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20A -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 Google Patents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20A
KR20180093420A KR1020170019467A KR20170019467A KR20180093420A KR 20180093420 A KR20180093420 A KR 20180093420A KR 1020170019467 A KR1020170019467 A KR 1020170019467A KR 20170019467 A KR20170019467 A KR 20170019467A KR 20180093420 A KR20180093420 A KR 2018009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ridge
cushioning material
concrete slab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70019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420A/en
Publication of KR2018009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which supports a load applied to a floor buffer material layer from a finishing mortar layer through a bridge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a floor shock sound through a space formed in the bridge. The floor structure comprises: a concrete slab; a floor buffer material formed on the concrete slab to reduce a floor shock sound; finishing mortar deposited on the floor buffer material layer; and at least one bridge contained in the floor buffer material to support a load applied from the finishing mortar.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0001]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0002]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슬라브 상의 설치된 브릿지를 통해 바닥 완충재층이 마감몰탈층으로 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브릿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바닥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and in particular, through a bridge installed on a concrete slab, a floor cushioning layer supports a load received from a finishing mortar layer and reduces a floor impact sound through a space formed inside the bridge To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layer nois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에서의 바닥 충격음은 흔히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된다. 의자가 끌리는 소리, 수저가 떨어지는 소리, 가벼운 발걸음 소리 등의 경량 충격음은 기존의 건축물 구조에서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In general, floor impact noise in apartment buildings, especially apartments, is often divided into light impact sound and heavy impact sound. Lightweight impact sound, such as the sound of a chair being pulled, the sound of falling a spoon, the sound of a light foot, etc., can be sufficiently absorbed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is not a problem for people's daily life.

그러나 아이들이 바닥에서 뛸 때 나는 소리, 무거운 물체가 바닥에 떨어질 때 나는 소리와 같은 중량 충격음은 그대로 아래층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층간 소음은 입주민 상호간의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However, the heavy impact sound, such as the noise of children playing on the floor and the sound of heavy objects falling to the floor, is transmitted downstairs as it is. Such interstory noise also causes disputes among residents.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층과 연결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공동주택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건물 골조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축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interlayer noise of the apartment house, it is conceiva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connected to the lower layer.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is increased, the load of the apartment house itself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must be increased.

그래서 종래에는 아래층과 연결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와 마감몰탈 사이에 기포 콘크리트와 차음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 method of using air-foam concrete and sound insulating material between a concrete slab and a finishing mortar is proposed as a method for prevent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apartment building while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connected to the lower layer.

그러나 기포 콘크리트는 양생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 전체 시공기간을 늘이고 있으며, 차음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고무 재질 등은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만족할 만한 소음 차단의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foamed concrete has a long period of time required for curing and thus extends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Styrofoam, ethyl vinyl acetate, or rubber materials used as sound insulating materials have some effects but fail to provide a satisfactory sound insulation effec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7335호 (공개일자 2016.02.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7335 (published date 2016.02.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설치된 바닥 완충재층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바닥 완충재를 보완하여 층간소음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while reducing the deformation of a floor cushioning layer disposed on a concrete slab and supplementing a floor cushioning material.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형성되며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바닥 완충재와, 상기 바닥 완충재층 상에 타설되는 마감몰탈과, 상기 바닥 완충재에 포함되어 상기 마감몰탈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noise, the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concrete slab; a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med on the concrete slab to reduce a floor impact sound; A finishing mortar and at least one bridge included in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and supporting a load received from the finishing mortar.

상기 브릿지는 바닥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may include an inner space portion for reducing floor noise.

또한, 상기 브릿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방진 고무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 고무마개는 상면에 일정한 너비와 깊이로 파여진 공간 패턴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덮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may further include a pipe and a vibration-proof rubber stopper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respectively. The vibration-stopper rubber stopper may include a body defining a space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nd a cap covering the top surface.

상기 내부 공간부는 상기 파이프 내부의 중공부에 형성된 제1공간부와 상기 공간 패턴에 의한 제2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간 패턴은 원형, 직선형, 및 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inner spac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pace portion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pipe and a second space portion formed by the spatial pattern, and the spatial pattern may be circular, straight, or point.

본 발명에 다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설치된 브릿지를 통해 바닥 완충재층이 마감몰탈층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바닥 완충재층의 변형에 따른 완충기능 상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or cushioning layer supports the load received from the finish mortar layer through the bridg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shioning loss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loor cushioning layer have.

또한, 브릿지 자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완충재층에 의한 층간소음 차단 이외 추가적으로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층간 소음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bridge itself,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impact noise in addition to the interlayer noise blocking by the buffering material layer,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브릿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구조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sectional view of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에서, 일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 또는 층이 개재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요소가 다른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요소 또는 층이 개재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항목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And includes the case where another element or layer is interpose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no other element or layer is intervening.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물의 바닥구조(이하, '바닥구조'라 한다)는 콘크리트 슬라브(10), 측면 완충재(20), 바닥 완충재(30), 및 마감몰탈(40), 및 브릿지(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slab 10, a side cushioning material 20, a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and a finishing mortar (not shown) 40, and a bridge 50.

콘크리트 슬라브(10)는 건물의 벽(15)에 붙어 있는 판(板)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건물의 층간 구획을 나누고 소음 저감 및 단열 역할을 한다. The concrete slab 10 is a plate-like concrete structure attached to a wall 15 of a building. The concrete slab 10 divides the inter-story compartment of the building and serves as noise reduction and insulation.

측면 완충재(20)는 건물 벽(15)에 밀착되어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설치된다. 측면 완충재(20)는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물의 바닥과 벽을 타고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시공의 용이성과 단열 및 차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폴리에틸렌 폼 또는 XPS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building wall 15.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can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by the floor and the wall of the buil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construction,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ny one material.

다만, 측면 완충재(20)의 재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모두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material of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include all materials capable of absorbing shocks and vibrations.

측면 완충재(20)는 적어도 2 이상의 측면부를 포함하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측면 완충재(2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측면부(21) 및 제2측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may have a stepped shape including at least two side portions. For example,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may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21 and a second side portion 22 having different heights.

바닥 완충재(30)는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서 측면 완충재(20)의 제1측면부(21)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바닥 완충재(30)는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직접적으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may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10 at a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21 of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may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바닥 완충재(20)는 질석, 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스티로폼(polystyrene foam), 우드칩(woodchip), 펄라이트(ferrite), 고무칩, 규조토 등과 같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by itself such as vermiculite, polyurethane foam, polystyrene foam, woodchip, pearlite, rubber chip, diatomaceous earth and the like.

특히, 질석은 흑운모가 풍화되어 생성되는 광물로써, 열을 가하면 팽창하여 내부에 여러가지 형태의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공을 통해 자체 탄성을 갖게 되며 흡음 및 방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vermiculite is a mineral produced by weathering of biotite. When heated, it expands to form various types of pores inside. These pores provide self-elasticity, and can perform sound-absorbing and sound-insulating functions.

실시 예에 따라 질석을 바닥 완충재(20)로 이용할 경우,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높은 고온을 가하여 팽창질석(expanded vermirculite)을 형성한 후, 팽창질석을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깔고 경화재를 분무한 후 양생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When vermiculite is used as the floor cushion material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vermiculite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the expanded vermiculite is formed by applying a high temperature to the expanded vermiculite. The expanded vermiculite is laid on the concrete slab 10 The hardening material is sprayed and cured.

마감몰탈(40)은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것으로서 바닥 완충재(30) 상에 타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감몰탈(40)은 바닥 완충재(30) 상에서 측면 완충재(20)의 제2측면부(22) 높이까지 타설될 수 있다. The finishing mortar 40 may be laid on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by kneading cement and sand with water. Specifically, the finish mortar 40 may be laid up to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portion 22 of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on the floor cushion 30.

바닥 완충재(30)의 상부에는 상수도를 가구별로 공급하고 버려지는 폐수를 집하장에 모으는 배관(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마감몰탈(40)로 배관을 충분히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A piping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to supply tap water to individual households and collect wastewater to be collected in the collection h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ing is sufficiently covered with the finishing mortar 40 to maintain the aesthetic appearance without exposing the piping to the outside.

또한, 마감몰탈(40)을 포함한 다른 구조들을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며 건물의 바닥 외양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마감몰탈(40) 상부에 마감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Finishes (not shown) may also be provided on top of the finish mortar 40 to protect other structures, including the finish mortar 40, from external influences and enhance the floor appearance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닥구조는 위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측면 완충재(20), 바닥 완충재(30), 및 마감몰탈(40)이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 완충재(3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는 바닥구조의 특정 단면에서 나타난 두 개의 브릿지(5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의 면적 및 브릿지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Th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and the finishing mortar 40 on the concrete slab 10, And at least one bridge 50 having a space portion therein. For example, although FIG. 1 shows two bridges 50 that are shown in a specific cross-section of the floor structure, the bridges 5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floor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bridge.

실시 예에 따라, 브릿지(50)는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바닥 완충재(30)의 내부에 포함되어 설치됨으로써, 바닥 완충재(30)가 마감몰탈(40) 등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브릿지(50)는 바닥 완충재(30)가 하중에 의한 압축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완충재로써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ridges 50 are arranged on the concrete slabs 10 at regular intervals and included in the interior of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so that the load of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received from the finish mortar 4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ridge 50 prevents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from being deformed due to compression due to a load, and makes it possible to retain the function of the cushioning material for a long time.

실시 예에 따라, 브릿지(50)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바닥 완충재(30)의 층간소음 차단 기능을 보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는 보다 효과적으로 바닥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idge 50 forms a space therein, thereby assisting the interlayer noise isolation function of the floor cushion material 30, so that th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eliminate floor noise do.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5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bridg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브릿지(50)는 파이프(53)와 파이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방진 고무마개(55)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bridge 50 may include a pipe 53 and a vibration-proof rubber stopper 55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respectively.

파이프(53)는 중공부(51a)가 형성된 관(管)이나 튜브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파이프(5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 등의 재질로 된 원형 파이프일 수 있으나, 파이프(53)의 재질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ipe 53 may mean a pipe or a tube having the hollow portion 51a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ipe 53 may be a circular pip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VC as shown in FIG. 2, but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pipe 53 are not limited thereto.

파이프(53)의 중공부(51a) 상부와 하부에는 한쌍의 방진 고무마개(55)가 각각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파이프(53) 내부의 중공부(51a) 중 일부가 남겨져 제1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A pair of vibration-proof rubber stoppers 55 may be respective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portion 51a of the pipe 53 by fitting or the like. At this time, a part of the hollow portion 51a in the pipe 53 is left, 1 space.

방진 고무마개(55)는 파이프(53)와 결합되는 몸체(56)와 몸체(56)의 상면(57)을 덮는 캡(58)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오프렌 등의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vibration damping rubber stopper 55 may include a body 56 coupled to the pipe 53 and a cap 58 covering the upper surface 57 of the body 56. The vibration damping rubber stopper 55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ubber material such as neoprene have.

몸체(56)의 상면(57)에는 일정한 너비와 깊이로 파여진 공간 패턴(51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패턴(51b)은 몸체(56)의 상면(57) 중심부로부터 형성된 동심원 모양의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공간 패턴(51b)의 너비와 깊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을 수 있다.The upper surface 57 of the body 56 may be formed with a space pattern 51b that is waved with a certain width and dept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pace pattern 51b may be a concentric pattern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57 of the body 56. Here, the width and depth of the space pattern 51b may have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공간 패턴(51b)이 형성된 몸체(56)의 상면(57)으로 캡(58)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방진 고무마개(55)는 공간 패턴(51b)에 의해 제2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The cap 58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57 of the body 56 on which the space pattern 51b is formed so that the vibration proof rubber stopper 55 forms the second space portion by the space pattern 51b.

방진 고무마개(55)의 캡(58)은 콘크리트 슬라브(10) 및 마감몰탈(40)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브릿지(50)의 전체 높이는 바닥 완충재(30)가 설치되는 측면 완충재(20)의 제1측면부(21) 높이와 같도록 제작될 수 있고, 브릿지(50)의 측면부 전체가 바닥 완충재(30)에 의해 에워싸지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The cap 58 of the anti-vibration rubber stopper 55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lab 10 and the finish mortar 40, respectively. The overall height of the bridge 50 can be made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21 of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on which the floor cushion 30 is installed and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bridge 50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loor cushion 3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브릿지(50)는, 중공부(51a)에 형성된 제1공간부와 파이프(53) 상부 및 하부의 공간 패턴(51a) 각각에 형성된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부(51)를 구비함으로써, 바닥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bridge 50 has the internal space portion 51 including the first space portion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51a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formed in each of the space patterns 51a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53 So that the floor noise can be absorbed.

또한, 브릿지(50)가 바닥 완충재(30) 내부에 포함되고, 하부와 상부가 각각 콘크리트 슬라브(10) 및 마감몰탈(40)과 맞닿아 있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마감몰탈(40) 등으로 받는 하중을 지지하여 바닥 완충재(30)의 변형으로 인한 완충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The bridge 50 is installed inside the floor cushion 30 and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are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lab 10 and the finishing mortar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buffering performanc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by supporting the loa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브릿지의 사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60)는 파이프(53)와 방진 고무마개(6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릿지(60)는 방진 고무마개(66)의 몸체 상면(67)에 형성된 공간 패턴(61)의 모양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브릿지(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bridge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pe 53 and a dustproof rubber stopper 66. That is, the bridge 6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bridge 50 shown in FIG. 2,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pace pattern 61 formed on the body upper surface 67 of the anti-vibration rubber stopper 66 .

예컨대, 공간 패턴(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행 직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직선의 간격, 및 너비와 깊이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atial pattern 6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allel straight lines as shown in FIG. The spacing, width, and depth of each straight line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70)는 파이프(53)와 방진 고무마개(7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릿지(60)는 방진 고무마개(76)의 몸체 상면(77)에 형성된 공간 패턴(71)의 모양을 제외하면, 도 2에 도시된 브릿지(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ridge 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pe 53 and a dustproof rubber stopper 76. That is, the bridge 6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bridge 50 shown in Fig. 2,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pace pattern 71 formed on the body upper surface 77 of the anti-vibration rubber stopper 76 .

예컨대, 공간 패턴(71)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된 복수의 도트(dot)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도트사이의 간격, 및 도트의 모양과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atial pattern 7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t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the dots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dots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러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공간 패턴(51b, 61, 및 71)은 각각 서로 다른 소음 종류(예컨대, 특정 파장 또는 데시벨)에 대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The spatial patterns 51b, 61, and 71 shown in FIGS. 2 to 4 can exhibit optimum performance for different noise types (for example, specific wavelengths or decibel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바닥구조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면과 건물의 벽(15)에 각각 접차도록 측면 완충재(20)를 부착할 수 있다(S10).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struction procedure of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10 and the building wall 15, respectively (S10).

측면 완충재(20)는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물의 바닥과 벽(15)을 타고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완충재(20)는 2 이상의 측면부를 갖는 계단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측면 완충재(20)는 제1측면부(21)와 제2측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serves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floor and the wall 15 of the building.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may be formed in a stepped shape having two or more side portions. For example,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may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21 and a second side portion 22.

측면 완충재(20)가 부착된 후,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브릿지(50)를 설치할 수 있다(S20). 브릿지(5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라브(20) 상에 배열될 수 있다.After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is attached, a bridge 50 can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10 (S20). The plurality of bridges 50 may be provided, and the bridges 50 may be arranged on the concrete slabs 20 at regular intervals.

브릿지(50)의 전체 높이는 제1측면부(21) 높이와 같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브릿지(50)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overall height of the bridge 50 may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21, and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bridge 50.

브릿지(50)가 설치된 후,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바닥 완충재(30)를 시공할 수 있다(S30). 바닥 완충재(30)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써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After the bridge 50 is installed,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can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10 (S30).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may be any material having self-elasticity so as to reduce the floor impact sound.

예컨대, 바닥 완충재(30)는 흑운모가 풍화되어 생성되는 광물인 질석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높은 고온을 가하여 팽창 질석을 제조한 후, 팽창 질석을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깔고 경화재를 분무하여 바닥 완충재(30)를 양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can be formed using vermiculite, which is a mineral produced by weathering biotite. In this case, after the vermiculite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a high temperature is applied to the expanded vermiculite, the expanded vermiculite is laid on the concrete slab 10 and the hardener is sprayed to cure the floor cushion 30.

이러한 질석 재질의 바닥 완충재(30)를 시공하는 시간은 기포 콘크리트와 차음재를 함께 시공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매우 짧다. 즉, 종래 기포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약 4일인 것에 반하여 질석 재질의 바닥 완충재(30)의 양생기간은 24시간에 불과하다.The time for constructing the floor cushion material 30 of the vermiculite material is much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foam concrete an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together. That is, the curing period of the conventional foamed concrete is about 4 days, whereas the curing period of the floor material 30 of the vermiculite material is only 24 hours.

이때, 바닥 완충재(30)는 측면 완충재(20)의 제1측면부(21) 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브릿지(50)의 상부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즉, 브릿지(50)의 하부와 상부는 각각 콘크리트 슬라브(10) 및 마감몰탈(40)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is formed up to the height of the first side portion 21 of the side cushioning material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50 are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lab 10 and the finishing mortar 40, respectively.

바닥 완충재(30)가 시공된 후, 마감몰탈(40)을 바닥 완충재(30) 상에 타설할 수 있다(S40). 이때, 마감몰탈(40)은 측면 완충재(20)의 제2측면부(22) 높이까지 타설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마감몰탈(40) 상에는 마감재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After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is applied, the finish mortar 40 may be laid on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S4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 mortar 40 is pushed up to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 portion 22 of the side damping material 20. Thereafter, a finishing material or the lik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inishing mortar 40.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한 바닥구조는 종래의 기포 콘크리트층을 대체하여 바닥 완충재(30)와 브릿지 내부의 공간부(51)를 통해 바닥 충격음을 흡수하는 특징이 있으며, 시공방법이나 성능면에서 종래보다 월등한 효과를 갖는다.The bottom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has a feature of absorbing the floor impact sound through the floor cushion 30 and the space 51 inside the bridge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foam concrete layer. And has a superior effect.

또한, 브리지(50)가 마감몰탈(40) 등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바닥 완충재(30)의 압축 변형으로 인한 소음차단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by supporting the load of the finishing mortar 40 or the like, the bridge 50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noise shielding function due to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3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콘크리트 슬라브
15 : 건물 벽
20 : 측면 완충재
21 : 제1측면부
22 : 제2측면부
30 : 바닥 완충재
40 : 마감몰탈
50, 60, 70 : 브릿지
51 : 공간부
51a : 중공부
51b, 61, 71 : 공간 패턴
53 : 파이프
55 : 방진 고무마개
56, 66, 76 : 몸체
58 : 캡
10: Concrete slab
15: Building wall
20: side cushioning material
21: first side portion
22: second side portion
30: Floor cushioning material
40: Finishing mortar
50, 60, 70: Bridge
51: space portion
51a: hollow portion
51b, 61, 71: Space pattern
53: Pipe
55: Rubber stoppers
56, 66, 76: Body
58: Cap

Claims (5)

콘크리트 슬라브;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형성되며 바닥 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바닥 완충재;
상기 바닥 완충재층 상에 타설되는 마감몰탈; 및
상기 바닥 완충재에 포함되어 상기 마감몰탈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Concrete slab;
A floor cushioning material formed on the concrete slab to reduce a floor impact sound;
A finishing mortar disposed on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layer; And
And at least one bridge included in the floor cushion and supporting a load received from the finishing mort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바닥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idge includes an internal space for reducing floor noi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방진 고무마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 고무마개는 상면에 일정한 너비와 깊이로 파여진 공간 패턴을 형성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덮는 캡을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idge further comprises a pipe and an anti-vibration rubber stopper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The vibration damping rubber stopper includes a body forming a spatial pattern of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ap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부는 상기 파이프 내부의 중공부에 형성된 제1공간부와 상기 공간 패턴에 의한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ternal space portion includes a first space portion formed in a hollow portion inside the pipe and a second space portion formed in the space patter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패턴은 원형, 직선형, 및 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atial pattern is any one of circular, rectilinear, and pointed.
KR1020170019467A 2017-02-13 2017-02-13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KR201800934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67A KR20180093420A (en) 2017-02-13 2017-02-13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67A KR20180093420A (en) 2017-02-13 2017-02-13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20A true KR20180093420A (en) 2018-08-22

Family

ID=6345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67A KR20180093420A (en) 2017-02-13 2017-02-13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4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30B1 (en) * 2019-05-07 2019-07-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loor-to-floor noise reduction device in apartment ho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335A (en) 2014-08-05 2016-02-16 한영민 A concrete structr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335A (en) 2014-08-05 2016-02-16 한영민 A concrete structr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30B1 (en) * 2019-05-07 2019-07-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loor-to-floor noise reduction device in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KR100671455B1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2342880B1 (en) Floor Construction Method to Prevent Noise Between Floor
KR20190076174A (en) Floor noise prevention, mesh airball
KR101683055B1 (en) Floor slab with absorbing part for impact sound
KR20180029335A (e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KR101000406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1929628B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0770004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building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1828708B1 (en) Constru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interlayer noise reduction
KR20150107192A (en) Mat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101479167B1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100998282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20180093420A (en)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inter layer noise
KR100750890B1 (en)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KR20180025420A (en) Noise reduction method between floor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using composite mortar with improved sound insulation and sound absorption
KR101979346B1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between floor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KR101892663B1 (en) Structure for isolating floor impact sound in community houses
KR101183908B1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200378497Y1 (en) Concrete floor soundproof materials
KR100730094B1 (en) Construction to sound insulation of floor impact noise
KR101514972B1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200378892Y1 (en) prevention structure for floor impact noise of building
KR100705845B1 (en)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