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776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776A
KR20180092776A KR1020170018967A KR20170018967A KR20180092776A KR 20180092776 A KR20180092776 A KR 20180092776A KR 1020170018967 A KR1020170018967 A KR 1020170018967A KR 20170018967 A KR20170018967 A KR 20170018967A KR 20180092776 A KR20180092776 A KR 20180092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sub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영조
이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776A/ko
Publication of KR20180092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서브-섹터#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n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과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n+1)을 통해 제어 정보#(n+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MMUNICATION BASED ON BEAM SWEE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 스위핑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cellular) 통신 네트워크(network)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일반적으로 기지국(base station)을 통해 데이터(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message)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메시지를 자신이 속한 제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제1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의 목적지가 제2 단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확인된 목적지인 제2 단말이 속한 제2 기지국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의 목적지가 제2 단말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확인된 목적지인 제2 단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sector)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은 3개의 섹터들(예를 들어, 섹터#1, 섹터#2, 섹터#3)로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섹터에 속한 단말들은 동일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고, 공유된 자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섹터들 각각에 하나의 빔(beam)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1에 빔#1이 설정될 수 있고, 빔#1의 폭은 섹터#1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섹터#2에 빔#2가 설정될 수 있고, 빔#2의 폭은 섹터#2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섹터#3에 빔#3이 설정될 수 있고, 빔#3의 폭은 섹터#3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섹터#1에 속한 단말들은 빔#1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섹터#2에 속한 단말들은 빔#2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섹터#3에 속한 단말들은 빔#3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섹터 내에서 하나의 빔(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넓은(wide) 빔)에 기초한 통신이 수행되므로, 통신 범위(range)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섹터 내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서브-섹터#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n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과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n+1)을 통해 제어 정보#(n+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섹터#n 및 상기 서브-섹터#(n+1)은 동일한 섹터에 속하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index)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서브-섹터#(n+1)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 및 상기 제어 정보#(n+1) 각각은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서브-섹터#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n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된 경우,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서브-섹터#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 정보#n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과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n+1)을 통해 제어 정보#(n+1)을 전송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섹터#n 및 상기 서브-섹터#(n+1)은 동일한 섹터에 속하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서브-섹터#(n+1)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 및 상기 제어 정보#(n+1) 각각은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 없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섹터 내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이 수행됨으로써 통신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는 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시스템(system)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예를 들어, 4G 통신 기술, 5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기술, WiBro(wireless broadband) 기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 등)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빔형성(beamforming) 기술, 매시브(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 FD(full dimension)-MIMO 기술, D2D(device to device) 기술,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 기술, CoMP(coordinated multipoint) 기술, ACM(advanced coding modulation), FQAM(frequenc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무선 링크(예를 들어, 무선 백홀(backhaul), 무선 프론트홀(fronthaul), 무선 엑스홀(xhaul)) 관련 기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링크는 mmWave 대역(예를 들어, 30GHz ~ 300GHz)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들(311, 312, 313, 314, 315, 316)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300)에 의해 형성되는 셀은 복수의 섹터(sector)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은 섹터#1, 섹터#2 및 섹터#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311) 및 제2 단말(312)은 섹터#1에 속할 수 있고, 제3 단말(313), 제4 단말(314) 및 제5 단말(315)은 섹터#2에 속할 수 있고, 제6 단말(316)은 섹터#3에 속할 수 있다. 기지국(300)은 섹터#1을 위해 설정된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섹터#1에 속한 단말들(311, 312)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섹터#2를 위해 설정된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섹터#2에 속한 단말들(313, 314, 315)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섹터#3을 위해 설정된 하나의 빔을 사용하여 섹터#3에 속한 제6 단말(316)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섹터들 각각에서 하나의 빔(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넓은(wide) 빔)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되므로, 통신 범위(range)는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좁은(narrow) 빔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좁은 빔이 사용되는 경우에 전송 이득(gain)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송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좁은 빔에 기초한 통신에서 빔 스위핑(sweeping)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빔 스위핑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섹터들 각각이 복수의 서브(sub)-섹터들을 포함하는 경우, 섹터들 각각에서 빔 스위핑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좁은 빔은 각 섹터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섹터들에서 스위핑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섹터들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는 셀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섹터#1, 섹터#2 및 섹터#3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섹터#1, 섹터#2 및 섹터#3 각각과 동일할 수 있다. 섹터#1은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 및 서브-섹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1을 위한 빔#1을 설정할 수 있다. 빔#1의 폭은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 및 서브-섹터#14 각각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1에서 빔#1을 스위핑함으로써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 및 서브-섹터#14 각각에 속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섹터#2는 서브-섹터#21, 서브-섹터#22, 서브-섹터#23 및 서브-섹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2를 위한 빔#2를 설정할 수 있다. 빔#2의 폭은 서브-섹터#21, 서브-섹터#22, 서브-섹터#23 및 서브-섹터#24 각각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2에서 빔#2를 스위핑함으로써 서브-섹터#21, 서브-섹터#22, 서브-섹터#23 및 서브-섹터#24 각각에 속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섹터#3은 서브-섹터#31, 서브-섹터#32, 서브-섹터#33 및 서브-섹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3을 위한 빔#3을 설정할 수 있다. 빔#3의 폭은 서브-섹터#31, 서브-섹터#32, 서브-섹터#33 및 서브-섹터#34 각각의 폭과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섹터#3에서 빔#3을 스위핑함으로써 서브-섹터#31, 서브-섹터#32, 서브-섹터#33 및 서브-섹터#34 각각에 속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섹터#1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은 mmWave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은 면허 대역 또는 비면허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섹터#2 및 섹터#3 각각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500)은 도 1에 도시된 기지국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들(511, 512, 513, 514)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통신 노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도 4에 도시된 섹터들(예를 들어, 섹터#1, 섹터#2, 섹터#3)을 설정할 수 있다(S500). 기지국(500)은 섹터들 각각의 인덱스(index)를 설정할 수 있다. 섹터 인덱스는 표 1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1은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 및 서브-섹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2는 서브-섹터#21, 서브-섹터#22, 서브-섹터#23 및 서브-섹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3은 서브-섹터#31, 서브-섹터#32, 서브-섹터#33 및 서브-섹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섹터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서브-섹터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말(511)은 서브-섹터#11에 속할 수 있고,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은 서브-섹터#13에 속할 수 있고, 제4 단말(514)은 서브-섹터#14에 속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섹터에 포함된 서브-섹터들 각각의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다. 섹터#1에서 서브-섹터 인덱스는 표 2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섹터#2 및 섹터#3 각각에서 서브-섹터의 인덱스는 섹터#1에서 서브-섹터 인덱스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한편, 기지국(500)은 섹터들 각각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0)은 섹터#1에서 빔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스위핑함으로써 섹터#1에 속한 단말들(511, 512, 513, 514)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빔의 폭은 섹터#1에 포함된 서브-섹터들 각각의 크기와 대응할 수 있다.
섹터 설정(또는, 서브-섹터 설정)이 완료된 경우, 기지국(500)은 동기 신호, 빔이 전송되는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 등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설정할 수 있다(S501). 동기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는 빔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빔 인덱스"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섹터#11을 위해 설정된 빔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1(600)은 "00"으로 설정된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00 00"으로 설정된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섹터#12를 위해 설정된 빔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2(605)는 "01"로 설정된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00 01"로 설정된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섹터#13을 위해 설정된 빔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3(605)은 "10"으로 설정된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00 10"으로 설정된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섹터#14를 위해 설정된 빔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4(614)는 "11"로 설정된 서브-섹터 인덱스(또는, "00 11"로 설정된 "섹터 인덱스 + 서브-섹터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섹터#1에 속한 단말들(511, 512, 513)에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 정보는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빔 스위핑 순서를 지시하는 순서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서 지시자는 서브-섹터 인덱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스위핑 순서가 "서브-섹터#11 → 서브-섹터#12 → 서브-섹터#13 → 서브-섹터#14"인 경우, 순서 지시자는 "00 01 10 11"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빔 스위핑 순서가 "서브-섹터#11 → 서브-섹터#13 → 서브-섹터#12 → 서브-섹터#14"인 경우, 순서 지시자는 "00 10 01 11"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섹터에 포함된 서브-섹터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개수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1이 4개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는 경우, 개수 지시자는 4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 지시자 및 개수 지시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기지국(500)에서 단말들(511, 512, 513, 514)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500)은 미리 설정된 빔 스위핑 순서에 기초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EPDCCH(enhanced PDCCH)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채널을 통해 참조(reference) 신호(예를 들어,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 등)가 전송될 수 있다.
아래에서, 빔 스위핑 순서가 "서브-섹터#11 → 서브-섹터#12 → 서브-섹터#13 → 서브-섹터#14"인 경우, 통신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1에서 빔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1(600)을 전송할 수 있다(S502). 제어 정보#1(600)은 서브-섹터#11을 위한 빔형성 벡터(vector)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정보#1(600)은 동기 신호, 서브-섹터#11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1 인덱스") 및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1(600)은 순서 지시자, 개수 지시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섹터#11에 속하는 제1 단말(511)은 제어 정보#1(60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섹터#11에 속하지 않는 단말들(예를 들어, 제2 단말(512), 제3 단말(513) 및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1(600)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1 단말(511)은 제어 정보#1(600)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511)은 제어 정보#1(600)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섹터#11에서 기지국(500)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정보#1(600)에 제1 단말(511)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단말(511)은 기지국(500)에 제1 단말(511)로 전송될 데이터#1(603)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511)은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을 생성할 수 있다(S503).
여기서, 제1 단말(511)은 제어 정보#1(600)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정보#1(600)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제1 단말(511)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511)은 다른 서브-섹터(예를 들어,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 서브-섹터#14)에서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어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서브-섹터에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511)은 빔 스위핑에 따라 생성되는 빔들 중에서 최적의 빔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은 제어 정보#1(600)에 포함된 서브-섹터#11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1 인덱스"), 제어 정보#1(600)의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 가능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인덱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S 인덱스는 제어 정보#1(600)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1 단말(511)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제1 단말(511)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을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04). 예를 들어,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은 제어 정보#1(600)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short inter frame space))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단말(511)로부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이 수신된 경우, 기지국(500)은 제1 단말(511)로의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이 요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500)은 제1 단말(511)로 전송될 데이터#1(603)을 위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1(603)을 위한 자원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500)은 데이터#1(603)의 자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을 생성할 수 있다(S505).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은 제1 단말(511)의 식별자 및 데이터#1(603)의 송수신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1에서 빔을 사용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을 제1 단말(511)에 전송할 수 있다(S506).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은 서브-섹터#11을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단말(511)은 기지국(500)으로부터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을 수신할 수 있고, 자원 할당 메시지#1(602)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511)은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1에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1(603)을 제1 단말(511)에 전송할 수 있다(S507). 데이터#1(603)은 자원 할당 메시지#1(602)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1(603)은 서브-섹터#11을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1(603)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에 포함된 MCS 인덱스 또는 자원 할당 메시지#1(602)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1(603)은 자원 할당 메시지#1(602)의 생성/전송 절차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설정 정보는 제어 정보#1(600)에 포함될 수 있고, 기지국(500)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1(601)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데이터#1(603)을 제1 단말(511)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511)은 기지국(500)으로부터 데이터#1(603)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1(603)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1 단말(511)은 데이터#1(603)의 수신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메시지#1(604)을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08). 여기서, ACK 메시지#1(604)의 전송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데이터#1(603)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또는 ACK 메시지#1(604)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11 구간(D1)은 종료될 수 있다.
서브-섹터#11 구간(D1)에서 통신 완료된 경우,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2에서 빔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2(605)를 전송할 수 있다(S509). 제어 정보#2(605)는 서브-섹터#12를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정보#2(605)는 동기 신호, 서브-섹터#12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2 인덱스") 및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2(605)는 순서 지시자, 개수 지시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섹터#12에 속하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500)은 제어 정보#2(605)에 대한 응답(예를 들어,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을 수신할 수 없다. 제어 정보#2(605)에 대한 응답이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 frame space)) 내에 기지국(500)에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서브-섹터#12 구간(D2)은 종료될 수 있다.
서브-섹터#12 구간(D2)에서 통신 완료된 경우,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3에서 빔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3(606)을 전송할 수 있다(S510). 제어 정보#3(606)은 서브-섹터#13을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정보#3(606)은 동기 신호, 서브-섹터#13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3 인덱스") 및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3(606)은 순서 지시자, 개수 지시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섹터#13에 속하는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은 제어 정보#3(606)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섹터#13에 속하지 않는 단말들(예를 들어, 제1 단말(511) 및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3(606)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은 제어 정보#3(606)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은 제어 정보#3(606)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섹터#13에서 기지국(500)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정보#3(606)에 제2 단말(512)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2 단말(512)은 기지국(500)에 제2 단말(512)로 전송될 데이터#2(61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512)은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를 생성할 수 있다(S511).
여기서, 제2 단말(512)은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제2 단말(512)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512)은 다른 서브-섹터(예를 들어,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4)에서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어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서브-섹터에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단말(512)은 빔 스위핑에 따라 생성되는 빔들 중에서 최적의 빔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는 제어 정보#3(606)에 포함된 서브-섹터#13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3 인덱스"),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SSI) 및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 가능한 MCS 인덱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S 인덱스는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2 단말(512)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3(606)에 제3 단말(513)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3 단말(513)은 기지국(500)에 제3 단말(513)로 전송될 데이터#3(611)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말(513)은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을 생성할 수 있다(S512). 여기서, 제3 단말(513)은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제3 단말(513)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말(513)은 다른 서브-섹터(예를 들어,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4)에서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어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서브-섹터에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3 단말(513)은 빔 스위핑에 따라 생성되는 빔들 중에서 최적의 빔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은 제어 정보#3(606)에 포함된 서브-섹터#13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3 인덱스"),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SSI) 및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위해 사용 가능한 MCS 인덱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CS 인덱스는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3 단말(513)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제2 단말(512)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를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13). 예를 들어,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는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3 단말(513)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을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14). 예를 들어,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은 제어 정보#3(606)의 수신 시점(또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511가 단계 S512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수행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511과 단계 S512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512는 단계 S511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513이 단계 S514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수행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513과 단계 S514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계 S514는 단계 S513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제2 단말(512)로부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가 수신된 경우, 기지국(500)은 제2 단말(512)로의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이 요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513)로부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이 수신된 경우, 기지국(500)은 제3 단말(513)로의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이 요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500)은 제2 단말(512)로 전송될 데이터#2(610) 및 제3 단말(513)로 전송될 데이터#3(611) 각각을 위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 각각을 위한 자원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T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간 자원에 할당될 수 있고, FD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2(610)를 위한 자원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데이터#3(611)을 위한 자원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500)은 데이터#2(610)의 자원 설정 정보#2 및 데이터#3(611)의 자원 설정 정보#3을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2(609)를 생성할 수 있다(S515). 자원 설정 정보#2는 제2 단말(512)의 식별자, 데이터#2(610)의 송수신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원 설정 정보#3은 제3 단말(513)의 식별자, 데이터#3(611)의 송수신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3에서 빔을 사용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2(609)를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에 전송할 수 있다(S516). 자원 할당 메시지#2(609)는 서브-섹터#13을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 또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은 기지국(500)으로부터 자원 할당 메시지#2(609)를 수신할 수 있고, 자원 할당 메시지#2(609)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 각각은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3에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2(610)를 제2 단말(512)에 전송할 수 있고(S517), 서브-섹터#13에서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3(611)을 제3 단말(513)에 전송할 수 있다(S518). 데이터#2(610)는 자원 설정 정보#2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데이터#3(611)은 자원 설정 정보#3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 각각은 서브-섹터#13을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TDD 방식 또는 FDD 방식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2(610)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에 포함된 MCS 인덱스 또는 자원 할당 메시지#2(609)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3(611)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에 포함된 MCS 인덱스 또는 자원 할당 메시지#2(609)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 각각은 자원 할당 메시지#2(609)의 생성/전송 절차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설정 정보#2 및 자원 설정 정보#3 각각은 제어 정보#3(606)에 포함될 수 있고, 기지국(500)은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2(607) 또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3(608)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512)은 기지국(500)으로부터 데이터#2(610)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2(610)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2 단말(512)은 데이터#2(610)의 수신 응답으로 ACK 메시지#2(612)를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19). 또한, 제3 단말(513)은 기지국(500)으로부터 데이터#3(611)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3(611)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제3 단말(513)은 데이터#3(611)의 수신 응답으로 ACK 메시지#3(613)를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20). 여기서, ACK 메시지#2(612) 및 ACK 메시지#3(613)의 전송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데이터#2(610) 및 데이터#3(611)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또는 ACK 메시지#2(612) 및 ACK 메시지#3(613)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13 구간(D3)은 종료될 수 있다.
서브-섹터#13 구간(D3)에서 통신 완료된 경우,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4에서 빔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4(614)를 전송할 수 있다(S521). 제어 정보#4(614)는 서브-섹터#14를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정보#4(614)는 동기 신호, 서브-섹터#14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4 인덱스") 및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에 대한 하향링크 전송이 완료된 경우, 제어 정보#4(614)는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정보#4(614)는 순서 지시자, 개수 지시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섹터#14에 속하는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4(614)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섹터#14에 속하지 않는 단말들(예를 들어, 제1 단말(511), 제2 단말(512) 및 제3 단말(513))은 제어 정보#4(614)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4(614)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4(604)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브-섹터#14에서 기지국(500)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500)으로 전송될 데이터#4(617)가 존재하는 경우,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을 생성할 수 있다(S522).
여기서, 제4 단말(514)은 제어 정보#4(614)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정보#4(614)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4 단말(514)은 다른 서브-섹터(예를 들어, 서브-섹터#11, 서브-섹터#12, 서브-섹터#13)에서 제어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제어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해당 서브-섹터에서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4 단말(514)은 빔 스위핑에 따라 생성되는 빔들 중에서 최적의 빔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은 데이터#4(617)의 크기, 제어 정보#4(614)에 포함된 서브-섹터#14 인덱스(또는, "섹터#1 인덱스 + 서브-섹터#14 인덱스"), 제어 정보#4(614)의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어, RSSI) 및 데이터#4(617)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MCS 인덱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CS 인덱스는 제어 정보#4(614)의 수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4 단말(514)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을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23). 예를 들어,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은 제어 정보#4(614)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4 단말(514)로부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이 수신된 경우, 기지국(500)은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이 요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500)은 데이터#4(617)를 위한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주파수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4(617)를 위한 자원은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에 포함된 데이터#4(617)의 크기, MCS 인덱스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500)은 데이터#4(617)의 자원 설정 정보#4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을 생성할 수 있다(S524).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은 제4 단말(514)의 식별자, 데이터#4(617)의 송수신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4에서 빔을 사용하여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을 제4 단말(514)에 전송할 수 있다(S525).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은 서브-섹터#14를 위한 빔형성 벡터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고,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전송될 수 있다. 제4 단말(514)은 기지국(500)으로부터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을 수신할 수 있고, 자원 할당 메시지#3(616)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MCS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4(617)를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S526). 또한, 데이터#4(617)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에 포함된 MCS 인덱스 또는 자원 할당 메시지#3(616)에 포함된 MCS 인덱스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4(617)는 자원 할당 메시지#3(616)의 생성/전송 절차 없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단말(514)은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1(615)의 전송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내에 데이터#4(617)를 기지국(50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500)은 제4 단말(514)로부터 데이터#4(617)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4(617)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기지국(500)은 서브-섹터#14에서 데이터#4(617)의 수신 응답인 ACK 메시지#4(618)를 제4 단말(514)에 전송할 수 있다(S527). 여기서, ACK 메시지#3(618)의 전송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데이터#4(617)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또는 ACK 메시지#4(618)의 전송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14 구간(D4)은 종료될 수 있다. 서브-섹터#14 구간(D4)이 종료된 경우, 빔 스위핑 순서에 따라 서브-섹터#11에서 통신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브-섹터#11 → 서브-섹터#12 → 서브-섹터#13 → 서브-섹터#14"의 순서에 따라 통신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서브-섹터(sub-sector)#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n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과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n+1)을 통해 제어 정보#(n+1)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섹터#n 및 상기 서브-섹터#(n+1)은 동일한 섹터에 속하고, n은 1 이상의 정수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index)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서브-섹터#(n+1)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 및 상기 제어 정보#(n+1) 각각은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 없이 전송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9. 통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섹터(sub-sector)#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n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에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에 기초한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index) 및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된 경우,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에 전송된 경우,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beam sweeping)을 지원하는 기지국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서브-섹터(sub-sector)#n을 통해 제어 정보#n을 전송하고;
    상기 제어 정보#n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과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서브-섹터#(n+1)을 통해 제어 정보#(n+1)을 전송하도록 실행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셀(cell)은 복수의 섹터들로 나누어지고, 상기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서브-섹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섹터#n 및 상기 서브-섹터#(n+1)은 동일한 섹터에 속하고, n은 1 이상의 정수인, 기지국.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은 상기 서브-섹터#n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index)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서브-섹터#(n+1)에서 전송되는 빔의 인덱스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기지국.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 및 상기 제어 정보#(n+1) 각각은 상기 빔 스위핑의 수행 순서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인, 기지국.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어 정보#n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실행되는, 기지국.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시하는 자원 할당 메시지를 상기 서브-섹터#n을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서브-섹터#n에서 상기 자원 할당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실행되는, 기지국.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n+1)은 상기 응답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하향링크 전송 동작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동작의 수행 없이 전송되는, 기지국.
KR1020170018967A 2017-02-10 2017-02-1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92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67A KR20180092776A (ko) 2017-02-10 2017-02-1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967A KR20180092776A (ko) 2017-02-10 2017-02-1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76A true KR20180092776A (ko) 2018-08-20

Family

ID=6344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967A KR20180092776A (ko) 2017-02-10 2017-02-1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7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081A (zh) * 2019-06-21 2022-02-01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081A (zh) * 2019-06-21 2022-02-01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
CN114009081B (zh) * 2019-06-21 2024-01-16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40543B (zh) 新无线电中的定时提前
US11018824B2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in network
CN108282198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和装置
CN110476396B (zh) 在空间准共址的高频多载波操作中用于波束管理的系统和方法
KR10244437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WO2018141272A1 (zh) 终端、网络设备和通信方法
CN108886742A (zh) 5g新无线电中的波束成型公共信道
WO2018202215A1 (zh)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确定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US2023021663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rs for plurality of uplink 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263641A1 (en) Method For Configuring CLI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9313783B2 (en) Enhancing coordinated multi-point processing transmission through resource element muting
CN115250513A (zh) 一种移动性管理方法及通信装置
JP7468678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装置、及び方法
KR20180073467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CN109983729A (zh) 用于发送参考信号资源指示的无线通信方法
KR20170020697A (ko) 네트워크에서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20180092776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빔 스위핑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98695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122290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CN113498067A (zh) 处理具有多个探测参考信号的上行链路传输的装置及方法
KR102451826B1 (ko)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WO2024093230A1 (en) Beam set adaptation for beam measurement
WO20240315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beam indication in wireless network
US20240155379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
US20240147550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base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