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359A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359A KR20180093359A KR1020170019327A KR20170019327A KR20180093359A KR 20180093359 A KR20180093359 A KR 20180093359A KR 1020170019327 A KR1020170019327 A KR 1020170019327A KR 20170019327 A KR20170019327 A KR 20170019327A KR 20180093359 A KR20180093359 A KR 201800933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ture
- dental implant
- abutment
- insertion spac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8—Pins, needles; Head structur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8—Immediate loaded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식립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픽스쳐; 및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픽스쳐는, 본체부,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고 돌출부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속한 식립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가 고령화되면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이 증가하고 있다. 치아 임플란트는 인공 치아라고도 하는데, 임플란트 시술은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을 적용하여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시술이다.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 생리적, 직접적 결합은 골유착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의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래서 임플란트 식립 후 4주 이상 기능을 할 수 없고 골과 임플란트와의 골유착 기간 동안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 가중된다. 임플란트는 나사형 임플란트, 원통형 임플란트, 칼날형 임플란트 등이 있으나, 근래에는 나사형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임플란트는 그 시술 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립 후 신속한 기능회복이 가능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쳐; 및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픽스쳐는, 본체부,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고 돌출부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 상에 고정되는 크라운을 더 포함한다.
픽스쳐는 어버트먼트와 일체일 수 있다.
돌출부는 나사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는 제1 결합 구조를 가지고, 크라운은 제2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구조는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할 수 있다.
덮개부는 돌출부의 1.2배 내지 1.5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는 어버트먼트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는 상면과 하면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덮개부의 상면은 상기 덮개부의 하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 및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픽스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식립 후 즉시 기능할 수 있어,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픽스쳐가 치조골의 골조직에 유착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3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액상의 고정 부재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에 도포하고 픽스쳐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에 식립한 후, 고정 부재가 경화되기까지 10~30분 이내의 시간이 필요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시간을 종래와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는 픽스쳐(fixture)(100), 어버트먼트(abutment)(200) 및 크라운(crown)(300)을 포함한다.
픽스쳐(100)는 치조골(A)에 식립된다. 구체적으로, 픽스쳐(10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삽입되어 고정 부재(400)에 의해 치조골(A)에 고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는 후술할 어버트먼트(200)와 일체일 수 있다.
픽스쳐(100)는 티타늄 또는 세라믹과 같은 생체적합성(biocompatible)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픽스쳐(100)는 본체부(110), 덮개부(120) 및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원뿔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본체부(1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기둥 또는 다각뿔의 형태일 수 있으며,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삽입 가능한 형태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체부(110)는 후술할 덮개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120)의 반대쪽에 배치된 본체부(110)는 덮개부(120)와 접촉하는 본체부(11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픽스쳐(10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후술할 돌출부(130)보다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20)는 돌출부(130)의 1.2배 내지 1.5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는 어버트먼트(20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덮개부(120)의 직경(D2)은 돌출부(130)의 직경(D3)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D3≤D2). 또한, 덮개부(120)의 직경(D2)은 본체부(110)의 직경(D1), 및 어버트먼트(200)의 직경(D4)보다 크다(D1, D4 < D2).
덮개부(12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을 외부와 차단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위치하는 고정 부재(400) 및 픽스쳐(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은 고정 부재(400) 및 픽스쳐(100)로 가득 채워지기 때문에 덮개부(120)는 후술할 고정 부재(4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상면과 하면의 면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특히, 덮개부의 상면은 덮개부의 하면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12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과 직경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을 덮어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임플란트 삽입 공간(B) 내에 위치한 픽스쳐(100) 및 고정 부재(4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본체부(110)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130)에 의해 픽스쳐(100)와 후술할 고정 부재(400)의 접착 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픽스쳐(100)와 고정 부재(40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출부(130)는 본체부(110)로부터 픽스쳐(100)가 삽입된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130)는 픽스쳐(100)가 삽입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픽스쳐(100)가 치조골(A)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30)는 덮개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출부(130)의 가장자리를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1 선(L1)이라 정의할 때, 이 제1 선(L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일 수 있으며, 또는 절곡된 직선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스쳐(100)가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식립된 후, 돌출부(130)는 치조골(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는 원판 형상(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200)는 픽스쳐(100) 상에 위치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 외부에 위치한다.
어버트먼트(200)는 픽스쳐(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버트먼트(200)는 별도의 결합 부재를 통해 픽스쳐(100)와 결합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00)는 티타늄 또는 세라믹과 같은 생체적합성(biocompatible)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200)는 후술할 크라운(300)과 결합하기 위해 제1 결합 구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구조(21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결합 구조(210)는 나사(screw)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크라운(300)은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크라운(300)은 전술한 제1 결합구조(210)에 대응하는 제2 결합 구조(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 구조(310)는 제1 결합 구조(210)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구조(210)와 제2 결합 구조(310) 사이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크라운(300)은 어버트먼트(200)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결합 구조(310)는 제1 결합구조(210)와 나사(screw) 구조를 이루어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구조(210)는 암나사 및 수나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결합 구조는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결합 구조(210) 및 제2 결합 구조(310)는 서로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면 충분하다.
고정 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서 픽스쳐(100)와 치조골(A)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돌출부(130)와 치조골(A) 사이에 고정 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 및 치조골(A)과 직접 접촉한다.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를 치조골(B)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와 치조골(A)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00)는 골시멘트(bone cement)와 같은 생체 적합 결합 경화제일 수 있다. 골시멘트는 고점도의 액상 상태가 적용 부위에서 경화되면서 접착력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골시멘트에 함유된 중합 개시제가 액상 부분의 유기 매트릭스와 혼합되어 이를 고분자 물질로 바꾸어주면서 접착력이 향상된다. 또한, 골시멘트는 혼합과 적용, 경화의 전 과정이 대부분 10~30분 이내의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다.
종래 픽스쳐(100)가 치조골(A)에 직접적으로 식립되는 경우, 픽스쳐(100)가 치조골(A)의 골조직에 유착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3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골 유착 기간 지난 후에 어버트먼트(200) 및 크라운(300)을 픽스쳐(100)에 결합시켜 치과용 임플란트를 시술을 완료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적용 및 경화의 전 과정이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 부재(400)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A)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고정 부재(400)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도포하고 픽스쳐(100)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식립한 후, 고정 부재(400)가 경화되기까지 10~30분 이내의 시간이 필요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시간을 종래와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10)가 치조골(A)에 식립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을 형성한다. 이때,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은 픽스쳐(100)의 본체부(11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픽스쳐(100)의 덮개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고정 부재(400)가 충진된다. 이때, 고정 부재(400)는 액상으로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400)가 충진된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픽스쳐(100)가 삽입된다. 이때,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를 둘러싸며.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을 가득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의 덮개부(12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픽스쳐(100)의 덮개부(12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충진된 고정 부재(400)를 모두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은 고정 부재(40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위치하는 고정 부재(400) 및 픽스쳐(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를 둘러싸며 경화가 진행된다. 고정 부재(400)는 경화가 진행되면서 직접 접촉하고 있는 픽스쳐(100) 및 치조골(B)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00)는 골시멘트일 수 있다.
종래 픽스쳐(100)가 치조골(A)에 직접적으로 식립되는 경우, 픽스쳐(100)가치조골(A)의 골조직에 유착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3개월 이상의 기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골 유착 기간 지난 후에 어버트먼트(200) 및 크라운(300)을 픽스쳐(100)에 결합시켜 치과용 임플란트를 시술을 완료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 적용 및 경화의 전 과정이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 부재(400)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A)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고정 부재(400)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도포하고 픽스쳐(100)를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식립한 후, 고정 부재가 경화되기까지 10~30분 이내의 시간이 필요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 시간을 종래와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100)의 돌출부(130)는 나사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30)는 덮개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일정하게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30)의 가장자리를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2 선(L2)이라고 정의할 때, 제2 선(L2)은 직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스쳐(100)가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식립된 후, 돌출부(130)는 치조골(A)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400)는 돌출부(130)의 나사산 사이로 유동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는 단면상에서 삼각형, 반구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돌출부(130)는 픽스쳐(100)와 고정 부재(40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시키기 위한 형상이면 충분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픽스쳐(100)는 적어도 하나의 홈(101)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픽스쳐(100)의 본체부(110) 및 돌출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홈(101)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체부(110) 및 돌출부(130)는 4개의 홈(101a, 101b, 101c, 101d)을 가진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101a, 101b, 101c, 101d)은 본체부(110) 또는 돌출부(130)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각 홈들(101a, 101b, 101c, 101d)은 픽스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홈들(101a, 101b, 101c, 101d)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홈(101a)은 제3 홈(101c)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2 홈(101b)은 제4 홈(101d)과 마주보며 배치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각 홈들(101a, 101b, 101c, 101d)은 단면상에서 직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각 홈들(101a, 101b, 101c, 101d)의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 홈들(101a, 101b, 101c, 101d)은 단면상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홈들(101a, 101b, 101c, 101d)은 픽스쳐(100)가 치조골(A)의 골조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400)로 충진된 임플란트 삽입 공간(B)에 픽스쳐(100)가 삽입될 때, 고정 부재(400)는 치조골(A)과 픽스쳐(100) 사이에 충진되어 경화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에 형성된 홈(101a, 101b, 101c, 101d)에도 충진되어 경화된다. 이에 따라, 픽스쳐(100)에 형성된 홈(101a, 101b, 101c, 101d)에 충진되어 경화된 고정 부재(400)는 픽스쳐(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A)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치과용 임플란트
100: 픽스쳐
200: 어버트먼트 300: 크라운
400: 고정 부재
200: 어버트먼트 300: 크라운
400: 고정 부재
Claims (10)
- 픽스쳐; 및
치과용 임플란트 삽입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보다 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 상에 고정되는 크라운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일체인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나사산의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제1 결합 구조를 가지고, 상기 크라운은 제2 결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 구조는 상기 제2 결합 구조와 결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돌출부의 1.2배 내지 1.5배의 직경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어버트먼트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면과 하면의 면적이 서로 다른 치과용 임플란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면은 상기 덮개부의 하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치과용 임플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픽스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327A KR20180093359A (ko) | 2017-02-13 | 2017-02-13 | 치과용 임플란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327A KR20180093359A (ko) | 2017-02-13 | 2017-02-13 | 치과용 임플란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359A true KR20180093359A (ko) | 2018-08-22 |
Family
ID=6345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327A KR20180093359A (ko) | 2017-02-13 | 2017-02-13 | 치과용 임플란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9335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4737A (ko) | 2019-05-23 | 2020-12-02 | (주)센트롤 |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KR20200134736A (ko) | 2019-05-23 | 2020-12-02 | (주)센트롤 |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KR20200134835A (ko) | 2019-05-24 | 2020-12-02 | (주)센트롤 | 환자 맞춤식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
2017
- 2017-02-13 KR KR1020170019327A patent/KR201800933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4737A (ko) | 2019-05-23 | 2020-12-02 | (주)센트롤 |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KR20200134736A (ko) | 2019-05-23 | 2020-12-02 | (주)센트롤 |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KR20200134835A (ko) | 2019-05-24 | 2020-12-02 | (주)센트롤 | 환자 맞춤식 치근형 임플란트용 픽스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2095B2 (en) |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 |
US7866981B2 (en) | Implant arrangement | |
KR101966407B1 (ko) | 어버트먼트 조립체 | |
KR101417980B1 (ko) |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 |
KR101139962B1 (ko) |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2173435B1 (ko) | 치과 보철 시스템 | |
KR20180093359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419519B1 (ko) | 임플란트 어셈블리 | |
EP2835110B1 (en) |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 |
SG176681A1 (en) | Supplementary stabilizing device for an endoosseous dental implant | |
KR100788455B1 (ko) |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 |
KR101965332B1 (ko) |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 |
KR20100011847A (ko) | 임플란트 픽스츄어 | |
US20210361393A1 (en) |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system | |
US10603139B2 (en) | Angulated transfers for dental implants | |
US20100216092A1 (en) | Support for a temporary dental crown | |
US20130236852A1 (en) | Universal dental implant structure | |
KR102062575B1 (ko) |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 |
KR102080241B1 (ko) |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 |
BR112021014999A2 (pt) | Arranjo de componente protético e kit de restauração dentária | |
KR100808500B1 (ko) | 부실한 치조골에 사용되는 임플란트 인공치근 | |
US20110143313A1 (en) | Dental implant device | |
KR20130049847A (ko) | 중간부와 하부의 파지구조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 |
KR200282971Y1 (ko) | 풀림이 방지된 인공치아 임플란트장치 | |
KR200308260Y1 (ko) |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