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406B1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0406B1 KR101000406B1 KR1020100087904A KR20100087904A KR101000406B1 KR 101000406 B1 KR101000406 B1 KR 101000406B1 KR 1020100087904 A KR1020100087904 A KR 1020100087904A KR 20100087904 A KR20100087904 A KR 20100087904A KR 101000406 B1 KR101000406 B1 KR 101000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quare
- bolt hole
- tee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mono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 소음 저감구조를 두어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주고, 진동 소음 전달이 줄어드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noise reduction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floor between floors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noise to the lower floor, and the noise between buildings to reduce the vibration noise. It is related with the floor structure which can be reduced.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몰탈을 소정두께로 시공하는 것이다.In general, a common construction method of two-story or mor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multi-unit houses is to construct concrete slab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to complete the basic construction, and then arrange heating pipes on the concrete slab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onstruction of gravel and cement morta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As the slab that divides the floors and floors of multi-storey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high-rise buildings is constructed of concrete only, the noise and shock generated inside the relevant floor of the building are directly lowered through the interlayer slabs. Is passed to.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In general, the impact sound applied to the building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is transmitted to all directions by solid walking sound generated by human walk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moving objects, starting or stopping equipment, etc. This causes the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vibrate, as well as being converted to air transmission sound, which is perceived as noise when it is heard by people around.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음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For example, an impact such as a drop of an object is applied to the floor or a movement of a chair generates a solid transmission sound, and the solid transmission sound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floor slab.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어 정부에서는 층간소음유발행위에 대해 경범죄처벌법의 인근 소란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소음으로 이웃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Nowadays, the problem of floor noise has emerged seriously in apartment houses, an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at it will impose penalties for neighboring noise-induced acts by applying the neighboring crimes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law. As a result,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and revised.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The regulations stipulate that the floor impact sound between floors should be less than 58 decibels (dB) and the weight impact sound should be less than 50 decibels (dB) or standard floor structure as determined and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 배관과 마감용 몰탈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으로 구성된다.As such, conventional interlayer floor structures for reducing and minimizing the serious noise between floors have been proposed. 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interlayer floor structures, a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slab, At the top, a heating plumbing and finishing mortar layer is formed, on top of which is composed of a flooring layer of decorative material such as monolium, solid wood, and tiles.
그러나, 위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바닥구조로 건물을 시공한 경우, 예컨대 위층에서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행위에 의해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장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되게 된다.However, the interlayer floor structure above, but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concrete slab is responsible for attenuating the noise, but the situation that does not properly absorb or block the noise, such as light impact sound and heavy impact sound. Therefore, when a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such a conventional floor structure,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applied to the floor by, for example, the children's running on the upper floor, ar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nd as a result, the comfort of the building is greatly reduced. Will be.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이에 층간소음 방지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Due to thi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block noise or impact, a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는 통상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뜬바닥 구조를 제공하는데,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40 이하이거나 80 이상으로 형성된다.Such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usually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for forming an air layer by forming protrusions on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the protrusions is 40 or less or 80 or more.
그러나,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20에서 40정도이므로 매우 유연하고, 신축성이 뛰어나 실제로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기존의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를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몰탈을 타설하면 경량 콘크리트와 몰탈의 무게(1m×1m 당 170㎏)에 눌려져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버려 공기층이 전혀 형성되지 못하여,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이 상실되어 버려 소음차단 효과가 매우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However, since 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s about 20 to 40, it is very flexible and excellent in elasticity. In fact, the existing layer of noise preventing material is laid on the slab surface of the apartment house, and light weight foam concrete and finishing mortar are placed on it. When pressed under the weight of lightweight concrete and mortar (170kg per 1m × 1m),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projections are attached to the slab surface, and no air layer is formed, and the function to block vibration and noise is lost. The reality is that it is very slight.
또한,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80 이상인 경우 공기층은 형성할 수 있으나,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 있어 소음이 경도가 강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를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공기층이 확보한 소음차단 효과를 상쇄시켜 버린다.In addition, the air layer may be formed when 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s 80 or more, but the noise is secured by the air layer because the protrusion is attached to the slab surface and the nois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rong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t will cancel the blocking effect.
그 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도 매우 종류가 많고 다양하지만 모두가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에 밀착되어 깔려 있음으로서 소음 차단 효과가 크지 않다. 예를 들면 기존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주로 스티로폼 단열재나 기타 합성수지 발포 시트를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몰탈을 타설하는 형태이므로 소음이 차단되지 못하고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kinds of floor noise prevention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used, but there are many types, but all of them are laid on the concrete slab surface of the apartment house, so the noise blocking effect is not great. For example, the existing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mainly in the form of laying styrofoam insulation or other synthetic resin foam sheet on the slab surface of the multi-family house and plac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mortar on 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oise is not blocked and transmitted.
그리고 소음을 차단하는 구조에서 차음재로 유연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경우 바닥의 안정성을 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flexible material is used as the sound insulating material in the structure that blocks the noise, it sometimes causes the stability of the floor.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층간 바닥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두되, 설치가 간편하면서 바닥면에 고정되고, 바닥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게 구성한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ut ha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that can absorb noise on the floor between the floors of the building, the installation is easy to be fixed to the floor, the air layer is formed on the floor vibration 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of a building that is not configured to transmit noise easily.
그리고, 바닥과의 결합성과 배관과의 설치시 용이하게 고정하여 난방 배관이 콘크리트 타설시 충격에 의해 제자리에서 이탈하지 않게 하고자 한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coupling to the floor and easy installation during installation with the pipe is to prevent the heating pipe from being in place by the impact during the concrete cast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판부(11)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돌기부(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수평판부(11)의 한쪽 면 길이를 따라 길게 수직돌기부(12)가 형성되고, 수평판부(11)의 일측에 다수개의 볼트홀(13)이 형성되며, 슬래브콘크리트(1) 위에 설치되는 티형판(10); 티형판(10)의 수직돌기부(12)가 매입되도록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타설되어 티형판(10)을 고정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20); 판체가 사각으로 반복적으로 주름지도록 성형하여 돌기부(31)와 홈부(32)가 반복 형성되고, 돌기부(31)의 저부에 하부공간부(33)가 형성되며, 돌기부(31) 또는 홈부(32)에 볼트홀(34)이 티형판(10)의 볼트홀(13)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티형판(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사각주름판(30); 수평판부(41) 위에 다수개의 돌기부(4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판부(41) 또는 돌기부(42)에 볼트홀(43)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돌기부(42)가 제1사각주름판(30)의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무판(40); 사각의 판체에 볼트홀(51)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 위에 설치되는 중간차단판(50); 제1사각주름판(30)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기부(61), 홈부(62), 하부공간부(63)가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의 돌기부(31) 위에 홈부(62)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중간차단판(50)의 볼트홀(51)과 동일 수직선상에 볼트홀(64)이 형성되는 제2사각주름판(60); 제1고무판(40)과 동일한 형상으로 수평판부(71)와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제2사각주름판(60)의 하부공간부(63)에 돌기부(72)가 삽입되고,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73)이 형성되는 제2고무판(70); 수평판부(81)의 상면에 다수개의 수직돌기부(8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부(82)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관고정부(84)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돌기부(82)의 일측에 다수개의 절개부(85)가 형성되고,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83)이 형성되는 상부돌기판(80); 티형판(10), 제1고무판(40), 제1사각주름판(30), 중간차단판(50), 제2고무판(70), 제2사각주름판(60), 상부돌기판(80)의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너트(91)로 고정되고, 머리부가 티형판(10) 저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트(90); 보일러배관(2)과 같이 상부돌기판(80) 위에 타설되어 매설하는 마감콘크리트(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1사각주름판의 저면의 하부공간부에 고무판이 고정되어 제1사각주름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제1사각주름판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이 흡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사각주름판 상면의 홈부와 중간차단판에 의해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공기층에 의해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rubber plate is fixed to the lower spac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to absorb vibration or noise transmitted to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 And the air layer is present by the groov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blocking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by this air layer is reduced.
제1사각주름판과 제2사각주름판의 홈부와 돌기부가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진동 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grooves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and the second square wrinkle plate are alternately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the vibration transmission is prevented.
경량기포콘크리트에 의해 슬래브콘크리트에 고정된 티형판에 제1사각주름판, 고무판, 중간차단판, 제2사각주름판, 고무판, 상부돌기판이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므로 바닥의 구조가 안정되고, 그 위에 마감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진동과 소음 전달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rubber plate, intermediate barrier plate, second square plate, rubber plate, and upper protrusion plate are fixed to the tee plate fixed to the slab concrete by lightweight foam concrete, so that the bottom structure is stable. The finishing concrete is poured on the top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transmission.
그리고 상부돌기판에 형성된 절개부와 배관고정부에 의하여 난방 배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install the heating pipe by the cutout and the pipe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rojection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의 제1사각주름판과 제1고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에 사용되는 상부돌기판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quare plate and the first rubber plate of the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projection board used in the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or wor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invention of his or her ow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은 슬래브콘크리트(1) 위에 티형판(10)을 경량기포콘크리트(20)로 고정하고, 티형판(10) 위에 제1사각주름판(30)과 제1고무판(40), 중간차단판(50), 제2사각주름판(60), 제2고무판(70), 상부돌기판(80)이 볼트(90)와 너트(91)로 고정된 채로 적층되고, 그 위에 마감콘크리트(100)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티형판(10)은 수평판부(11)의 저면에 다수개의 수직돌기부(1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각 수직돌기부(12)마다 티(T) 형상을 이루고, 이러한 수직돌기부(12)가 후술할 경량기포콘크리트(20)와 결합되어 슬래브콘크리트(1)와 고정된다.Tee-
티형판(10)의 수평판부(11) 한쪽 면 길이를 따라 길게 수직돌기부(12)가 형성되고, 수평판부(11)의 일측에 다수개의 볼트홀(13)이 형성되며, 슬래브콘크리트(1) 위에 설치된다. 볼트홀(13)은 후술할 구성들을 잡아줄 수 있을 정도만큼 형성하되 갯수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다.
경량기포콘크리트(20)는 티형판(10)의 수직돌기부(12)가 매입되도록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타설되어 티형판(10)을 고정한다.The
제1사각주름판(30)은 판체가 사각으로 반복적으로 주름지도록 성형하여 돌기부(31)와 홈부(32)가 반복 형성되고, 돌기부(31)의 저부에 하부공간부(33)가 자동으로 형성되게 된다.The first
제1사각주름판(30)과 티형판(10)이 고정되기 위해 돌기부(31) 또는 홈부(32)에 볼트홀(34)이 티형판(10)의 볼트홀(13)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은 티형판(10)의 상면에 제1고무판(40)과 같이 설치되어 볼트(90)로 고정된다.In order to fix the first
제1고무판(40)은 수평판부(41) 위에 다수개의 돌기부(4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판부(41) 또는 돌기부(42)에 볼트홀(43)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된다.In the
상기 돌기부(42)가 제1사각주름판(30)의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볼트홀(43)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90)가 제1고무판(40)을 제1사각주름판(30)과 같이 티형판(10)에 고정하게 된다.The
제1고무판(40)은 위에서 내려오는 진동을 흡수하여 변형되면서 아래로 전달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중간차단판(50)은 제1사각주름판(30) 위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사각의 판체에 볼트홀(51)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 위에 설치되어 볼트(90)로 전술한 구성들과 동시에 고정된다.
제2사각주름판(60)은 제1사각주름판(30)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기부(61), 홈부(62), 하부공간부(63)가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의 돌기부(31) 위에 홈부(62)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제2사각주름판(60) 또한 중간차단판(50)의 볼트홀(51)과 동일 수직선상에 볼트홀(64)이 형성된다. 하지만 제1사각주름판(30)과 서로 돌기부와 홈부가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므로 수직으로 내려오는 진동이나 소음이 차단되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The second
제2고무판(70)은 제1고무판(40)과 동일한 형상으로 수평판부(71)와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제2사각주름판(60)의 하부공간부(63)에 돌기부(72)가 삽입되고,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73)이 형성된다.The
상부돌기판(80)은 수평판부(81)의 상면에 다수개의 수직돌기부(8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부(82)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관고정부(84)가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배관고정부(84)는 반원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일러배관(2)을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으면 쉽게 고정된다. 그리고 보일러배관(2)은 바닥을 따라 휘어서 지그재그식으로 설치되므로 보일러배관(2)이 통과하는 절개부(85)를 수직돌기부(82)에 다수개 형성한다.The
상부돌기판(80) 또한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83)이 형성되어 볼트(90)로 체결된다.The
따라서 볼트(90)가 티형판(10), 제1고무판(40), 제1사각주름판(30), 중간차단판(50), 제2고무판(70), 제2사각주름판(60), 상부돌기판(80)의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너트(91)로 고정된다. 이때 볼트(90)의 머리부가 티형판(10) 저면에 위치한다.Therefore, the
이상과 같이 고정된 구조의 상면으로 보일러배관(2)을 설치하고, 상부돌기판(8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마감콘크리트(100) 층을 형성한다.
The
1 : 슬래브콘크리트 2 : 보일러배관
10 : 티형판 11 : 수평판부
12 : 수직돌기부 13 : 볼트홀
20 : 경량기포콘크리트 30 : 제1사각주름판
31 : 돌기부 32 : 홈부
33 : 하부공간부 34 : 볼트홀
40, 70 : 제1, 제2고무판 41, 71 : 수평판부
42, 72 : 돌기부 43, 73 : 볼트홀
50 : 중간차단판 51 : 볼트홀
60 : 제2사각주름판 61 : 돌기부
62 : 홈부 63 : 하부공간부
64 : 볼트홀 80 : 상부돌기판
81 : 수평판부 82 : 수직돌기부
83 : 볼트홀 84 : 배관고정부
85 : 절개부 90 : 볼트
91 : 너트 100 : 마감콘크리트1: slab concrete 2: boiler piping
10: Tee plate 11: Horizontal plate portion
12: vertical projection 13: bolt hole
20: light weight foam concrete 30: first square wrinkle plate
31: projection 32: groove
33: lower space 34: bolt hole
40, 70: 1st,
42, 72:
50: intermediate blocking plate 51: bolt hole
60: second square plate 61: projection
62: groove portion 63: lower space portion
64: bolt hole 80: upper projection board
81: horizontal plate portion 82: vertical projection portion
83: bolt hole 84: piping fixing
85: incision 90: bolt
91: nut 100: finished concrete
Claims (1)
티형판(10)의 수직돌기부(12)가 매입되도록 슬래브콘크리트(1)의 상면에 타설되어 티형판(10)을 고정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20);
판체가 사각으로 반복적으로 주름지도록 성형하여 돌기부(31)와 홈부(32)가 반복 형성되고, 돌기부(31)의 저부에 하부공간부(33)가 형성되며, 돌기부(31) 또는 홈부(32)에 볼트홀(34)이 티형판(10)의 볼트홀(13)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티형판(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사각주름판(30);
수평판부(41) 위에 다수개의 돌기부(4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판부(41) 또는 돌기부(42)에 볼트홀(43)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돌기부(42)가 제1사각주름판(30)의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무판(40);
사각의 판체에 볼트홀(51)이 제1사각주름판(30)의 볼트홀(3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 위에 설치되는 중간차단판(50);
제1사각주름판(30)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기부(61), 홈부(62), 하부공간부(63)가 형성되고, 제1사각주름판(30)의 돌기부(31) 위에 홈부(62)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중간차단판(50)의 볼트홀(51)과 동일 수직선상에 볼트홀(64)이 형성되는 제2사각주름판(60);
제1고무판(40)과 동일한 형상으로 수평판부(71)와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제2사각주름판(60)의 하부공간부(63)에 돌기부(72)가 삽입되고,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73)이 형성되는 제2고무판(70);
수평판부(81)의 상면에 다수개의 수직돌기부(8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돌기부(82)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관고정부(84)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수직돌기부(82)의 일측에 다수개의 절개부(85)가 형성되고, 제2사각주름판(60)의 볼트홀(64)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볼트홀(83)이 형성되는 상부돌기판(80);
티형판(10), 제1고무판(40), 제1사각주름판(30), 중간차단판(50), 제2고무판(70), 제2사각주름판(60), 상부돌기판(80)의 볼트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너트(91)로 고정되고, 머리부가 티형판(10) 저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볼트(90);
보일러배관(2)과 같이 상부돌기판(80) 위에 타설되어 매설하는 마감콘크리트(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A plurality of vertical protrusions 12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 at regular intervals, but vertical protrusions 12 are formed along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 an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11. A plurality of bolt holes 13 are formed, the tee plate 10 is installed on the slab concrete (1);
Light-weight foam concrete 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concrete (1) so that the vertical projection 12 of the tee plate 10 is embedded to secure the tee plate (10);
The protrusions 31 and the grooves 32 are repeatedly formed by forming the plate body to be repeatedly wrinkled in a square, and the lower space portion 3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s 31, and the protrusions 31 or the grooves 32 are formed. A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having a bolt hole 34 formed i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lt hole 13 of the tee plate 10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ee plate 10;
A plurality of protrusions 42 are formed on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41 at regular intervals, and bolt holes 43 are formed on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41 or the protrusions 42 to form the bolt holes 34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The first rubber plate 40 is formed in the same vertical line and the projection portion 42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portion 33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and fixed;
An intermediate barrier plate 50 formed on the rectangular plate body i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lt hole 34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and installed on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The protrusion 61, the groove 62, and the lower space 63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and the groove portion 62 is formed on the protrusion 31 of the first square wrinkle plate 30. A second square wrinkle plate 60 having a bolt hole 64 form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lt hole 51 of the intermediate blocking plate 50;
The horizontal plate part 71 and the protrusion part 7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1st rubber plate 40, and the protrusion part 72 is inserted in the lower space part 63 of the 2nd square wrinkle plate 60, and the 2nd square A second rubber plate 70 having a bolt hole 73 form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lt hole 64 of the corrugated plate 60;
A plurality of vertical projections 8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late 81, a plurality of pipe fixing portion 84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between the vertical projections 82, the vertical projections 82 An upper protrusion plate 80 having a plurality of cutouts 85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bolt hole 83 formed i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bolt hole 64 of the second square wrinkle plate 60;
Tee-shaped plate 10, first rubber plate 40, the first square plate 30, the intermediate blocking plate 50, the second rubber plate 70, the second square plate 60, the upper projection plate 80 A plurality of bolts 90 fixed through the bolt holes at the same time and fixed with a nut 91 and whose heads ar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e plate 10;
Floor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of th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 the finishing concrete (100) is placed and embedded on the upper projection board 80, such as the boiler pipe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904A KR101000406B1 (en) | 2010-09-08 | 2010-09-08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904A KR101000406B1 (en) | 2010-09-08 | 2010-09-08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0406B1 true KR101000406B1 (en) | 2010-12-13 |
Family
ID=4351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7904A KR101000406B1 (en) | 2010-09-08 | 2010-09-08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040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0964B1 (en) | 2017-08-08 | 2018-05-02 |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in apartment houses |
KR101854878B1 (en) | 2018-01-03 | 2018-05-09 |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in apartment house |
KR20180067240A (en) * | 2016-12-12 | 2018-06-20 | 한형우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materia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KR102343502B1 (en) | 2021-04-22 | 2021-12-24 | 한형우 | Sound Insula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588Y1 (en) | 2005-07-12 | 2005-10-13 | 화신기업 주식회사 |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
KR200403420Y1 (en) | 2005-09-12 | 2005-12-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Flooring member us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goods inserted bending member |
KR100966730B1 (en) | 2009-12-08 | 2010-06-29 | 표성호 | Interfloor soundproof panel |
-
2010
- 2010-09-08 KR KR1020100087904A patent/KR10100040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588Y1 (en) | 2005-07-12 | 2005-10-13 | 화신기업 주식회사 |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
KR200403420Y1 (en) | 2005-09-12 | 2005-12-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Flooring member us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goods inserted bending member |
KR100966730B1 (en) | 2009-12-08 | 2010-06-29 | 표성호 | Interfloor soundproof pane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7240A (en) * | 2016-12-12 | 2018-06-20 | 한형우 | Interlayer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materials and method of construction |
KR101850964B1 (en) | 2017-08-08 | 2018-05-02 |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in apartment houses |
KR101854878B1 (en) | 2018-01-03 | 2018-05-09 |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 Flooring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in apartment house |
KR102343502B1 (en) | 2021-04-22 | 2021-12-24 | 한형우 | Sound Insula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en) |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ducing noise between stories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same on the floor of building | |
KR101548985B1 (en) |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of between floors in apartment building | |
KR101723976B1 (en) | Building having double slave | |
US9567742B2 (en) |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 |
KR100624357B1 (en) | A building material of floating floor structure having sound-proofing function in multihousing | |
KR200480368Y1 (en) | Interlayer Noise-proof Pad | |
KR101324261B1 (en) |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 |
KR101000406B1 (en)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
KR102221119B1 (en) | interlayer noise abatement system | |
KR100998282B1 (en)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
KR200378892Y1 (en) | prevention structure for floor impact noise of building | |
KR101492508B1 (en) |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of building | |
KR100833656B1 (en) |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building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 |
KR100750890B1 (en) |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 |
KR101001590B1 (en)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 |
KR101479167B1 (en) |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 |
KR102231260B1 (en) | Floor and partition structure for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70004B1 (en) |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building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 |
KR101828708B1 (en) | Constru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interlayer noise reduction | |
KR20200018884A (en)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Floor Noise Floor Panels in Residential Building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11949B1 (en) |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with a boiler pipe body | |
KR200421104Y1 (en) | Noise cut prop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building | |
KR20180029335A (en) | The construction method for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 |
KR100718700B1 (en) | Plate for sound insulation | |
KR20100001719U (en) | Noise Preventing Assembling structure for Inter layer Noiseproof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