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26B1 -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26B1
KR102451826B1 KR1020170143964A KR20170143964A KR102451826B1 KR 102451826 B1 KR102451826 B1 KR 102451826B1 KR 1020170143964 A KR1020170143964 A KR 1020170143964A KR 20170143964 A KR20170143964 A KR 20170143964A KR 102451826 B1 KR102451826 B1 KR 10245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ilot
data
service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401A (ko
Inventor
김지형
이준환
이정훈
문성현
박주호
김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4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을 제1 서브 프레임의 제1 블록구간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구간과 오버랩되는 제2 블록구간에 제2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다른 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데이터가 할당된 영역에 할당된다.

Description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시스템에서는 6[GHz] 이상의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band)을 이용한 광대역(broadband) 무선 전송과, 대규모 안테나(massive antenna)를 이용한 빔포밍 기법의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크게 3가지 기술 시나리오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가지 기술 시나리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 Band: eMBB)과,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과,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mMTC)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3가지 기술 시나리오 각각은 서로 다른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에 적용할 수 있는 향상된 크로스 링크 간섭 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을 제1 서브 프레임의 제1 블록구간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구간과 오버랩되는 제2 블록구간에 제2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다른 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데이터가 할당된 영역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시간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데이터와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파일럿과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재전송되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었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 2타입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 및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2 타입 서비스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을 제1 서브 프레임의 제1 블록구간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구간과 오버랩되는 제2 블록구간에 제2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다른 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파일럿이 할당된 영역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시간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주파수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데이터와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파일럿과 다른 위치에 할당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재전송되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었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 2타입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 및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2 타입 서비스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타입 서비스를 요청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의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과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 서비스의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송신단 통신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와 오버랩 되도록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1 파일럿은 시간 및 주파수축 상에서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파일럿과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송신단 통신노드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타입 서비스의 제3 데이터 및 제3 파일럿이 할당된 제2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은 상기 제3 데이터 및 상기 제3 파일럿과 다른 위치에 할당된다.
본 발명의 통신노드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었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다.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오버랩 방식의 자원할당 방법과,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서브 프레임에 파일럿 신호를 할당할 때 다중 수비학(multiple numerology)을 적용하고, 데이터 신호와 파일럿 신호 사이에 보호 구간(guard band)를 배치하여 크로스 링크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시간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특정 요구사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원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로 다른 서비스 타입에 대해서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에서 제1 서비스 타입의 파일럿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서비스 타입의 다음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서비스 타입의 다음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크로스 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빔포밍(프리코딩)을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빔포밍(프리코딩)을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다중 수비학(multiple numerology)를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은 도 18에 도시된 파일럿에서 심볼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시간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5G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노드(200)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과,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과,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서로 다른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분할 다중화(TDM) 방식으로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의 시간 영역의 일부 구간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을 배치하고, 나머지 시간 구간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서로 다른 제1 타입(타입 A)의 서비스와 제2 타입(타입 B)에 대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프레임의 주파수 영역의 일부 구간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을 배치하고, 나머지 주파수 구간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특정 요구사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원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G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노드(200)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과,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과,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가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을 요구하는 경우, 통신노드(200)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할당을 조절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서브 프레임에서 이미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이 할당된 구간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을 위해서 이미 할당된 구간을 비우고, 비워진 구간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과 겹치도록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자원 할당 방법을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이라고 명칭 한다.
송신단(transmission point) 통신노드(200)는 오버랩 자원할당 방법으로 프레임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할당하여 수신단(reception point) 통신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제1 수신단 통신노드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제2 수신단 통신노드는 수신된 프레임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송신단 통신노드(200)는 기지국일 수 있고, 수신단 통신노드는 단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송신단 통신노드(200)는 단말일 수 있고, 수신단 통신노드는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이 할당된 구간에 배치되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의 자원 할당량 및 전송 방식에 따라서, 제1 수신단 통신노드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를 검출하는 것과, 제2 수신단 통신노드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검출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함께, 파일럿(예를 들어, 참조 신호)을 통한 채널을 추정하여 제1 수신단 통신노드(예로서, 제1 단말)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를 검출하는 것과, 제2 수신단 통신노드(예로서, 제2 단말)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검출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10)의 수신을 위한 제1 파일럿과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20)의 수신을 위한 제2 파일럿을 고려한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다중화(duplexing)에 대한 기술 시나리오도 고려하며, 3GPP LTE의 Rel.12에서 개발된 동적 시간분할 이중화(dynamic Time Division Duplex: TDD)보다 더 유연한(flexible)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안 한다. 이 경우, 상향링크(UL)과 하향링크(DL)에 대해 크로스 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의 영향이 커질 수 있음으로, 간섭 완화를 위한 파일럿 설계 방식을 제안한다.
통신노드(200)는 서비스 타입 별로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제1 주파수 대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및 파일럿(14)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으로 제1 주파수 대역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파일럿(14, 24)은 전송 방식에 따른 다양한 파라미터에 대한 측정 또는 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블록구간(Ta)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및 파일럿(14)이 시간축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하나의 블록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구간(Tb)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이 시간축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하나의 블록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서브 프레임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를 할당하고,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오버랩하여 할당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제 2타입(타입 B)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 및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시간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일부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일부를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3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도 7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1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동일한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2 통신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1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2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2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일부 데이터(22) 및 전체 파일럿(24)을 할당하고,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 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나머지 데이터(22)를 할당할 수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일부 데이터(22) 및 전체 파일럿(24)을 오버랩하여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나머지 데이터(22)를 할당할 수 있다.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들 사이에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중에서 일부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고,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중에서 일부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시간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일부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일부를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3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도 8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1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동일한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도 9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들 사이에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중에서 일부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고,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중에서 일부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시간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일부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일부를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3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1개의 파일럿은 주파수축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동일한 위치에 할당될 수 있다. 즉,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4개의 파일럿(24) 중에서 1개의 파일럿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1개의 파일럿(14)과 오버랩 될 수 있다.
도 10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와 오버랩 되도록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시간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고, 주파수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즉,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오버랩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를 오버랩되지 않도록 할당할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인덱스(index)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1
수학식 1에서, DA는 제1 블록구간(Ta)의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부반송파의 개수이며,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2
는 데이터(12)의 부반송파 위치와 일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인덱스를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3
수학식 2에서, NA는 제1 블록구간(Ta)의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부반송파 개수이며,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4
는 파일럿(14)의 부반송파의 위치와 일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의 인덱스를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5
수학식 3에서, DB는 제2 블록구간(Tb)의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의 부반송파의 개수이며,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6
는 데이터(14)의 부반송파 위치와 일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인덱스를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7
수학식 4에서, NB는 제2 블록구간(Tb)의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부반송파 개수이며,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8
는 파일럿(12)의 부반송파 위치와 일대일로 매핑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2 통신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1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2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2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및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오버랩시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일부 데이터를 오버랩시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나머지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오버랩시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시간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고,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즉,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오버랩된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를 오버랩시켜 할당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2 통신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1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2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2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도 12는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에서 제1 서비스 타입의 파일럿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서브 프레임 상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을 시간축 상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할당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통신노드(200)는 서브 프레임에서 파일럿(14)의 부반송파를 다양한 위치에 할당할 수 있고, 파일럿(14)을 할당하고 남은 위칭에 데이터(12)의 부반송파를 할당할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을 할당하는 제1 방법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오버랩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Figure 112017108047530-pat00009
이고,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0
이 되도록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 자원(22, 24)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1
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이고, AB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가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2
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을 1~14번째 심볼 시간까지 전송을 할 예정인 경우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에 대해서 n번째(n=1,…,14) 심볼 시간에 전송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노드(200)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n+k번째(k≥0) 심볼 시간에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전송 시간은 n+k부터 n+k+Tb(제2 블록구간)일 수 있다. 이때, n+k부터 n+k+Tb(제2 블록구간) 사이에 6, 7, 13, 14번째 심볼 시간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배치된 구간으로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전송 시간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을 할당하는 제2 방법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3
및/또는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4
이 되도록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5
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이고, AB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가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6
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수신단 통신노드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을 이용하여 데이터 복조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것에 어려움일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수신단 통신노드에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을 이용하여 데이터 복조나 채널 상태를 측정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7
이고,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8
이 되도록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7108047530-pat00019
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이고, AB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가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0
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을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할당할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을 할당하는 제3 방법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의 데이터(22) 또는 파일럿(24)과 오버랩되는 부분이 작아지도록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k(k≥0)부터 n+k+Tb(제2 블록구간) 사이에 6번째 심볼 시간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배치된 구간을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전송 시간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n+k(k≥0)부터 n+k+Tb(제2 블록구간) 사이에 7, 13, 14번째 심볼 시간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이 배치된 구간으로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전송 시간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을 할당하는 제4 방법
통신노드(200)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블록구간(Tb)안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롯(12)이 할당된 영역(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1
)의 일부를 오버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복조와 채널 추정을 위해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수신단 통신노드에서는 수신된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을 이용하여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복조와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를 수신하는 수신단 통신노드(예로서, User Equipment: UE)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타입 A)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의 제2 타입(타입 B)의 파일럿(24)은 제2 타입(타입 B)의 데이터(22)에 사용되는 프리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제1 타입(타입 A)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는 부분(예로서, 6번째 심볼)에 할당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4)에 사용되는 프리코딩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타입(타입 A)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는 부분(예로서, 6번째 심볼)에 할당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은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4)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에 공통으로 프리코딩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오버랩되는 부분(예로서, 6번째 심볼)에 할당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은 프리코딩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단의 통신노드(200)는 수신단의 통신노드들(UE1, UE2)에게 적용한 프리코딩이 어떤 방법인지 컨트롤 정보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노드(200)는 도 10의 6번째 심볼의 제2 타입(타입 B)의 파일럿(24)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통신노드(UE1)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통신노드(UE2)가 공유할 수 있는 group-specific 또는 공통(common) 프리코딩이 적용(프리코딩이 적용 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되었는지를 컨트롤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도 10의 6번째 심볼의 제2 타입(타입 B)의 파일럿(24)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통신노드(UE1)의 UE-specific 프리코딩이 적용되었는지, 또는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통신노드(UE2)의 UE-specific 프리코딩이 적용되었는지를 컨트롤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을 할당하는 제5 방법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오버랩시킬 수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위치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위치를 동일하게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시퀀스 또는 Zadoff-Chu 시퀀스를 사용하여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 시퀀스가 서로 직교하도록 또는 상관관계가 작도록 할당할 수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을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의 부반송파의 주파수 성분과 서로 직교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에 대해서 어떤 파일럿 시퀀스가 사용되었는지를 컨트롤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도 11의 6 번재 심볼만 고려했을 때,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 부반송파의 위치와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 부반송파의 위치가 서로 직교하도록 할당할 수도 있다.
통신노드(2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을 할당하는 제1 내지 제5 방법을 혼합하여 서브 프레임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파일럿(14)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3은 제1 서비스 타입의 다음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오버랩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여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a)의 재전송 시 오버랩(overlap)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a)를 재전송하는 경우,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12a) 및 파일럿(14a)을 할당하고,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 및 파일럿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 및 파일럿을 할당하고,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 및 파일럿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서 재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 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버랩 자원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의 재 전송 시, 이전 전송 때보다 파일럿(14a) 부반송파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신단 통신노드(예로서, UE)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복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4는 제1 서비스 타입의 다음 전송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에 대한 다음 전송 시, 이전 전송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다음 데이터(12b) 및 파일럿(14b)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상으로 일정 시간(k_a) 시간 뒤에 다음 데이터(12b) 및 파일럿(14b)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k_a는 0을 포함한 양의 정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전 전송 시 제1 타입(타입 A)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의 데이터(22) 또는 파일럿(24)이 오버랩된 경우, 제1 타입(타입 A)의 데이터(14b)의 재 전송 시 파일럿(14b) 부반송파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이전 전송 시 제2 타입(타입 B)의 데이터(22) 및 파일럿(24)이 배치된 영역에 재 전송되는 파일럿(14b)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신단 통신노드(예로서, UE)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복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5는 크로스 링크 간섭(cross-link interferenc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인접한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또는 셀간의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 구간이 서로 다름으로써,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 간에 크로스 링크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 링크 간섭은 제1 기지국(BS1)과 제2 기지국(BS2) 간에 발생할 수 있고,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 간에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단말(UE2)가 제2 기지국(BS2)으로 업링크(UL) 전송을 하는 경우, 제2 단말(UE2)의 업링크(UL) 신호가 제1 단말(UE1)의 다운링크(DL) 수신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크로스 링크 간섭이 증가할 수 있다. 플렉서블(Flexible) TDD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의 변경이 수시로 이루어짐으로 기존의 eIMTA 방식만으로는 크로스 링크 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가 수시로 변경되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 변하지 않는 요소를 이용하여 크로스 링크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BS1)과 제2 기지국(BS2)는 TRP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빔포밍(프리코딩)을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빔포밍(프리코딩)을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인전 TRP 또는 셀간 크로스 링크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는 빔 선택(beam selection) 방식을 적용하고, 빔 선택을 위한 빔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노드(200)는 채널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el Status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위해 서브 프레임에 파일럿(30)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파일럿(30) 부반송파의 위치 중 포트(port)에 따라 파일럿(30)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노드(200)는 파일럿(30)을 빔 형성(Beamformed) CSI-RS로 활용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6, 7번째 심볼 시간에 제1 빔을 위한 CSI-RS(42)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9, 10 번재 심볼 시간에 제2 빔을 위한 CSI-RS(44)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13, 14번째 심볼 시간에 제3 빔을 위한 CSI-RS(46)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빔 각각에 대해서 CSI-RS(42, 44, 46)를 배치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단말은 제1 내지 제3 빔 각각에 대한 CSI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노드(200)는 빔 측정을 위한 파일럿 부반송파 위치를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2
수학식 5에서,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3
는 i번째 빔에 해당하는 파일럿 부반송파 위치를 의미하며,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4
는 다운링크(DL)에서 지원되는 빔의 개수를 의미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측정 방법을 플렉서블 다중화(flexible duplexing) 방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운링크(DL)뿐만 아니라 업링크(UL)에도 빔 측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빔 측정 방법
통신노드(200)는 다운운링크(DL)와 업링크(UL)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파일럿 부반송파의 위치를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5
수학식 6에서,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6
는 다운링크(DL)에서 지원되는 빔의 개수(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7
)와 업링크(UL)에서 지원되는 빔의 개수(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8
)의 합을 의미한다. 수학식 6의
Figure 112017108047530-pat00029
는 CSI-RS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CSI-RS가 아닌 복조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와 같은 다른 위치의 파일럿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14)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24)이 오버랩되는 경우, 통신노드(200)는 복조기준 신호(DMRS)를 이용하여 파일럿이 직교하도록 시퀀스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단말(UE1)의 다운링크(DL)에 대한 수신 자원 위치에 제2 단말(UE2)의 업링크(UL)에 대한 전송 신호가 혼선되어 수신된 경우, 파일럿에 대한 빔이 서로 구별됨으로써 제2 단말(UE2)에 대한 크로스 링크 간섭의 세기 및 간섭 빔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링크 간섭의 세기가 특정 레벨 이상일 경우 단말(UE)은 제1 기지국(BS1)에 보고하고, 기지국간 통신(BS1-to-BS2)을 통해 특정 빔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UE2)는 금지된 빔이 기본적으로 제2 기지국(BS2)과 의 통신에 필요한 최적의 빔이기 때문에 차선의(sub-optimal)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선의(sub-optimal) 빔을 사용함에 따른 채널 정보(예를 들어, quantized channel, 빔 index, CQI, PMI, RI, CSI 등)를 제2 기지국(BS2)으로 보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빔 측정 방법은 단말간 간섭(UE-to-UE interference) 및 기지국간 간섭(BS-to-BS interference)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인접 TRP간 또는 셀간 동기가 맞지 않으면 시간 동기가 맞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업링크(UL)에서 기지국(BS)과의 동기를 맞추는 경우, Timing Advance(TA)가 적용되기 때문에 인접 UE에 대해 동기가 맞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구간(Cyclic prefix: CP)을 배치하여 부반송파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수신단에서 이웃하는 신호가 CP 내에 들어오는 경우에 빔 측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8은 다중 수비학(multiple numerology)를 적용한 파일럿 배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다운링크(DL) 또는 업링크(UL)의 서브 프레임에 파일럿 신호를 할당할 때, 다중 수비학(multiple numerology)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12)가 f1의 부반송파 간격을 가진다고 가정할 때, 파일럿(14)은 f2(=m*f1, m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도 17에서 m=2)의 부반송파 간격을 가질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부반송파 간격이 다름으로써 발생하는 부반송파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서 보호 구간(guard band, 16)를 배치할 수 있다. 주파수축에서 파일럿(14)의 위아래에 보호 구간(1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9은 도 18에 도시된 파일럿에서 심볼을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노드(200)는 서브 프레임의 시간축 상에서 심볼을 구성할 수 있다. 통신노드(200)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이 적용된 데이터 부분의 시간축 심볼을 설정할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노드(200)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가 적용된 파일럿 부분의 시간축 심볼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데이터 부분의 시간축 심볼과 파일럿 부분의 시간축 심볼을 설정하면 제1 단말(UE1)과 제2 단말(UE2) 간의 송/수신 시점의 차이가 D_1/2 이하인 경우 시간 동기 오차에 따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9(b)의 심볼 구성을 위해 파일럿 부반송파(
Figure 112017108047530-pat00030
)에 대해서 다중 수비학을 적용할 수 있고, LTE 시스템의 Sounding Reference Signal(SRS)와 같이 comb-like-pattern으로 파일럿을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파일럿에 대한 빔들 각각이 서로 구별됨으로써 제2 단말(UE2)에 대한 크로스 링크 간섭의 세기 및 간섭 빔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과 함께 도 20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노드(200)는 서브 프레임에서 시간축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제1 블록구간(Ta)에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을 서브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S10). 여기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은 제1 데이터(12)와 제1 파일럿(14, 예로서, 참조신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통신노드(200)는 서브 프레임의 시간축에서 연속적으로 할당된 제1 블록구간(Tb)에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서브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과 오버랩 되도록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S20). 여기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은 제2 데이터(22)와 제2 파일럿(24, 예로서, 참조신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 중 일부 영역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데이터(12)가 할당된 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3~4번째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이 할당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데이터(12)와 오버랩 되도록 3~4번째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일럿(14)은 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에 할당될 수 있으며, 제1 파일럿(14)과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14)이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과 오버랩 되지 않음으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에서 제1 파일럿(14)을 이용한 채널 추정 및 제1 데이터의 복호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12)가 할당된 영역(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 중 일부 영역에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일부 영역에 제2 데이터(22)를 할당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데이터(12)가 할당된 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5번째 심볼 구간에 제2 파일럿(24)을 할당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6번째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가 할당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데이터(12)와 오버랩 되도록 5번재 심볼 구간에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노드(200)는 제1 데이터(12) 및 제1 파일럿(14)과 오버랩 되도록 5~6번째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를 할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일부 영역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6번째 심볼 구간에 제2 파일럿(24)이 할당되고, 6~7번째 심볼 구간에서 제2 데이터(22)가 할당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제1 파일럿(14)과 오버랩 되도록 6번째 심볼 구간에 제2 파일럿(24)을 할당하고, 6~7번재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데이터(12)가 할당된 1~5번째 심볼 구간, 8~12번째 심볼 구간에는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통신노드(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영역(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일부 영역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파일럿(14)이 할당된 6~7번째 심볼 구간, 13~14번째 심볼 구간 중에서 6~7번째 심볼 구간에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이 할당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6~7번째 심볼 구간에서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은 제1 파일럿(14)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6~7번째 심볼 구간에서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은 제1 데이터(12)와 오버랩 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즉, 통신노드(200)는 시간축 상에서는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제1 파일럿(14)과 동일한 위치에 할당하지만, 주파수축 상에서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을 제1 파일럿(14)을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파일럿(14)을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파일럿(14)이 제2 데이터(22) 및 제2 파일럿(24)과 오버랩 되지 않음으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에서 제1 파일럿(14)을 이용한 채널 추정 및 제1 데이터의 복호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과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30).
통신노드(200)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 및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를 요청한 수신단 제2 통신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1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는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제2 파일럿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제2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노드(200)는 제1 서브 프레임을 전송한 후,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을 수신한 수신단 제1 통신노드로부터 ACK 또는 NACK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이와 동일하게, 통신노드(200)는 제1 서브 프레임을 전송한 후,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수신한 수신단 제2 통신노드로부터 ACK 또는 NACK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22)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에서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S40의 판단 결과,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의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통신노드(200)는 재전송이 요구되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12) 및 파일럿(14)을 제2 서브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S50).
이어서, 통신노드(200)는 새로운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제2 서브 프레임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노드(200)는 제2 서브 프레임에서 재전송되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과 오버랩 되지 않도록 새로운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S60). 재전송되는 데이터가 전송 우선권을 가짐으로, 재전송되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을 할당하고 남은 공간에 새로운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노드(200)는 재전송되는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자원 및 새로운 제2 타입(타입 B)의 서비스 자원이 할당된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70).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의 다양한 기술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5G NR(New Radio)에 적용할 수 있는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 간의 크로스 링크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데이터
14: 제1 타입(타입 A) 서비스의 파일럿
22: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데이터
24: 제2 타입(타입 B) 서비스의 파일럿

Claims (20)

  1. 통신 네트워크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을 제1 서브 프레임의 제1 블록구간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구간과 오버랩되는 제2 블록구간에 제2 타입 서비스에 대한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다른 통신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데이터가 할당된 영역에 할당되며, 상기 제1 파일럿이 할당된 영역에는 할당되지 않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시간축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파일럿을 주파수축 상에서 동일 위치에 할당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데이터와 다른 위치에 할당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재할당하는 단계에서,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을 상기 제2 타입의 서비스에 대한 제3 파일럿과 다른 위치에 할당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재전송되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었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 2타입 서비스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MBB), 높은 신뢰성의 작은 대기시간 통신(URLLC) 및 방대한 기계 타입 통신(mMTC)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기 제2 타입 서비스는 서로 상이한,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타입 서비스를 요청한 통신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타입 서비스의 제1 데이터 및 제1 파일럿과 상기 제1 타입 서비스와 상이한 제2 타입 서비스의 제2 데이터 및 제2 파일럿이 할당된 제1 서브 프레임을 송신단 통신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일럿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복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와 상기 제2 파일럿 중 적어도 하나와 오버랩 되도록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며, 상기 제1 파일럿이 할당된 영역에는 할당되지 않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일럿은 시간 및 주파수축 상에서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2 파일럿과 서로 다른 위치에 할당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통신노드로 상기 제1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과, 상기 제2 타입 서비스의 제3 데이터 및 제3 파일럿이 할당된 제2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이 요청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1 파일럿은 상기 제3 데이터 및 상기 제3 파일럿과 다른 위치에 할당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었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통신노드의 동작방법.
KR1020170143964A 2016-10-31 2017-10-31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KR102451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763 2016-10-31
KR20160143763 2016-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401A KR20180048401A (ko) 2018-05-10
KR102451826B1 true KR102451826B1 (ko) 2022-10-07

Family

ID=6202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64A KR102451826B1 (ko) 2016-10-31 2017-10-31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9778B2 (ko)
KR (1) KR102451826B1 (ko)
WO (1) WO20180802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253611A1 (en) * 2019-04-04 2021-04-08 Cohere Technologies, Inc. Massive cooperative multipoint network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0229B2 (en) 2005-06-20 2010-02-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ilot design and channel estimation
KR101407045B1 (ko) 2007-10-26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롯 배치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장치
WO2011025131A2 (en) 2009-08-28 2011-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ilo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97810B2 (en) 2013-07-18 2016-07-19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ilo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9787515B2 (en) 2014-02-13 2017-10-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guard band utilization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s
WO2016048067A2 (en) * 2014-09-25 2016-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US20180035459A1 (en) * 2016-07-29 2018-0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existence of Grant-Based and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in a Channel
US11172444B2 (en) * 2016-10-10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ower control and management
US10412719B2 (en) * 2016-10-21 2019-09-10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type based control search space monitoring
US11039466B2 (en) * 2016-10-28 2021-06-15 Apple Inc. User equipment (UE), evolved node-B (ENB) and methods for multiplexing new radio (N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NR PUSCH) and N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NR PUCCH)
US11323966B2 (en) * 2016-10-28 2022-05-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in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05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283A3 (ko) 2018-08-09
US20210359804A1 (en) 2021-11-18
US11329778B2 (en) 2022-05-10
KR20180048401A (ko) 2018-05-10
WO2018080283A2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662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HARQ feedback and device therefor
Parkvall et al. NR: The new 5G radio access technology
JP707468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546095B2 (en) Sidelink HARQ feedback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EP3879905B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10028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communication
KR20170020233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64786B1 (ko) 단축된 프레임 구조들을 이용한 사운딩 피드백
US11804930B2 (en) Sidelink HARQ feedback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3312444A (zh) 指示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KR102531880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58309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51826B1 (ko)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와, 신호 전송 방법
KR20200060255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627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39153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6372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및 harq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440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의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25227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시퀀스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386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6745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및 참조 신호의 송수신 방법
KR10260381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중첩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54400B1 (ko) Tdd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지연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30081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38108A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