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323A -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323A
KR20180093323A KR1020170019233A KR20170019233A KR20180093323A KR 20180093323 A KR20180093323 A KR 20180093323A KR 1020170019233 A KR1020170019233 A KR 1020170019233A KR 20170019233 A KR20170019233 A KR 20170019233A KR 20180093323 A KR20180093323 A KR 2018009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vacuum circuit
switch
turned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594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록 스위치와 동기되어 동작하는 보조 스위치를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에 연결하여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는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출되면 턴 온되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의 위치가 테스트 포지션이거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2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인터록 스위치 및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과 동기되어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Circuit for detecting position of vacuum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록 스위치와 동기되어 동작하는 보조 스위치를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에 연결하여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진공 상태에서의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한 점을 활용하여 설계된 것이다.
이러한 진공 차단기는 고정형 진공 차단기와 인출형 진공 차단기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형 진공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만으로 구성되어 배전반 판넬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인출형 진공 차단기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Cradle)이라는 외함이 구비되어 차단기 본체가 크래들에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정형 진공 차단기는 유지 보수를 위해 전원 측과 부하 측에 고정되어 있는 단자를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늘고 유지 보수의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로부터 진공 차단기를 분리하여 유지 보수가 가능한 인출형 진공 차단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출형 진공 차단기에서는,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불완전 접촉에 의한 아크를 유발하여 사고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출형 진공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크래들(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들(1)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2)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크래들(1)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2)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라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진공 차단기(2)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1)에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인출된 상태를 테스트 포지션이라고 하고, 도 3과 같이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인입된 상태를 서비스 포지션이라고 한다.
테스트 포지션에서 진공 차단기(2)는 크래들(1)에 접속하지 않고 차단 동작(차단기 ON/OFF)을 시험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포지션에서 진공 차단기(2)의 터미널은 크래들(1)의 부하단자와 접속되어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의 하부에는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과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이 형성된 포지션 브라켓(1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미도시)가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 또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에 삽입되면 진공 차단기(2)가 고정된다.
또한,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진공 차단기(2) 내부에는 포지션 스위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포지션 스위치를 턴 온 또는 턴 오프 시키기 위하여 크래들(1)에는 제1 및 제2 돌출 부재(21, 22)가 용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에 인입되면 진공 차단기(2) 하부에 설치된 포지션 스위치는 제2 돌출 부재(22)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 된다. 반대로,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에서 인출되면 진공 차단기 하부에 설치된 포지션 스위치는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 된다.
각 포지션 스위치는 램프 등의 출력 수단과 연결되고, 램프는 포지션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점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아크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돌출 부재(22)는 진공 차단기(2)의 인입이 완료되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보다 수 mm정도 테스트 포지션에 가깝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공 차단기(2)의 터미널과 크래들(1)의 부하단자가 접촉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점등되는 램프를 확인하고, 진공 차단기(2)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진공 차단기(2)의 위치 검출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진공 차단기(2)가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까지 완전히 인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진공 차단기(2)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하여 진공 차단기(2)를 더이상 인입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공 차단기(2)의 위치는 서비스 포지션이지만 해당 위치에서의 진공 차단기(2)는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터록 스위치와 동기되어 동작하는 보조 스위치를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에 연결함으로써, 진공 차단기가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는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출되면 턴 온되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의 위치가 테스트 포지션이거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2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인터록 스위치 및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과 동기되어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차단기가 완전히 인입된 경우에 한해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하므로, 서비스 포지션으로 판단되는 진공 차단기의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록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동기되어 동작하는 보조 스위치를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진공 차단기에 설치된 돌출 부재의 위치 변경 또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의 동작 위치 변경 등의 물리적인 설계 변경 없이 기존의 진공 차단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출형 진공 차단기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크래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가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는 크래들(Cradle)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의 위치(포지션)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진공 차단기는 고압 전력계통에 설치되어 회로의 단락이나 과전류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도록 구성된 회로 차단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진공 차단기는 진공 상태에서 절연성능과 아크 소호력이 우수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진공 차단기는 크래들로 통칭되는 외함에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인출형 진공 차단기이다.
이와 같은 인출형 진공 차단기에서는, 진공 차단기가 크래들에 완전히 인입되기 이전에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불완전 접촉에 의한 아크를 유발하여 사고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로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회로도는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진공 차단기의 물리적인 위치에 따라 회로를 이루는 각 스위치의 동작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에 포함된 각 스위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는 진공 차단기(2)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크래들(1)에 대하여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는 진공 차단기(2)가 서비스 포지션으로부터 크래들(1)에 대하여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출되면 턴 온될 수 있다.
테스트(TEST) 포지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2)가 인출되어 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포지션은 진공 차단기(2) 하부에 설치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가 도 1에 도시된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되어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일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가 도 1에 도시된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되어있을 때의 진공 차단기(2)의 위치와,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미도시)가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을 때의 진공 차단기(2)의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스트 포지션은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가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진공 차단기(2) 하부에 설치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가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되어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테스트 포지션이라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SERVICE) 포지션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에 대하여 진공 차단기(2)가 인입되어 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포지션은 진공 차단기(2) 하부에 설치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가 도 1에 도시된 제2 돌출 부재(22)에 의해 물리적으로 턴 온되어 있을 때, 진공 차단기(2)의 위치일 수 있다.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 기준 거리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돌출 부재(21, 22)간의 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가 턴 온되어 있는 진공 차단기(2)가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는 턴 오프되고, 제2 돌출 부재(22)에 의해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가 턴 온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돌출 부재(22)에 의해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가 턴 온되어 있는 진공 차단기(2)가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출되면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는 턴 오프되고, 제1 돌출 부재(21)에 의해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가 턴 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 및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는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는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또한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LS1)는 진공 차단기(2)의 위치가 테스트 포지션이거나, 진공 차단기(2)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크래들(1)에 대하여 제2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될 수 있다.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 기준 거리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 및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간의 거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LS1)는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가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 또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에 삽입되면 턴 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에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가 삽입되어 인터록 스위치(LS1)가 턴 온되어 있는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대해 인입되기 시작하면 인터록 스위치(LS1)는 턴 오프될 수 있다. 진공 차단기(2)가 인입된 거리가 제2 기준 거리에 도달하면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LS1)는 다시 턴 온될 수 있다.
아크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제2 돌출 부재(22)는 진공 차단기(2)의 인입이 완료되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보다 수 mm정도 테스트 포지션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준 거리는 제2 기준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 차단기(2)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제1 기준 거리보다 길고 제2 기준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인입된 경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는 턴 온 상태이지만 인터록 스위치(LS1)는 턴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2)의 위치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치(LS6, LS7)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스위치(LS6, LS7)는 각각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서 직렬로 연결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및 보조 스위치(LS6)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5번 노드와 6번 노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 직렬로 연결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5) 및 보조 스위치(LS7)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7번 노드와 8번 노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치(LS6, LS7, LS8, LS9)는 각각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및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직렬로 연결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및 보조 스위치(LS8)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1번 노드와 2번 노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서 직렬로 연결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3) 및 보조 스위치(LS9)가 모드 턴 온된 경우에만 3번 노드와 4번 노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2)의 위치 검출 회로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의 일단과 연결된 노드(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위치(LS6)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의 일단과 연결된 노드(6)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각각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및 보조 스위치(LS6)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5번 및 7번 노드와 8번 노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 인터록 스위치 및 보조 스위치는 기계장치 등의 동작이 일정한 한계 위치에 도달하면 접점이 전환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보조 스위치(LS6, LS7, LS8, LS9)는 인터록 스위치(LS1)의 동작과 동기되어 턴 온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스위치(LS6, LS7, LS8, LS9)는 인터록 스위치(LS1)가 턴 온되면 함께 턴 온될 수 있고, 인터록 스위치(LS1)가 턴 오프되면 함께 턴 오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보조 스위치(LS6, LS7, LS8, LS9)는 인터록 스위치(LS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록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동기되어 동작하는 보조 스위치를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또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진공 차단기에 설치된 돌출 부재의 위치 변경 또는 포지션 스위치의 동작 위치 변경 등의 물리적인 설계 변경 없이 기존의 진공 차단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및 보조 스위치(LS6, LS7)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가 턴 온되고 보조 스위치가 턴 온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는 램프(ramp), 부저(buzzer)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출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출력부는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대해 서비스 포지션까지 인입되면 사용자에게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공 차단기(2)가 현재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및 보조 스위치(LS6)는 5번 노드 및 6번 노드를 통해 제1 출력부의 램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와 보조 스위치(LS6)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5) 및 보조 스위치(LS7)는 7번 노드 및 8번 노드를 통해 제1 출력부의 부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저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5)와 보조 스위치(LS7)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서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및 보조 스위치(LS6)는 5번, 7번 노드 및 8번 노드를 통해 제1 출력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출력부는 두 개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LS4, LS5) 및 보조 스위치(LS6)가 모두 턴 온된 경우에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가 턴 온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출력부는 진공 차단기(2)가 크래들(1)에 대해 테스트 포지션까지 인출되면 사용자에게 진공 차단기(2)의 위치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진공 차단기(2)가 현재 테스트 포지션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는 1번 노드 및 2번 노드를 통해 제2 출력부의 램프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른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3)는 3번 노드 및 4번 노드를 통해 제2 출력부의 부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LS3) 및 보조 스위치(LS8, LS9)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가 턴 온되고 보조 스위치가 턴 온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2) 및 보조 스위치(LS8)는 1번 노드 및 2번 노드를 통해 제2 출력부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LS3) 및 보조 스위치(LS9)는 3번 노드 및 4번 노드를 통해 제2 출력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 차단기가 완전히 인입된 경우에 한해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해 있다고 판단하므로, 서비스 포지션으로 판단되는 진공 차단기의 차단 동작 또는 통전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진공 차단기(2)는 투입 코일(closing coil)에 제어 전원을 인가하여 차단기를 닫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차단기 ON). 또한, 진공 차단기(2)는 트립 코일(trip coil)을 여자(勵磁)시켜 차단기를 열림 상태(차단기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2)는 인터록 스위치(LS1)의 동작에 따라 차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동작은 차단기를 닫힘 상태 또는 열림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록 스위치(LS1)는 투입 코일(C)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투입 코일(C)에는 인터록 스위치(LS1)가 턴 온될 때에만 제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2)는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가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에 삽입되거나,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차단기를 닫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진공 차단기(2)의 인터록 부재가 테스트 포지션 결정 홈(11) 또는 서비스 포지션 결정 홈(1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진공 차단기(2)는 차단기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2)가 테스트 포지션에 위치하여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진공 차단기(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트립 코일(미도시)을 여자시켜 차단기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2)가 서비스 포지션에 위치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할 때, 과전류가 발생하면 진공 차단기(2)는 자동 제어에 따라 트립 코일(미도시)을 여자시켜 차단기를 열림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차단기(2)는 인터록 스위치(LS1)가 턴 온되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차단 동작(차단기 ON/OFF)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진공 차단기(2)는 차단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는 차단기를 ON 또는 OFF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차단기에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차단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인터록 스위치가 턴 온 상태이면 차단기에 인가될 수 있고, 인터록 스위치가 턴 오프 상태이면 차단기에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9)

  1. 크래들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가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서비스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거리만큼 인출되면 턴 온되는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
    상기 진공 차단기의 위치가 상기 테스트 포지션이거나, 상기 진공 차단기가 상기 테스트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에 대하여 제2 기준 거리만큼 인입되면 턴 온되는 인터록 스위치; 및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과 동기되어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및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가 턴 온되고 상기 보조 스위치가 턴 온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와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는
    상기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가 턴 온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와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는
    상기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기는
    상기 인터록 스위치가 턴 온되면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 또는 상기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의 일단과 연결된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노드와 직렬로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거리는
    상기 제2 기준 거리보다 짧은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거리는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포지션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턴 온 시키거나 상기 테스트 포지션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턴 온 시키는 돌출부재간의 거리인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KR1020170019233A 2017-02-13 2017-02-13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KR10189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33A KR101893594B1 (ko) 2017-02-13 2017-02-13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233A KR101893594B1 (ko) 2017-02-13 2017-02-13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323A true KR20180093323A (ko) 2018-08-22
KR101893594B1 KR101893594B1 (ko) 2018-08-31

Family

ID=6340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233A KR101893594B1 (ko) 2017-02-13 2017-02-13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006U (ja) * 1984-07-18 1986-02-14 株式会社東芝 開閉器位置検出装置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2014143867A (ja) * 2013-01-25 2014-08-07 Toshiba Corp 引出形収納機器の位置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006U (ja) * 1984-07-18 1986-02-14 株式会社東芝 開閉器位置検出装置
KR20110037793A (ko) * 2009-10-07 2011-04-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JP2014143867A (ja) * 2013-01-25 2014-08-07 Toshiba Corp 引出形収納機器の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594B1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213179A (ja) 直流回路遮断器および使用方法
US20130020881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terrupting a current flow in a dc current path
AU2011231921B2 (en) Switchgear assembly for medium voltage having a short-circuit unit
KR100587575B1 (ko) 진공개폐장치 및 그 개폐방법
KR20160033438A (ko) 직류전류 차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84290B2 (en) Circuit breaker
KR100536106B1 (ko) 고주파 오동작 방지용 전자개폐장치와 그를 이용한 누전차단장치
KR10189359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 회로
JP5185181B2 (ja) 電流分配装置および直流用遮断器
JP4765762B2 (ja) 位相制御開閉装置
KR20130063673A (ko) 진공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진공밸브
KR101198413B1 (ko) 차단기 운전용 반도체 스위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17158B1 (ja) 位相制御開閉装置
JP4553212B1 (ja) 遮断器動作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遮断器の投入操作方式の判定方法
JP2014175077A (ja) 電流遮断装置
KR20190006818A (ko) 진공 차단기
ES2937173T3 (es) Método para realizar una operación de cierre e interrupción de circuito
JP2005038630A (ja) 真空遮断装置
KR100304252B1 (ko) 연동형 기중 차단기의 자동 절체 제어 장치
JP2023509276A (ja) 2つの電圧源により給電される直流回路遮断用スイッチ
KR101580592B1 (ko) 무정전 점검 및 교체 가능한 차단기
KR20180045451A (ko) 누전차단기
JP2004031322A (ja) 遮断器を系統同期的に開閉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17126467A (ja) 壁用直流スイッチ
JP2011193558A (ja) スイッチギヤ及びスイッチギヤの連動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