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926A -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926A
KR20180092926A KR1020180094174A KR20180094174A KR20180092926A KR 20180092926 A KR20180092926 A KR 20180092926A KR 1020180094174 A KR1020180094174 A KR 1020180094174A KR 20180094174 A KR20180094174 A KR 20180094174A KR 20180092926 A KR20180092926 A KR 2018009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light source
light
uni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환
조용익
이윤철
김현식
김유신
신경호
송상빈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9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926A/ko
Publication of KR2018009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H05B33/0845
    • H05B3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7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flexible or deformable supports or substrates, e.g. for changing the light source into a desired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251/536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하여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여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ANGULAR DISTRIBUTION OF LUMINOUS INTENSITY VARIABLE TYPE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하여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LED(Organic Light-Emmitting Diode)는 자기발광하고, 시야각이 자유롭고, 에너지가 절약되는 소자로서, 낮은 생산 비용, 제조 용이성, 낮은 작동 온도, 신속한 응답 및 풀 컬러화를 포함하는 이점이 있어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OLED는 조명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광등 및 백열전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는 발광효율이 낮고 환경 오염도 발생시키는 반면에, OLED로 구비된 조명은 친환경적이며 발광효율이 높고 다양한 면광원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투명조명 또는 플렉시블(Flexible) 조명으로도 적용가능한 이점이 있어서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받고 있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OLED 조명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OLED 조명(10)은 소정 넓이의 평판인 기판(11) 상에 양전극(12), 유기 발광성 소재(13) 및 음전극(14)이 적층되면서 상기 양전극(12) 및 상기 음전극(14)에 전압이 인가될 때 유기 발광성 소재(13)에 전류가 흐르면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OLED 조명(10)의 특정 면은 음전극(14) 및 양전극(12) 간의 통전에 의해 발광하는 소정의 영역인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비발광영역의 경우에는 절연체가 형성된 소정의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발광영역은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13) 또는 상기 양전극(12)이 형성된 소정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OLED 조명(10)은 소정의 면에서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조명기구로 기능할 수 있으며, 사각 형태 이외에도 삼각,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41781호(발명의 명칭: 색상 제어를 가진 부합형 OLED 조명기구)에는 가요성 표면과, 부합할 수 있는 상기 가요성 표면에 장착된 유기 발광 장치(OLED)와, 상기 가요성 표면의 제 1 부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와, 상기 가요성 표면의 제 2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부분에 대해 상기 제 2 부분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OLED에 곡률을 부여하는 조절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0)는 베이스부(21)와 램프 조립체(23)가 지지대(22)와 고정부(24)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램프 조립체(23)의 배면 양측에는 회동축(25)을 형성하여 링크부(26)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26)의 타측은 렉 기어(미도시)가 형성되어 조정용 노브(27)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과 치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조정용 노브(27)를 회전시켜 상기 링크부(26)가 상기 조정용 노브(27)를 중심으로 수평 이동하면, 상기 링크부(26)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크부(26)의 타측에 연결된 회동축(25)이 램프 조립체(23)의 말단부를 끌어당기거나 또는 밀어서 상기 램프 조립체(23)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램프 조립체가 일방향으로만 변형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다양한 배광각이나 배광 패턴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41781호(발명의 명칭: 색상 제어를 가진 부합형 OLED 조명기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하여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로서,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부는 유기 발광 장치(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광각 가변부는 전기신호에 의해 이완 또는 수축하는 배광각 가변부 몸체; 및 상기 배광각 가변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광각 가변부 몸체가 제1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제1 전극,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광각 가변부 몸체는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광각 가변부는 배광각 가변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가 제2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보조 배광각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로서,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를 구비한 조명모듈; 상기 조명모듈의 점등 제어 신호, 디밍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온/오프 스위치; 상기 조명모듈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광원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배광각 설정 신호를 검출하는 배광각 설정 입력부; 및 상기 온/오프 스위치에서 검출된 점등 및 디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광각 설정 입력부에서 검출된 배광각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광각 가변부의 형상 가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배광각 가변부의 형상 변경에 따른 저항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형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형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저장하여 상기 배광각 가변부의 출력에 따른 조명모듈의 형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저장된 저항값에 기초한 조명모듈이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모듈은 배광각 가변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가 제2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보조 배광각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여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OLED 조명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명모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모듈(100)은 광원부(110)와, 배광각 가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110)는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구성으로서, 소정 넓이의 발광영역에서 빛을 발광하는 면광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원부(110)는 OLED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장치(OLED)로서, 유기 발광성 소재, 양전극, 음전극 및 절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는 기판 상부에서 소정 넓이를 갖게 형성되고, 실질적으로는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는 광원부 전원선(111)을 통해 전자 및 정공을 음전극 및 양전극으로부터 주입받아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양전극은 유기 발광성 소재로 정공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 넓이를 갖게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전극은 가시광선에 대해 투명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판의 모서리부 또는 소정의 영역을 통해서 기판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소정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전극은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로 전자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의 상부 및 기판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소재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음전극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는 양전극 및 상기 음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기적인 절연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소재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 간의 통전을 방지하되 상기 유기 발광성 소재를 통해서만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절연체는 유기 발광성 소재가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유기 발광성 소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빛을 발하지 않는 소정의 영역인 비발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110)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조명 및 불투명 조명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양전극을 투명 전극으로 구비한 경우에는 투명한 조명으로 제조할 수 있고, 기판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비하여 플렉서블 조명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한 유기 발광 장치(OLED)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는 광원부(110)의 배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110)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배광각 가변부 몸체(120a)와, 제1 전극(120b), 제2 전극(12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광각 가변부 몸체(120a)는 전기신호에 의해 이완 또는 수축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EAP)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 활성 고분자는 전기가 공급되면, 수축 또는 이완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고분자 물질로서, 플렉서블하게 구성된 광원부(110)의 배면에 밀착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여 상기 광원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20b, 120c)은 배광각 가변부 몸체(120a)의 양측에 설치되고, 배광각 가변부 전원선(121)을 통해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 몸체(120a)가 제1 방향, 예를 들면, 광원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구부러지게 형상이 변경되도록 전기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조명모듈(100')의 배광각 가변부(120)에 보조 배광각 가변부 몸체(120'a)와, 제1 보조 전극(120'b)과 제2 보조 전극(120'c)을 구비한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추가 부착할 수 있고, 상기 조명모듈(100')의 형상이 제2 방향, 예를 들면, 광원부(110)의 폭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구부러지게 형상이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배광각 가변부(120)와,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로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와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 방향에 따라 각각 수축 또는 이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의 크기에 따라 각각 수축 또는 이완되는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광원부(110)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조명장치)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조명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4,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조명모듈(100)과, 온/오프 스위치(210)와,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와, 제어부(230)와, 형상 검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모듈(100)은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10)와, 상기 광원부(1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110)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명장치 하우징(201)에 일정 패턴 또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100)은 배광각 가변부(12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광원부(110)가 제2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 도 6 참조)를 추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210)는 사용자로부터 조명모듈(100)의 온/오프 또는 광량 조절을 위한 점등 제어 신호 및 디밍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버튼형 스위치 또는 양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세 출력이 가능한 조그 셔틀형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는 조명모듈(100)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사용자로부터 배광각 설정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양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미세 출력이 가능한 조그 셔틀형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를 통해 조명모듈(100)의 배광각 가변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의 방향, 전압의 크기 등이 설정되도록 배광각 설정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온/오프 스위치(210)에서 검출된 조명모듈(100)의 광원부(110)를 점등/소등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디밍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부(110)의 온/오프 동작 및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에서 검출된 배광각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을 가변하기 위한 가변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형상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저장하여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출력에 따른 조명모듈(100)의 형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저장된 저항값에 기초한 조명모듈(100)이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30)는 배광각 가변부(120)에서 출력된 가변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모듈(100)의 형상이 변형되었는지를 형상 검출부(240)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저항값에 따른 조명모듈(100)의 형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다음 점등 동작시에 저장된 형상 정보에 따라 조명모듈(100)의 형상이 변형 및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형상 검출부(240)를 통해 피드백되는 저항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저항값에 따른 형상 정보와 비교 및 분석하여 배광각 가변부(120)가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형상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결과에 따라 보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형상 검출부(240)는 조명모듈(100)의 광원부(110) 또는 배광각 가변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 변경에 따른 위치 변화로 발생하는 저항값의 변동을 검출하여 제어부(230)로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광섬유를 이용한 센서, 압력 센서, 저항을 이용한 스트레인 게이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10)가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 변경에 의해 배광각이 변경되는 구성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광원부(110)를 보호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미도시)에 배광각 가변부(120)를 설치하여 조명장치의 형상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오프 스위치부(210)를 통해 조명장치(200)의 점등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30)는 점등 동작 신호를 조명모듈(100)의 광원부(110)로 출력하여 광원부(110)가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를 통해 조명장치(200)의 형상 변경에 따른 배광각 설정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되는 배광각 설정 신호를 배광각 가변부(120)로 출력하여 상기 입력된 배광각 설정 신호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동작을 통한 광원부(110)의 배광각이 변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배광각 설정이 완료되면,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 변경에 따른 저항값의 변동을 형상 검출부(240)를 통해 검출하여 저장하고, 다음 점등시에 설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적인 신호를 공급하여 플렉서블한 OLED 광원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100' : 조명모듈
110 : 광원부
111 : 광원부 전원선
120 : 배광각 가변부
120' : 보조 배광각 가변부
120a : 배광각 가변부 몸체
120'a : 보조 배광각 가변부 몸체
120b : 제1 전극
120'b : 제1 보조 전극
120c : 제2 전극
120'c : 제2 보조 전극
121 : 배광각 가변부 전원선
200, 200' : 조명장치
210 : 온/오프 스위치부
220 : 배광각 설정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형상 검출부
250 : 형상 가변부

Claims (3)

  1.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10);
    상기 광원부(1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110)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120); 및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가 제2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와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는 전원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2. 플렉서블 기판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부(110)와, 상기 광원부(11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에 따라 이완 또는 수축하여 상기 광원부(110)의 형상을 변경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동작하는 배광각 가변부(120)와,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배면에 설치되고, 임의의 전기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가 제2 방향으로 양의 곡률 또는 음의 곡률을 형성하며 변경되도록 동작하는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를 구비한 조명모듈(100');
    상기 조명모듈(100')의 점등 제어 신호, 디밍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온/오프 스위치(210);
    상기 조명모듈(100')의 형상을 가변시켜 상기 광원부(11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배광각 설정 신호를 검출하는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
    상기 온/오프 스위치(210)에서 검출된 점등 및 디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1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광각 설정 입력부(220)에서 검출된 배광각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 가변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와 보조 배광각 가변부(120')는 전원의 크기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범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모듈(100, 100')에 설치되어 상기 배광각 가변부(120)의 형상 변경에 따른 저항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230)로 출력하는 형상 검출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조명장치.
KR1020180094174A 2018-08-13 2018-08-13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80092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74A KR20180092926A (ko) 2018-08-13 2018-08-13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74A KR20180092926A (ko) 2018-08-13 2018-08-13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124A Division KR20170138815A (ko) 2016-06-08 2016-06-08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926A true KR20180092926A (ko) 2018-08-20

Family

ID=634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174A KR20180092926A (ko) 2018-08-13 2018-08-13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9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781A (ko) 2010-04-09 2013-04-2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색상 제어를 가진 부합형 oled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781A (ko) 2010-04-09 2013-04-2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색상 제어를 가진 부합형 oled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7994B2 (en) OLED area illumination light source having a plurality of segments
KR101191218B1 (ko) 조명 장치
US7011420B2 (en) Planar directed light source
US6776496B2 (en) Area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having OLED planar light source
KR20100017578A (ko) 접이식 또는 전개식 구성으로 oled 패널들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
US20150049479A1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US20160356459A1 (en) Lighting system with angled LED arrays
JP5931285B2 (ja) 接触感知発光面を備える照明器具
US7348738B2 (en) OLED area illumination source
JP5355904B2 (ja) 照明装置
JP5138387B2 (ja) 照明装置
US9062863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color output through active cooling mechanism
WO2009101579A1 (en) Lighting device with variable beam characteristics
KR20180092926A (ko)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US11761850B2 (en) Method for correcting a light patter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lighting assembly
KR20170138815A (ko) 배광각 가변형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794244B1 (ko) 빛 방출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엘이디 모듈
JP5644641B2 (ja) 照明装置
US10766402B2 (en) Lighting module having light-emitting elements with gradual cutoff
WO20201263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pattern and automotive lighting device
KR100970450B1 (ko)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조광장치
US20220155177A1 (en) Method for correcting a light patter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lighting assembly
KR200253092Y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용 확대경
US9395072B2 (en) Illumination device
WO2013124951A1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