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648A -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648A
KR20180092648A KR1020170018643A KR20170018643A KR20180092648A KR 20180092648 A KR20180092648 A KR 20180092648A KR 1020170018643 A KR1020170018643 A KR 1020170018643A KR 20170018643 A KR20170018643 A KR 20170018643A KR 20180092648 A KR20180092648 A KR 20180092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implant
main body
contain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102017001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648A/ko
Publication of KR20180092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서, 상기 본체부가,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이 형성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Ultraviolet radiation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와 살균에 사용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픽스쳐(implant fixture)(이하,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픽스쳐')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구강 내부의 상·하악골(上·下顎骨)에 식립(植立)되는 것으로 상·하악골에 식립 하는 시술 이전까지 멸균상태를 유지토록 별도의 포장재에 내입되어 보관되어야 하며, 종래 이러한 임플란트 픽스쳐를 내입상태로 포장 및 보관하는 포장재가 다수 개발되어 시중에 보급 및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임플란트 픽스쳐는 포장재에 내입되기 전에 생체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외선 처리를 하여 초친수성으로 개질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내입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1551호(골유착 증진을 위한 자외선 광조사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 개질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2993호(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16185호(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등은 임플란트 표면 개질을 위한 자외선 조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첫째, 시간이 어느 정도 경과하면 초친수성의 특성이 낮아지므로 임플란트를 포장재로부터 꺼내어 다시 초친수성 처리를 해야 하는데, 임플란트를 포장재에서 꺼내어 자외선 조사 장치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오염될 가능성이 큰 문제가 있고, 둘째, 자외선 램프와 임플란트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지 않아서 표면 개질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셋째, 균일한 표면 처리를 위해 임플란트를 회전시키거나 자외선 램프를 회전시킬 경우 구동모터, 기어 등 구성부품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며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넷째, 임플란트를 자외선 조사장치 내에 장착하고 꺼내는 작업이 쉽지 않거나 휴대성이 없어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31551호 (2011년 12월 7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1102993호 (2012년 1월 5일 공고) 특허문헌3: 한국 등록특허 제10-1516185호 (2015년 5월 4일 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가방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서 사용자가 휴대하기 간편하고 임플란트 용기를 쉽게 적재하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의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 전체를 알루미늄과 같이 자외선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하여 구성한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서, 상기 본체부가,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이 형성된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서, 상기 본체부가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이 형성된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를 일반적인 가방과 같은 형태로 구성하고 가방을 열듯이 자외선 조사장치를 열어서 임플란트 용기를 쉽게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 영역을 알루미늄과 같이 자외선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하여 구성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표면개질 하거나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의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
도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덮개부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2는 자외선 조사장치의 예시적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10)는 일반적인 가방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조사장치(10)는 본체부(20) 및 덮개부(30)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20)와 덮개부(30)는 예컨대 힌지 연결부(27,37)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방 형상의 자외선 조사장치(10)의 힌지 연결부(27,37)가 형성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손잡이(39)가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39)가 부착된 측면이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 측면을 포함한 모든 측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측면이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조사장치(10)의 구체적 형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체부(20)는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하는 임플란트 수용공간을 가진다. 덮개부(30)는 본체부(20)의 개방된 상부면과 결합되어 임플란트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외선 조사장치(10)의 본체부(20)와 덮개부(30)를 체결하는 구체적 수단으로서 임의의 공지된 체결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가방에서 가방을 열고 닫는 공지의 체결수단이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장치(10)의 본체부(20)와 덮개부(30)를 체결하는 체결구조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손잡이(39)에 대향하는 면에 힌지 연결부(27,37)가 부착되어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손잡이(39)가 부착된 면의 바로 이웃하는 측면에 힌지 연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조사장치(10)에서 손잡이(39)와 힌지 연결부(27,37)의 상대적 위치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무관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2는 임플란트 용기(70)를 투입하거나 꺼내기 위해 덮개부(30)를 열었을 때의 자외선 조사장치(10)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본체부(20)는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장착홈(41)이 복수개 형성된 트레이(40) 및 이 트레이(40)의 상방향에서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를 포함한다.
각각의 용기 장착홈(41)은 예컨대 도시한 것처럼 임플란트 용기(70)를 하나씩 장착홈(41)에 끼워서 적재할 수 있도록 트레이(4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장착홈(41)들이 하나 이상의 열(row) 형태로 트레이(40)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장착홈(41)이 3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장착홈(41)의 개수나 열의 개수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트레이(40)의 표면 위쪽으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가 병렬로 배치되고, 이 때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것처럼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41)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램프와 램프 사이의 공간에 임플란트 용기(7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덮개부(30)를 열고 임플란트 용기(70)를 본체부(20)의 트레이(40) 내에 적재한 후 덮개부(30)를 닫고 자외선 램프(2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덮개부(30)가 닫혔을 때 자외선 조사장치(10)의 임플란트 수용공간이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용기(70)에 각각 수용된 임플란트가 자외선 램프(25)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표면개질 및/또는 살균될 수 있다.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20)의 예시적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20)는 임플란트 용기(70)를 적재하는 트레이(40), 트레이(4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 자외선 램프(25)와 양단에 결합되어 자외선 램프를 지지하는 소켓(26), 및 소켓을 덮는 소켓 커버(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듯이 트레이(40)는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41)을 포함한다. 각각의 용기 장착홈(41)은 임플란트 용기(70)를 하나씩 수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40)의 표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장착홈(41)들이 하나 이상의 열(row) 형태로 트레이(40) 표면에 배치된다. 도2에서는 예시적으로 3개의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41)에 각각 장착된 모습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복수개의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41)마다 하나씩 수용됨으로써 동시에 복수개의 임플란트 용기(70)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40)는 본체부(20)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3)에 끼워져서 본체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끼움홈(23) 대신 트레이(40)의 하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나 플랜지부가 본체부(20)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트레이(40)가 돌출부 또는 플랜지부에 놓여진 후 예컨대 소켓 커버(21)에 의해 상부로부터 압착되어 본체부(20)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트레이(40)를 본체부(20)에 결합시키는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40)는, 또한 본체부(20) 내에 결합됨으로써 본체부(20) 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으로서 역할도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20)의 내부공간의 대략 중간을 가로지르도록 트레이(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트레이(40)의 상부쪽의 제1 공간은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하는 임플란트 수용공간이 되고 트레이(40)의 하부쪽의 제2 공간은 예컨대 자외선 램프(25)를 점등하는데 필요한 전원 및 전원제어부 등의 회로소자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이 될 수 있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트레이(40)에 의해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두 공간 사이가 연통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체부(20)가 제1 공간과 제2 공간 외에 제3의 공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는 트레이(40)의 상부 공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램프(25)의 길이방향이 용기 장착홈(41)의 열(row)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자외선 램프(25)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40)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의 단부에 자외선 램프(25)를 끼울 수 있는 복수개의 소켓(26)이 설치되고, 자외선 램프(25)가 서로 마주보는 양쪽 소켓(26)에 삽입되어 트레이(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소켓(26)은 예컨대 트레이(4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체부(20)의 내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자외선 램프(25)는 예컨대 일자형 램프이고,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자외선 램프(25)는 자외선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램프로서 통상의 전구타입 또는 형광등 타입의 UV 램프일 수도 있고 LED 램프일 수도 있다. 자외선 램프(25)가 전구타입인 경우, 도면에 도시한 일자형 램프와 같은 배치가 되도록 복수개의 전구타입 램프들이 열(row)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25)는 임플란트의 표면개질 및/또는 살균에 맞는 적절한 자외선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0)가 소켓 커버(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커버(21)는 임플란트 수용공간 내에 소켓(26)이 노출되지 않도록 소켓(26)을 덮는 역할을 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트레이(40)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트레이(40)가 흔들리지 않고 본체부(20)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20)의 임플란트 수용공간을 정의하는 내부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표면에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40)의 상부 표면, 덮개부(30)의 내측 표면(31) 중 적어도 한쪽에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 또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소켓 커버(21)의 임플란트 수용공간을 향하는 표면에도 이러한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트레이(40), 덮개부(30)의 내측 표면(31), 및/또는 소켓 커버(21) 자체가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산화마그네슘과 같이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수용공간의 내부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되면 자외선 램프(25)에서 본체부(20)의 내부 표면으로 조사된 자외선이 반사되어 임플란트 용기(70)로 향하게 되므로 임플란트의 표면 개질이나 살균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본체부(20)는 덮개부(3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되거나 개방되도록 덮개부(30)에 결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체부(20)와 덮개부(30)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본체부(20)의 힌지 연결부(27)와 덮개부(30)의 힌지 연결부(37)가 결합됨으로써 본체부와 덮개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제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자외선 조사장치(10)의 예시적 단면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4와 도5는 각각 자외선 조사장치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로서, 도4는 자외선 램프(25)의 길이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고 도5는 자외선 램프(25)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외선 조사장치가 밀폐된 상태, 즉 임플란트 용기(70)를 트레이(40)의 용기 장착홈(41)에 적재한 후 덮개부(30)로 닫은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램프(25)와 램프(25) 사이의 공간에 임플란트 용기(70)가 위치한다. 즉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41)에 삽입되었을 때, 임플란트 용기(70)와 자외선 램프(25)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임플란트 용기(70) 내의 임플란트(71)가 자외선 램프(25)와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플란트 용기(70)와 자외선 램프(25)의 배치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임플란트 용기(70)의 길이방향과 자외선 램프(25)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한 것처럼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41)에 장착되어 트레이(40)의 표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수용되고 자외선 램프(25)는 트레이(40)의 표면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트레이(40)에 장착된 임플란트 용기(70)가 자외선 램프(25)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하게 된다.
도3에서 상술하였듯이, 본체부(20)의 내부는 트레이(40)에 의해 두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트레이(40)의 위쪽에는 임플란트 용기(70)와 자외선 램프(25)를 수용하는 제1 공간(임플란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트레이(40)의 아래쪽에는 트레이(40)의 하부 표면과 본체부(20)의 하부 바닥면에 의해 정의되는 제2 공간(내부 공간)(22)이 형성된다. 제1 공간은 임플란트 용기(7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영역으로 이 공간 내부는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코팅되거나 적층될 수 있고, 제2 공간(22)은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25)를 점등하는 전원 및 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외선 조사장치(1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자외선 램프(35)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 제어부는 본체부(20)가 덮개부(30)에 의해 닫힌 상태를 감지하였을 때 또는 스위치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자외선 램프(25)를 점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가방과 같은 형태로 자외선 조사장치(10)를 구성함으로써 가방을 열듯이 덮개부(30)를 열어서 임플란트 용기(70)를 쉽게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조사장치(10)의 내부 공간을 알루미늄과 같이 자외선을 잘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코팅하고 임플란트 용기(70)가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램프와 램프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외선 램프(25)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임플란트 수용공간 내에서 반사를 반복하며 임플란트 용기(70) 내의 임플란트(71)를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임플란트(71)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표면개질 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도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20)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6의 제2 실시예에서 덮개부(30)는 도1 내지 도5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며 따라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6의 제2 실시예에서 본체부(20)는 트레이(140), 자외선 램프(125), 및 소켓 커버(121)를 포함한다. 트레이(140), 자외선 램프(125), 및 소켓 커버(121)의 구조나 배치 및 기능은 제1 실시예의 트레이(40), 자외선 램프(25), 및 소켓 커버(21)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다만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램프(125)와 용기 장착홈(141)의 열(row)의 방향이 제1 실시예의 자외선 램프(25)와 용기 장착홈(41)의 방향에 대해 90도 회전되어 있다. 즉 도6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램프(125)와 용기 장착홈(141)의 배열 방향이 본체부(20) 내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배열되어도 무방함을 알 수 있다.
이제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예시적인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8과 도9는 각각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의 본체부(220)와 덮개부(2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5의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3 실시예의 자외선 조사장치는 자외선 램프(235)가 본체부가 아닌 덮개부(230)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의 구성과 기능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하다.
제3 실시예에서 자외선 조사장치는 본체부(220) 및 덮개부(230)를 포함한다. 본체부(220)는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진다. 본체부(220)는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241)이 형성된 트레이(240)를 포함한다. 트레이(240)는 본체부(22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끼움홈(223)에 끼워져서 본체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220)는 트레이(240)를 위에서 가압하는 고정부재(2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덮개부(230)는 본체부(220)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덮개부(230)는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35) 및 자외선 램프(235)의 양단과 결합하여 램프(235)를 덮개부(230)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램프 지지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램프 지지부(232)는 서로 병렬로 이격되어 상기 덮개부(230)의 내측 표면(231)에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램프 지지부(232)에는 소켓(233)이 설치되어 있고 램프(235)의 각 단부가 소켓(233)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플란트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220)의 내측 표면과 덮개부(230)의 내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240)의 상부 표면 및 덮개부(230)의 내부 표면(231)의 적어도 하나에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코팅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트레이(240)나 덮개부(230)의 내부 표면(231)이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서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산화마그네슘이 사용될 수 있다.
도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조사장치를 자외선 램프(235)의 길이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용기(70)가 상기 용기 장착홈(241)에 삽입된 후 본체부(220)가 덮개부(23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자외선 램프와 램프 사이의 공간에 임플란트 용기(70)가 위치한다. 즉 임플란트 용기(70)가 용기 장착홈(241)에 삽입되었을 때, 임플란트 용기(70)와 자외선 램프(235)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임플란트 용기(70) 내의 임플란트가 자외선 램프(235)와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트레이(240)가 본체부(220)에 가로로 배치됨으로써 본체부(220)에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즉 트레이(240)의 위쪽에 임플란트 용기(70)를 수용하는 제1 공간(임플란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트레이(240)의 아래쪽에는 제2 공간(내부 공간)(222)이 형성된다.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트레이(240) 및/또는 고정부재(221) 등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고 대안적 실시예에서 두 공간 사이가 연통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체부(220)가 제1 공간과 제2 공간 외에 제3의 공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222)에 자외선 램프(235)를 점등하는 전원 및 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원 및 전원 제어부에 연결된 전선이나 제어선들이 힌지 연결부(27,37)를 통해 본체부(220)에서 덮개부(230)의 램프 지지부(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는 본체부(220)가 덮개부(230)에 의해 닫힌 상태를 감지하였을 때 또는 외부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자외선 램프(235)를 점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240)가 본체부(220)에 설치되고 자외선 램프(235)가 덮개부(230)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덮개부(230)를 열어 임플란트 용기(70)를 적재하거나 빼낼 때 자외선 램프(235)의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점에 더하여 자외선 조사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자외선 조사장치 20, 220: 본체부
26, 233: 소켓 25, 125, 235: 자외선 램프
30, 230: 덮개부 40, 140, 240: 트레이
70: 임플란트 용기

Claims (18)

  1.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20) 및 이 본체부(20)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부(30)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장치(10)로서,
    상기 본체부(20)가,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41)이 형성된 트레이(40); 및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서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용기가 상기 용기 장착홈(41)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이웃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와 램프 사이의 공간에 상기 임플란트 용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용기가 상기 용기 장착홈(4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임플란트 용기 내의 임플란트가 상기 자외선 램프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덮개부의 내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가,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는 전원 및 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상기 내부공간 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닫힌 상태를 감지하였을 때 또는 외부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9.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며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부(220) 및 이 본체부(220)의 상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는 덮개부(230)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장치로서,
    상기 본체부(220)가 임플란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기 장착홈(241)이 형성된 트레이(24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230)가 서로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용기가 상기 용기 장착홈(241)에 삽입된 후 상기 본체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자외선 램프와 램프 사이의 공간에 상기 임플란트 용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서로 병렬로 이격되어 상기 덮개부의 내측 표면에 배치된 한 쌍의 램프 지지부(232)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자외선 램프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램프 지지부의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자외선 램프가 상기 덮개부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용기가 상기 용기 장착홈(24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임플란트 용기 내의 임플란트가 상기 자외선 램프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 표면과 상기 덮개부의 내측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이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알루미늄 또는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장치가,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는 전원 및 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상기 내부공간 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이 상기 힌지 연결부를 통해 상기 덮개부의 자외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닫힌 상태를 감지하였을 때 또는 외부로부터 스위칭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장치.
KR1020170018643A 2017-02-10 2017-02-10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80092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43A KR20180092648A (ko) 2017-02-10 2017-02-10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43A KR20180092648A (ko) 2017-02-10 2017-02-10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648A true KR20180092648A (ko) 2018-08-20

Family

ID=634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643A KR20180092648A (ko) 2017-02-10 2017-02-10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44A1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디오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551A (ko)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골유착 증진을 위한 자외선 광조사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 개질방법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516185B1 (ko)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1551A (ko)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골유착 증진을 위한 자외선 광조사기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 개질방법
KR101102993B1 (ko) 2011-03-29 2012-0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516185B1 (ko) 2014-05-20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용 자외선 조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244A1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디오 의료용 금속의 표면처리장치
US11576989B2 (en) 2019-03-29 2023-02-14 Dio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surface of medical me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2647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1705830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US20130004367A1 (en) Sani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86967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0469513Y1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담배 케이스
US6811748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sterilization of objects
KR101849610B1 (ko) 퍼프 살균기
KR101675508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75506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101688931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KR20180092648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90000989U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90000968U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2195358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20190000928U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80086966A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10168893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포장용기
JP2005111034A (ja) 歯ブラシの滅菌装置
KR20170122456A (ko) 치과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80070979A (ko) 광조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KR20180085945A (ko) 광조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자외선 조사장치
CN213311931U (zh) 反射式消毒柜
KR102133348B1 (ko) 자외선 살균 화장품 용기 및 자외선 화장품 용기를 위한 분첩 받침대
KR20220150092A (ko) 자동살균구조를 포함한 배달용 수납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자동살균 방법
KR102336122B1 (ko) 전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