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400A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400A
KR20180093400A KR1020170019422A KR20170019422A KR20180093400A KR 20180093400 A KR20180093400 A KR 20180093400A KR 1020170019422 A KR1020170019422 A KR 1020170019422A KR 20170019422 A KR20170019422 A KR 20170019422A KR 20180093400 A KR20180093400 A KR 2018009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fixed
augmented reality
screen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431B1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7001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431B1/ko
Priority to PCT/KR2017/006943 priority patent/WO2018147512A1/ko
Publication of KR2018009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involving timing of operations, e.g. performing an action within a time sl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과;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할 때, 현재 촬영중인 고정 전시물을 구분하여 특정하고,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적당한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Experience-type museu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mart device, and applications installed on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입체감을 주는 미술 작품과 증강현실을 결합하여 관람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술관은 회화를 액자에 넣어 벽에 걸어 전시하여 관람객들이 전시된 회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통상의 미술관은 회화에 집중 조명을 제공하거나, 최대한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여 관람객들에게 미술 감상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감상 위주의 미술관의 관념에서 벗어나 관람자들이 미술 작품의 일부가 되는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형 미술관들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벽면과 바닥면에 관람자에게 착시 현상을 주는 기법의 작품을 그려 전시하고, 관람자가 착시 작품의 일부가 되어 재미있는 작품을 연출하고, 사진으로 남겨 관람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착시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들이 있다.
이러한 예로는 등록특허 10-1130066(체험형 그림 전시장치, 2012년 3월 19일 등록)이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서는 착시 현상을 주는 피막형 감상물을 제공하여, 관람자들에게 재미를 주고, 미술관 이용에 흥미를 줄 수 있는 체험형 그림 전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착시 현상을 일으키는 감상물(작품)은 벽과 바닥에 직접 그려지는 고정 전시물이며, 전시물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고정 전시물을 지우고 다시 그려야 하기 때문에 전시물의 교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전시물의 교체가 어렵다는 것은 전시물의 식상함 때문에 관람객들이 재관람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으며, 좀더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관람객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정 전시물인 착시 작품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정 전시물에 다양한 변화를 주되 그 변화를 실제 고정 전시물이 아닌 증강현실을 이용한 변화를 주어,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는 고정 전시물 변화가 가능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게임 방식을 미술관 운영에 도입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흥미와 재미를 줄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관람자가 직접 작품을 편집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은,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 및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할 때, 현재 촬영중인 고정 전시물을 구분하여 특정하고,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적당한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는, 적어도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재 촬영중인 화면에서 특징점들을 검출하고,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중인 고정 전시물을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된 특징점들과 저장된 특징점들을 비교하되,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 동일하면 촬영중인 화면에 대한 고정 전시물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은, 상기 고정 전시물을 배경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은, 상기 스마트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 위치, 이동 방향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기기는, 특정한 화면에서 이벤트를 위한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면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 주머니는,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에서 선택된 특징점 패턴을 정하고, 상기 정해진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촬영될 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방법은,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과,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하며, 화면에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기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미리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임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상기 고정 전시물에 해당하는 기저장된 증강현실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의 위치 이동,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이동,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증강현실의 위치, 이동 방향,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에서 선택된 특징점 패턴을 정하고, 상기 정해진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촬영될 때, 상기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는지 판단하여, 선택된 경우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과;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하며, 화면에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특징점을 검출하고,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어떤 고정 전시물을 촬영한 영상인지 특정하는 배경인식모듈과, 상기 배경인식모듈에서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해당하는 증강현실을 상기 고정 전시물의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표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에 의해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이 선택되는지 확인하고, 선택된 증강현실에 대한 위치, 이동 방향,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증강현실의 위치 변경,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변경을 반영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전시물의 특징점들 중 특정한 특징점 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증강현실저장된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에 의해 촬영될 때, 상기 특징점 패턴 위치에 해당하는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는 이벤트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모듈은,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는지 판단하여, 선택된 경우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고정 전시물인 착시 작품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관람객들에게 더 다양한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관람객들의 재방문율을 높여 입장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전용 앱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고정 전시물을 촬영할 때 함께 표시함으로써, 고정 전시물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고정 전시물의 교체 또는 변화와 관련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체험형 미술관 운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게임을 미술관 운영에 접목하여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흥미와 재미를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여 관람객의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관람자가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증강현실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사용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4는 고정 전시물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증강현실의 이동 방향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이다.
도 6은 증강현실의 움직임 제어를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5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를 보인 사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은, 적어도 벽면(1) 또는 바닥면(2)에 그려져 입체적인 착시 현상을 유발하는 다수의 고정 전시물(10,20,30)과, 체험형 미술관 내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할 때 고정 전시물(10,20,30) 각각에 표시되는 증강현실을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스마트기기(4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시스템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체험형 미술관의 적어도 벽면(1) 또는 바닥면(2)에는 다수의 고정 전시물(10,20,30)을 설치한다. 고정 전시물(10,20,30)은 입체적인 착시 현상을 유발할 수 있도록 벽면(1) 또는 바닥면(2), 벽면(1)과 바닥면(2)에 그려진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바닥면(2) 또는 벽면(1)에 설치된 조형물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각의 고정 전시물(10,20,30)의 개략적인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며, 아래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는 고정 전시물(10,20,30)들의 특징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고정 전시물(10,20,30)들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고정 전시물(10)은 폭발하는 화산(11)과 지면(13), 지면(13)이 갈라져 생긴 협곡(14), 협곡(14)을 가로지르는 발판(12) 등이 벽면(1)과 바닥면(2)에 선택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도 2의 사진은 실제로 고정 전시물(10)을 벽면(1)과 바닥면(2)에 설치하고, 관람객들이 발판(12)을 밟고 선 상태에서 자세를 잡고 있고, 다른 관람객이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하는 사진이다.
상기 스마트기기(40)는 적어도 카메라, 메모리,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여, 체험형 전시관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4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50)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4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카메라제어모듈(51), 배경인식모듈(52), 증강현실 표시모듈(53), 저장모듈(54),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55) 및 제어모듈(5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45)은 어플리케이션(50)의 실행시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관람객인 사용자의 제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제어는 적어도 스냅 사진의 촬영과 종료, 동영상의 촬영과 종료,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의 저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50)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카메라제어모듈(51)이 동작하여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싶은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하며, 이때 배경인식모듈(52)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저장된 특징점과 현재 스캐닝된 화면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고정 전시물(10)을 특정한다.
이는 체험형 전시관의 벽면(1)과 바닥면(2)에는 다수의 고정 전시물(10,20,30)들이 있으며, 그 고정 전시물(10,20,30)들을 특징적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고정 전시물(10,20,30) 각각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다르게 어플리케이션(50)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55)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촬영하는 고정 전시물(10,20,30)을 선택하여, 선택된 고정 전시물 각각에 대한 증강현실을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50)에서 자동으로 고정 전시물(10,20,30)을 특정할 수 있도록 배경인식모듈(52)을 사용한다.
상기 배경인식모듈(52)에는 각 고정 전시물(10,20,30)의 특징점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특징점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서 경계선, 절곡선, 색상의 특징적인 변화 영역 등이 될 수 있으며, 배경인식모듈(52)은 현재 촬영된 영상에서 특징점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미리 저장된 각 고정 전시물(10,20,30)들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어떤 고정 전시물(10,20,30)인지 특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전시물(10,20,30)의 빠른 특정을 위하여 유사도 개념을 도입할 수 있으며,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서 자동 검출한 특징점들의 배치가 미리 저장된 특징점들의 배치와 설정된 비율 이상 유사하면 특정한 고정 전시물(10,20,3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비율은 70%, 80% 등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배경인식모듈(52)에서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특정한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하는 것이라고 특정한 경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특정된 고정 전시물(10)에 해당하는 증강현실을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하는 것일 때는 고정 전시물(10)의 화산(11)의 분화와 분출되는 돌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화산(11)에서 분출된 돌에 의한 화염이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증강현실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돌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반복적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55)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저장모듈(54)에서는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 캡쳐하는 방식으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만들고 저장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저장모듈(54)은 스마트기기(4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증강현실 표시모듈(53)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합성할 수도 있다.
제어모듈(56)은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후에 설명되는 좀 더 다양한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은 고정 전시물(10)을 배경으로 하고, 동적 증강현실을 그 배경 앞쪽에 두어 입체적인 효과를 낸다. 특히 고정 전시물(10)은 입체적인 착시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스마트기기(40)를 통해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였을 때 입체적인 공간적 배경에 현장감을 부여하는 동적 증강현실을 더하여, 실제로 관람객이 화산이 분화하는 공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진과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람객들에게 미술 작품의 감상뿐만 아니라 미술 작품을 체험하고 즐기며,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여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경인식모듈(52)에서 현재 스마트기기(40)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특징점들이 바다괴물을 그린 고정 전시물(20)이라고 판단한 경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바다괴물의 머리 부분 형상을 동적 증강현실로 표시하며, 불을 뿜는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바다의 일부가 출렁이는 증강현실을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생동감을 더 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은 배경 전체를 가리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하며, 증강현실로 표현되는 이미지와 동일 이미지가 위치하는 위치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관람객은 바다괴물을 피해 도망치는 자세나 바다괴물과 싸우는 자세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자세를 취하고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배경인식모듈(52)에서 촬영된 영상의 특징점들을 각 고정 전시물(10,20,30)과 비교하여 특징점이 가장 유사한 고정 전시물(30)로 특정한 경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고정 전시물(30)을 배경으로 하여 물고기들이 유영하는 동적 증강현실을 표시한다.
필요에 따라 물고기들이 아닌 꽃이 날리는 증강현실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고정 전시물(30)을 배경으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스마트기기(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50)의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의 업데이트를 통해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실제 고정 전시물(30)에 변화를 주는 방법에 비하여 시간적, 공간적인 제한이 없어 미술관 운영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고정 전시물을 촬영하는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도 1의 고정 전시물(10)을 촬영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화면상에 증강현실(60)을 표시한다.
이때 화산(11)에서 분출된 화염 또는 돌이 날아오는 효과를 주기 위하여 하나의 증강현실(60)은 다수의 분할 이미지(61~66)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분할 이미지(61~66)는 상대적인 원근감을 가지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멀리 있는 화산(11)으로부터 화면의 앞쪽으로 날아오는 생동감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관람자의 의도 또는 요구가 반영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50)에서 정한 증강현실(60)이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관람자의 의도 또는 요구를 반영하여 증강현실을 표시하는 양방향성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관람자가 증강현실(60)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특정한 위치로 드래그 또는 탭과 같은 조작을 하는 경우 제어모듈(56)은 디스플레이 상에서 증강현실(60)의 이동 좌표를 확인하고,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을 제어하여 증강현실(60)의 위치를 관람자가 선택한 위치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분할 이미지(61~66)의 위치 관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하면 화산(11)과 가장 가까운 분할 이미지(61)가 화산에서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분할 이미지(61~66)들의 이동은 화산(11)의 수직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 관계가 성립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관람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증강현실(60)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정해진 증강현실(60)의 단순한 표시가 아닌 다양한 편집이 가능하여 관람자마다 다른 사진이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증강현실의 이동 방향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물속을 유영하는 물고기나 바람에 날리는 꽃잎 등 이동하는 증강현실(70)이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상기 증강현실(70)의 설정된 이동방향(71)으로 이동시키며 표시한다.
이때 관람자가 상기 증강현실(70)을 선택하고, 특정한 다른 위치(72)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모듈(56)은 증강현실(70)의 이동방향을 원래의 위치에서 선택된 위치(72)로 이동하라는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을 제어하여 증강현실(70)을 새로운 경로(73)를 따라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람자가 증강현실(70)을 선택하고 임의의 곡선 경로(75)를 디스플레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면, 새로운 위치(74)까지 선택한 곡선 경로(75)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관람자가 스마트기기(40)에 표시되는 증강현실(60,70)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입체적인 착시 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 배경에 단순하게 제공되는 증강현실을 겹쳐지게 표시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관람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독창적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증강현실의 움직임 제어를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이다.
도 3에 도시한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사람이나 동물, 로봇, 인형 등 다수의 관절부(81~86)를 가지는 증강현실(80)을 고정 전시물을 배경으로 하여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80)의 관절부(81~86)의 좌표도 함께 저장되어 있으며, 관람자가 스마트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특정한 관절부(83)를 탭하여 선택하고, 드래그 또는 다른 위치를 탭하여 이동 위치를 선택하면, 이를 인식한 제어모듈(56)은 관절부(83)의 변경된 좌표를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53)에 전달하고,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관절부(83)의 위치를 원래의 좌표와 변경된 좌표에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표시하며 따라서 특정한 동작을 반복하는 증강현실(80)구현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80)이 손을 흔들어 인사를 하는 동작, 권투나 태권도 등의 운동을 하는 동작, 춤을 추는 동작 등 다양한 관람자 임의로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입체적인 착시 현상을 유발하는 배경에 증강현실을 더하되, 증강현실을 사용자(관람자) 임의로 조작 및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관람자들이 얻는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증강현실의 사용자 임의 조작과 관련한 다른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50)의 저장모듈(54)에는 증강현실들 각각에 대하여 위치, 이동방향, 관절부의 반복적인 움직임과 관련한 다양한 예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관람자가 선택한 위치, 이동방향, 관절부의 움직임 변화와 관련된 예를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관람자가 선택한 좌표와 완전히 일치하는 좌표의 예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모듈에서 판단하여 가장 유사한 예를 호출하여 스마트기기(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50)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기기(40)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각각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50)에 이벤트모듈(57)을 더 포함하여 앞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들에 게임적인 요소를 결합할 수 있다.
관람자가 스마트기기(40)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 현상을 유발하는 배경에 증강현실이 겹쳐 표시되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스마트기기(40)의 카메라를 고정 전시물(10)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특정 위치에서 아이템 주머니(9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주머니(90)의 표시 위치의 결정은 이벤트모듈(57)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미술관이 실내인 점과 고정 전시물(10,20,30) 사이 거리가 가까운 점을 고려하여 GPS 방식을 사용할 수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배경인식모듈(52)에 저장된 특징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벤트모듈(57)에서 상기 특징점 정보 중 특정한 특징점 분포 영역을 지정하면, 증강현실 표시모듈(53)은 해당 특징점 분포 영역에 아이템 주머니(90)를 표시한다.
관람자가 스마트기기(40)로 촬영을 할 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역의 특징점을 배경인식모듈(52)에서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들을 저장된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고정 전시물이 어떤 전시물인지 특정함과 아울러 이벤트모듈(57)에서 정한 특징점 분포가 있는지 확인하여, 특징점 분포가 있으면 증강현실 표시모듈(53)에서 아이템 주머니(9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주머니(90)가 스마트기기(40)의 화면에 표시되고, 관람자가 아이템 주머니(90)를 탭하여 선택하면, 제어모듈(56)은 아이템 주머니(90)가 선택됨을 인식하여, 이벤트모듈(57)에 아이템 주머니(90)가 선택됨을 알린다.
이때 이벤트모듈(57)은 아이템 주머니(90)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해진 동작이라 함은 이벤트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며, 단순하게 아이템 주머니(90)를 선택하였을 때 다양한 상품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품을 제공한다는 알림을 스마트기기(4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상품, B상품, C상품, D상품, 상품 없음의 경우의 수를 두고 임의의 확률로 각 경우의 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상품을 관람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벤트모듈(57)에서 제공하는 이벤트가 퍼즐조각 모으기 게임이면, 아이템 주머니(90)가 선택되었을 때 퍼즐의 한 조각을 제공하고, 관람을 모두 마쳤을 때 퍼즐을 다 맞춘 관람자에게 소정의 상품을 지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50)에 이벤트모듈(57)을 부가함으로써, 게임적인 요소를 앞서 설명한 각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람객에게 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이벤트모듈(57)에서 아이템 주머니(90)를 표시하는 위치를 고정 전시물(10,20,30)들 각각의 특징점들에서 특정한 패턴의 특징점을 선택하기 때문에, 아이템 주머니(90)는 동일한 고정 전시물(10,20,30)에서만 표시된다. 이는 아이템 주머니(90)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아이템 주머니(90)를 발견하는 즐거움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템 주머니(90)가 표시되는 특징점 패턴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20,30:고정 전시물 40:스마트기기
50:어플리케이션 51:카메라 제어모듈
52:배경인식모듈 53:증강현실 표시모듈
54:저장모듈 55: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
56:제어모듈 57:이벤트모듈

Claims (16)

  1.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 및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할 때, 현재 촬영중인 고정 전시물을 구분하여 특정하고,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적당한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고,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적어도 카메라,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재 촬영중인 화면에서 특징점들을 검출하고,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중인 고정 전시물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검출된 특징점들과 저장된 특징점들을 비교하되, 설정된 기준 비율 이상 동일하면 촬영중인 화면에 대한 고정 전시물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은,
    상기 고정 전시물을 배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은,
    상기 스마트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 위치, 이동 방향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특정한 화면에서 이벤트를 위한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면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주머니는,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에서 선택된 특징점 패턴을 정하고,
    상기 정해진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촬영될 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9.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과;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하며, 화면에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미리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임을 특정하는 단계; 및
    특정된 상기 고정 전시물에 해당하는 기저장된 증강현실을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증강현실의 위치 이동,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치 이동,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명령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증강현실의 위치, 이동 방향,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시물들 각각에 대한 특징점들에서 선택된 특징점 패턴을 정하고,
    상기 정해진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촬영될 때, 상기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는지 판단하여, 선택된 경우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방법.
  13.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고정 전시물들과;
    상기 고정 전시물들 중 하나를 촬영하며, 화면에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촬영되는 영상에서 특징점을 검출하고, 저장된 고정 전시물들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어떤 고정 전시물을 촬영한 영상인지 특정하는 배경인식모듈; 및
    상기 배경인식모듈에서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해당하는 증강현실을 상기 고정 전시물의 영상을 배경으로 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에 의해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증강현실이 선택되는지 확인하고, 선택된 증강현실에 대한 위치, 이동 방향,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제어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표시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증강현실의 위치 변경, 이동 방향의 변경, 움직임의 변경을 반영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전시물의 특징점들 중 특정한 특징점 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증강현실저장된 특징점 패턴이 상기 스마트기기에 의해 촬영될 때, 상기 특징점 패턴 위치에 해당하는 스마트기기의 화면에 아이템 주머니를 표시하는 이벤트모듈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모듈은,
    상기 아이템 주머니가 선택되는지 판단하여, 선택된 경우 소정의 상품 당첨 여부의 표시 또는 퍼즐조각을 표시하여, 상품을 지급하거나, 퍼즐게임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KR1020170019422A 2017-02-13 2017-02-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KR10189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22A KR101893431B1 (ko) 2017-02-13 2017-02-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PCT/KR2017/006943 WO2018147512A1 (ko) 2017-02-13 2017-06-30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422A KR101893431B1 (ko) 2017-02-13 2017-02-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00A true KR20180093400A (ko) 2018-08-22
KR101893431B1 KR101893431B1 (ko) 2018-08-30

Family

ID=6310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422A KR101893431B1 (ko) 2017-02-13 2017-02-13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3431B1 (ko)
WO (1) WO20181475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43U (ko) * 2019-04-29 2019-05-27 (주)에이에스티홀딩스 확장 가능한 고 이동성 슬라이딩 증강현실 표시 장치와 구조
KR20210099790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사파리 투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0049A (ko) 2022-11-28 2024-06-05 정재욱 미술관 오디오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69B1 (ko) * 2007-12-13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30066B1 (ko) * 2009-03-31 2012-04-02 (주)트릭아트뮤지엄 체험형 그림 전시장치
KR101432381B1 (ko) * 2012-12-06 2014-08-20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36B1 (ko) * 2013-08-30 2015-05-06 주식회사 지스푼 증강현실제공방법 및 증강현실제공시스템
KR101594071B1 (ko) * 2015-01-26 2016-02-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시 장치 및 전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전시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69B1 (ko) * 2007-12-13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30066B1 (ko) * 2009-03-31 2012-04-02 (주)트릭아트뮤지엄 체험형 그림 전시장치
KR101432381B1 (ko) * 2012-12-06 2014-08-20 주식회사 에스제이더블유인터내셔널 증강 현실 마커를 이용한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43U (ko) * 2019-04-29 2019-05-27 (주)에이에스티홀딩스 확장 가능한 고 이동성 슬라이딩 증강현실 표시 장치와 구조
KR20210099790A (ko) * 2020-02-05 2021-08-13 이근호 사파리 투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12A1 (ko) 2018-08-16
KR101893431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233B1 (ja) 視聴ユーザからのメッセージ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
US2023028585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creasing guest engagement at a destination
US9132346B2 (en) Connecting video objects and physical objects for handheld projectors
US7775883B2 (en) Video actuated interactive environment
US20210368228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video distribution program for distributing video containing animation of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motion of actor
JP693372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63140B2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creation via tapping virtual surfaces in augmented reality
US20170023911A1 (en) Themed Holographic Theater
KR20190124766A (ko) 혼합 현실 뷰어 시스템 및 방법
GB2557787A (en) Projection system
WO2014050957A1 (ja) 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893431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체험형 미술관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CN110460893B (zh) 动态图像分发系统及其方法和记录介质
JP2009148497A (ja) カードゲーム装置、カードゲームプログラム
CA3089311A1 (en) Calibration to be used in a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CN107665231A (zh) 定位方法和系统
JP2020042362A (ja) 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81132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レイヤ側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23273A (ja) アクター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JP2020017981A (ja) 視聴ユーザからのメッセージ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
JP5864789B1 (ja) 鉄道模型観賞用装置、方法、プログラム、専用表示モニタ、合成用情景画像データ
JP2019198058A (ja) 視聴ユーザからのメッセージ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
KR20170143450A (ko) 물고기로봇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용 수족관
JP6431242B1 (ja) 視聴ユーザからのメッセージを含む動画を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
RU2772301C1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е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для аттракциона для кат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