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948A -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948A
KR20180092948A KR1020187015366A KR20187015366A KR20180092948A KR 20180092948 A KR20180092948 A KR 20180092948A KR 1020187015366 A KR1020187015366 A KR 1020187015366A KR 20187015366 A KR20187015366 A KR 20187015366A KR 20180092948 A KR20180092948 A KR 20180092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iquid
pump
pressur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헬르무스 요하네스 요셉 마아스
파울로 네르보
Original Assignee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9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4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opened by pressure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08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sprayer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05B1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포말(foam), 특히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액체를 위한 용기, 및 이 용기에 연결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배 장치는,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챔버 및 펌프 챔버 안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프(피스톤과 펌프 챔버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음); 펌프 챔버를 노즐에 연결하는 출구 채널; 출구 채널과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전 밸브; 및 출구 채널에 연결되는 버퍼 챔버를 포함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버퍼 챔버는 버퍼 챔버의 사용 가능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압축 가능한 변화기(variator)를 포함하고, 노즐, 버퍼 및 펌프는 포말이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액체 포말(foam),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의 분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기, 펌프 및 버퍼를 포함하는 액체 포말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손 식기 세척은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 세제를 스폰지나 세정 기구에 가하여 그 기구로 식기를 문지르거나 또는 싱크대 내의 수조에 세제를 추가하여 식기를 세제 수조에 담그고/문질러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식기가 심하게 더러워져 있지 않거나 세정할 단지 몇 개의 물품(예컨대,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 잠시 사용되는 칼, 주걱, 죽 국자 등)만 있는 경우에 소비자는 식기를 세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 보다 긴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또한 식기 세척 세제 제품이 낭비될 수 있다(즉, 투입되는 양은 식기를 세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 보다 많을 수 있음).
많은 소비자들이 효율적인 식기 세정 방법을 찾고자 할 수 있다. 더 신속한 세정에 대한 일 방안은, 더러워진 식기에 식기 세척 세제를 직접 가하고 이어서 선택적으로 가볍게 문지르고 그런 다음에 물로 헹구는 것이다. 직접-포말 세정 기술에서의 한 시도는, Method Products(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의해 판매되는 "Method Power Foam Dish Soup" 식기 세척 세제이다. Method 제품은 종래의 분무 병에 담긴 식기 세척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분무 병으로부터 직접-포말 식기 세척 제품을 분배하면, 식기가 효과적으로 세정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효율적인 세정을 위한 양호한 표면 영역 포말 커버리지(coverage) 및/또는 지속적인 포말 커버리지가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커버리지의 부족과 비지속적인 커버리지를 보상하기 위해, 복수회의 분무 작용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복수회의 분무 작용은,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세정 제품의 과도한 소비를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분무시 표면으로부터의 제품 되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되튐으로 인해, 제품이 낭비될 수 있고 또한 제품 흡입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의 되튐으로 또한 거친 식품 세정을 훼손함이 없이 직접-포말 세정 제품의 투입 마다 양호한 표면 커버리지를 보장해주는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여 세정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액체 포말(foam), 특히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이 시스템은, 액체를 위한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장치는, 상기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챔버 및 상기 펌프 챔버 안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프(상기 피스톤과 펌프 챔버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음); 상기 펌프 챔버를 노즐에 연결하는 출구 채널; 상기 출구 채널과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전 밸브; 및 상기 출구 채널에 연결되는 버퍼 챔버를 포함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챔버는 버퍼 챔버의 사용 가능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압축 가능한 변화기(variator)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버퍼 및 펌프는 상기 포말이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되어 있다. 포말을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함으로써, 포말의 유효성이 증가된다.
분배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압축전 밸브 및 버퍼 챔버는 상기 포말의 분배 압력의 하한과 상한을 각각 규정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포말이 분배되는 압력은 비교적 좁은 대역폭 내에 있게 되어 더 균일한 포말이 보장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압축전 밸브는 약 2 내지 4.5 bar,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3.5 bar의 균열 압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더 낮은 압력 한계에서, 액체는 비교적 작은 액적으로 분무되고, 이러한 작은 액적으로 인해 더 양호한 포말이 형성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버퍼 챔버 및 변화기는 약 3 내지 5.5 bar, 바람직하게는 약 5 bar의 분배 압력의 최대 값을 규정한다. 분무 압력에 대한 이 상한에 의해, 액적은 너무 작게 되지 않게 되는데, 액적이 너무 작으면 흡입의 위험이 있게 될 것이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펌프는 상기 노즐의 최대 처리량 보다 큰 행정 부피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해서, 펌프에서 나온 모든 액체가 노즐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액체의 일부는 나중의 분무를 위해 저장되어야 할 것이다.
노즐의 최대 처리량은 약 1.45 cm3/s 일 수 있다.
분배 시스템은, 상기 펌프의 행정 부피 보다 큰 최대 사용 가능 부피를 갖는 버퍼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하나 이상의 펌프 행정의 출력물은 나중의 분배를 위해 버퍼링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서, 노즐은 입구 깔대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선회(swirl) 홈을 가지며, 그 깔대기는 노즐 오리피스에 이어져 있다. 액체 유동은 노즐 오리피스를 떠나기 바로 전에 선회 홈 및 깔대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가속되고 에너지를 받게 된다.
노즐은 상기 입구 깔대기의 상류에서 중앙 보어를 가지며, 이 중앙 보어는 분배기 프레임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보어는, 돌출 프레임 부분의 끝면과 보어의 바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액체의 일부는 선회 홈을 통과하고 또한 액체의 일부는 선회 홈을 우회하여 노즐과 분배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리하여, 액체가 노즐 오리피스에 들어가기 바로 전에 그 액체의 유동 특성이 개선된다. 이렇게 해서, 어떤 액체에 대해, 액체가 노즐 오리피스에 들어가기 바로 전에 그 액체의 유동 특성이 개선된다. 다른 액체에 대해서는, 분배기 프레임의 돌출 부분은, 돌출 프레임 부분의 끝면과 보어의 바닥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치수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입구 패널은 원추형일 수 있고, 약 20 - 150°, 바람직하게는 약 50 - 1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정상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각도는 액체가 최적으로 가속되도록 선택된다.
액체에서 최적량의 회전이 일어나도록, 노즐은 홀수 개의 선회 홈,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5개의 선회 홈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노즐은 상기 노즐 개구의 하류에서 발산형 확장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확장 영역에서, 액체의 압력이 거의 순간적으로 떨어져, 포말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확장 영역은 통기 개구를 가질 수 있어, 팽창하는 액체 흐름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 포말 형성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확장 영역은 원추형일 수 있고, 약 20 - 120°, 바람직하게는 약 30 - 90°,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의 정상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원추형 노즐은 만들기가 비교적 쉽고, 팽창하는 액체 흐름 내의 액적이 분할될 수 있는 표면을 형성할 수있다.
분배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변화기는 버퍼 챔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및 변화기 피스톤과 결합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장착 피스톤은 기계적으로 간단하고 튼튼하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변화기는 압축 가능한 매체로 충전되는 백(ba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및 스프링과 같은 가동 부품이 없으며, 그래서 분배 시스템의 장기적인 신뢰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에서, 버퍼 챔버는 상기 출구 채널에 통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출구 채널에서의 액체 압력이 백에 직접 작용할 수 있고, 분배 시스템이 더 컴팩트하게 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용기는 병속 백(bag-in-bottle)형 용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병속 백형 용기에서, 분배될 액체는 그의 전체 유효 기간 동안에 주변 대기로부터 완전하게 격리되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오염되거나 노화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분배 시스템은, 관련된 부품을 작동시키고 액체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펌프 피스톤 또는 펌프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 방아쇠를 더 포함한다. 이렇게 해서, 분배 시스템은 방아쇠 분무기로서 구현되며, 이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분배기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포말, 특히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펌프를 작동시켜 용기로부터 액체를 인출하고 그 액체를 가압하는 단계(상기 용기 및 펌프는 분배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함); 가압된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분배 시스템의 분배 노즐에 안내하는 단계;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 상기 가압된 액체의 다른 부분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노즐로부터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버퍼 및 펌프는, 포말이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되어 있다.
분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 21 - 27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류의 분배 시스템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한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어 있고,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는 "100" 만큼 증가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직접-포말 분무 패턴의 스캐닝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배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배 시스템을 통과하는 액체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파선 경계 "4"로 규정되어 있는 분무 노즐의 확대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 및 5의 노즐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 - 6의 노즐의 선회 홈 및 내부 원추형 영역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분배 장치의 압축전 밸브 및 버퍼가 액체 포말이 분배되는 압력에 대한 좁은 대역폭을 규정하는 방식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분배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분배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분배 시스템에 장착되는 도 4 - 6의 노즐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직접-포말 세정 제품은, 분무 분배기로부터 분배되어 직접-포말을 형성하는 세정 조성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직접-포말" 또는 "직접 제품"은, 추가적인 물리적 개입, 화학적 개입 등이 없이, 제품이 가해지는 표면에서 포말을 형성하는 제품이다. 예컨대, 일단 제품이 그의 용기로부터 분배되면 포말을 생성하기 위해 표면 상의 제품을 손으로 문지르는 것은 직접-포말 제품이 아니다. 직접 포말 제품은 이 제품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로부터 표면에 직접 가해진다.
세정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분배 시스템은 액체 세정 조성물을 위한 용기 및 이 용기에 연결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한다. 적절한 용기는 본 출원인의 Flair®기술을 사용하는 병속 백(bag-in-bottle)형 용기일 수 있다. 분배 장치는 펌프, 압축전 밸브 및 버퍼(buffer)를 포함한다. 압축전 밸브는 액체가 분배 장치로부터 방출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압력을 제어하고, 버퍼 기구는 버퍼 챔버에 또는 그로부터 펌핑되는 액체의 최대 압력을 제어한다. 조성물이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분배되면, 세정 조성물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넓은 고리형 포말 패턴을 갖는 직접-포말 제품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포말 패턴 형상도 고려되며, 분배 장치의 노즐 설계를 변경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배 장치(1)가 나타나 있는데, 이 분배 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직접 포말 세정 조성물이 분배될 수 있다. 분배 장치(1)는 액체 입구(16)를 펌프 챔버(20)에 유체 연결하는 분무 엔진 프레임(10), 버퍼 챔버(30), 압축전 밸브(40), 및 노즐(50)을 포함한다. 액체 조성물(100)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유동 경로(200)를 통해 이동하여 직접 포말 제품으로서 분배된다. 액체 입구(16)는 선택적인 침지 관(18)에 유체 연결되어, 병 또는 저장부(나타나 있지 않음)로부터 액체 조성물(100)을 분무기(1)의 유동 경로(200)를 통해 인출할 수 있다. 병과 액체 조성물(100)은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위한 리필(refill)로서 별개로 판매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에서 나온 액체 조성물(100)은, 예컨대 병속 백과 같은 붕괴 가능한 내부 구조체를 갖는 알려져 있는 무공기 시스템, 본 출원인의 Flair®병 기술과 같은 박리 병 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다른 무공기 기술을 사용하여 침지 관(18) 없이 분무기(1) 안으로 흡인될 수 있다.
분배 장치(1)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방아쇠(14)와 같은 작동 요소또는 다른 공지된 작동 요소(예컨대, 누름 버튼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작동 요소는 피스톤(2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작동시, 스프링 장착 방아쇠(1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면, 피스톤(22)이 아래로 움직이고, 방아쇠(14)를 놓으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피스톤(22)이 다시 위로 움직이게 되다. 이리하여, 챔버의 부피가 확장되어 과소 압력이 발생되고, 이 과소 압력에 의해 입구 밸브(12)가 열리고 출구 밸브(36)는 닫혀 액체 조성물(100)이 위쪽으로 펌프 챔버(20) 안으로 흡입된다. 입구 밸브(12)가 열림에 따라, 출구 밸브(36)는 닫히게 된다(과소 압력에 의해 출구 밸브가 폐쇄 위치로 위쪽으로 움직이게 됨).
방아쇠(14)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거나 당겨지면, 펌프 챔버(20) 안에서 하향 행정이 일어나게 된다. 피슨톤(22)이 아래로 움직여 액체를 출구 채널(60) 안으로 밀어 넣고, 이 출구 채널은 압축전 밸브(40) 쪽으로 이어져 있다. 버퍼 챔버(30)가 또한 이 출구 채널(60)에 연결되어 있다. 입구 밸브(12)는 닫히고 출구 밸브(36)가 열려, 액체 조성물(100)이 출구 채널(60) 및 압축전 밸브(40)로 가게 된다. 펌프 피스톤(22)의 하향 행정으로 발생된 압력이 압축전 밸브(40)의 균열 압력을 초과하면, 그 밸브의 다이어프램(41)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밸브가 그의 개방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액체가 노즐(50) 쪽으로 흐르게 되고 이 노즐에서 포말로서 분배된다.
방아쇠(14)가 작동되면, 입구 밸브(12)가 닫혀, 펌프 챔버(20)에서 나온 액체가 다시 병/저장부 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압력에 의해 입구 밸브는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로 움직이게 됨). 이리하여, 출구 채널(60)과 버퍼 챔버(30)에서 압력이 증대될 수 있다. 펌프의 행정 부피는 노즐(50)의 최대 처리량 보다 크므로, 출구 채널(60) 내의 압력은 펌프 피스톤(22)의 하향 행정 동안에 상승하게 된다.
이 압력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변화기(variator)(70)에 작용하고, 이 변화기는 버퍼 챔버의 사용가능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해 버퍼 챔버(30)에 배치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변화기(70)는 버퍼 피스톤(32) 및 이 피스톤과 결합하는 버퍼 스프링(34)을 포함한다.
버퍼 챔버(30)에 있는 액체 조성물(100)의 압력에 의해 버퍼 피스톤(32)이 아래로 밀리고, 그리하여 버퍼 피스톤(32) 밑에 있는 버퍼 스프링(34)이 압축되며, 그래서 버퍼 챔버(30)의 사용가능 부피가 증가되고 또한 액체 조성물이 압력하에서(가압된 상태에서) 버퍼 챔버(30) 안에 임시로 저장될 수 있다.
버퍼 챔버(30)의 어떤 깊이에서 오버플로우 개구(나타나 있지 않음)가 있다. 이 오버플로우 개구는 액체 압력이 너무 많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버퍼 피스톤(32)이 아래쪽으로 초과 이동할 수 없는 어떤 규정된 지점에 있는 일종의 출구이다. 따라서, 버퍼 피스톤(32)이 어떤 지점을 초과하여 이동하면(원하는 최대 압력/스프링력에서), 액체는 버퍼 챔버(30)의 벽에 있는 오버플로우 개구를 통해 다시 저장부 안으로 유입할 것이다. 액체 오버플로우 개구는, 압축전 밸브(40)의 미리 설정된 개방 압력 또는 균열 압력 보다 높은 버퍼 챔버(30) 내의 최대 버퍼 스프링(34) 압력(예컨대, 0.5 내지 3.0 bar 또는 0.5 내지 1.0 bar)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이러한 압축전 밸브 개방 압력은 예컨대 1.5, 2.5, 3.5 bar 또는 심지어 6 bar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개방 압력은 2 내지 4.5 bar, 특히 약 3 내지 3.5 bar 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압축전 밸브(40)는 버퍼 챔버(30) 안에서 형성될 수 있는 최대 압력 보다 낮은 개방 압력을 가짐을 유의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버퍼 챔버(30)가 액체로 완전히 충전되어 그의 최대 압력에 도달하기 훨씬 전에, 압축전 밸브(40)가 열려 분무가 일어날 수 있다. 이리하여, 연속적인 분무 조건이 얻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노즐(50)이 분무할 수 있는 것 보다 더 많은 액체가 분무기에서 이용 가능하면(노즐은 이 노즐을 통과하는 최대 유량에 의해 제한 받음), 나머지 엑체는 버퍼 챔버(30) 안에 저장되고, 액체 유동을 차단하게 될 압축전 밸브 폐쇄 압력 아래로 압력이 떨어질 때까지 어떤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방출된다. 이리하여, 한번의 작동으로 긴 지속 시간의 분무가 가능하고 또한 어떤 작동 간격을 두고 일어나는 복수회의 작동으로 연속적인 분무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노즐(50)이 1 ml/s 만 분무할 수 있고 또한 한번의 작동으로 1.4 ml의 액체가 펌핑되는 경우, 분무는 1.4 초간 계속될 것이다. 1.4 ml의 액체가 3회의 작동으로 2초 내에 펌핑되는 경우, 분무기는 분무를 4.2 초간 계속할 것이다.
압축전 밸브(40)는 노즐(50)로부터의 분무 작용을 제어한다. 압축전 밸브(40)는 규정된 압력을 갖는데, 액체의 압력이 그러한 규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압축전 밸브가 열려 분무가 일어나게 된다. 압력이 압축전 밸브(40)의 규정된 폐쇄 압력 아래로 떨어지면, 압축전 밸브는 닫히고, 그리하여, 적절히 가압된 액체만 노즐(50)로 진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분무가 일어날 수 있다. 출구 채널(60)과 버퍼 챔버(30) 내의 액체 압력 때문에 압축전 밸브(40)가 열리고, 그래서 액체 조성물(100)이 노즐(50) 쪽으로 가서 원하는 분무를 생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아쇠(14)가 작동되면, 입구 밸브(12)가 닫혀, 펌프 챔버(20)에서 나온 액체가 다시 병/저장부 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분배 장치(1)는 후속되는 방아쇠 해제 및 액체 흡입 단계에 있을 수 있더라도, 엑체 조성물(100)은 여전히 압축전 밸브(40)를 지나 오리피스(50)를 통과하여 분무를 계속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연속적인 분무를 일으킬 수 있는데, 액체 흡입 행정이 분무에 맞춰 일어나도록 사용자가 방아쇠(14)를 계속 펌핑하는 한, 액체 조성물(100)은 계속 위로 인출되어 압력 챔버 및 압축전 밸브에 보내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펌프 챔버(20) 및 버퍼 챔버(30)의 상대 부피를 변화시켜 다양한 핌핑 속도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액체 배출 통로(42)에 위치해 있는 액체 회전 축(44)을 갖는 노즐(50)이 나타나 있다. 액체 회전 축(44)은 노즐 오리피스(55)에 인접하는 일 단부에서 선회(swirl) 챔버(52)에 연결되어 있다. 액체 회전 축(44)은 하류 방향으로 오리피스(55)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리피스(55)는 오리피스(55)에서 나가는 액체의 분무각을 안내하는 원추형 확장 영역(58)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즐(50)은 복수의 선회 홈(54), 및 노즐(50)을 통과하는 출구 경로를 제공하는 오리피스(55)를 포함한다. 선회 홈(54)은 1개 내지 5개, 3개 내지 5개 또는 3개일 수 있다. 노즐(50)의 내부에서 선회 홈(54)은 액체를 내부 깔대기 또는 원추형 영역(56)(좁은 단부에서 짧은 원통형 오리피스(55) 안으로 끝나 있음) 안으로 안내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회전 축(44)은 선회 챔버(52) 끝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다. 사실, 액체 회전 축(44)의 끝면(45)은 노즐(50)의 중앙 보어(59)의 바닥(57)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렇게 해서 액체의 일부는 선회 홈(54)을 관류하지 못하고, 이들 선회 홈을 우회하여 노즐의 내부 깔대기 또는 원추형 영역(56)의 중심부를 관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유동은 2개의 부분 유동, 즉, 선회 홈(54)을 통과하는 유동 및 중심부를 통과하는 유동으로 구성되고, 이들 두 유동은 서로 다른 속도를 갖는다. 이론에 구속되는 것을 원치 않지만, 더 높은 속도의 유동은 더 낮은 속도의 유동을 동반할 것이며 그래서 노즐 오리피스 쪽으로 흐르는 전체 액체가 에너지를 받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구성의 최종적인 결과로, 포말 특성이 개선된다.
선회 홈(54)은 형상, 폭 및 깊이가 변할 수 있고, 또한 넓은 상태에서 좁아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 최소의 저항과 압력 강하로 액체 유동의 최선의 가속을 줄 수 있다. 내부 원추형 영역(56)은 약 20°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50°내지 약 1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내부 원추형 영역(56)은, 회전하는 액체가 오리피스(55) 전에 얼마나 더 가속되는지를 결정하고, 따라서, 분무가 오리피스(55) 밖으로 퍼지는 정도 또는 얼마나 넓게 나오는지를 결정하게 돤다. 선회 홈(54)은 액체를 압력하에 가속 및 선회시켜 내부 원추형 영역(56) 안으로 보내고, 이 영역에서 직경의 점진적인 감소로 인해 액체가 더 압축되고 가속되어 높은 압력 하에서 좁은 오리피스(55)를 통해 밖으로 분무된다. 오리피스(55)의 출구에서의 갑작스런 압력 강하로 인해, 높은 에너지를 받은 압축된 액체가 팽창하여 작은 액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무되는 액적의 속도, 방향, 및 분무 폭은, 선회 홈(54)에 의해 주어지는 에너지와 궤적 및 내부 원추형 영역(56)의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오리피스(55)에 있는 짧은 원통형 경로는 분무의 폭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짧게 유지되어야 한다.
오리피스(55)의 외부 또는 오리피스의 하류에서, 외부 원추형 영역(58)의 형태로 되어 있는 확장 영역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 확장 영역은 오리피스에서 나가는 액적의 분무각을 안내한다. 이 외부 원추형 영역(58)은 약 20°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30°내지 약 90°, 특히 약 5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원추형 영역(58)에는, 다수의 통기 개구(51)가 더 제공되어 있다. 출구에서의 갑작스런 압력 강하로 인해, 분무의 중심부에서 과소 압력이 발생된다. 이 과소 압력에 의해 주변으로부터 공기가 분무 안으로 흡인된다. 결과적으로, 출구에서 형성되고 있는 작은 액적들이 작은 포말 거품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외부 원추형 영역(58)에 의해 더 향상되는데, 이 외부 원추형 영역 역시 액체 흐름을 외측으로 안내하여 분무를 넓은 포말 분무 패턴으로 분할하게 된다. 최고 과소 압력을 갖는 영역 가까이에 위치하는 외부 원추형 영역(58) 내의 통기 구멍(51)을 통해 더 많은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포말 입자를 더 조절할 수 있다. 벤튜리 효과를 통해 이 과소 압력에 의해 더 많은 공기가 액적의 흐름 안으로 흡인되어 더 두껍고 더 뚜렷한 포말을 생성시킨다.
오리피스(55)는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축방향으로 테이퍼져 있어, 분무가 노즐(50)의 근위 단부(즉, 오리피스(55) 및 유동 경로(200)에 가장 가까이 있는)로부터 원위 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직경이 넓어진다. 일정한 오리피스 직경은 약 0.10 mm 내지 약 0.60 mm, 약 0.30 mm 내지 약 0.40 mm, 또는 약 0.32 mm 내지 약 0.37 mm, 또는 약 0.36 mm일 수 있다. 테이퍼져 있는 경우, 오리피스(55)는 약 0.13 mm의 근위 단부 직경에서부터 약 1 mm 내지 약 5 mm의 원위 단부 직경, 또는 약 0.10 mm 내지 약 0.60 mm 또는 0.30 mm 내지 약 0.40 mm의 원위 단부 직경까지 테이퍼져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노즐 구성이 표 1에 제공되어 있다.
이중 노즐 파라미터




노즐 1
오리피스 직경: 0.35 mm
내부 원추각: 100°
3개의 선회 홈; 홈 깊이는 0.22 최소 패스
홈의 골: 0.25 mm
외부 원추각: 50°, 통기 구멍이 있음(더 많은 공기가 원추형 영역
안으로 흡입될 수 있게 함)
버퍼 압력: 5.0 내지 5.2 bar
압축전 밸브 압력: 3.0 내지 3.5 bar



노즐 2
오리피스 직경: 0.30 mm
내부 원추각: 100°
3개의 선회 홈; 홈 깊이는 0.50 mm 최소 패스
홈의 골: 0.25 mm
외부 원추각: 50°, 통기 구멍이 있음
버퍼 압력: 5.0 내지 5.2 bar
압축전 밸브 압력: 3.0 내지 3.5 bar: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 버퍼 및 노즐의 배치는, 액체가 비교적 좁은 대역폭 내에 있는 압력으로 분배되도록 되어 있다. 분배 압력의 하한은 압축전 밸브(40)의 균열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펌프(20)가 균열 압력 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자 마자, 압축전 밸브(40)가 열려, 액체가 펌프(20)로부터 출구 채널(60)을 통해 노즐(50)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노즐(50)은 펌프(20)의 행정 용량 보다 작은 최대 처리량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액체가 펌프(20)에 의해 출구 채널(60) 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동일한 유량으로 노즐(50)에서 나가지 못함에 따라, 출구 채널(60) 내의 액체 압력은 상승할 것이다. 이 압력 상승은, 출구 채널(60) 내의 액체 압력이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변화기(70)의 압력과 같을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 압력에 도달하자 마자, 변화기(70)는 압축되기 시작할 것이며, 그래서 노즐(50)를 통해 나가지 못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버퍼 챔버(30) 내의 사용 가능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헤서, 액체가 노즐(50)로부터 분배되는 압력이 버퍼 챔버(30)에 있는 변화기(70)의 압력의 값으로 최대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퍼 챔버는, 출구 채널 및 버퍼 챔버에 있는 펌프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과도하게 되면 액체가 용기 안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해주는 오버플로우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압력의 좁은 대역폭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에서 각 곡선은 펌프 행정의 결과로 인한 압력 증대를 나타내고, 하한선(80) 및 상한선(90)은 압축전 밸브(40)의 균열 압력 및 버퍼 챔버(30)에 있는 변화기(70)의 압력을 각각 나타낸다.
분배 시스템의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도 9)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변화기(170)는 가압 매체, 특히 가압 가스로 충전되는 백(172)을 포함한다. 이 백(172)은 버퍼 챔버(130) 안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그 버퍼 챔버의 전체 내부 부피를 차지하며, 그래서 버퍼 챔버(130) 안에 액체가 남아 있을 수 없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백(172)은, 미리 정해진 최대 분배 압력에서 가스로 충전되고 양 단부에서 용접 라인(174)으로 밀봉되는 플라스틱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스 충전 백 변화기(170)는 앞 실시 형태의 스프링 장착 피스톤 변화기(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출구 채널(160) 내의 액체 압력이 관형 백(172) 내이 가스 압력을 초과하면, 그 백이 압축되기 시작할 것이며, 그래서 액체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버퍼 챔버(130) 안에 생기게 된다. 시스템 내의 압력이 압축전 밸브(140)의 균열 압력을 여전히 초과함에 따라, 펌프 피스톤(122)이 그의 행정의 끝에 도달하고 압력 증대가 중단되면, 액체는 버퍼 챔버(130)로부터 출구 채널(160)을 통과해 노즐(150) 쪽으로 계속 흐를 것이다. 액체가 계속 분배됨에 따라, 출구 채널(160)과 버퍼 챔버(130) 내의 압력은 감소할 것이고 탄성적인 변화기(170)가 팽창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버퍼 챔버가 빌 때까지 액체가 버퍼 챔버(130)로부터 나가게 될 것이다. 압력이 압축전 밸브(140)의 균열 압력 아래로 떨어지자 마자, 노즐(150)을 통한 액체의 유출은 중단될 것이다.
분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형태(도 10)에서, 버퍼 챔버(230)는 출구 채널(206)의 확장된 부분으로 효과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출구 채널은 부분적으로 펌프(220)의 피스톤(222)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변화기(270)는 마찬가지로 압력하의 가스로 충전되는 플라스틱 백(272)으로 구현되어 있고, 이 백은 실질적으로 버퍼 챔버(230)의 전체 내부 부피를 차지한다. 액체는 가스 충전 백(272)을 지나, 가스 충전 백(272)의 주변부와 버퍼 챔버(230)의 내벽(233) 사이에 자유롭게 남아 있는 공간(273)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내벽(233)은 단면에서 볼 때 톱니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가스 충전 백(272)과 결합하는 리지(ridge) 또는 리브를 가지며, 이들 리지 또는 리브는 액체를 위한 유동로(273)로서 역할하는 오목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들 유동로(273)는 공칭적인 출구 채널(260)을 함께 형성한다. 이들 액체 유동로(273)는 버퍼 챔버(230)의 정상부에 있는 개구(235)에서 함께 모이게 되고, 이 개구는 압축전 밸브(240)로 폐쇄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피스톤(222)(버퍼 챔버(230)의 하단부에 배치됨)은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고, 방아쇠(214)가 작동되면, 펌프 챔버(220)가 고정 피스톤(222)에 대해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펌프 챔버(220)가 피스톤(222)에 대해 위쪽으로 움직이면, 그 펌프 챔버(220) 내의 액체가 압축되고, 피스톤(222)의 바닥(226)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개구(225)를 통해 펌프 챔버(220) 밖으로 나가게 된다. 이 중앙 개구(225)(유입 행정 동안에는 밸브(227)로 폐쇄됨)는 버퍼 챔버(230)의 벽(233)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유동로(273)와 유체 연통한다.
펌프가 압축전 밸브(240)의 균열 압력 보다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자 마자, 이 압축전 밸브가 열려 액체가 노즐(250) 쪽으로 흘러 포말로서 분배될 수 있다. 여기서도, 압력이 증대되어 백(272) 내의 가스 압력에 도달함에 따라, 변화기(270)가 압축되기 시작할 것이고, 액체가 차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공간을 버퍼 챔버(230) 안에 만들 것이다. 그리고 펌프 챔버(220)가 그의 행정의 끝에 도달하고 압력 증대가 중단되면, 액체가 노즐(250) 쪽으로 계속 흐를 것이고,, 따라서 가스 충전 변화기 백(272)이 다시 팽창할 수 있고 버퍼 챔버(230)가 비워질 수 있다. 버퍼 챔버(230)가 완전히 비워지면, 액체 압력은 압축전 밸브(240)의 균열 압력 아래로 떨어질 것이고 더 이상 포말이 분배되지 않게 된다.
세정 조성물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직접-포말 세정 제품은, 계면활성제 시스템 및 선택적으로 유기 그리스(grease) 세정 용매를 포함하는 세정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 세정 조성물을 분무할 때 발생되는 비누 거품은, 직접-포말 세정 제품이 세척 대상 물품과 접촉할 때의 충격력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하고(즉, 되튐, 흡입, 및 제품 낭비를 최소화함), 하지만 동시에 헹구기가 쉽다. 이 직접-포말 세정 제품은, 요리할 때, 구울 때 또한 탓을 때 생긴 오물과 같은 단단히 달라붙은 음식 오물의 세정을 포함하는 양호한 세정 및 가볍게 달라붙은 기름기 오물의 양호한 세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배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직접-포말 세정 제품은 또한 양호한 세제 퍼짐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문지를 필요성이 줄어든다.
여기서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바로 그 수치에 엄격하게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다른 명확한 언급이 없으면, 그러한 각 치수는 언급된 값 및 그 값 주변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다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40 mm"로 나타나 있는 치수는 "약 40 mm"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결쳐 주어져 있는 모든 최대 수치 한계는, 모든 더 낮은 수치 한계가 마치 여기에 명백히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그러한 모든 더 낮은 수치 한계를 포함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 전체에 결쳐 주어져 있는 모든 최소 수치 한계는, 모든 더 높은 수치 한계가 마치 여기에 명백히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그러한 모든 더 높은 수치 한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주어져 있는 모든 수치 범위는, 그러한 더 넓은 수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더 좁은 수치 범위 모두가 마치 여기에 명백히 기재되어 있는 것 처럼, 그러만 모든 더 좁은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교차 참조 또는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하여 여기서 인용된 모든 문헌은, 명백히 배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다면, 전체적으로 여기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다. 어떤 문헌의 인용은, 그 문헌이 여기서 개시된 또는 청구된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이거나 또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참조 문헌(들)과 함께 그러한 발명을 교시하거나 암시하거나 개시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문헌에 있는 의미나 정의 또는 용어가 참조로 관련되어 있는 문헌 내의 의미나 정의 또는 동일한 용어와 상충되는 정도로, 이 문헌에서 그 용어에 주어져 있는 의미 또는 정의가 지배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어떤 특정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개시된 특징적 사항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도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러한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적 사항과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개시된 노즐 설계는, 버퍼 및 압축전 밸브를 갖는 분배 장치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지만, 그 노즐 설계는 종래의 방아쇠 분무기와도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변화 및 수정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28)

  1. 액체 포말(foam), 특히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액체를 위한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분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챔버 및 상기 펌프 챔버 안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펌프 - 상기 피스톤과 펌프 챔버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음 -;
    상기 펌프 챔버를 노즐에 연결하는 출구 채널;
    상기 출구 채널과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전 밸브; 및
    상기 출구 채널에 연결되는 버퍼 챔버를 포함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 챔버는 버퍼 챔버의 사용 가능 부피를 변화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압축 가능한 변화기(variator)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버퍼 및 펌프는 상기 포말이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되어 있는, 분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전 밸브 및 버퍼 챔버는 상기 포말의 분배 압력의 하한과 상한을 각각 규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분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전 밸브는 약 2 내지 4.5 bar,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3.5 bar의 균열 압력을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챔버 및 변화기는 약 3 내지 5.5 bar, 바람직하게는 약 5 bar의 분배 압력의 최대 값을 규정하는, 분배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노즐의 최대 처리량 보다 큰 행정 부피를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최대 처리량은 약 1.45 cm3/s 인, 분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챔버는 상기 펌프의 행정 부피 보다 큰 최대 사용 가능 부피를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입구 깔대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선회(swirl) 홈을 가지며, 깔대기는 노즐 오리피스에 이어져 있는, 분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입구 깔대기의 상류에서 중앙 보어를 가지며, 상기 중앙 보어는 분배기 프레임의 돌출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보어는, 돌출 프레임 부분의 끝면과 보어의 바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치수 결정되어 있는, 분배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깔때기는 원추형이고, 약 20 - 150°, 바람직하게는 약 50 - 1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정상 각도를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홀수 개의 선회 홈,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5개의 선회 홈을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 오리피스의 하류에서 발산형 확장 영역을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영역은 통기 개구를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영역은 원추형이고, 약 20 - 120°, 바람직하게는 약 30 - 90°,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의 정상 각도를 가지고 있는, 분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기는 버퍼 챔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 및 변화기 피스톤과 결합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기는 압축 가능한 매체로 충전되는 백(bag)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챔버는 상기 출구 채널에 통합되어 있는, 분배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병속 백(bag-in-bottle)형 용기인, 분배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피스톤 또는 펌프 챔버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 방아쇠를 더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20. 액체 포말, 특히 직접 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펌프를 작동시켜 용기로부터 액체를 인출하고 그 액체를 가압하는 단계 - 상기 용기 및 펌프는 분배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함 -;
    가압된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분배 시스템의 분배 노즐에 안내하는 단계;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
    상기 가압된 액체의 다른 부분을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저장되어 있는 액체를 상기 노즐로부터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버퍼 및 펌프는, 포말이 미리 정해진 분무 패턴으로 분배되도록 구성되고 치수 결정되어 있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압력이 상기 노즐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 압축전 밸브의 균열 압력을 초과할 때만 액체가 상기 노즐로부터 분배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압력이 상기 버퍼에 있는 압축 가능한 변화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가압된 액체는 버퍼에 저장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면, 상기 노즐의 최대 처리량 보다 큰 양의 액체가 상기 용기로부터 인출되어 가압되고, 그래서 잉여량의 액체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노즐에 도달하면 선회(swirl) 홈에 의해 회전되며 그리고 원추형 깔대기에서 상기 노즐 오리피스 쪽으로 가속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액체의 일부분은 상기 선회 홈을 우회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기 노즐 오리피스를 통과한 후에 발산형 노즐 부분에서 팽창되어 포말을 형성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팽창 및 포말 형성 중에 상기 액체는 팽창하는 액체 유동 안으로 흡인된 주변 공기와 혼합되는, 액체 포말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28. 특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시스템에 사용되는 노즐.
KR1020187015366A 2015-10-30 2016-10-31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2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5694 2015-10-30
NL2015694A NL2015694B1 (en) 2015-10-30 2015-10-30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liquid foam, in particular a direct-foam cleaning product.
PCT/NL2016/050756 WO2017074195A1 (en) 2015-10-30 2016-10-31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foam, in particular a direct-foam cleaning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948A true KR20180092948A (ko) 2018-08-20

Family

ID=5609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366A KR20180092948A (ko) 2015-10-30 2016-10-31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80318858A1 (ko)
EP (1) EP3368226B1 (ko)
JP (1) JP6951331B2 (ko)
KR (1) KR20180092948A (ko)
CN (2) CN115213031A (ko)
AU (2) AU2016346011A1 (ko)
BR (1) BR112018008841B1 (ko)
ES (1) ES2965443T3 (ko)
MX (1) MX2018005449A (ko)
NL (1) NL2015694B1 (ko)
PL (1) PL3368226T3 (ko)
RU (1) RU2728364C2 (ko)
WO (1) WO2017074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3996A (zh) * 2017-05-01 2020-03-24 分配技术有限公司 用于从容器分配液体的装置、系统和方法
JP7154003B2 (ja) * 2017-07-28 2022-10-17 ライオン株式会社 容器
EP3513880B1 (en) 2018-01-23 2021-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a foamable product
EP3572490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container comprising a detergent composition
EP3572492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ne mist hard surface cleaning spray
EP3572493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container comprising a detergent composition
EP3572489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container comprising a detergent composition
EP3572491A1 (en) 2018-05-24 2019-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container comprising a detergent composition
US11267644B2 (en) * 2018-11-08 2022-03-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erosol foam dispenser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textured foam product
USD944644S1 (en) 2019-07-24 2022-03-01 Dispensing Technologies B.V. Dispenser
USD1018320S1 (en) 2019-01-31 2024-03-19 Dispensing Technologies B.V. Dispenser
JP7128799B2 (ja) * 2019-12-18 2022-08-31 花王株式会社 吐出容器
IT201900025321A1 (it) * 2019-12-23 2021-06-23 Madel S P A Kit, sistema e composizione detergenti per l’igiene personale (mousse).
JP1689020S (ko) 2020-04-23 2021-07-05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353A (en) * 1978-03-24 1980-11-25 James D. Pauls And J. Claybrook Lewis And Associates, Limited Trigger operated dispensing device with accumulating chamber
US4241853A (en) * 1978-05-17 1980-12-30 James D. Pauls And J. Claybrook Lewis And Associates, Limited Dispenser for either continuous or intermittent discharge
US4191313A (en) * 1978-07-24 1980-03-04 James D. Pauls And J. Claybrook Lewis And Associates, Limited Trigger operated dispenser with means for obtain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discharge
US4222501A (en) * 1978-07-24 1980-09-16 James D. Pauls And J. Claybrook Lewis And Associates, Limited Dual chamber, continuous action dispenser
US5183185A (en) * 1991-02-14 1993-02-02 Ecopac, L. P. Mechanically pressurized dispenser system
EP0550772B1 (en) * 1991-08-05 1998-12-09 Yoshino Kogyosho Co., Ltd. Bottle of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id bottle
JP2002035655A (ja) * 2000-07-17 2002-02-05 Spray Devices Technology Sdn Bhd 噴霧器
NL1016694C2 (nl) * 2000-11-23 2002-05-24 Keltub B V Schuimvormingseenheid.
JP4372533B2 (ja) * 2003-04-09 2009-11-25 ライオン株式会社 スプレー型洗浄製品
DE102004045449B3 (de) * 2004-09-18 2006-03-16 Tenovis Gmbh & Co. Kg Netzwerk, Telefonie-End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Telefonie-Endgerätes im Netzwerk
NL1031092C2 (nl) * 2006-02-07 2007-08-08 Airspray Nv Zelfreinigende schuimafgifteinrichting.
FR2905611B1 (fr) * 2006-09-12 2010-01-15 Rexam Dispensing Sys Buse de pulverisation,organe de distribution comprenant une telle buse,distributeur comprenant un tel organe de distribution et utilisation d'une telle buse.
FR2952360B1 (fr) * 2009-11-06 2011-12-09 Rexam Dispensing Sys Bouton poussoir pour un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ous pression
WO2011139383A1 (en) * 2010-05-05 2011-11-10 Dispensing Technologies B.V. Sprayer device with aerosol functionality ("flairosol")
PL2766127T3 (pl) * 2011-09-20 2021-09-27 Dispensing Technologies B.V. Odmierzające i aktywne urządzenia rozpylające z funkcją aerozolową („flairosol ii”)
AU2013341261B2 (en) * 2012-11-06 2018-02-01 Dispensing Technologies B.V. Systems and methods to precisely control output pressure in buffered sprayers ("Duo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35897A (ja) 2018-12-06
BR112018008841B1 (pt) 2021-07-20
BR112018008841A2 (pt) 2018-11-06
RU2018119641A (ru) 2019-12-05
RU2018119641A3 (ko) 2019-12-05
PL3368226T3 (pl) 2024-04-08
AU2022211890A1 (en) 2022-09-01
US20180318858A1 (en) 2018-11-08
EP3368226B1 (en) 2023-10-25
EP3368226A1 (en) 2018-09-05
RU2728364C2 (ru) 2020-07-29
ES2965443T3 (es) 2024-04-15
CN115213031A (zh) 2022-10-21
WO2017074195A1 (en) 2017-05-04
MX2018005449A (es) 2019-02-28
CN108521762A (zh) 2018-09-11
BR112018008841A8 (pt) 2019-02-26
NL2015694B1 (en) 2017-05-31
JP6951331B2 (ja) 2021-10-20
AU2016346011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2948A (ko) 액체 포말, 특히 직접-포말 세정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5388766A (en) High pressure atomization systems for high viscosity products
CA2613785C (en) Angled slot foam dispenser
EP3138632B1 (en) Method of operating a hand cleaner dispenser
EP2771272B1 (en) Pump dispenser with an inclined nozzle
WO2017029466A1 (en) Spray nozzle arrangements
CN1744953A (zh) 泡沫分配器
WO2019086823A1 (en) Spray configuration
JPH09500052A (ja) 泡末形成装置、その応用に適するスプレイ・ヘッドおよび該装置を備えるエーロゾル噴出器
CN107206402B (zh) 一种具有挤压瓶的提供改进的喷雾图案的装置及方法
WO2020095014A1 (en) Spray configuration with inlet controls
EP3718642B1 (en) Invertible hand held trigger sprayer
WO2003043743A1 (en) A foam or mis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