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335A -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 Google Patents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335A
KR20180029335A KR1020160117047A KR20160117047A KR20180029335A KR 20180029335 A KR20180029335 A KR 20180029335A KR 1020160117047 A KR1020160117047 A KR 1020160117047A KR 20160117047 A KR20160117047 A KR 20160117047A KR 20180029335 A KR20180029335 A KR 20180029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material
base member
floor
building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6011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335A/en
Publication of KR2018002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3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which has a floor buffer material made of vermiculite in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to prevent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is formed to more effectively prevent noise generated from an upper floor of a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a lower floor with a side buffer material formed in the shape of stairs. Moreover, a sound insulation structure can be conveniently formed with only a floor buffer material made of an expansion vermiculite material to shorten construction time with respect to the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reduce costs of various materials required for sound insulation structure facilities.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floor noise,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부재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로 된 바닥 완충재를 구비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including a floor cushioning member having a structure of a base member and a fram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특히 아파트에서의 바닥 충격음은 흔히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으로 구분된다. 의자가 끌리는 소리, 수저가 떨어지는 소리, 가벼운 발걸음 소리 등의 경량 충격음은 기존의 건축물 구조에서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In general, floor impact noise in apartment buildings, especially apartments, is often divided into light impact sound and heavy impact sound. Lightweight impact sound, such as the sound of a chair being pulled, the sound of falling a spoon, the sound of a light foot, etc., can be sufficiently absorbed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is not a problem for people's daily life.

그러나 아이들이 바닥에서 뛸 때 나는 소리, 강한 물체를 바닥에 떨어질 때 나는 소리와 같은 중량 충격음은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층간 소음은 입주민 상호간의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However, when children play on the floor, heavy sounds such as the sound of a strong object dropping to the floor are transmitted downstairs. Thus, such interstory noise also causes disputes among residents.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층과 연결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공동주택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건물 골조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건축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interlayer noise of the apartment ho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connected to the lower layer.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is increased, the load of the apartment house itself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must be increased.

그래서 종래에는 아래층과 연결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층의 두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는 차음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Therefore, a method of using a sound insulating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apartment house while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slab layer connected to the lower layer is proposed.

일례로 스티로폼으로 된 차음재가 널리 쓰이는데, 스티로폼으로 된 차음재는 스티로폼 자체가 가지는 차음 효과는 적어서 차음재로서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a sound insulating material made of styrofoam is widely use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made of styrofoam has a problem in that the sound insulating effect of the styrofoam itself is small and the performance as a sound insulating material is deteriorated.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7335호(공개일자 2016. 02. 16)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17335 (published on Feb. 16, 2016)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구조에 합성수지로 된 바닥재 대신, 질석으로 된 바닥완충재를 설치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floor-to-ceiling noise in which a floor cushion made of vermiculite is installed in place of a floor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in a floor structure of a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바닥완충재 측면에 계단 형상의 측면완충재를 설치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floor noise by providing a step-like side buffer material on the side of a floor cushion material.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은 (a)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건물의 벽면 각각에 접하도록 제1 완충재를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 중 상기 제1 완충재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로 덮는 단계; (e) 상기 제2 완충재에 경화재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완충재를 양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제2 완충재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및 (g) 상기 모르타르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the method comprising: (a) attaching a first cushioning material to contact at least a part of an upper surface of a concrete slab and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 (b) installing at least one base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c) install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the base member; (d)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except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attached, the base member and the frame with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vermiculite; (e) spraying a hardener onto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cur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f) placing a mortar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g) installing a finishing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상기 제1 완충재는, 제1, 2, 3 챌판부; 및 제1, 2, 3 디딤판;을 포함하는 계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uffer material comprises first, second and third take-up plates; And a step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treads.

상기 모르타르는 상기 제2 완충재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디딤판에 상기 제2 챌판부의 높이만큼 타설되고, 상기 마감재는 상기 모르타르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디딤판에 상기 제3 챌판부의 높이만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ortar is pour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uffer material and the first tread plate by a height of the second riser plate portion and the finish material compri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and a portion of the third take-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완충재의 챌판부 중에서 상기 제2 완충재가 접촉하는 제1 챌판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eight of a first take-up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buffer material among the take-up plate portions of the first buffer material is the highest.

상기 제1 완충재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XPS(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uffer material is one of polyethylene foam or 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XPS).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고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거나 혹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다른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member is hollow and has one or more grooves formed on its outer surface, wherein the frame has one end joined to the groove of one of the base members,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groove of another base member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XPS(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member and the frame are characterized by being one of polyethylene foam or 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XPS).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계단 형상으로 된 측면 완충재에 의하여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직접적으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form a floor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building which effectively blocks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by the stepwise- shaped side cushioning material.

또한, 팽창 질석 재질의 바닥 완충재만으로도 간단하게 차음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바닥구조 설비에 들어가는 여러 자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ound insulating structure can be easily formed only by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of the expanded veneer, the entir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cost of various materials in the floor structure facility can be reduced.

나아가,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베이스 부재 및 프레임과 같은 추가적인 바닥 완충재를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의 영향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an additional floor cushioning material such as a base member and a frame on the concrete slab,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floor can be further alleviated.

도 1은 종래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완충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완충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베이스 부재 및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partment building.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floor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buffe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first buffe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base member and a frame of a bottom structure of a multi-family house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a bas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a bottom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a bottom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ordinarily skilled artisan will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embraced by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even if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reci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explicit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inventive concept to be understood, and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specific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은 종래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or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partment building. FIG.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100)는 콘크리트 슬라브(10), 기포 콘크리트(12) 모르타르(13), 배관(14) 및 바닥 장식재(15)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의 벽(17)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ottom structure 100 of a conventional multi-storey building comprises a concrete slab 10, a foamed concrete 12 mortar 13, a pipe 14, and a flooring material 15, The wall 17 of the building is made of concrete.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하는 무거운 물체를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이나 가벼운 물체를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구조(100)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기포 콘크리트(12) 사이에 차음재(11)를 구비하고 있다.The floor structure 100 of the building may be provided with the concrete slab 10 so as to minimize the heavy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heavy object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is dropped or the light impact sound generated when the light object is dropped, And a sound insulating material (11) is provided between the foamed concrete (12).

또한, 상기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건물의 벽(17)과, 모르타르(13) 및 바닥 장식재(15) 사이에 절연재(16)를 부착하고 있다.An insulating material 16 is attached between the wall 17 of the building and the mortar 13 and the flooring 15 so as to prevent the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상기 종래 건물의 바닥구조(100)에 구비된 차음재(11)는 스티로폼(EP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혹은 고무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11 provided in the bottom structure 100 of the conventional building may be made of EPS, ethyl vinyl acetate (EVA) or rubber.

스티로폼으로 된 차음재(11)의 경우 손실되는 열이 최소화되어 보온 및 단열 효과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상기 스티로폼 재질로 인한 차음 효과는 적어서 차음재로서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11 made of styrofoam, the loss of heat is minimized, which is excellent in terms of heat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effect. However, the sound insulating effect due to the styrofoam material is small and the performance as a sound insulating material is deteriorated.

에틸비닐아세테이트나 고무 재질로 된 차음재(11) 역시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만족할 만한 소음 차단의 효과를 내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11 made of ethyl vinyl acetate or rubber also has some effect but can not provide a satisfactory sound shielding effect.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제안된다.Accordingly, a flo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multi-family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bottom structure of a multi-store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ottom structure of the multi-storey building.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이하 ‘바닥구조’라고 한다)는 콘크리트 슬라브(20), 제1 완충재(21), 제2 완충재(22), 모르타르(23) 및 마감재(24)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a floo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ttom structure") of a multi-storey building includes a concrete slab 20, a first cushion material 21, a second cushion material 22, a mortar 23 And a finish 24,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20)는 건물의 벽(25)에 붙어있는 판(板) 형상의 콘크리트로 된 구조물로서, 상기 공동주택 건물의 층간 구획을 나누고 소음 저감 및 단열의 역할을 하며 다른 소음 완충재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A concrete slab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structure in the form of a plate attached to a wall 25 of a building. The concrete slab 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labs, And a space for installing other noise cushioning materials or the like.

제1 완충재(21)는 측면 완충재로서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물의 바닥과 벽(25)을 타고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may serve as a side cushioning material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floor and the wall 25 of the building.

이에 따라, 제1 완충재(21)는 시공의 용이성, 단열 및 차음 효과를 위해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XPS(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중 하나가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can be one of polyethylene foam or 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XPS) for ease of construction,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effect.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제1 완충재(21)의 실시 예가 상기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제1 완충재(21)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 and all materials that can absorb shock or vibration belong to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제1 완충재(21)는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건물의 벽면 각각에 접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may be attached to at leas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충재(21)는 제1, 2, 3 디딤판(42a, 42b, 42c) 및 제1, 2, 3 챌판부(41a, 41b, 41c)를 포함하는 계단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완충재(21)는 종래에 이용되던 측면 완충재보다 좌우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된다.4, the first cushion material 21 has a stepped shap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treads 42a, 42b and 42c and first, second and third take-up plates 41a, 41b and 41c . Accordingly,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has a thickness thicker to the left and right than the conventional side cushioning material.

상기 제1 완충재(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는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충재(21)는 보다 나은 흡음 효과를 위하여 제1 완충재(21)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cushion material 21 may have one or more ho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cushion material 21 for a better sound absorption effect .

한편, 상기 계단 형상의 제1 완충재(21)를 기준으로 하여 모르타르(23)는 제2 챌판부(41b)의 높이만큼 타설될 수 있으며, 마감재(24)는 제3 챌판부(41c)의 높이만큼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rtar 23 can be laid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second riser portion 41b on the basis of the stepped first cushion material 21, and the finishing material 24 has a height of the third riser portion 41c As shown in FIG.

더 나아가, 상기 제1 완충재(21)의 챌판부 중 제1 챌판부(41a)의 높이가 가장 높은데, 상기 제1 챌판부(41a)의 높이만큼 제2 완충재(22)가 설치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part 41a of the first plate part 41a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the highest and the second cushioning part 22 can be provided to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part 41a.

이하, 제2 완충재(22), 모르타르(23) 및 마감재(24)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struction and effects of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the mortar 23 and the finishing material 2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술한대로 제1 완충재(21)는 종래에 이용되던 측면 완충재보다 좌우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재(21)가 계단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공에 있어서 마감 먹선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formed thicker than the conventional side cushioning material to the left and right, the noise shield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Further, when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deadline is required in the constru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완충재(22)는 바닥 완충재로서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직접적으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t as a floor cushioning material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제2 완충재(22)는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 중 제1 완충재(21)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attached.

즉,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과 제1 완충재(21)의 제1 챌판부(41a) 각각에 밀착되어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and the first take-up plate 41a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may be close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no gaps ar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완충재(21)의 제1 챌판부(41a)의 높이는 챌판부 중에서 가장 높다. 상기 제1 챌판부(41a)의 높이만큼 제2 완충재(22)의 상하 두께를 두껍게 설치함으로써, 건물의 아래층으로 직접 전달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first take-up plate portion 41a of the first buffering member 21 is the highest among the let-off plat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is increased by the height of the first take-up plate 41a, so that the nois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can be effectively blocked.

한편, 제2 완충재(22)는 질석(vermiculite)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is preferably made of vermiculi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높은 고온의 열을 가하면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제2 완충재(22)로 활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fter the vermiculite is fractured to a predetermined size, expanded vermiculite can be formed by applying heat at a high temperature, which can be utilized as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이에,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 중 상기 제1 완충재(21)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팽창질석을 깔고, 경화재를 분무한 후 양생시킬 수 있다.The expanded vermiculite can be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attached, and cured after spraying the hardened material.

바닥구조에 있어서, 도 1의 종래 공동건물의 차음 구조와 같이 기포 콘크리트(12)와 차음재(11)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팽창 질석으로 된 제2 완충재(22)만으로 건물의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In the floor structure, even if the foamed concrete 12 an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11 are not provided as in the soundproof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public building shown in Fig. 1, only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de of the above- The effect is excellent.

또한, 종래 기포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약 4일인 것에 반하여 상기 팽창질석으로 된 제2 완충재의 양생기간은 24시간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팽창질석으로 된 제2 완충재를 시공하는 시간은 종래 기포 콘크리트와 차음재를 함께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uring period of conventional foamed concrete is about 4 days, while the curing period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expanded vermiculite is only 24 hours. Therefore, the time for construct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expanded vermiculite is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conventional foamed concrete an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르타르(23)는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것으로서 상기 제2 완충재(22)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타설될 수 있다.The mortar 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kneading cement and sand with water and may be lai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르타르(23)는 상기 제2 완충재(22)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완충재(21)의 제1 디딤판(42a)에 타설될 수 있다. 이 때, 모르타르(23)는 제1 완충재(21)의 제2 챌판부(41b)의 높이만큼의 상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mortar 23 may be lai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and the first tread 42a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rtar 23 has a vertical thicknes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take-up plate portion 41b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예를 들어, 제2 완충재(22)의 상부에는 상수도를 가구별로 공급하고 버려지는 폐수를 집하장에 모으는 배관(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관(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모르타르(23)로 충분히 덮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 piping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for collecting wastewater supplied to the household and for discharging the wastewater to the collecting place. The piping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rtar 23 is sufficiently covered so as to maintain aesthetic appearan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감재(24)는 건물 바닥구조의 겉면을 마감하는데 활용되는 것으로서 모르타르(23)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least 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23, which is used for finishing the surface of the building floor structur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감재(24)는 상기 모르타르(23)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완충재(21)의 제2 디딤판(42b)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마감재(24)는 제1 완충재(21)의 제3 챌판부(41c)의 높이만큼의 상하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finishing material 24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23 and the second tread 42b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material 24 has a vertical thickness equal to the height of the third take-up plate portion 41c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이를 통해 상기 마감재(24)는 외부의 여러 가지 영향으로부터 마감재(24) 하부에 설치된 모르타르(23)를 포함한 다른 구조들을 보호하며, 건물의 바닥 외양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Accordingly, the finishing material 24 protects other structures including the mortar 23 installed under the finishing material 24 from various external influences and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floor appearance of the buildin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20), 제1 완충재(21), 제2 완충재(22), 모르타르(23), 마감재(24), 베이스 부재(26) 및 프레임(27)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oor structure of the apartment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slab 20, a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a mortar 23, a finishing material 24, 26 and a frame 27 as shown in FIG.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0) 내지 마감재(24)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베이스 부재(26)와 프레임(27)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concrete slab 20 to the finishing material 24 have been described above, only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의 베이스 부재(26) 및 프레임(27)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are views showing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apartment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베이스 부재(26)는 내부가 비어 있고 외측 면에 하나 이상의 홈(30)이 형성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통해 바닥 완충재로서 제2 완충재(22)와 함께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직접적으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26 may be embodi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is empty and one or more grooves 30 are formed on the outside surface. With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ogether with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as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상기 베이스 부재(26)는 하나의 구조로서 일체형을 이루거나 혹은, 하부 부재(28)와 상기 하부 부재(28)의 상부를 덮는 커버(29)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member 26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or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lower member 28 and a cover 29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ember 28.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효과적인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에 복수의 베이스 부재(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 부재(26)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a plurality of base members 26 may b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20 in order to prevent effective interlayer noise, and the plurality of base members 26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hav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26)가 내부의 빈 공간과 외측 면에 형성된 홈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Fig. 7 shows that the base member 2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shapes having groove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urface.

한편, 베이스 부재(26)는 시공의 용이성, 단열 및 차음 효과를 위해 폴리에틸렌 폼 또는 XPS 중 하나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member 26 may be one of polyethylene foam or XPS for ease of construction,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effect.

프레임(27)은 상기 베이스 부재(26)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며, 일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직육면체의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The frame 27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se member 26 and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그리하여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7a)의 일단이 하나의 베이스 부재(26a)의 홈(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 완충재(21)쪽으로 길게 뻗어 있거나 혹은, 프레임(27b)의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26)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26b)의 홈(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26) 중 다른 베이스 부재(26c)의 홈(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26)와 프레임(27)의 결합 구조는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완충재(22)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6B, when one end of the frame 27a is engaged with the groove 30 of one base member 26a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first buffer member 21,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30 of one base member 26b of the base member 26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30 of the other base member 26c of the base member 26.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may be covered by the second buffer member 22 as shown in FIG. 6C.

이상의 베이스 부재(26)와 프레임(27)의 결합 구조를 통해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

즉, 건물의 위층에서 바닥으로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그 충격은 마감재(24), 모르타르(23) 및 제2 완충재(22)를 타고 베이스 부재(26)에 전달된다. 이 때, 내부가 비어 있는 베이스 부재(26)가 제2 완충재(22)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26)로 전달된 충격의 여파가 상기 베이스 부재(26)와 결합된 프레임(27)으로 고스란히 전달되면 상기 프레임(27)이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n impact occurs from the upper floor of the building to the floor,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base member 26 by the finishing material 24, the mortar 23 and the second cushion material 22. At this time, the base member 26 in which the inside is empty absorbs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uffer member 22 primarily. The frame 27 is secondarily absorbed by the impact of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base member 26 by the frame 27 coupled with the base member 26.

한편, 콘크리트 슬라브(20) 상부면에 촘촘하게 형성된 복수의 베이스 부재(26)와 프레임(27)의 결합 구조의 경우에는 각각의 결합구조가 전달받은 충격을 다른 결합구조에 전달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외부충격의 영향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base members 26 and the frame 27 clos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the respective coupling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action The impact of the impact can be further mitiga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floor structure of a multi-stor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floor structure of a multi-stor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의 단계를 거쳐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건물의 바닥구조가 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for preventing the interlayer noise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우선,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건물의 벽면 각각에 접하도록 제1 완충재(21)를 부착할 수 있다(s10).First,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can be attached to at leas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s10).

제1 완충재(21)는 측면 완충재로서 건물의 위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건물의 바닥과 벽(25)을 타고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may serve as a side cushioning material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building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layer through the floor and the wall 25 of the building.

제1 완충재(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2, 3 디딤판(42a, 42b, 42c) 및 제1, 2, 3 챌판부(41a, 41b, 41c)를 포함하는 계단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완충재(21)는 종래에 이용되던 측면 완충재보다 좌우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디딤판(42a)에는 모르타르(23)가 타설될 수 있고, 제2 디딤판(42b)에는 마감재(24)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can be a stepped shape inclu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eads 42a, 42b and 42c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take-up plates 41a, 41b and 41c have. Accordingly,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can have a thickness that is thicker to the left and right than the conventional side cushioning material. The first tread plate 42a may be provided with a mortar 23 and the second tread plate 42b may be provided with a finishing material 24. [

그밖에 제1 완충재(21)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buffer material 21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완충재(21)를 부착한 후에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 중 상기 제1 완충재(21)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제2 완충재(22)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After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attached, a step of installing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except for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is attached is performed (S20).

제2 완충재(22)는 질석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is preferably made of vermiculite.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높은 고온의 열을 가하면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제2 완충재(22)로 활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fter vermiculite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expanded vermiculite can be formed by applying high-temperature heat, which can be utilized as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상기 제2 완충재(22)가 설치되면, 상기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22)에 경화재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완충재(22)를 양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0). When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is installed, the step of spraying the curing material to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de of vermiculite and cur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y be performed (s30).

상기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를 시공하는 시간은 기포 콘크리트와 차음재를 함께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다. 종래 기포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약 4일인 것에 반하여 상기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의 양생기간은 24시간에 불과하다.The time for construct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vermiculite is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foamed concrete and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together. Conventionally, the period of curing of the foamed concrete is about 4 days, whereas the period of curing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the vermiculite is only 24 hours.

그 밖에 제2 완충재(22)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 완충재(22)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완충재(2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르타르(23)를 타설한다(s40). 그리고 상기 모르타르(23)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감재(24)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0).When the curing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is completed, the mortar 23 is poured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s40). And a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material 24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23 (s50).

모르타르(23)는 상기 제2 완충재(22)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완충재(21)의 제1 디딤판(42a)에 타설될 수 있다. 이 때, 모르타르(23)는 제1 완충재(21)의 제2 챌판부(41b)의 높이만큼의 상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rtar 23 may be lai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and the first tread plate 42a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rtar 23 has a vertical thickness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take-up plate portion 41b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마감재(24)는 상기 모르타르(23)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완충재(21)의 제2 디딤판(42b)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마감재(24)는 제1 완충재(21)의 제3 챌판부(41c)의 높이만큼의 상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ishing material 24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23 and the second tread plate 42b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ishing material 24 has a vertical thickness equal to the height of the third take-up plate portion 41c of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

그 밖에 모르타르(23)와 마감재(24)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ortar 23 and the finishing material 24 have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after.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의 단계를 거쳐 베이스 부재(26)와 프레임(27)의 결합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건물의 바닥구조가 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fl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for interlayer noise prevention ha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우선,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건물의 벽면 각각에 접하도록 제1 완충재(21)를 부착할 수 있다(s100).First,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21 can be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S100).

제1 완충재(21)를 부착한 후에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20)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부재(26)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0).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26)의 설치가 끝나면, 상기 베이스 부재(26)에 형성된 홈(30)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27)을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00).After attaching the first cushion material 21, one or more base members 2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20 (s200).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base member 26 is completed, a plurality of frames 27 coupled to the grooves 30 formed in the base member 26 may be installed (S300).

베이스 부재(26) 및 프레임(27)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베이스 부재(26) 및 프레임(27)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 중 상기 제1 완충재(21)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재(26) 그리고 상기 프레임(27)을 제2 완충재(22)로 덮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00).After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are installed,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excluding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ember 21 is attached and the base member 26 and the frame 27, 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may be covered (S400).

제2 완충재(22)는 질석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높은 고온의 열을 가하면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제2 완충재(22)로 활용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material 22 is preferably made of vermiculite. More specifically, after vermiculite is crushed to a predetermined size, expanded vermiculite can be formed by applying high-temperature heat, which can be utilized as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상기 제2 완충재(22)가 설치되면, 상기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22)에 경화재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완충재(22)를 양생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00). When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is installed, the step of spraying the curing material to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de of vermiculite and cur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may be performed (S500).

상기 제2 완충재(22)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완충재(2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르타르(23)를 타설한다(s600). 그리고 상기 모르타르(23)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감재(24)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700).When the curing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is completed, the mortar 23 is poured into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22 (s600). And a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material 24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23 (S700).

상술한 바닥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건물의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물의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loor structur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a bottom structure of a multi-storey building which can effectively block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또한, 팽창 질석 재질의 바닥 완충재만으로도 간단하게 차음구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차음구조 설비에 들어가는 여러 자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ound insulating structure can be easily formed only by the floor cushioning material of the expanded veneer,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cost of various materials in the sound insulating structure equipment can be reduced.

나아가, 콘크리트 슬라브 상부에 베이스 부재 및 프레임의 결합 구조와 같은 바닥 완충재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의 영향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floor cushion material such a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member and the frame on the concrete slab,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floor can be further alleviated.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It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콘크리트 슬라브
21 : 제1 완충재
22 : 제2 완충재
23 : 모르타르
24 : 마감재
25 : 벽
26 : 베이스 부재
27 : 프레임
28 : 하부 부재
29 : 커버
30 : 홈
20: Concrete slab
21: First cushioning material
22: second buffer material
23: Mortar
24: Finishing material
25: wall
26: Base member
27: Frame
28:
29: cover
30: Home

Claims (7)

(a)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건물의 벽면 각각에 접하도록 제1 완충재를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베이스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면 중 상기 제1 완충재가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질석 재질로 된 제2 완충재로 덮는 단계;
(e) 상기 제2 완충재에 경화재를 분무하고 상기 제2 완충재를 양생시키는 단계;
(f) 상기 제2 완충재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및
(g) 상기 모르타르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a) attaching a first cushioning material to abut at least a portion of a top surface of a concrete slab and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respectively;
(b) installing at least one base me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c) installing a plurality of frames coupled to the base member;
(d)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lab except the portion to which the first cushioning material is attached, the base member and the frame with a second cushioning material made of vermiculite;
(e) spraying a hardener onto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curing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f) placing a mortar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g) installing a finishing material 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재는,
제1, 2, 3 챌판부; 및
제1, 2, 3 디딤판;을 포함하는 계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ffer material comprises
First, second and third take-up plates; And
And a step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trea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는 상기 제2 완충재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디딤판에 상기 제2 챌판부의 높이만큼 타설되고,
상기 마감재는 상기 모르타르 상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디딤판에 상기 제3 챌판부의 높이만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rtar is laid by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aterial and the first tread plate by a height of the second riser plate portion,
Wherein the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at least 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rtar and the third riser portion at the second tread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재의 챌판부 중에서 상기 제2 완충재가 접촉하는 제1 챌판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height of a first take-up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buffer material among the plate portions of the first buffer material is highe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재는,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XPS(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buffer material comprises
Wherein the floor structure is one of polyethylene foam or 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X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고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거나 혹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하나의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 중 다른 베이스 부재의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side is hollow and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The frame include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base member of one of the base members,
Wherein one end is coupled to a groove of one of the base members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groove of another base member of the base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프레임은,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 또는 XPS(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구조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ase member and the frame,
Wherein the floor structure is one of polyethylene foam or extruded polystyrene insulation board (XPS).
KR1020160117047A 2016-09-12 2016-09-12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KR201800293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47A KR20180029335A (en) 2016-09-12 2016-09-12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047A KR20180029335A (en) 2016-09-12 2016-09-12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335A true KR20180029335A (en) 2018-03-21

Family

ID=6190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47A KR20180029335A (en) 2016-09-12 2016-09-12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335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80B1 (en) * 2020-12-09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loor buffer structure equipped with a dustproof mat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KR102495737B1 (en) * 2022-04-18 2023-02-06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Side floor cushioning stepped molding thermal breake insulation for damping of inter-floor noise and vibration built-in inter-floor noise and vibration alarm system
KR102528587B1 (en) * 2022-10-21 2023-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n air layer between the wall and the finishing mortar to block the finishing mortar and structure thereof
KR20230067301A (en) 2021-11-09 2023-05-16 박정웅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lab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KR20230140196A (en) 2022-03-29 2023-10-06 박정웅 Building Slab Structure with Gravelly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230A (en) * 2003-01-17 2004-07-27 금강하이텍주식회사 Method of hypocaust and it's Apparatus for an apartment house
KR200399318Y1 (en) * 2005-05-27 2005-10-25 서정윤 The conner materials having a space inside for ondol's construction
KR100760563B1 (en) * 2006-06-23 2007-09-20 김동현 Structure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building with waterproof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230A (en) * 2003-01-17 2004-07-27 금강하이텍주식회사 Method of hypocaust and it's Apparatus for an apartment house
KR200399318Y1 (en) * 2005-05-27 2005-10-25 서정윤 The conner materials having a space inside for ondol's construction
KR100760563B1 (en) * 2006-06-23 2007-09-20 김동현 Structure of interlayer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building with waterproof func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980B1 (en) * 2020-12-09 2021-10-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loor buffer structure equipped with a dustproof mat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KR20230067301A (en) 2021-11-09 2023-05-16 박정웅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lab to Reduce Noise between Floors
KR20230140196A (en) 2022-03-29 2023-10-06 박정웅 Building Slab Structure with Gravelly Lay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95737B1 (en) * 2022-04-18 2023-02-06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Side floor cushioning stepped molding thermal breake insulation for damping of inter-floor noise and vibration built-in inter-floor noise and vibration alarm system
KR102528587B1 (en) * 2022-10-21 2023-05-04 주식회사 에스아이판 A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an air layer between the wall and the finishing mortar to block the finishing mortar and structur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55B1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100563097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KR20180029335A (e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KR101723976B1 (en) Building having double slave
KR101000406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1324261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0770004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building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1479167B1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100998282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0995303B1 (en) Apartment building inter layer floor impact insulation material using domping mat
KR100587987B1 (en) Base structure for sound insulation and vibration-proof used in a floor of an apartment building
KR100893573B1 (en) Floors structure of an building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0750890B1 (en)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KR101001590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1892663B1 (en) Structure for isolating floor impact sound in community houses
KR20200018884A (en)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Noise Floor Panels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07288B1 (en) Isolating structure for floor to floor impact sound of apartment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718700B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0961318B1 (en) Building bottom floor for noise prevention panel structure
KR200378892Y1 (en) prevention structure for floor impact noise of building
KR200423540Y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0705845B1 (en) Double Slab Structure of Building
KR101011949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with a boiler pipe body
KR100758599B1 (en) Structure of isolating impact sound of floor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