인쇄 순서를 기준으로 CMYK 분판에 이어 RGB 분판 순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컴튜터 상에서의 이미지 처리 단계, 프로그램에 의한 7색의 분판 처리 단계 및 진폭 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의 출력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환 단계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프로그램에 의한 7색의 분판 처리 단계 후 7색 분해된색상을 리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먼저 필름을 출력한 후 상기 필름을 기초로 인쇄판에소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판 제작 단계는 인쇄판에 직접 소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 방법.
KR1020170020353A 2017-02-15 2017-02-15 옵셋인쇄 방법 KR10190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53A KR101905470B1 (ko) 2017-02-15 2017-02-15 옵셋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53A KR101905470B1 (ko) 2017-02-15 2017-02-15 옵셋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59A true KR20180094259A (ko) 2018-08-23
KR101905470B1 KR101905470B1 (ko) 2018-10-10

Family

ID=6345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53A KR101905470B1 (ko) 2017-02-15 2017-02-15 옵셋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4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470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6910B2 (en) Color separation method and printed product of the method
JP2919768B2 (ja) カラー印刷方法
EP1608148A2 (en) Prepress workflow process employing frequency modulation (FM) screening techniques
KR20120024670A (ko) 프로세스 잉크 세트에서 프로세스 컬러들 및 스팟 컬러들을 이용하는 다중컬러 프로세스 프린팅을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EP1613054A1 (en) Prepress workflow methods for generating images with improved misregistration tolerance utilizing global and/or local processing techniques
JPH05276368A (ja)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13531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4338098A (ja) インクの特性に基づいた分版方法
US2007028567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5854883A (en) Color proofing method providing accurate visual simulation of screens
US7375857B1 (en) Print proofing with color and screen matching
US7280259B2 (en) Method for printing a color proof using a spatial filter
US74958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070127075A1 (en) Method of reproducing color image
US7050200B2 (en) Lookup table for adjusting dot-gain on bitmap files based on average number of dots
KR101905470B1 (ko) 옵셋인쇄 방법
JP2021062490A (ja) 製版方法、製版システム及び缶体
JP200708874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220846B2 (ja) カラーテストチャート及び画像記録制御装置
US20060291015A1 (en) Applying multiple imaging processes to digital images
JP3738810B2 (ja) 画像印刷方法および装置
KR100494352B1 (ko) 칼라 옵셋 인쇄방법 및 이를 위한 직물용지
JP3927426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9886902B (zh) 一种基于三色黑的黑白影像的印刷制版分色方法
KR100731582B1 (ko) 6색 프린터 시스템 및 그 6색 분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