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50A -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50A
KR20180093650A KR1020170020035A KR20170020035A KR20180093650A KR 20180093650 A KR20180093650 A KR 20180093650A KR 1020170020035 A KR1020170020035 A KR 1020170020035A KR 20170020035 A KR20170020035 A KR 20170020035A KR 20180093650 A KR20180093650 A KR 20180093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user
pairing
vibration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837B9 (ko
KR102192837B1 (ko
Inventor
추현승
김대천
박동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8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837B1/ko
Publication of KR10219283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83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 진동 센서 모듈, 페어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진동 센서 모듈을 통해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기 위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DEVICE AND METHOD OF WIRELESS USER FOR PAIRING}
본 발명은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해당 단말과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단말이 페어링을 수행할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타 무선 사용자 단말에 승인을 요청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승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페어링을 수행하기 전 연결하는 두 단말의 블루투스 장치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페어링 전 페어링 될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의 블루투스 장비를 등록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단말에 포함된 블루투스 장치가 Wi-Fi 모듈과 같은 통신 모듈과 충돌되어 데이터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NFC 기반의 페어링 기법은 단말이 페어링할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그(tag)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NFC 기반 페어링 기법은 블루투스 기반 페어링 기법에 비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NFC 기반 페어링 기법은 가까운 거리에 인접한 단말간의 페어링만 지원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825호(발명의 명칭: "더미 단말을 이용하여 두 단말을 페어링하는 방법")는 더미 단말을 이용하여 두 단말을 페어링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유닛을 통하여 발생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 진동 센서 모듈, 페어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진동 센서 모듈을 통해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하면,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기 위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단말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페어링 방법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기초한 진동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브로드케스트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진동 감지 메시지에 기초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는 단계; 및 페어링이 설정된 이후에, 페어링된 스마트 단말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진동 감지 메시지는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이 진동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생성하여 전달한다.
본 발명은 진동 유닛을 통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진동 유닛을 통하여 발생하는 진동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사용자 단말의 그룹에 대한 페어링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블루투스 장치에 대한 검색 및 등록 절차 없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NFC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먼 거리의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페어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NFC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페어링 가능한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센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에서의 페어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기초한 진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페어링 된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한다.
이때,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PC 및 노트북, 스마튼 폰 및 테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30), 진동 센서 모듈(240), 메모리(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모듈(210) 및 입력 모듈(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 모듈(230)은 무선랜 근거리 통신망 연결이 가능한 Wi-Fi 모듈일 수 있다.
메모리(250)는 페어링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25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진동 센서 모듈(240)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위한 진동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센서 모듈(240)은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200)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형 진동 센서 모듈이거나, 무선 사용자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일 수 있다. 또는, 진동 센서 모듈(240)은 진동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센서 모듈(24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진동 센서 모듈(240)은 도 3과 같은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진동 센서 모듈(240)은 진동 유닛(300), 전원 유닛(310) 및 제어 유닛(320)을 포함한다.
진동 유닛(300)은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유닛(300)은 진동 모터(vibration motor)일 수 있다.
전원 유닛(310)은 진동 유닛(300) 및 제어 유닛(320)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 유닛(310)은 배터리이거나,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전원 유닛(310)과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어 유닛(320)은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을 수신하고, 진동 유닛(300)을 통하여, 진동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3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26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20)은 Arduino에 포함된 마이크로프로세서(26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진동 센서 모듈(240)은 도 3의 구성요소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인 경우,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60), 메모리 및 타 유닛에 대한 연결자 등을 포함하는 보드(board)를 제어 유닛(320)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320)은 Arduino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20)은 소형 센서 모듈을 위한 Arduino Gemma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20)에 포함된 메모리는 미리 정의된 주파수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미리 정의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주파수는 2Hz, 4Hz 및 6H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은 제어 유닛(320)과 연결된 3.7V 배터리를 전원 유닛(310)으로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은 진동 유닛(300)으로 제어 유닛(320)과 연결된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외장형 센서 모듈은 제어 유닛(320), 진동 유닛(300) 및 전원 유닛(310)이 결합된 후,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외장형 진동 센서 모듈은 진동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튼은 무선 사용자 단말 간의 페어링을 수행할 사용자가 진동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버튼은 도 4의 (c)와 같이 물리 버튼이거나,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감압 터치식 버튼 또는 가상 버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제 1 단말(110)과 연결된 진동 센서 모듈(240)은 진동 센서 모듈(240)에 포함된 진동 유닛(300)을 통하여 진동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단말(110)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진동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는 2Hz, 4Hz 및 6Hz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200)이 복수인 경우, 각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상이하도록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제 1 단말(110)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는 제 1 단말(110)의 인근에 위치하는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 1 단말(110)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말(110)과 페어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제 2 단말(120)은 제 1 단말(110)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단말(120)은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진동 센서 모듈을 통하여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단말(120)은 주변에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 센서 모듈을 통하여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 2 단말(120)은 제 2 단말(120)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제 2 단말(120)은 제 1 단말(110)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감지하면, 감지된 진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말(120)은 진동 데이터를 변환하여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120)은 수신한 진동 데이터에 하이 패스 (high pass) 및 로우 패스(low pass) 필터(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말(120)은 필터가 적용된 진동 데이터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수행하여 해당 진동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단말(120)은 진동 감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 메시지는 제 2 단말(120)의 식별자가 포함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2 단말(120)은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진동 감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제 2 단말(120)이 브로드캐스트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말(110)은 진동 감지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단말(120)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 2 단말(120)과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20) 간의 페어링을 완료한 이후, 제 1 단말(110) 및 제 2 단말(120)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여, 페어링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제 1 단말(110)에 대응하는 진동 센서 모듈(240)은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에 진동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단말(120)로부터 진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단말(12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말(110)은 제 2 단말(120)과 페어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3 단말(130)로부터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110)은 제 2 단말(120)과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제 3 단말(130)과의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 1 단말(110)은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과 각각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단말(110)과 제 2 단말(120) 간의 페어링 및 제 1 단말(110)과 제 3 단말 간의 페어링은 동일한 주파수에 기초하여 설정된 것이므로 제 1 단말(110)과의 페어링을 통하여,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20) 간의 페어링 역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은 동일한 페어링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3 단말(130)은 별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장치 또는 서버가 없이도, 해당 페어링 그룹 내의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110)이 제 1 단말에 저장된 회의자료를 해당 페어링 그룹에 공유하면, 해당 페어링 그룹에 포함된 제 2 단말 및 제 3 단말은 제 1 단말에 저장된 회의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사용자 단말(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 사용자 단말(200)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진동 센서 모듈(240)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진동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주파수는 2Hz, 4Hz 및 6Hz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브로드케스트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진동 감지 메시지는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이 해당 진동 데이터를 감지한 이후 생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 메시지는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브로드케스트하는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은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200)과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진동 감지 메시지에 기초하여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진동 감지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60)가 수신하는 진동 감지 데이터 또는 페어링된 무선 사용자 단말(200)과 교환하는 데이터는 OSC(open sound control)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프로세서(26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에 페어링 완료 메시지 및 페어링된 단말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페어링된 무선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진동 감지 데이터는 식별자와 함께,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이 감지한 주파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60)는 진동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및 진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진동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주파수 및 진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진동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자에 해당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200)의 프로세서(260)는 진동 센서 모듈(240)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데이터의 변환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260)는 변환이 모두 포함되도록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진동 데이터로부터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60)는 진동 데이터에 대한 고속 푸리에 변환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진동 데이터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필터는 하이 패스 및 로우 패스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전처리된 진동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주파수가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해당하면, 해당 무선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되도록 진동 감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생성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OSC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진동 감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60)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 되었거나,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단말에 진동 감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
진동 데이터를 수신한 무선 사용자 단말(200)이 해당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페어링을 설정하면, 프로세서(260)는 페어링된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페어링된 무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프로세서(260)는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진동 데이터를 통하여 페어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입력 모듈(220)을 통하여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220)은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6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에 기초하여 진동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페어링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200)에서의 페어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한다(S500).
그리고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 설정을 위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출력한다(S510).
또한,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사용자 단말(200)은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사용자 단말(200) 및 단말(200)의 페어링 방법은 진동 유닛을 통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사용자 단말(200) 및 단말(200)의 페어링 방법은 진동 유닛을 통하여 발생하는 진동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사용자 단말의 그룹에 대한 페어링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사용자 단말(200) 및 단말(200)의 페어링 방법은 종래의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블루투스 장치에 대한 검색 및 등록 절차 없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이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사용자 단말(200) 및 단말(200)의 페어링 방법은 종래의 NFC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먼 거리의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무선 사용자 단말(200) 및 단말(200)의 페어링 방법은 블루투스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페어링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NFC 기반의 페어링 방법에 비하여, 페어링 가능한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무선 사용자 단말 210: 디스플레이 모듈
220: 입력 모듈 230: 통신 모듈
240: 진동 센서 모듈 250: 메모리
260: 프로세서

Claims (10)

  1. 무선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통신 모듈,
    진동 센서 모듈,
    페어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진동 센서 모듈을 통해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기 위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진동 데이터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고, 상기 필터가 적용된 진동 데이터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를 감지하는 것이되,
    상기 필터는 하이 패스 필터 및 로우 패스 필터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무선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타 무선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를 전달한 복수의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설정하고, 상기 페어링이 설정된 복수의 무선 사용자 단말이 포함되도록 페어링 그룹을 생성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OSC(open sound control)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상기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
  8. 무선 사용자 단말에서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을 감지함에 따라,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 설정을 위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타 무선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동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진동 감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타 무선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사용자 단말의 페어링 방법.
  10.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20035A 2017-02-14 2017-02-14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KR10219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35A KR102192837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35A KR102192837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50A true KR20180093650A (ko) 2018-08-22
KR102192837B1 KR102192837B1 (ko) 2020-12-18
KR102192837B9 KR102192837B9 (ko) 2023-06-09

Family

ID=6345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35A KR102192837B1 (ko) 2017-02-14 2017-02-14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124B1 (ko) * 2022-08-04 2023-05-26 (주)이씨스 복수의 ble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시키는 ble 장치 복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73A (ko) * 2015-06-25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73A (ko) * 2015-06-25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124B1 (ko) * 2022-08-04 2023-05-26 (주)이씨스 복수의 ble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시키는 ble 장치 복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837B9 (ko) 2023-06-09
KR102192837B1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7758B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及终端
EP3944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two devices
US9699579B2 (e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follow me
US110794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and location
US10591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ireless range
KR20160063041A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9001627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Wi-Fi 다이렉트 그룹 형성 방법
WO2022089030A1 (zh) 网络接入方法和系统
CN10925733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密码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
KR102600894B1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TW202040158A (zh) 用於被動位置測距中基於相移的到達時間回報的系統和方法
US11228890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28321A (ko) 거리 측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14690B1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9413759B (zh) 一种用于进行无线连接的方法与设备
US11647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NAN protocol-based network environment
US20160065410A1 (en) System and method of peer device diagnosis
US20160028726A1 (en) Device to Device User Service Sharing Using Shared Trusted ID
JP2015119425A (ja)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6090150B2 (ja)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33174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mediating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US9882396B2 (en) Non-contact typ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KR102192837B1 (ko) 무선 사용자 단말 및 단말의 페어링 방법
JP2015144402A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US11509504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sitioning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