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177A -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177A
KR20180094177A KR1020170019533A KR20170019533A KR20180094177A KR 20180094177 A KR20180094177 A KR 20180094177A KR 1020170019533 A KR1020170019533 A KR 1020170019533A KR 20170019533 A KR20170019533 A KR 20170019533A KR 20180094177 A KR20180094177 A KR 20180094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ixel region
mode
sub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2906B1 (ko
Inventor
권태훈
가지현
이민구
차승지
오현욱
정진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906B1/ko
Priority to US15/885,611 priority patent/US10916191B2/en
Priority to CN201810149807.XA priority patent/CN108735159B/zh
Priority to EP18156542.5A priority patent/EP336147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177A/ko
Priority to US17/170,554 priority patent/US114238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신체에 직접 착용될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보통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라 불린다.
특히,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한 예로서, 머리 장착형 표시 장치(Head Mounted Display Device: 이하 "HMD"라 하기로 함)는 현장감 있는 영상을 표시하므로, 고도의 몰입성을 제공하여 영화 감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 영역은, 제3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4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2 모드에서,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2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4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진입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화소의 일 실시예 및 그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장치(30)는 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에는 밴드(3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밴드(32)를 이용하여 프레임(31)을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31)은 표시 장치(1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될 수 있는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가 스마트 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폰 외에도,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 가능하며 표시 수단을 구비한 태블릿 PC, 전자북 리더기, 컴퓨터,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장착될 때 표시 장치(10)의 연결부(41)와 프레임(31)의 연결부(33)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31)과 표시 장치(1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31)에 장착된 표시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장치(30)는 터치 센서, 버튼, 휠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표시 장치(10)는 HMD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예를 들어, VR Mode)로 구동하고,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표시 장치(10)는 제2 모드(예를 들어, Normal Mode)로 구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제1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1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면 자동적으로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는 사용자의 두 눈에 대응되는 렌즈(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20)는 사용자의 관측 시야(FOV: Field of View)를 높이기 위하여 어안 렌즈, 광각 렌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프레임(31)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렌즈(20)를 통하여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을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치 일정한 거리에 대형의 스크린을 두고 영상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눈과 표시 장치(10)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은 시인성이 높은 영역과 시인성이 낮은 영역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시인성이 높은 영역을 시인 영역(VDA)이라 칭하기로 하고, 시인성이 낮은 영역을 비시인 영역(NVDA)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렌즈(20)의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 영역의 중심부가 시인 영역(VDA)이 될 수 있고, 상기 중심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비시인 영역(NVDA)이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어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시인 영역(VDA)에서는 유효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비시인 영역(NVDA)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며,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VDA)에서만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프레임 주파수를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어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 전체가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면, 표시 영역 전체가 시인 영역(VDA)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 전체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이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는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이하게 설정된 영역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를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비시인 영역(NVDA))은 프레임(31)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이 경우, 비시인 영역(NVDA)의 일부 영역에 더미 영상이 표시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완전히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 장치(10)를 웨어러블 장치(30)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 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제2 모드 시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시인 영역과 비시인 영역의 경계선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 가능한 표시 장치(10)에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 경계선이 시인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화소 영역들(AA1, AA2, AA3)과 주변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는 다수의 화소들(PXL1, PXL2, PXL3)이 위치하며, 이에 따라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서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은 표시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에는 화소들(PXL1, PXL2, PXL3)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배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주변 영역(NA)에는 화소들(PXL1, PXL2, PXL3)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주변 영역(NA)은 비표시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은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외측에 존재할 수 있으며,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은 제1 화소 영역(AA1), 제1 화소 영역(AA1)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2 화소 영역(AA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3 화소 영역(A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화소 영역(AA1)과 제3 화소 영역(AA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2 화소 영역(AA2)은 도 1c에 도시된 시인 영역(VDA)에 대응되고,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비시인 영역(NVDA)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사용자는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볼 수 없으며, 제2 화소 영역(AA2)에 표시되는 영상만을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될 때,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화소들(PXL1, PXL2, PXL3)은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들(PXL1)은 제1 화소 영역(AA1)에 위치하고, 제2 화소들(PXL2)은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하며, 제3 화소들(PXL3)은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할 수 있다.
화소들(PXL1, PXL2, PXL3)은 구동부들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휘도로 발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화소들(PXL1, PXL2, PXL3) 각각은 발광 소자(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의 폭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의 폭이 제2 화소 영역(AA2)의 폭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소 영역(AA1) 및/또는 제3 화소 영역(AA3)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유효 영상은 제2 화소 영역(AA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화소 영역(AA1)과 제3 화소 영역(AA3)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전체적으로 블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때,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한 제2 화소들(PXL2)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하고,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제2 화소들(PXL2)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특성과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진입 시, 각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에 따라, 제2 화소 영역(AA2)과 다른 화소 영역들(AA1, AA3) 사이의 휘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화소 영역(AA1)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 및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 사이의 경계선(가로줄)이 시인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로 구동 시,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한 제1 화소 영역(AA1)의 경계 영역(SB2)에 소정의 더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경계 영역(SB2)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제2 화소 영역(AA2)에 존재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근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비경계 영역(SB1), 경계 영역(SB2) 및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의 휘도 편차가 점진적으로 발생되며, 이는 결국 경계선의 시인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비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특정 패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의 발광 패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3 화소 영역(AA3)의 경우, 제1 화소 영역(AA1)과 동일한 방식으로 경계선의 시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제1 모드로 구동 시,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한 제3 화소 영역(AA3)의 경계 영역(SB4)에 소정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화소 영역(AA3)은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화소 영역(AA2)과 인접하여 위치하며, 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비경계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2 화소 영역(A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를 유지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특정 패턴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의 발광 패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화소 영역들(AA1, AA2, AA3)과 표시 구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00)는 표시 장치(10)의 구동 모드에 대응하여, 화소 영역들(AA1, AA2, AA3)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100)는 제1 모드에서 제2 화소 영역(AA2)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구동부(100)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블랙을 표시하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구동부(100)는 제2 모드에서 전체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대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구동부(100)는 제1 주사 구동부(211), 제2 주사 구동부(212), 제3 주사 구동부(213), 제1 발광 구동부(311), 제2 발광 구동부(312), 제3 발광 구동부(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화소들(PXL1)은 제1 주사선들(S11~S1j),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1 화소 영역(AA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화소들(PXL1)은 제1 주사선들(S11~S1j)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은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제1 화소들(PXL1)은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 및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은 모두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모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화소들(PXL1)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들(PXL1)이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화소들(PXL1)은 상기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들(PXL1)이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들(PXL1)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화소들(PXL2)은 제2 주사선들(S21~S2n),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화소들(PXL2)은 제2 주사선들(S21~S2n)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들(PXL2)은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소들(PXL2)은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화소들(PXL2)은 공급받은 유효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화소들(PXL3)은 제3 주사선들(S31~S3k),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 및 데이터선들(D1~Dm)에 의하여 구획된 제3 화소 영역(AA3)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화소들(PXL3)은 제3 주사선들(S31~S3k)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Dm)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한 제3 화소들(PXL3)은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제3 화소들(PXL3)은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블랙을 표시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은 모두 유효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모두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화소들(PXL3)은 공급받은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화소들(PXL3)이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은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제3 화소들(PXL3)은 상기 유효 데이터 신호 또는 더미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들(PXL3)이 블랙 데이터 신호를 공급받는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3 화소들(PXL3)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영역(AA1) 및 제3 화소 영역(AA3)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소들(PXL1) 및 제3 화소들(PXL3)의 개수는 제2 화소들(PXL2) 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주사선들(S11~S1j) 및 제3 주사선들(S31~S3k)의 개수는 제2 주사선들(S21~S2n) 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주사 구동부(211)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1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에 대응하여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사 구동부(211)는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주사선들(S11~S1j)로 제1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1 화소들(PXL1)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2 주사 구동부(212)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2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2)에 대응하여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사 구동부(212)는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주사선들(S21~S2n)로 제2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2 화소들(PXL2)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3 주사 구동부(213)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3)에 대응하여 제3 주사선들(S31~S1k)로 제3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주사 구동부(213)는 제3 주사선들(S31~S3k)로 제3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주사선들(S31~S3k)로 제3 주사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면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1 주사 신호, 제2 주사 신호, 및 제3 주사 신호는, 해당 트랜지스터가 턴-온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 전체로 볼 때,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각 프레임 기간마다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1 발광 구동부(311)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1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에 대응하여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로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구동부(311)는 제1 발광 제어선들(E11~E1j)로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발광 구동부(312)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2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2)에 대응하여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로 제2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 구동부(312)는 제2 발광 제어선들(E21~E2n)로 제2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발광 구동부(313)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의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3)에 대응하여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로 제3 발광 제어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발광 구동부(313)는 제3 발광 제어선들(E31~E3k)로 제3 발광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발광 제어 신호는 화소들(PXL1, PXL2, PXL3)의 발광 시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될 수 있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 전체로 볼 때,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각 프레임 기간마다 제1 화소들(PXL1), 제2 화소들(PXL2), 및 제3 화소들(PXL3)이 수평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발광 제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대응하여 데이터선들(D1~Dm)로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로 블랙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하고,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하는 제1 화소들(PXL1)로 더미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2 화소 영역(AA2)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2 화소 영역(AA2)에 위치하는 제2 화소들(PXL2)로 유효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로 블랙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하고,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으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하는 제3 화소들(PXL3)로 더미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부(230)는 각각의 화소 영역들(AA1, AA2, AA3)로 주사 신호들이 공급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각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위치하는 화소들(PXL1, PXL2, PXL3)로 유효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들(SCS1, SCS2, SCS3)을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는 제1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작 신호는 제1 주사 신호들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며, 클럭 신호들은 제1 시작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2)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1 주사선(S1j)으로 공급된 제1 주사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3)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2 주사선(S2n)으로 공급된 제2 주사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3 주사 구동부 제어신호(SCS1~SCS3)에 포함된 클럭 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들(ECS1, ECS2, ECS3)을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는 제2 시작 신호 및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시작 신호는 제1 발광 제어 신호들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며, 클럭 신호들은 제2 시작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2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2)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1 발광 제어선(E1j)으로 공급된 제1 발광 제어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3)는 클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신호들은 마지막 제2 발광 제어선(E2n)으로 공급된 제2 발광 제어 신호를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3 발광 구동부 제어신호(ECS1~ECS3)에 포함된 클럭 신호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30)의 사양에 맞는 영상 데이터(DATA)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제어신호(DCS)에는 소스 시작신호,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 소스 샘플링 클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스 시작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3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230)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2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를 개별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필요에 따라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주사 구동부들(211, 212, 213),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데이터 구동부(230), 및 타이밍 제어부(250)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칩 온 필름(Chip On Film)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화소들(PXL1, PXL2, PXL3)이 발광 제어 신호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구조인 경우, 발광 구동부들(311, 312, 313) 및 발광 제어선들(E11~E1j, E21~E2n, E31~E3k)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제1 화소의 일 실시예 및 그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번째 데이터선(Dm) 및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된 제1 화소(PXL1)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화소(PXL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제1 트랜지스터(T1) 내지 제7 트랜지스터(T7)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는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제1 트랜지스터(T1)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제2 화소 전원(ELVSS)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제1 화소 전원(ELVDD)은 제2 화소 전원(ELVSS)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초기화 전원(Vint)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i+1번째 제1 주사선(S1i+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7 트랜지스터(T7)는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초기화 전원(Vint)의 전압을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화 전원(Vint)은 데이터 신호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트랜지스터(T1)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트랜지스터(T6)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6 트랜지스터(T6)는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화소 전원(ELVDD)과 제1 트랜지스터(T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트랜지스터(T5)는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오프되고, 그 외의 경우에 턴-온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제1 화소 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T6)를 경유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화소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화소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트랜지스터(T3)는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제1 노드(N1)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될 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1 노드(N1)와 초기화 전원(Vint)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i-1번째 제1 주사선(S1i-1)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트랜지스터(T4)는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1 노드(N1)로 초기화 전원(Vint)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m번째 데이터선(Dm)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제1 주사선(S1i)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T2)는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m번째 데이터선(Dm)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화소 전원(ELVDD)과 제1 노드(N1)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는 제1 화소(PXL1)와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a에서 설명된 화소 구조는 주사선과 발광 제어선을 이용하는 하나의 예에 해당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화소(PXL1, PXL2, PXL3)가 상기 화소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화소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회로 구조를 가지며, 현재 공지된 다양한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한 다양한 광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백색 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컬러 필터 등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먼저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가 공급된다.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가 공급되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오프된다. 이때, 제1 화소(PXL1)는 비발광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되어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이 제1 노드(N1)로 공급된다. 그러면, 제1 노드(N1)는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제1 노드(N1)가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된 후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 신호(G1i)가 공급된다. i번째 제1 주사선(S1i)으로 주사 신호(G1i)가 공급되면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된다.
제3 트랜지스터(T3)가 턴-온되면 제1 트랜지스터(T1)가 다이오드 형태로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면 m번째 데이터선(Dm)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가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 노드(N1)가 데이터 신호보다 낮은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으로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되면 데이터 신호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을 감한 전압이 제1 노드(N1)에 인가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 및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이후,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된다. i+1번째 제1 주사선(S1i+1)으로 주사 신호(G1i+1)가 공급되면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된다.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온되면 초기화전원(Vint)의 전압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기생적으로 형성된 기생 커패시터가 방전되고, 이에 따라 블랙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후,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이 중단된다.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가 턴-온된다. 그러면,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제5 트랜지스터(T5), 제1 트랜지스터(T1), 제6 트랜지스터(T6)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이어지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트랜지스터(T1)는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실제로, 제1 화소(PXL1)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PXL2) 및 제3 화소(PXL3) 역시 제1 화소(PXL1)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i번째 제1 발광 제어선(E1i)으로 공급되는 발광 제어신호(F1i)는, 데이터 신호가 화소(PXL1, PXL2', PXL3)에 충전되는 기간 동안 화소(PXL1, PXL2, PXL3)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사신호와 중첩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제어신호(F1i)의 공급 타이밍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a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5b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소 그룹(Ga, Gb)에 포함되는 제1 화소들(PXL1)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a, Gb)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소 그룹(Gc, Gd)에 포함되는 제3 화소들(PXL3)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c, Gd)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각각 하나의 화소 행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각각 복수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소 그룹들(Ga, Gb, Gc, Gd)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6a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6b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화소 행은 제1 모드 동안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이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제2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화소 행은 제1 모드 동안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이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각각 하나의 화소 행이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각각 복수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소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7b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고, 도 7c는 제1 모드 중 제2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7a를 참조하면,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화소 영역들(AA1, AA2, AA3)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유닛들(PU1)은 제1 화소 영역(AA1)에 배치되고, 제2 화소 유닛들(PU2)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배치되며, 제3 화소 유닛들(PU3)은 제3 화소 영역(AA3)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각각 다수의 화소들(PXL1, PXL2, PXL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화소 유닛들(PU1)은 다수의 제1 화소들(PXL1)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2 화소 유닛들(PU2)은 다수의 제2 화소들(PXL2)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3 화소 유닛들(PU3)은 다수의 제3 화소들(PXL3)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유닛(PU1)은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PXL1(G))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화소 유닛(PU2)은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2 화소들(PXL2(G))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 유닛(PU3)은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R)),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B)),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3 화소들(PXL3(G))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 유닛들(PU1)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소 그룹(Ga, Gb)에 포함되는 제1 화소 유닛들(PU1)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a)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b)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a)과 제2 화소 그룹(Gb)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a, Gb)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 유닛들(PU3)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화소 그룹(Gc, Gd)에 포함되는 제3 화소 유닛들(PU3)의 개수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비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제1 화소 그룹(Gc)은 발광되고, 제2 화소 그룹(Gd)은 비발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간과 상기 제2 기간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화소 그룹(Gc)과 제2 화소 그룹(Gd)은 제1 모드 동안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결국, 제1 모드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서 표시되는 더미 영상은, 복수의 화소 그룹(Gc, Gd)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 유닛들(PU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 유닛들(PU3)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 유닛들(PU2)은 제1 기간 및 제2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화소 유닛들(PU1, PU2, PU3)은 도 7a와 상이한 조합의 화소들(PXL1, PXL2, PXL3)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 유닛(PU1)은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제1 화소들(PXL1)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PXL1(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PXL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화소 유닛(PU2)은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네 개의 제2 화소들(PXL2)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2 화소(PXL2(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2 화소들(PXL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 유닛(PU3)은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네 개의 제3 화소들(PXL3)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R)),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3 화소(PXL3(G)),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3 화소들(PXL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모드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e는 제1 모드 중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에서의 영상 표시 동작을 각각 도시하였다.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화소들(PXL1)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제1 모드에서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기간으로부터 제5 기간까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화소 행들은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기간에서는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이 전체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제1 화소들(PXL1)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제2 화소 영역(AA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은 제1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은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2 서브 화소 영역(SB2)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3 화소들(PXL3)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화소 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 동안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제1 모드에서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2 기간으로부터 제5 기간까지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화소 행들은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5 기간에서는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 위치한 모든 화소 행들이 전체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이때,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의 제3 화소들(PXL3)은, 제2 화소 영역(AA2)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제2 화소 영역(AA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은 제1 모드에서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은 특정 패턴의 더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은 제1 모드에서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포함된 제1 화소들(PXL1)과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포함된 제3 화소들(PXL3)은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화소 영역(AA2)은 제1 모드에서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화소 영역(AA2)에 포함된 제2 화소들(PXL2)은 제1 기간 내지 제5 기간 동안 정상적인 발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e에서는 하나의 화소 행들이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화소 행들이 순차적으로 비발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화소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며, 상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한 표시 장치(10')는 복수 개의 제1 화소 영역들(AA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화소 영역들(AA1)은 제2 화소 영역(AA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1 화소 영역들(AA1)의 폭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해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화소 영역(SB1)과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의 영상 표시 동작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화소 영역(AA3)도 제1 화소 영역들(AA1)과 같이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화소 영역들(AA3)은 제2 화소 영역(AA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3 화소 영역들(AA3)의 폭은 제2 화소 영역(AA2)에 비해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00).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전체 표시 영역, 즉 제1 화소 영역(AA1), 제2 화소 영역(AA2), 및 제3 화소 영역(AA3)에 대하여 유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모드로 구동 중,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110)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모드의 변경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모드가 계속적으로 수행되며, 모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20).
이 경우, 제2 화소 영역(AA2)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제1 화소 영역(AA1)의 제1 서브 화소 영역(SB1)에 블랙이 표시되며, 제1 화소 영역(AA1)의 제2 서브 화소 영역(SB2)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화소 영역(AA3)의 제3 서브 화소 영역(SB3)에 블랙이 표시되며, 제3 화소 영역(AA3)의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 영역(SB2) 및 제4 서브 화소 영역(SB4)이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모드로 구동 중, 모드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130)에서는 표시 장치(10)가 웨어러블 장치(30)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 장치(1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모드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제1 모드가 계속적으로 수행되며, 모드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가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S14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 표시 장치
AA1: 제1 화소 영역
AA2: 제2 화소 영역
AA3: 제3 화소 영역
SB1: 제1 서브 화소 영역
SB2: 제2 서브 화소 영역
SB3: 제3 서브 화소 영역
SB4: 제4 서브 화소 영역
PXL1: 제1 화소들
PXL2: 제2 화소들
PXL3: 제3 화소들

Claims (24)

  1.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 및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영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제1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영역, 상기 제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소 영역은, 제3 서브 화소 영역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과 상기 제2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서브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을 표시하며, 상기 제4 서브 화소 영역은 더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13. 제2 모드에서,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영역, 제2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영역, 및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3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유효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1 서브 화소 영역에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1 화소 영역의 제2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영역은, 상기 제1 화소 영역과 상기 제3 화소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영역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의 일측에 복수 개가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 단위로 발광 및 비발광을 반복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은, 제1 화소 유닛들을 각각 포함하는 제1 화소 그룹 및 제2 화소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각각 다수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화소 그룹 및 상기 제2 화소 그룹은, 교번적으로 발광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청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화소 유닛들은, 적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녹색으로 발광하는 하나의 제1 화소,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두 개의 제1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전체적으로 발광된 후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화소 영역의 제1 화소들은, 상기 제2 화소 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화소 행부터 상기 제2 화소 영역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화소 행까지 차례대로 비발광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3 서브 화소 영역은 블랙이 표시되며, 상기 제3 화소 영역의 제4 서브 화소 영역에는 더미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진입되고, 상기 표시 장치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진입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70019533A 2017-02-13 2017-02-13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662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ko) 2017-02-13 2017-02-13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5/885,611 US10916191B2 (en) 2017-02-13 2018-01-3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1810149807.XA CN108735159B (zh) 2017-02-13 2018-02-13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EP18156542.5A EP3361470B1 (en) 2017-02-13 2018-02-1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7/170,554 US11423836B2 (en) 2017-02-13 2021-02-08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ko) 2017-02-13 2017-02-13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177A true KR20180094177A (ko) 2018-08-23
KR102662906B1 KR102662906B1 (ko) 2024-05-08

Family

ID=634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533A KR102662906B1 (ko) 2017-02-13 2017-02-13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152A (ko) * 2019-06-05 2020-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176U (ko) * 1990-03-08 1991-11-27
KR20080095810A (ko) * 2007-04-24 2008-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10037784A1 (en) * 2008-06-27 2011-02-17 Makoto Shiomi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program
US20110292008A1 (en) * 2005-07-29 2011-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4098890A (ja) * 2012-10-16 2014-05-29 Canon Inc 表示装置、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26584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5176U (ko) * 1990-03-08 1991-11-27
US20110292008A1 (en) * 2005-07-29 2011-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80095810A (ko) * 2007-04-24 2008-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10037784A1 (en) * 2008-06-27 2011-02-17 Makoto Shiomi Control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crystal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for program
JP2014098890A (ja) * 2012-10-16 2014-05-29 Canon Inc 表示装置、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26584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 가능한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152A (ko) * 2019-06-05 2020-1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906B1 (ko)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3739A1 (en) Display device
JP2018097360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997585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of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33982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186204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622312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761407B (zh) 顯示裝置
JP4033166B2 (ja) 電子回路、そ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80122525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8470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8112741A (ja) 表示装置
US10636354B2 (en) Display element, method for driving display elemen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o display image with reduced luminance unevenness
CN103093702B (zh) 显示面板、显示单元和电子单元
KR20180083237A (ko) 표시 장치
KR102662906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423836B2 (en)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qualit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305537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35777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21015211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929036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088640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0177177A (ja) 表示装置、oledの劣化補償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