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49A -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49A
KR20180094249A KR1020170020333A KR20170020333A KR20180094249A KR 20180094249 A KR20180094249 A KR 20180094249A KR 1020170020333 A KR1020170020333 A KR 1020170020333A KR 20170020333 A KR20170020333 A KR 20170020333A KR 20180094249 A KR20180094249 A KR 2018009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ient
format
datab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374B1 (ko
Inventor
박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기술
Priority to KR102017002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12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06F17/3007
    • G06F17/305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저장모듈에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트리거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트리거링 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트리거모듈이 테이블에 저장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 하는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 요청 없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독립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IN REAL TIME DATA-LINK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BASE}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트리거모듈이 테이블에 저장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 하는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 요청 없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독립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데이터베이스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테이블에 저장하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 변경사항 전송을 요청하는 질의어인 쿼리(Query Language)를 수신하면 쿼리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테이블에 있을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의 변경 사항이 없다면 변경사항이 없다는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고, 수많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요청을 받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가 발생하여 각종 오류가 발생하여 데이터 처리 및 전송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85501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트리거모듈이 테이블에 저장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 하는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 요청 없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독립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으로 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포맷형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저장모듈에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트리거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트리거링 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는, 포맷 변환모듈이 트리거링되어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신부가 트리거링되어 상기 포맷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변환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모듈은, 상기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다음에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 다음에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이 저장된 포맷 저장모듈;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포맷형식 변경 요청을 받으면, 상기 포맷 저장모듈에 저장된 해당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을 요청받은 포맷형식으로 변경하는 포맷 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포맷 등록모듈은, 신규 클라이언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면, 상기 신규 클라이언트로 포맷형식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한 포맷형식을 포맷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 모듈은,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규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를 데이터 저장모듈로 송신하는 저장 요청모듈; 상기 저장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트리거링하는 트리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트리거모듈이 테이블에 저장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 하는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 요청 없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간의 독립성과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으로 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최소화하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포맷형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데이터베이스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게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데이터베이스와 서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버, 클라이언트 서버, 단말기, 핸드폰, 스마트폰, PC와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
데이터베이스(10)와 통신이 가능하여 데이터베이스(10)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장치 또는 서버로,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를 의미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사업자의 데이터베이스(10)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는다고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객체일 수도 있다.
이것은, 도 1에서 클라이언트 1이 데이터베이스(10)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클라이언트 1을 제외한 클라이언트 2, 3, 4, 5가 데이터베이스(10)로 송신한 데이터를 필요에 의해 수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는 수 많은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클라이언트들은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추가, 갱신되었을 경우 실시간으로 전송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10)로 신규 데이터가 있는지 요청하는 질의어인 쿼리(Query Language)를 송신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10)는 쿼리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10)의 테이블(110)에 쿼리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해당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수 많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실시간으로 쿼리를 받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10)의 과부하가 발생하여 각종 오류로 인해 데이터 처리 및 전송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데이터베이스(10)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시스템 간의 독립성과 안정성을 증가시켜 더 많은 클라이언트와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에 앞서서 데이터베이스(10)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는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이다. 논리적으로 연관된 하나 이상의 자료의 모음으로 그 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함으로써 검색과 갱신의 효율화를 꾀한 것이다.
즉, 몇 개의 자료 파일을 조직적으로 통합하여 자료 항목의 중복을 없애고 자료를 구조화하여 기억시켜 놓은 자료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료의 집합체로 및 공동 자료로서 각 사용자는 같은 데이터라 할지라도 각자의 응용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10)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Table)은 세로줄과 가로줄의 모델을 이용하여 정렬된 데이터의 집합(값)의 모임으로 각 행과 열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테이블(110)의 행과 열에 정렬하여 저장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들의 구분이 용이하게 하여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공유가 용이하고,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행과 열이 그 데이터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있음으로 인해 각각의 데이터들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란, 계측, 관측, 촬영장치와 같은 각종 장치 또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게측데이터, 관측데이터, 촬영데이터, 녹음데이터, 정보, 메시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데이터베이스(10)의 테이블(110)에 저장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라면 실시 및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을 예시한 도 1과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0)는 수 많은 클라이언트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2 내지 6 중에서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도 1과 다르게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를 받지 않고,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1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용어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벤트(event)란 프로그램에 의해 감지되고 처리될 수 있는 동작이나 사건을 말한다.
대체로 이벤트는 프로그램 동작 과정과 함께 동시에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즉, 프로그램은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용 공간을 가지게 되는데, 보통의 경우 이벤트 루프라고 불리는 곳에서 이를 처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보드의 키를 누르는 것이 프로그램 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해서 프로그램의 처리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 트리거(Database Trigger)란 테이블(110)에 대한 이벤트에 반응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하며, 데이터 조작 언어(DML)의 데이터 상태의 관리를 자동화하는데 사용된다.
트리거는 사전적 의미로 방아쇠를 뜻하는데, 단어 뜻 그대로, 데이터베이스(10)의 테이블(110)에 어떠한 일이 일어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개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테이블(110)에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각종 계측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10)의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트리거(Before trigger)를 실행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10)의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트리거(After trigger)를 실행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청구항 1에 대한 흐름을 예시한 순서도로,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401단계)
데이터베이스(10)의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S401단계의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S410단계)
이때,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10)의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저장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모듈(170)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S430단계)
트리거모듈(100)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트리거링 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S450단계)
이때, 트리거모듈(1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블(110)에 INSERT, DELETE, UPDATE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 3에서는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트리거링(After Trigger)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Before Trigger는 저장 요청모듈(150)이 저장 요청신호를 의미하는 INSERT 명령어를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요청하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기 전에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fter Trigger는 저장 요청모듈(150)이 저장 요청신호를 의미하는 INSERT 명령어를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요청하면 데이터 저장모듈(170)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고,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DELETE, UPDATE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저장 후에 특정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4에서는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트리거링(Before Trigger)하는 것을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의 흐름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S401단계)
데이터베이스(10)의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S401단계의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S410단계)
이때,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베이스(10)의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에 저장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거모듈(100)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트리거링 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S450단계)
데이터 저장모듈(170)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S430단계)
도 3에서 S430단계 다음에 S450단계가 실행되는 것과 다르게, S450단계 다음에 S430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것은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트리거링(Before Trigger)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언급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트리거링(Before Trigger)은 트리거모듈(100)이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다음에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트리거링(After Trigger)은 데이터 저장 단계 다음에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의 Before Trigger와 After Trigger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자가 실시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게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0)는 테이블(110), 통신부(130), 저장 요청모듈(150), 데이터 저장모듈(170), 트리거모듈(100), 포맷 저장모듈(300), 포맷 변환모듈(310), 포맷 등록모듈(330), 및 식별정보 모듈(500)을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세로줄과 가로줄의 모델을 이용하여 정렬된 데이터의 집합(값)의 모임으로 각 행과 열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테이블(110)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의미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부(130)는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저장 요청모듈(150)은 통신부(130)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를 데이터 저장모듈(170)로 송신한다.
프로그래밍으로 설명하면, 테이블(110)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INSERT 명령어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 저장모듈(170)은 저장 요청모듈(150)로부터 저장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 프로그래밍으로 설명하면, 저장 요청모듈(150)로부터 데이터 저장 요청신호인 INSERT 명령어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한다.
트리거모듈(100)은 데이터가 테이블(110)에 저장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30)를 트리거링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모듈(100)은,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로 저장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통신부(130)가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하고, 다음에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하는 Before Trigger로 설정되거나, 또는 저장 요청모듈(150)이 데이터 저장모듈(170)로 저장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데이터를 테이블(110)에 저장한 다음 통신부(130)가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트리거링하는 After Trigger로 설정된다.
포맷 변환모듈(310)은 데이터의 포맷형식을 변환한다.
여기서 포맷이란, 파일 형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파일 확장자 또는 파일 포맷(File Format)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데이터의 포맷형식을 포맷 변환모듈(310)이 변환한다.
포맷 저장모듈(300)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이 저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를 포맷 변환모듈(310)이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으로 변환할 때, 포맷 저장모듈(3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맷 등록모듈(330)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포맷형식 변경 요청을 받으면, 포맷 저장모듈(300)에 저장된 해당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을 요청받은 포맷형식으로 변경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는 포맷 추천모듈을 더 포함하여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포맷 추천모듈(350)은 클라이언트 또는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포맷형식이 포맷 변환모듈(310)이 변환할 수 없는 형식일 경우, 요청받은 포맷형식과 유사한 포맷형식을 추천하여 전송한다.
이때, 유사한 포맷형식은 다른 클라이언트, 또는 신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포맷형식일 수 있다.
또한, 포맷 등록모듈(330)은 신규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되면, 신규 클라이언트로 포맷형식 전송을 요청하고,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포맷형식을 포맷 저장모듈(300)에 저장한다.
식별정보 모듈(500)은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1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A, C에 대한 데이터, 클라이언트 2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B, C에 대한 데이터, 클라이언트 3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A, B, D일 경우, A1, A4, B2, B3, C5, D1, D2, D6이라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1로 A1, A4, C5를 송신하고, 클라이언트 2로 B2, B3, C5를 송신하며, 클라이언트 3으로 A1, A4, B2, B3, D1, D2, D6을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1의 식별정보는 A, C, 클라이언트 2의 식별정보는 B, C, 클라이언트 3의 식별정보는 A, B, D를 의미한다.
또한, 식별정보 모듈(500)은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 요청을 받을 경우, 식별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또한 위의 예시를 이어서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1이 A, C, D에 대한 데이터, 클라이언트 2가 A, C, E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클라이언트 1의 식별정보를 A, C에서 D를 추가하여 A, C, D로 변경하고, 클라이언트 2에 대한 식별정보를 B, C에서 B를 삭제하고 A, E를 추가하여 A, C, E로 식별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데이터베이스
100: 트리거모듈 110: 테이블
130: 통신부 150: 저장 요청모듈
170: 데이터 저장모듈 300: 포맷 저장모듈
310: 포맷 변환모듈 330: 포맷 등록모듈
500: 식별정보 모듈

Claims (8)

  1.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 저장모듈에 상기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하는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및
    트리거모듈이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트리거링 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는,
    포맷 변환모듈이 트리거링되어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단계를 더 포함하고,
    통신부가 트리거링되어 상기 포맷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변환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모듈은,
    상기 데이터 저장 요청 단계 다음에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저장 단계 다음에 상기 데이터 전송 단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포맷형식이 저장된 포맷 저장모듈;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포맷형식 변경 요청을 받으면, 상기 포맷 저장모듈에 저장된 해당 클라이언트의 포맷형식을 요청받은 포맷형식으로 변경하는 포맷 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포맷 등록모듈은,
    신규 클라이언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면, 상기 신규 클라이언트로 포맷형식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한 포맷형식을 포맷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 모듈은,
    신규 클라이언트로부터 클라이언트 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규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부터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식별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7.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하고 특정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연계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의 저장 요청신호를 데이터 저장모듈로 송신하는 저장 요청모듈;
    상기 저장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상기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특정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트리거링하는 트리거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020333A 2017-02-15 2017-02-15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1935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33A KR101935374B1 (ko) 2017-02-15 2017-02-15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33A KR101935374B1 (ko) 2017-02-15 2017-02-15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49A true KR20180094249A (ko) 2018-08-23
KR101935374B1 KR101935374B1 (ko) 2019-04-03

Family

ID=6345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33A KR101935374B1 (ko) 2017-02-15 2017-02-15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501A (ko) * 2000-02-28 2001-09-07 김두현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52140A (ja) * 2005-03-10 2006-09-21 Obic Co Ltd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及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39959A (ko) * 2010-06-24 2011-12-30 (주)미디어포스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구조화 질의어를 정형화 포맷에 적용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501A (ko) * 2000-02-28 2001-09-07 김두현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52140A (ja) * 2005-03-10 2006-09-21 Obic Co Ltd 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及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39959A (ko) * 2010-06-24 2011-12-30 (주)미디어포스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구조화 질의어를 정형화 포맷에 적용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374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6754B2 (en) Database table conversion
US9842134B2 (en) Data query interface system in an event historian
US20210056073A1 (en) Block data storage system in an event historian
US10891302B2 (en) Scalable synchronization with cache and index management
JPH10269252A (ja) 分散情報の統合方法及び装置
US11176173B2 (en) Arrangement for enriching data stream i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related method
CN102209335A (zh) 一种多网元用户数据的获取方法及装置
US10452879B2 (en) Memory structure for inventory management
CN107766207A (zh) 分布式自动监控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1163074B (zh) 一种网关服务控制方法及装置
CN114090388A (zh) 信息获取方法、服务器集群、服务器及设备
US9658924B2 (en) Event data merge system in an event historian
US20110153678A1 (en)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8849755B2 (en)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dictionary generation method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CN111242595B (zh) Erp平台与支付平台间信息交换方法及装置
CN111124542A (zh) 一种配置信息管理系统
KR101935374B1 (ko)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 및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7474639B2 (en) Dynamic update of push applications for wireless data device
US20130290245A1 (en) Database histo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782079B2 (en) Configu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103022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a medical imaging protocol
CN113014456A (zh) 一种监控数据传输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155503B2 (en) Data server
JP2016091556A (ja) 印刷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データ処理方法
CN112118140B (zh) Cdn配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